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500B1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6500B1 KR101426500B1 KR1020140060192A KR20140060192A KR101426500B1 KR 101426500 B1 KR101426500 B1 KR 101426500B1 KR 1020140060192 A KR1020140060192 A KR 1020140060192A KR 20140060192 A KR20140060192 A KR 20140060192A KR 101426500 B1 KR101426500 B1 KR 1014265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coupling
- body portion
- anchor
-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20 ply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30 Fibre-reinforced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40373 Paraformaldehy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278 bent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0 bento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SVPXDRXYRYOSEX-UHFFFAOYSA-N bentoquatam Chemical compound O.O=[Si]=O.O=[Al]O[Al]=O SVPXDRXYRYOS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1 fibre-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0 reinforc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0 fin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0 scra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콘크리트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앵커가 결합되되 하나의 장치로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하여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판재에 고정되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중공체결홀의 내주를 따라 제1나사산이 구비되는 지지몸체부; 상기 중공체결홀을 관통하여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외주에 상기 제1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구비되며 내부에 앵커결합홈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레벨링지지부를 포함하는 승강몸체부; 및 상기 지지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도록 결합관통홀이 내부에 형성되는 스페이서몸체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앵커가 결합되되 하나의 장치로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하여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은 건축물의 형태에 맞는 거푸집을 제작하고 건축물의 골격을 이루는 지주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콘크리트가 건조 및 경화되면 거푸집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를 통해 형성된 건축물의 천장에는 각종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앵커가 결합되며, 상기 앵커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된 인서트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인서트를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하는 방법은 콘크리트 양생 후에 구멍을 천공하여 인서트를 설치하는 후설치(post-install) 방법과, 앵커가 설치될 위치에 미리 인서트를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선설치(cast-in) 방법이 있으며, 선설치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인서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인서트(1)는 하면에 앵커홈이 형성되며, 인서트(1)의 하단을 거푸집의 바닥면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c)를 주입 및 양생하고, 거푸집을 제거하여 노출된 앵커홈에 앵커(a)를 결합하여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였다.
이때, 상기 구조물은 덕트, 천장판 골격, 전기배선 등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a)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고, 설치된 상기 천장판 골격을 따라 천장판을 결합하면 천장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서트(1)는 앵커(a)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은 높았지만, 콘크리트(c)의 표면부에 앵커(a)가 직접 접촉 및 지지되므로, 앵커(a)에 횡방향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균열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발생된 균일은 내부로 전파되는 경우가 많아 인서트(1)에 대한 결합력이 약화되었으며, 콘크리트(c)의 지지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거푸집과 인서트(1) 하면 사이에 이물질로 인해 틈이 형성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앵커홈의 내부로 콘크리트(c)가 쉽게 유입될 뿐만 아니라, 유입된 콘크리트(c)를 제거하기 위해 앵커홈의 나사산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앵커(a) 설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콘크리트로 측부로 돌출되는 이음 철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의 측벽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이음 철근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했으므로 구멍으로 인해 거푸집이 훼손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콘크리트(c)의 지지력 증가를 위해 콘크리트(c)의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경우에는 거푸집과 일정한 높이로 이격된 철근 배근을 위해 별도의 철근 스페이서가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앵커(a) 설치를 위한 인서트(1), 철근 배근을 위한 철근 스페이서를 각각 구비하고 설치하기 위해서 불필요한 자재비용 및 설치기간이 소모되어 시공 비용 및 기간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c) 내부에 불필요한 장치들이 삽입되어 콘크리트(c)의 지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건물의 용도나 크기에 따라 콘크리트 슬래브의 두께가 일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슬래브의 두께가 변하여 철근의 배근 간격이 바뀌게 되면 배근 간격에 맞는 별도의 스페이서를 준비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시공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콘크리트(c) 타설시에 타설면의 수평을 확인하여 타설된 두께를 확인하기 위해 높이가 표시된 막대 등의 레벨러를 사용하였다. 이때, 바닥면 상태나 타설 높이에 맞는 여러가지 치수로 별도의 제품을 생산하거나 긴 치수의 제품을 당해 시공의 치수에 맞게 제단하여 설치해야 했으며, 긴 치수의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타설 후 돌출된 부분을 제거해야 하는 등 작업상의 불편함을 발생시켰다.
