KR102513471B1 -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3471B1
KR102513471B1 KR1020220074948A KR20220074948A KR102513471B1 KR 102513471 B1 KR102513471 B1 KR 102513471B1 KR 1020220074948 A KR1020220074948 A KR 1020220074948A KR 20220074948 A KR20220074948 A KR 20220074948A KR 102513471 B1 KR102513471 B1 KR 102513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clined plate
wire
side rail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령
Original Assignee
(주)배정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배정기술단 filed Critical (주)배정기술단
Priority to KR1020220074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3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3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3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110)와 걸이바(120) 및 전선픽스유닛(130)으로 구성된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전선(L)을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전선(L)을 구분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해 제조가 용이하다.

Description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Wire fixing mechanism provided in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가설되는 (배)전선은 벽체 등에 설치되는 별도의 클램프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 및 보호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2285호(공동주택의 지중전력구 케이블 고정장치)가 있으며, 여기에는 케이블을 쉽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설 가능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케이블받침대와 케이블클램프를 별도의 체결수단(볼트)을 매개로 상호 연결시키거나 분리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둘째, 케이블 고정장치를 이용한 증설작업시 이웃하는 케이블 고정장치 간의 간격을 정확하게 맞춰야 결합되는 케이블 고정장치와 연결이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크게 의지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에 따른 인건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셋째, 케이블 고정장치의 증설작업시 각각의 케이블 고정장치를 결속핀을 매개로 일일이 끼워줘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8844호(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 전선고정기구)가 있으며, 여기에는 분할구조를 갖는 전선클램프에 고정구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전선클램프의 결합/분리를 단속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매우 쉬우면서도 신속해져 작업성이 보다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술은 분할된 전선클램프를 고정구를 이용해 결합 및 분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고정구의 분실우려는 물론 전선을 고정하거나 분리시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8844호
본 발명은 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전선을 구분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해 제조가 용이한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걸이바장착구를 갖추고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며 이중 어느 하나는 공동주택의 벽면에 고정되는 사이드레일과, 양단이 사이드레일의 내면에 맞대어지게 사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매개로 사이드레일에 고정되는 렁으로 구성된 트레이;
걸이바장착구에 끼워져 지지되는 걸이바;
사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일측 사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장착판, 제1장착판의 말단으로부터 사이드레일의 외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경사판, 제1경사판의 말단으로부터 타측 사이드레일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1하판, 제1하판의 말단으로부터 일측 사이드레일의 내면을 향해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경사판, 제2경사판의 말단으로부터 타측 사이드레일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상판, 상판의 말단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제1경사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경사판, 제3경사판의 말단으로부터 타측 사이드레일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2하판, 제2하판의 말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2경사판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4경사판, 제4경사판의 말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타측 사이드레일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장착판으로 이루어진 픽스본체와,
상판에 연결되는 줄과,
줄에 연결되며 걸이바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줄을 매개로 픽스본체를 잡아당기는 후크로 구성된 전선픽스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전선을 구분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해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 - A'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에 전선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로부터 전선을 인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 - A'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는 트레이(110)와 걸이바(120) 및 전선픽스유닛(13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전선(L)을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전선(L)을 구분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해 제조가 용이한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상기 트레이(110)는 한 쌍의 사이드레일(111)과 렁(112)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고정되어 전선픽스유닛(13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전선픽스유닛(130)과 함께 전선(L)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이드레일(111)은 대략‘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철재 프레임으로서 상호 마주보게 나란하게 이격배치된다.
이러한 사이드레일(111)을 구성하는 수직면(도 2 참조)의 상단부에는 걸이바장착구(111a)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수직면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하부수평면(도 2 참조)에는 상하로 관통된 장공(111b)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이바장착구(111a)에는 걸이바(120)가 관통되게 끼워져 양단부가 지지되고, 장공(111b)에는 볼트(B)가 관통되게 끼워져 너트(N) 체결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볼트(B)와 너트(N)를 매개로 픽스본체(131)가 사이드레일(111)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렁(112)은 사이드레일(111)을 상호 연결하는 부재로, 양단이 사이드레일(111)의 내면에 맞대어져 체결수단(나사볼트)을 매개로 사이드레일(111)에 고정된다.
