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4047A -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4047A
KR20180004047A KR1020170176996A KR20170176996A KR20180004047A KR 20180004047 A KR20180004047 A KR 20180004047A KR 1020170176996 A KR1020170176996 A KR 1020170176996A KR 20170176996 A KR20170176996 A KR 20170176996A KR 20180004047 A KR20180004047 A KR 20180004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fixing means
building
wal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지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6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4047A/ko
Publication of KR20180004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4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04G23/0222Replacing or adding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건물은 물론, 신축 건물에 대해서도 건물의 외벽 마감재로 시공된 적벽돌과 건물의 옹벽이 서로 강한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반침하와 지진 등으로 인한 적벽돌의 붕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적된 적별돌(20)의 줄 눈(30)을 가로 방향으로 일정 구간 절개를 하여 절개 홈(40)을 형성시키는 절개홈 형성단계(S100)와, 상기 절개 홈(40)이 형성된 구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수단(50)을 옹벽에 천공 후 매립 고정 시키는 고정수단 매립단계(S200)와, 상기 고정수단(50) 매립 후 와이어(60)를 이용하여 고정수단(50)을 서로 연결하면서 하나의 연결 라인이 될 수 있는 보강라인(80)를 형성시키는 보강라인형성단계(S300)와, 상기 보강라인(80) 형성 후 절개 홈(40)의 내부에 방수액이 포함된 마감재(70)를 충진시켜 방수와 동시에 외관을 보강 전의 상태로 시공하는 마감처리단계(S400)로 이루어지며, 보강라인(80)에 의해 적벽돌(20)과 옹벽(10)이 서로 연결고리 역할을 하면서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A method of reinforcing the adhesion strength of red bricks applied to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기존 건물은 물론, 신축 건물에 대해서도 건물의 외벽 마감재로 시공된 적벽돌과 건물의 옹벽이 서로 강한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반침하와 지진 등으로 인한 적벽돌의 붕괴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아닌 벽돌이나 이와 유사한 블록(타일) 등에 의한 외부 벽체의 시공은 기초적으로 구축된 콘크리트 옹벽(10)과 옹벽(10)사이에 콘크리트 블록을 쌓고 그 외측에 단열재를 시공하고 다시 그 단열재의 외측에 미관상 치장을 목적으로 다수의 벽돌이나 블록 등을 바닥에서부터 상측 방향으로 조적하여 외장 마감을 한다.
상기 벽돌은 통상 적벽돌을 많이 사용하여 블록이라 함은 대리석 타일 또는 일반 타일을 말하는 것으로 형상과 무늬에서만 차이가 날 뿐 모두 건물의 외장 마감재로 사용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건물의 마감재로 사용되는 적벽돌의 경우 지진이나 자연침하 등의 외부 압력에 의해 옹벽에 조적 된 적벽돌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거나 혹은 붕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잦은 지진에 의해 적벽돌 등의 외장재가 완전 붕괴 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는바, 이는 적벽돌 등의 외장재와 옹벽간 부착력이 약하다는 것에 기인한다.
일반적으로 옹벽의 외장재로 사용되는 적벽돌을 조적 할 때는 접착제 또는 시멘트 풀을 이용하여 조적을 하며 이러한 시멘트 풀이 줄 눈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양생 기간이 이미 지난 시공된 옹벽과 적벽돌의 조적을 위해 도포하는 시멘트 풀은 서로 융화가 되지 못하고 분리가 되기 때문에 옹벽과의 부착은 최초부터 강한 상태가 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으며, 적벽돌은 시멘트 풀에 의해서만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지반이 침하하거나 건물 주위의 굴착 공사 또는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적벽돌이 옹벽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고, 심한 경우에는 벽면 전체가 붕괴되어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여 이미 착공된 건물은 물론 시공 중에 있는 건물에 대해서도 외장재로 사용되는 적벽돌을 건물의 옹벽과 강한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반침하와 굴착공사 또는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조적된 적벽돌이 분리되거나 붕괴 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은,
조적된 적별돌(20)의 줄 눈(30)을 가로 방향으로 일정 구간 절개를 하여 절개 홈(40)을 형성시키는 절개홈 형성단계(S100)와, 상기 절개 홈(40)이 형성된 구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수단(50)을 옹벽에 천공 후 매립 고정 시키는 고정수단 매립단계(S200)와, 상기 고정수단(50) 매립 후 와이어(60)를 이용하여 고정수단(50)을 서로 연결하면서 하나의 연결 라인이 될 수 있는 보강라인(80)를 형성시키는 보강라인 형성단계(S300)와, 상기 보강라인(80) 형성 후 절개 홈(40)의 내부에 방수액이 포함된 마감재(70)를 충진시켜 방수와 동시에 외관을 보강 전의 상태로 시공하는 마감처리단계(S400)로 이루어지며, 보강라인(80)에 의해 적벽돌(20)과 옹벽(10)이 서로 연결고리 역할을 하면서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라인(80)은 옹벽의 외측에 적어도 1개소 이상에서 설치 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앵커 볼트, 고정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은 이미 착공된 건물은 물론 시공 중에 있는 건물에 대해서도 외장재로 사용되는 적벽돌을 건물의 옹벽과 강한 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지반침하와 굴착공사 또는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조적된 적벽돌이 옹벽과 분리되거나 붕괴 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적벽돌이 조적된 건물의 외벽의 일부분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 중 줄 눈을 절개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강방법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본원 발명의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옹벽(10) 외측에 조적된 적벽돌(20)의 줄 눈(30) 위치에 가로 방향으로 일정구간 절개 홈(40)을 형성시킨다(S100).