이처럼, 콘크리트(c) 타설시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 인서트(1), 철근 스페이서, 레벨러 등을 별도로 구비하고 설치하기 위해 설계 및 시공이 복잡화됨과 아울러 시공 비용 및 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효율적인 시공이 이루어지기 힘들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앵커가 결합되되 하나의 장치로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하여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판재에 고정되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중공체결홀의 내주를 따라 제1나사산이 구비되는 지지몸체부; 상기 중공체결홀을 관통하여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외주에 상기 제1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구비되며 내부에 앵커결합홈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레벨링지지부를 포함하는 승강몸체부; 및 상기 지지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도록 결합관통홀이 내부에 형성되는 스페이서몸체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몸체부는 상기 체결부를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내주를 따라 상기 제2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3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몸체부와, 상기 결합몸체부의 상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구비되는 안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착부의 외주부에는 철근결속 와이어가 삽입 및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와이어삽입홀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부의 상단 및 상기 스페이서몸체부 사이에는 하측 이동시 상기 지지몸체부의 상단을 가압하여 상기 승강몸체부가 고정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가압체결홀의 내주를 따라 상기 제2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4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토퍼몸체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몸체부에는 상기 결합관통홀의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관통부가 형성되되, 상기 관통부 및 상기 결합관통홀의 연결부분에는 상기 체결부를 탄발고정하는 고정돌기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승강몸체부는 판재에 고정된 지지몸체부의 내부에서 승강되어 레벨링지지부를 콘크리트 타설 기준면으로 제공하되 체결부를 따라 승강되는 스페이서몸체부에 철근이 고정됨에 따라 다양한 콘크리트 높이/철근 배근 높이에서 철근 스페이서 및 레벨러의 기능을 호환 제공하여 한종의 장치로 시공 일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공 설계 및 준비 단순화로 제품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스페이서몸체부는 체결부를 따라 승강되며 기설정된 철근 배근 높이로 조절될 수 있어 정확한 높이로 철근을 정렬할 수 있으며, 안착부를 통해 철근을 일시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타작업자의 도움없이도 철근 결선 및 용접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어 시공의 정확성 및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스토퍼몸체부는 승강몸체부의 높이 조절 후 지지몸체부의 상단을 하방 가압하며 승강몸체부를 상측으로 밀어 가압함에 따라 승강몸체부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유동 압력에 의한 승강몸체부의 회전 유동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타설 기준을 제공할 수 있어 시공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서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가 콘크리트에 내설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콘크리트에 내설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콘크리트에 내설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가 콘크리트에 내설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사용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의 스페이서몸체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가 콘크리트에 내설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콘크리트에 내설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콘크리트에 내설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가 콘크리트에 내설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사용모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의 스페이서몸체부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가 콘크리트에 내설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10)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앵커의 배치지점에 설치되어, 타설 후 각종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앵커가 삽입 및 결합되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앵커 설치 외에도 철근 배근을 위한 철근 스페이서나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측정하는 레벨러 등을 대체하여 호환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규격의 콘크리트 시공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시공 설계 및 준비가 단순화되어 시공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10)는 지지몸체부(50), 승강몸체부(20), 스페이서몸체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몸체부(50)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판재(p)에 고정되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중공체결홀(51)의 내주를 따라 제1나사산(51a)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판재(p)는 기둥, 바닥, 벽 등 콘크리트를 부어 형성할 모양의 틀을 