상기 걸이바(120)는 사각형상의 단면을 갖는 금속파이프로, 본 실시 예의 경우 걸이바장착구(111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양단부가 지지되며, 매달리는 후크(13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선픽스유닛(130)은 픽스본체(131)와 줄(132) 및 후크(133)로 구성된 것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양단부가 각각 볼트(B)와 너트(N)를 매개로 사이드레일(111)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전선(L)을 탄성 가압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픽스본체(131)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금속플레이트를 요철모양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일종에 스프링이다.
일 예로, 상기 픽스본체(131)의 입구(상방으로 개구된 부분: 도 3 참조)를 통해 전선(L)을 인입하게 되면, 전선(L)의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휘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입구가 좁아지면서 전선(L)이 가압고정된다.
반대로, 상기 픽스본체(131)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방으로 휘어지면서 입구(상방으로 개구된 부분: 도 3 참조)가 좌우로 벌어지게 되므로 전선(L)을 픽스본체(131)로부터 쉽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픽스본체(131)는 제1장착판(131a)과 제1경사판(131b), 제1하판(131c), 제2경사판(131d), 상판(131e), 제3경사판(131f), 제2하판(131g), 제4경사판(131h) 및 제2장착판(131i)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장착판(131a)과 제2장착판(131i)의 일단부는 사이드레일(111)의 하부수평면(도 3 참조)에 각각 얹혀져 볼트(B)와 너트(N)를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를 위해 제1장착판(131a)과 제2장착판(131i)에는 장공(111b)과 상호 연통되며, 볼트(B)가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경사판(131b)과 제4경사판(131h)은 각각 제1장착판(131a)의 말단과 제2장착판(131i)의 말단으로부터 각 사이드레일(111)의 하단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며, 이들은 서로 대칭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1하판(131c)과 제2하판(131g)은 각각 제1경사판(131b)과 제4경사판(131h)의 말단으로부터 서로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경사판(131d)과 제3경사판(131f)은 각각 제1하판(131c)과 제2하판(131g)의 말단으로부터 각각 사이드레일(111)의 상단부를 향해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며, 이들은 서로 대칭형태를 이룬다.
상기 상판(131e)은 일단이 제2경사판(131d)과 일체를 이루고 타단이 제3경사판(131f)과 일체를 이룬다.
상기 제1경사판(131b)과 제1하판(131c) 및 제2경사판(131d), 그리고 제3경사판(131f)과 제2하판(131g) 및 제4경사판(131h)은 상방이 개구된 사다리꼴 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픽스본체(131)의 입구(상방으로 개구된 부분: 도 3 참조)를 통해 전선(L)을 인입하게 되면, 전선(L)의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휘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입구가 좁아지면서 전선(L)이 가압고정된다.
반대로, 상기 픽스본체(131)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방으로 휘어지면서 입구(상방으로 개구된 부분: 도 3 참조)가 좌우로 벌어지게 되므로 전선(L)을 픽스본체(131)로부터 쉽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장착판(131a)과 제2장착판(131i)은 볼트(B)와 너트(N)를 매개로 사이드레일(111)의 장공(111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충분한 자유도를 갖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줄(132)은 픽스본체(131)의 상판(131e)에 설치되어 픽스본체(131)와 후크(133)를 상호 연결시켜 주며, 후크(133)가 걸이바(120)에 걸림되었을 때에는 픽스본체(131)를 잡아당기는 역할을 한다.
상기 후크(133)는 줄(132)의 말단에 고정되어 걸이바(120)에 착탈가능하게 걸린다.