상기 절개 홈(40)은 공지의 콘크리트 절단장치를 이용하거나 커트 날을 그라인더에 장착하여 절개 홈(4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절개 홈(40)을 통해 고정수단(50)이 옹벽에 박힌 상태에서 매립이 되는 것이며, 아울러 고정수단(50)을 연결 매듭 시킨 와이어(60) 역시 절개 홈(40)의 내부에 매립된다.
상기와 같이 절개 홈(40)이 형성되면, 절개 홈(40)이 형성된 구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수단(50)을 옹벽에 천공 후 매립 고정 시킨다(S200).
이때 상기 고정수단(50)은 공지의 앵커 볼트를 사용할 수도 있고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금속재질의 고정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며, 벽체의 길이와 넓이에 따라 절개 홈(40)을 여러개 형성시킬 수 있고, 절개 홈(40)의 내부에 매립되는 고정수단(50) 역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매립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수단(50)이 매립 고정되면,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60)를 이용하여 고정수단(50)을 서로 연결하면서 하나의 연결 라인이 되도록 한다(S300).
상기와 같이 와이어(60)를 이용하여 고정수단(50)를 연결하는 작업을 상, 하 방향으로 일정 폭을 두고 설치 시공하게 되면 각각 가로 방향의 연결라인이 형성되는바, 이라인이 곧 보강라인(80)이 되는 것이며, 벽면 전체에 여러 개가 설치 시공됨으로써 보강라인(80)에 의해 적벽돌(20)과 옹벽(10)이 서로 연결고리 역할을 하면서 단단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보강라인(80)의 설치 시공이 종료되면, 절개 홈(40)의 내부에 방수 기능을 수반하면서 보강라인(80)을 엄폐시킬 수 있도록 방수액이 포함된 마감재(70)를 충진하여 마감처리를 한다.
상기와 같이 마감처리를 하게 되면, 시공전과 같은 외형을 제공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지저분하지 않고 깔끔한 외관이 보장됨은 물론, 적벽돌(20)과 옹벽(10) 간 부착력이 강화되어 건물 주변의 굴착공사나 지반침하, 지진 등으로부터 적벽돌이 옹벽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붕괴됨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옹벽 20:적벽돌
30:줄 눈 40:절개 홈
50:고정수단 60:와이어
70:마감재 80:보강라인
S100:절개 홈 형성단계
S200:고정수단 매립단계
S300:보강라인 형성단계
S400:마감처리단계

Claims (3)

  1. 조적된 적별돌(20)의 줄 눈(30)을 가로 방향으로 일정 구간 절개를 하여 절개 홈(40)을 형성시키는 절개홈 형성단계(S100);와,
    상기 절개 홈(40)이 형성된 구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수단(50)을 옹벽에 천공 후 매립 고정 시키는 고정수단 매립단계(S200);와,
    상기 고정수단(50) 매립 후 와이어(60)를 이용하여 고정수단(50)을 서로 연결하면서 하나의 연결 라인이 될 수 있는 보강라인(80)를 형성시키는 보강라인 형성단계(S300);와,
    상기 보강라인(80) 형성 후 절개 홈(40)의 내부에 방수액이 포함된 마감재(70)를 충진시켜 방수와 동시에 외관을 보강 전의 상태로 시공하는 마감처리단계(S400);
    로 이루어지며, 보강라인(80)에 의해 적벽돌(20)과 옹벽(10)이 서로 연결고리 역할을 하면서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라인(80)은 옹벽의 외측에 적어도 1개소 이상에서 설치 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앵커 볼트, 고정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
KR1020170176996A 2017-12-21 2017-12-21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 KR20180004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996A KR20180004047A (ko) 2017-12-21 2017-12-21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996A KR20180004047A (ko) 2017-12-21 2017-12-21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984A Division KR20180075447A (ko) 2018-06-14 2018-06-14 건물의 외벽체 또는 바닥면 보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4047A true KR20180004047A (ko) 2018-01-10

Family

ID=6099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996A KR20180004047A (ko) 2017-12-21 2017-12-21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40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5897A (zh) * 2020-08-19 2020-11-17 北京中房国建地下防水工程顾问有限公司 一种墙体预埋件防水构造及其施工方法