형성하는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판재(p)는 일반적인 건축시공 시에 콘크리트 양생 후 분리 및 철거를 통해 재사용되는 거푸집에서 콘크리트 주입면을 따라 이형제가 도포된 합판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판재은 합판뿐만 아니라 합성수지나 알루미늄 등 다양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후 분리되는 거푸집과 달리 콘크리트 타설 후 분리되지 않고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콘크리트의 구조력을 향상시키는 구조용 데크플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부(50)는 콘크리트(c)의 내측에 매설되도록 상기 판재(p)의 콘크리트 타설면(t)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타설면은 수평으로 배치된 판재의 상면이나 수직으로 배치된 판재의 내측면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부(50)는 앵커가 결합되는 승강몸체부(20)를 판재(p)에 고정하여 지지하는 부분으로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지만, 성형가공의 용이성 및 소재비용 절감을 위해 폴리아세탈(Polyoxymethylene, POM) 등의 강화 합성수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몸체부(50)는 상기 판재(p)의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콘크리트(c)의 양생 후 판재를 철거하게 되면 경화된 콘크리트(c)의 하면으로 상기 지지몸체부(50)의 하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부(50)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중공체결홀(51)이 형성되며, 상기 경화된 콘크리트(c)의 하면으로 상기 중공체결홀(51)이 노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몸체부(50)는 하나의 관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확장되는 길이 범위의 증가를 위해 다단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지지몸체부(50)는 내부몸체와 외부몸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몸체와 외부몸체는 상호 나사 결합되고, 내부몸체의 내부를 따라 중공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몸체부(20)는 체결부(20a)와 레벨링지지부(2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20a)는 상기 중공체결홀(51)을 관통하여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외주에 상기 제1나사산(51a)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산(21)이 구비되며, 내부에 앵커결합홈(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20a)는 상기 중공체결홀(51)의 상부 개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중공체결홀(5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중공체결홀(51)의 상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결합홈(22)은 상기 체결부(20a)의 하면을 따라 형성되고, 콘크리트(c) 양생 후 판재(p)가 분리되면, 개방된 상기 중공체결홀(51)의 하부 개구를 통해 삽입된 앵커가 상기 앵커결합홈(2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앵커결합홈(22)의 내주에는 앵커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앵커(a)는 일반적인 천장시공에 사용되는 표준치수의 직경으로 구비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앵커(a) 외주의 나사산을 통해 앵커(a) 및 상기 앵커결합홈(22)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a)는 상기 앵커결합홈(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c)의 하부로 노출되어, 노출된 단부에 천장에 시공되는 각종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결합홈(22)의 하부에는 상기 앵커(a)를 가이드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확관되는 앵커유도부(2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앵커유도부(23)는 상기 앵커결합홈(22)의 내주와 상기 체결부(20a)의 외주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앵커결합홈(22)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더라도 상기 앵커유도부(23)를 따라 앵커(a)를 밀어 넣으면, 앵커(a)의 단부가 상기 앵커결합홈(22)의 내부로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으므로 손쉬운 결합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레벨링지지부(20b)는 상기 체결부(20a)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레벨링지지부(20b)의 상면(24)은 상기 콘크리트(c)의 타설 높이를 측정하도록 평탄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빌링지지부(20b)는 상기 승강몸체부(20)의 용이한 회전을 위해 외부 회전력을 정확히 전달할 수 있도록 다각 단면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벨링지지부(20b)는 콘크리트(c)의 내부에 삽입되되, 돌출된 부분의 하면이 콘크리트(c)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c)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된 상기 승강몸체부(20)가 앵커(a)에 설치된 구조물의 하중으로 인해 하측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경화된 콘크리트(c)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몸체부(50)는 콘크리트(c)의 측면을 지지하는 판재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콘크리트 양생 후 판재가 분리되면, 콘크리트의 측부를 따라 중공체결홀이 노출되고, 상기 중공체결홀을 통해 이음 철근이 삽입되어 상기 앵커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이음 철근이란 콘크리트로 형성된 천장이나 벽체의 측면에 돌출되어 타 철근과 연결되거나 기타 구조물이 결합되는 철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판재를 타공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이음 철근이 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몸체부(20)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어 직접 앵커를 지지하는 부분으로 기계적 강도 및 피로파괴에 대한 저항성을 가진 폴리아세탈 등의 강화 합성수지로 구비될 수 있으나,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이나 