일 예로, 작업자가 후크(133)를 걸이바(120)에 걸어주게 되면, 후크(133)로 인해 줄(132)이 당겨지게 되고, 줄(132)이 당겨 짐에 따라 픽스본체(132)의 상판(131e)이 잡아 당겨지게 되며, 이로 인해 픽스본체(131)의 양단부가 사이드레일(111)의 장공(111b)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이 이동하는 과정에 상판(131e)을 기준으로 픽스본체(131)는 상방이 볼록한 형태로 만곡된다.
이에 따라, 제1경사판(131b)과 제2경사판(131d)의 상단부 사이는 서로 벌어져 확장되고, 제2경사판(131d)과 제3경사판(131f)의 하단부 사이는 서로 오므려지면서 축소되는 형태를 띠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확장된 사이 공간을 통해 전선(L)을 손쉽게 인출하거나 수용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에 전선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를 참조하면, 먼저 전선(L)을 트레이(110)에 포설하여 렁(112)의 상면에 얹혀준다.
상기와 같이 렁(112)의 상면에 전선(L)이 얹혀지면, 전선(L) 일부를 전선픽스유닛(130)을 구성하는 픽스본체(131)에 삽입시켜 픽스본체(131)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전선(L)들도 고정하면 된다.
상기 전선(L)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걸이바(120)를 걸이바장착구(111a)에 관통되게 끼워주며,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를 도 4b와 같이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전선(L)이 인입되어 고정되는 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해 보면, 픽스본체(131)의 입구 즉, 제1경사판(131b)과 제2경사판(131d)의 상단부 사이를 통해 전선(L)을 인입하게 되면, 전선(L)의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휘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입구 즉, 제1경사판(131b)과 제2경사판(131d)의 상단부 사이가 서로 오므려지면서 좁아지게 되므로 전선(L)은 자연스럽게 가압고정되고, 제2경사판(131d)과 제3경사판(131f)의 하단부 사이는 서로 벌어지면서 확장되는 형태를 띠게 되므로 전체적으로 하향만곡(곡면)된 형상을 이루게 된다.
한편,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L)이 설치된 상태에서 전선(L)을 인출하고자 할 경우, 픽스본체(131)의 가압력으로 인해 전선(L) 인출이 쉽지 않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로부터 전선을 인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후크(133)를 걸이바(120)에 강제로 걸어 주게 되면, 후크(133)로 인해 줄(132)이 당겨지게 되고, 줄(132)이 당겨 짐에 따라 픽스본체(132)의 상판(131e)이 잡아 당겨지게 되며, 이로 인해 픽스본체(131)의 양단부가 사이드레일(111)의 장공(111b)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와 같이 이동하는 과정에 상판(131e)을 기준으로 픽스본체(131)는 상방이 볼록한 형태로 만곡된다.
이에 따라, 제1경사판(131b)과 제2경사판(131d)의 상단부 사이는 서로 벌어져 확장되고, 제2경사판(131d)과 제3경사판(131f)의 하단부 사이는 서로 오므려지면서 축소되는 형태를 띠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확장된 사이 공간을 통해 전선(L)을 손쉽게 인출하거나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트레이 111: 사이드레일 111a: 걸이바장착구
111b: 장공 112: 렁 120: 걸이바
130: 전선픽스유닛 131: 픽스본체 131a: 제1장착판
131b: 제1경사판 131c: 제1하판 131d: 제2경사판
131e: 상판 131f: 제3경사판 131g: 제2하판
131h: 제4경사판 131i: 제2장착판

Claims (1)

  1. 걸이바장착구(111a) 및 장공(111b)을 갖추고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며 이중 어느 하나는 공동주택의 벽면에 고정되는 사이드레일(111)과, 양단이 사이드레일(111)의 내면에 맞대어지게 사이드레일(111)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매개로 사이드레일(111)에 고정되는 렁(112)으로 구성된 트레이(110);
    걸이바장착구(111a)에 끼워져 지지되는 걸이바(120);
    사이드레일(111) 사이에 배치되어 일단부가 일측 사이드레일(111)의 장공(111b)에 볼트(B)와 너트(N)를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장착판(131a), 제1장착판(131a)의 말단으로부터 사이드레일(111)의 외면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경사판(131b), 제1경사판(131b)의 말단으로부터 타측 사이드레일(111)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1하판(131c), 제1하판(131c)의 말단으로부터 일측 사이드레일(111)의 내면을 향해 상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경사판(131d), 제2경사판(131d)의 말단으로부터 타측 사이드레일(111)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상판(131e), 상판(131e)의 말단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연장되어 제1경사판(131b)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3경사판(131f), 제3경사판(131f)의 말단으로부터 타측 사이드레일(111)을 향해 수평연장되는 제2하판(131g), 제2하판(131g)의 말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2경사판(131d)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4경사판(131h), 제4경사판(131h)의 말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타측 사이드레일(111)의 장공(111b)에 볼트(B)와 너트(N)를 매개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장착판(131i)으로 이루어진 픽스본체(131)와,