KR102269025B1 (ko) * 2020-12-08 2021-06-25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조적벽체 보수를 위한 장치 및 공법
CN113605562A (zh) * 2021-09-13 2021-11-05 西安五和土木工程新材料有限公司 一种加固填充墙体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759B1 (ko) * 2005-01-21 2005-12-23 이광원 앵커를 이용한 외장벽체 보강시 사용되는 소켓과, 이를이용한 외벽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
KR100654781B1 (ko) * 2006-02-20 2006-12-08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0787596B1 (ko) * 2007-08-21 2007-12-21 안병진 긴결철물 및 에폭시를 이용한 조적벽 보강공법
KR20090061437A (ko) * 2007-12-11 2009-06-16 양재상 조적벽체 보강공법
KR101681139B1 (ko) * 2016-03-11 2016-11-30 진유동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8759B1 (ko) * 2005-01-21 2005-12-23 이광원 앵커를 이용한 외장벽체 보강시 사용되는 소켓과, 이를이용한 외벽 보강방법 및 보강구조
KR100654781B1 (ko) * 2006-02-20 2006-12-08 이완섭 조적벽체 보강 공법
KR100787596B1 (ko) * 2007-08-21 2007-12-21 안병진 긴결철물 및 에폭시를 이용한 조적벽 보강공법
KR20090061437A (ko) * 2007-12-11 2009-06-16 양재상 조적벽체 보강공법
KR101681139B1 (ko) * 2016-03-11 2016-11-30 진유동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또는 보수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5897A (zh) * 2020-08-19 2020-11-17 北京中房国建地下防水工程顾问有限公司 一种墙体预埋件防水构造及其施工方法
CN111945897B (zh) * 2020-08-19 2022-03-29 北京中房国建地下防水工程顾问有限公司 一种墙体预埋件防水构造及其施工方法
KR102269025B1 (ko) * 2020-12-08 2021-06-25 (주)정우구조엔지니어링 조적벽체 보수를 위한 장치 및 공법
CN113605562A (zh) * 2021-09-13 2021-11-05 西安五和土木工程新材料有限公司 一种加固填充墙体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4047A (ko) 건물의 외벽에 시공된 적벽돌의 부착강도 보강방법
KR20100115019A (ko) 지하연속벽 시공용 패널 조인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101122659B1 (ko) 건축 리모델링을 위한 프리케스트 콘크리트 패널과 패널의 이음부 접합 시공방법 및 구조
CN103306497B (zh) 既有砌体住宅装配式结构抗震加固施工工法
JP2008127897A (ja) 型枠保持具及びこの型枠保持具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並びにこの構築方法により構築され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
CN106088447A (zh) 一种外墙悬挑脚手架型钢洞眼防护砖装置及施工方法
CN106436896A (zh) 适用于装配式建筑的墙横向全干式连接结构及其组装方法
KR101513066B1 (ko) 조적벽체의 보강공법
KR101054450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180075447A (ko) 건물의 외벽체 또는 바닥면 보수방법
JP2006194062A (ja) 束石と束柱の連結具
KR2009008366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JPH09324431A (ja) 地下室の構築方法
CN208396083U (zh) 一种新型预制外挂墙板系统
JP4795810B2 (ja) コンクリート床形成方法
KR10041930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전력맨홀의 체결 구조
KR101032408B1 (ko) 선 보강칼럼 및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절토용 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KR102240949B1 (ko) 벽체 외관 개선을 위한 장착구조
KR101376407B1 (ko) 창문 일체형 pc 패널의 구조
KR100650017B1 (ko) 에스아이비공법 건축물 시공방법
JP6022729B1 (ja) 切梁受け具及びそれを用いた橋脚補強工法
KR100371580B1 (ko) 표면처리한 경량기포블록과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 방법
JPS6335923A (ja) 地下室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H09242091A (ja) 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KR20150096059A (ko) 건축물 기초공사용 조립식 pc블록 및 그를 이용한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