앵커에 대한 지지력 등으로 고려하여 강철(steel)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몸체부(30)는 상기 지지몸체부(50)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체결부(20a)가 관통되도록 결합관통홀(31)이 내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관통홀(31)은 상기 체결부(20a)가 관통되되, 상기 지지몸체부(50)의 상단 테두리에 걸림되는 직경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부(20a)는 상기 스페이서몸체부(30)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몸체부(50)에 결합되며, 상기 스페이서몸체부(30)는 상기 체결부(20a)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되, 상기 지지몸체부(50)의 상단에 걸림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몸체부(30)의 상면에 철근(s)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몸체부(30)는 강철 등의 금속 소재나 폴리아세탈 등의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철근(s)은 일반적인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철근결속 와이어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몸체부(30)가 금속 소재로 구비된 경우에는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승강몸체부(20)는 판재에 고정된 지지몸체부(50)와 나사 결합되어 승강됨에 따라 상기 레벨링지지부(20b)의 상면을 기설계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로 배치시켜 콘크리트 타설 기준면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스몸체부(30)에 철근을 고정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로 앵커 인서트, 레벨러, 철근 스페이서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몸체부(50)의 하단부 외주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판재(p)에 결합되는 플랜지부(5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합수단은 상기 판재(p) 및 상기 지지몸체부(50)의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재(p)가 합판으로 구비된 경우에는 고정못(n)을 결합수단으로 하여 상기 플랜지부(52)가 상기 판재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52)에는 고정못이 삽입되도록 네일홀이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렌지부(12)의 내부에 고정못(n)이 인서트몰드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판재(p)가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reinforced plastic, FRP) 등의 소재로 구비된 경우에 상기 결합수단은 접착제 혹은 양면 테이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52)의 하면에 접착제 혹은 양면 테이프를 도포하여 상기 판재(p)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재(p) 및 상기 지지몸체부(50)가 금속재질로 구비된 경우에는 용접을 통해 상기 플랜지부(52)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승강몸체부(20)는 상기 지지몸체부(50)가 판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몸체부(50)의 중공체결홀(51)에 결합되므로 상기 판재(p)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판재(p)와 지지몸체부(50)의 하면 사이에 이물질로 인한 틈 발생으로 상기 중공체결홀(51)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더라도 유입된 콘크리트가 앵커결합홈(22) 내부로까지 유동되지 않으므로 앵커결합홈(22)의 나사구조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중공체결홀(51) 내주의 나사산에 붙어 경화된 콘크리트를 깨거나 긁어내는 등의 제거 작업을 힘들게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앵커결합홈(22)이 노출될 수 있는 구멍만 형성하면 앵커(a)를 상기 앵커결합홈(22)으로 손쉽게 삽입 및 결합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지지몸체부(50)는 상기 승강몸체부(20)와 별도로 구비되므로 앵커결합홈(22) 노출을 위한 중공체결홀(51)의 콘크리트 제거시 외부에서 가해진 압력이나 충격 등의 외력이 상기 지지몸체부(50)에 흡수되고 상기 승강몸체부(20)와 나사 결합된 부분에서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에 의하 상기 앵커결합홈(22) 내부의 나사구조 손상이 방지될 수 있어 앵커(a)의 결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20a)의 외주에 형성된 제2나사산(21)의 상단부에는 상기 지지몸체부(50)의 상단 테두리에 걸림되어 나사결합을 구속하는 스토퍼부(2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부(25)는 상기 체결부(20a)가 중공체결홀(51)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승강몸체부(20)의 앵커결합홈(22) 및 상기 판재(p) 사이의 간격을 콘크리트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간격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몸체부(50)는 사각 내지 팔각 기둥 형상의 다각 기둥 형상이나 원형 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내부에 중공체결홀(51)이 형성된 상태로 콘크리트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몸체부(20)는 상기 지지몸체부(50)에 의해 상기 판재(p)에 결합되되, 콘크리트 양생 후에는 승강몸체부(20)의 외부가 직접 콘크리트에 삽입 및 결속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20a)의 외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레벨링지지부(20b)가 콘크리트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체결홀(51)에 나사 결합되도록 체결부(20a)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제2나사산(21)을 통해 콘크리트(c)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고 요철 형상을 통한 맞물림 결합으로 콘크리트(c)와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몸체부(20)는 균열에 취약한 콘크리트(c)의 표면부가 아닌, 주변부의 하중을 통해 응축되고 주변부와 견고하게 결합을 이루는 콘크리트 내부에 지지되므로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개선됨에 함께 횡방향 압력에 의한 균열 및 균열의 유도 전파가 예방될 수 있다.