    상판(131e)에 연결되는 줄(132)과,
    줄(132)에 연결되며 걸이바(12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줄(132)을 매개로 픽스본체(131)를 잡아당기는 후크(133)로 구성된 전선픽스유닛(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
KR1020220074948A 2022-06-20 2022-06-20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 KR102513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948A KR102513471B1 (ko) 2022-06-20 2022-06-20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948A KR102513471B1 (ko) 2022-06-20 2022-06-20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471B1 true KR102513471B1 (ko) 2023-03-24

Family

ID=85872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948A KR102513471B1 (ko) 2022-06-20 2022-06-20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34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844B1 (ko) 2017-09-26 2018-04-16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안정선이 향상된 건축물 전선 고정기구
KR102067816B1 (ko) * 2019-08-07 2020-01-17 유성전기감리설계(주) 전력구내 설치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KR102183974B1 (ko) * 2020-02-28 2020-11-27 변석훈 가공배전라인 지지고정용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844B1 (ko) 2017-09-26 2018-04-16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안정선이 향상된 건축물 전선 고정기구
KR102067816B1 (ko) * 2019-08-07 2020-01-17 유성전기감리설계(주) 전력구내 설치가 용이한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KR102183974B1 (ko) * 2020-02-28 2020-11-27 변석훈 가공배전라인 지지고정용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476B1 (ko) 건축물용 배전선 보호기구
US7837156B1 (en) Cable support hook
US6517052B1 (en) Installation tool system for pole-mounted communication cables
KR101576230B1 (ko) 천장마감용 경량 철골 조립체
US10233640B1 (en) Drop ceiling attachment assembly
KR102033485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배관 벽체 고정장치
KR20090003854U (ko) 천장 구조
KR101465504B1 (ko) 건축물의 외벽 시스템
KR102513471B1 (ko) 공동주택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고정기구
KR101020997B1 (ko) 스프링 고정형 천정패널 구조
KR100639102B1 (ko) 공동주택 전기설비용 결속행거
KR102113328B1 (ko) 클립바 설치용 브라켓
KR102208662B1 (ko) 천장 행거 및 이를 갖는 경량철골 천장틀
KR100717424B1 (ko) 건축천장 전기설비 배관 높이조절장치
KR102247853B1 (ko) M바(M-bar) 고정용 금속제 가요전선관 커넥터를 겸용한 기구설치 보강대
KR102058682B1 (ko) 건축물 전기 케이블 트레이
US20220412484A1 (en) Cable or pipe supports
KR102513473B1 (ko) 다기능 탑재 공동주택용 배전선 트레이
KR100859543B1 (ko) 건축물 바닥 전기 케이블 보호관 구조
KR100715227B1 (ko) 건축물용 조가선 접속구조
KR102422314B1 (ko) 건축 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KR102488206B1 (ko) 건축용 전력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620271B1 (ko) 공동주택에 설치용 전선이탈방지형 전선고정기구
KR102270664B1 (ko)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 박스
KR102587319B1 (ko) 코일 인장형 케이블 행거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의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