더욱이, 앵커(a)가 삽입된 체결부(20a)의 외주가 지지몸체부(50)에 의해 감싸지므로 상기 앵커(a)에 횡방향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지지몸체부(50)가 압력을 완화하여 콘크리트의 균열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20a)에 결합된 앵커(a)와 상기 중공체결홀(51)의 내주 사이에는 콘크리트와 구획된 여유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앵커결합홈(22)은 상기 중공체결홀(51)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중공체결홀(51)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으로 구비되어 다단 배치됨에 따라 상기 앵커(a)의 외주에 여유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여유공간 내에서 앵커(a)가 좌우로 유동되며 횡방향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유공간이 상기 중공체결홀(51)의 내측에 형성되므로 앵커(a)의 유동을 확보하기 위한 앵커의 돌출길이가 최소화되므로 공간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체결홀(51)과 상기 앵커 사이의 여유공간이 상기 콘크리트와 구획됨에 따라 앵커 결합 후 콘크리트의 화학적인 손상 없이 중공체결홀(51)의 내부에 방수처리, 밀폐처리, 흡음처리 등 다양한 마감처리가 가능하여 시공의 품질성이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습윤한 환경에서 상기 앵커와 상기 앵커결합홈(22)의 결합부를 밀폐/방수하거나 실내 환경 개선을 위해 소음/누수를 예방하는 마감처리시 상기 콘크리트(c)의 결합구조를 약화시킬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성분이 상기 지지몸체부(50)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에 닿지 않도록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습윤한 환경에서 부식 방지를 위해 합성 수지로 구비되어 쉽게 파손되는 인서트 혹은 고가인 스테인레스로 구비된 인서트를 사용하지 않고, 저렴한 가격의 스틸(steel) 계열 소재로 승강몸체부(20)를 제조하여 높은 지지력을 제공하되 다양한 시공 환경에서 호환 적용하여 시공의 경제성과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와 직접 결합되어 상기 앵커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상기 승강몸체부(20)는 금속 재질로 구비되어 견고한 고정력을 제공하되, 상기 승강몸체부(20)를 상기 거푸집에 고정하는 지지몸체부(50)는 강화 합성수지로 구비되어 소재의 분화를 통해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단단한 구조력을 제공하면서도 생산비용을 절감하여 제품의 신뢰성과 생산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몸체부(30)는 상기 체결부(20a)를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내주를 따라 상기 제2나사산(21)에 나사 결합되는 제3나사산(31a)이 형성된 결합몸체부(30b)와, 상기 결합몸체부(30b)의 상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안착부(30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결합몸체부(30b) 및 상기 안착부(30a)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으나, 성형의 편의성을 위해 별도로 구비된 것을 예로써 도시하였으며, 상기 결합관통홀(31)은 상기 결합몸체부(30b)의 내부에 형성된 제1결합관통홀과 상기 안착부(30a)의 내부에 형성된 제2결합관통홀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몸체부(30b)는 용이한 회전을 위해 다각 단면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육각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몸체부(30b)는 상기 체결부(20a)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회전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레벨링지지부(20b)가 기설계된 콘크리트 타설면의 높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몸체부(20)가 상하 이동되면 상기 결합몸체부(30b)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에 대응되는 철근 배치 높이로 승강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높이로 철근을 정렬하여 지지할 수 있어 시공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30a)는 상기 결합몸체부(30b)의 상단에 상기 결합몸체부(30b)의 상단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철근(s)이 안착될 수 있는 지지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30a)에 철근을 안착시켜 고정하고, 상기 판재를 따라 콘크리트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두께 맞는 위치로 상기 철근을 정확하게 정렬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30a)를 통해 정렬된 높이에서 철근을 일시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철근을 고정하기 위한 결선 작업이나 용접 작업을 타작업자의 도움 없이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장치로 앵커 인서트 및 철근 스페이서, 레벨러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두께의 콘크리트에 호환하여 타설 높이 기준을 제공하고 철근의 배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시마다 별도의 철근 스페이서나 시공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에 맞는 규격의 철근 스페이서를 준비하고 설치하는 절차 없이 정확한 높이에 간편하게 철근을 배근할 수 있어 시공의 정확성 및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철근(s)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c)의 하면측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콘크리트(c)의 하면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철근 및 상기 콘크리트(c)의 하면 사이의 간격은 7cm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지지몸체부(50)의 상하방향 폭은 5~7cm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몸체부(20)의 상부에는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c)와의 경계부를 밀폐하는 차수덮개부(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차수덮개부(40)는 상기 레벨링지지부(20b)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 상기 레벨링지지부(20b)의 하면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수덮개부(40)는 상기 레벨링지지부(20b)의 상면이 상기 콘크리트(c)의 외부로 노출되어 레벨러로 사용될 때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위치가 상하수도 배관 등이 위치된 부엌이나 욕실 등 누수 발생 영역인 경우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수덮개부(40)는 방수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무나 실리콘, 벤토나이트(bentonite)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벤토나이트 소재로 구비된 차수덮개부(40)는 누수가 발생된 경우 팽창하며 상기 콘크리트와의 경계부를 더욱 정확하게 밀폐할 수 있다.
즉, 상기 레벨링지지부(20b)가 상기 콘크리트의 상측으로 노출됨에 따라 누수에 취약한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레벨링지지부(20b) 사이의 경계부를 밀폐하여 수분 유입으로 인한 승강몸체부(2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은 경화된 콘크리트 입자 사이의 결합력을 감소시켜 균열을 발생시키고 기발생된 균열은 쉽게 내부로 전파되어 건축물의 내구성을 저하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수덮개부(40)는 상기 레벨링지지부(20b)와 상기 콘크리트 사이의 경계부를 밀폐하여 수분 침투를 방지하므로 시공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도 4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시공을 위한 판재가 설치되면, 앵커(a)가 배치될 각 지점에 상기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1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각 지점별로 배치된 장치에서 승강몸체부(20)를 기설계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까지 승강시켜 상기 레벨링지지부(20b)의 상면을 타설 기준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몸체부(30)를 콘크리트 타설 높이에 대응되는 철근 배근 높이까지 승강시키고, 상기 안착부(30a)에 철근(s)을 결합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처럼, 앵커가 배치될 각 지점에 지지몸체부(50)를 설치하고 승강몸체부(10) 및 스페이서몸체부(30)를 승강시켜 다양한 두께의 콘크리트 타설 높이, 철근 배근 높이에 대응하여 철근 스페이서, 레벨러의 기능을 호환하여 수행할 수 있으므로 한종의 장치로 시공 일체를 수행할 수 있어 시공 설계 및 준비가 단순화될 수 있어 제품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철근 스페이서, 레벨러, 인서트 등의 여러 장치를 별도로 보관하고, 시공시마다 각 장치를 필요한 만큼 준비하며, 부족한 장치는 개별적으로 구매하여 조달하는 등 번거로운 절차를 제거함으로써 한종의 장치만 구비하여 시공 상황에 따라 호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철근이 지지될 위치, 콘크리트 높이를 측정할 위치, 앵커가 설치될 위치 등 다양한 부분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하나로 통일된 장치를 설치하여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고, 콘크리트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내부 삽입물을 최소화하여 시공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콘크리트에 내설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페이서몸체부(130) 및 상기 지지몸체부(150)의 사이에 스토퍼몸체부(160)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몸체부(150)의 상단 및 상기 스페이서몸체부(130) 사이에는 하측 이동시 상기 지지몸체부(150)의 상단을 가압하여 상기 승강몸체부(120)가 고정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가압체결홀(161)의 내주를 따라 상기 제2나사산(121)에 나사 결합되는 제4나사산(161a)이 형성되는 스토퍼몸체부(16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몸체부(160)는 상기 체결부(120a)에 나사 결합되어 상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몸체부(120)가 기설계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로 승강되면 상기 체결부(120a)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승강몸체부(120)를 고정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토퍼몸체부(160)는 타방향 회전시 상기 체결부(120a) 외주의 제2나사산(121)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지지몸체부(150)의 상단에 닿게되면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고 상기 지지몸체부(150)의 상단을 가압함과 함께 상기 승강몸체부(120)를 상측으로 밀어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중공체결홀(151)의 제1나사산(151a)과 상기 체결부(120a)의 제2나사산(121)이 상하 방향으로 상호 가압되며, 상기 승강몸체부(120)가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몸체부(120)가 높이 조절 후 콘크리트 타설시 유동 압력에 의해 회전되어 높이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타설 기준을 제공하여 시공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몸체부(130) 및 상기 스토퍼몸체부(160)는 기능에 따라 별도의 명칭을 부여한 것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몸체부(130) 및 상기 스토퍼몸체부(160)는 상호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콘크리트에 내설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페이서몸체부(230)의 형상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몸체부(230)는 체결부(220a)가 관통되도록 결합관통홀(231)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관통홀(231)은 상기 지지몸체부(250)의 상단 테두리에 걸림되는 직경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부(220a)는 상기 스페이서몸체부(230)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몸체부(250)에 결합되며, 상기 스페이서몸체부(230)는 상기 체결부(220a)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되, 상기 지지몸체부(250)의 상단에 걸림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몸체부(230)의 상면에 철근(s)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몸체부(230)는 강철 등의 금속 소재나 폴리아세탈 등의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몸체부(230)는 얇은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결합관통홀(231)의 외곽 영역을 따라 철근결속 와이어(w)가 삽입 및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와이어삽입홀(232)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철근결속 와이어(w)는 일반적인 공사 현장에서 철근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철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몸체부(230)가 상기 지지몸체부(250)의 상단 테두리에 걸림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스페이서몸체부(230)의 상면에 철근(s)을 안착시키고, 상기 철근결속 와이어(w)를 각 와이어삽입홀(232)에 삽입하여 상기 철근(s)을 묶어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페이서몸체부(230)의 소재와 무관하게 철근(s)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주입시 압력으로 인해 철근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가 콘크리트에 내설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제4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몸체부(350)의 형상 및 상기 지지몸체부(350)의 하단에 관통유도부(370)가 결합되는 것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300)는 상기 지지몸체부(350)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는 관통유도부(37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300)는 건축물의 천장 하부나 벽체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경우에 상기 단열재(e)를 관통하여 상기 판재(p)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재(e)는 건축물 내부열의 방출을 방지하도록 스티로폼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판재(p)의 내면 혹은 상면에 상기 단열재(e)가 배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주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300)는 상기 단열재(e)를 관통하여 상기 판재(p)에 고정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단열재(e)를 상기 콘크리트(c)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유도부(370)는 상기 중공체결홀(351)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370b), 상기 결합부(370b)의 하부에 형성되되 외부가압력에 의해 상기 판재(p)를 따라 구비된 단열재(e)를 관통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협소화되는 쐐기형 관통부(370a)를 포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쐐기형이라는 말은 상부에 비해 하부가 좁은 형태를 의미하며, 상기 관통부(370a)의 상부는 상기 지지몸체부(350)의 외주면과 연속되는 원형단면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며, 하부는 점 혹은 선으로 날카롭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부(370a)는 뒤집어진 원추 형상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지지몸체부(350)의 외주면로부터 하측으로 좁게 연장되며 직선형의 날을 형성하는 칼날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유도부(370)가 결합된 지지몸체부(350)는 외부 가압력에 의해 상기 단열재(e)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때,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몸체부(350)가 상기 단열재(e)에 삽입된 상태에서 콘크리트(c)를 양생하고 판재(p)를 제거한 후 상기 관통유도부(370)가 노출되도록 단열재의 일측을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노출된 관통유도부(370)를 분리하여 상기 중공체결홀(351)의 하부가 개방될 수 있으며, 개방된 중공체결홀(351)의 내부로 앵커(a)가 삽입되어 상기 승강몸체부(320)의 앵커결합홈(322)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70b)는 상기 중공체결홀(351)의 하부 개구를 통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370b)는 상기 중공체결홀(351)의 내주면을 지지함에 따라 상기 단열재(e)를 관통하기 위해 상기 지지몸체부(350)를 가압할 시 상기 관통유도부(370)의 분리를 방지하고, 상기 관통유도부(370)로 정확하게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370b)는 상기 중공체결홀(351)에 나사 결합되거나 강제 끼움 결합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유도부(370)가 노출되도록 판재(p)을 분리하고 상기 단열재(e)를 개방하면, 상기 결합부(370b)의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유도부(370)가 재사용될 수 있어 제품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몸체부(350)의 외주에는 고정돌출부(353)가 상호 이격하여 복수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출부(353)의 하부에는 상기 단열재(e)를 가압하여 삽입되도록 상향 경사진 슬라이드부(353a)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돌출부(353)의 상부에는 상기 단열재(e)의 내부에 걸림 구속되는 단턱을 형성하는 걸림부(353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돌출부(353)는 상기 지지몸체부(350)의 외주에 상하 방향으로 돌출된 날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 고정돌출부(353)는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돌출부(353)는 상기 지지몸체부(350)의 단열재 삽입시 상기 슬라이드부(353a)를 통한 마찰력 감소로 단열재(e)를 슬라이드 이동하며 부드럽게 삽입되면서도 판재의 분리 후 걸림부(353b)를 통해 상기 단열재(e)의 이탈을 방지하여 단열재(e) 및 상기 콘크리트 사이의 결합력을 개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 시공 후 단열재 설치하는 번거로운 시공 없이 콘크리트 타설시 단열재(e)를 함께 설치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와 단열재 사이의 결합력을 개선하여 시공의 품질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유도부(370)의 하단부에는 상기 단열재(e)를 관통하여 상기 판재(p)에 삽입되도록 고정못(371)이 인서트 몰드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못(371)은 상기 관통유도부(370)가 판재(p)의 표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판재(p)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관통유도부(370) 및 상기 관통유도부(370)에 결합된 지지몸체부(350)를 상기 단열재(e)의 내부에 더욱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판재(p)을 분리하면, 상기 단열재(e)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고정못(371)의 단부를 통해 상기 관통유도부(37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앵커 체결을 위해 단열재(e)를 개방할 때 상기 관통유도부(370)의 위치에 맞는 정확하게 절삭이 가능하여 단열재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어 시공의 품질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5실시예에서는 상기 판재가 구조용 데크플레이트(d)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판재는 콘크리트 타설 후 분리되지 않고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콘크리트의 구조력을 향상시키는 구조용 데크플레이트(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조용 데크플레이트(d)에는 앵커(a)의 배치지점을 따라 천공(h)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몸체부(450)는 상기 천공(h)의 테두리에 고정되고, 상기 중공체결홀(451)은 상기 천공(h)과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데크플레이트(d)는 건물의 천장을 시공하기 위해 건물의 골격을 형성하는 지주에 설치되며, 설치된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천장을 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크플레이트(d)는 콘크리트 타설 후 분리되지 않고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천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플레이트(d)는 가볍고 높은 강도를 지닌 알루미늄이나 비교적 저렴하고 높은 하중 지지력을 지닌 스틸(steel) 계열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부(450)는 기형성된 천공(h)의 테두리에 안착 고정되어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며, 상기 앵커(a)는 상기 천공(h) 내측의 승강몸체부(42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공체결홀(451)의 직경은 상기 천공(h)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상기 천공(h)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420a)는 상기 천공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천공(h)을 통과하여 상기 데크플레이트(d)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420a)의 길이는 상기 데크플레이트(d)의 두께 및 상기 지지몸체부(450)의 높이의 합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몸체부(420)의 상단이 콘크리트 타설면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420a)의 하단부가 상기 천공(h)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420a)의 앵커결합홈(422)이 상기 천공(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요철 형상으로 구비된 데크플레이트(d) 하면에서 육안으로 쉽게 구분될 수 있어 작업자가 앵커결합홈(422)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부(450)의 하단부 외주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부(45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452)는 철판피스, 양면 테이프, 접착제 등으로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부(450)가 금속소재로 구비된 경우에는 용접을 통해 상기 데크플레이트(d)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6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몸체부(550)의 형상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몸체부(550)는 상기 스페이서몸체부(530)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하로 반전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몸체부(530)의 안착부(530a)에 대응되는 부분(550a)이 하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d)와 대면됨에 따라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520a)에는 상기 지지몸체부(550)의 상측으로 스토퍼몸체부(560) 및 스페이서몸체부(5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부(550) 및 상기 스페이서몸체부(530), 상기 스토퍼몸체부(560)는 기능에 따라 별도의 명칭이 부여된 것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벨링지지부(520b)가 기설계된 콘크리트 타설면의 높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몸체부(520)가 상하 이동되면 상기 스토퍼몸체부(560)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지지몸체부(55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승강몸체부(5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몸체부(530)를 철근 배근 위치에 대응하여 승강시켜 철근을 고정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 두께의 맞는 위치로 철근을 정확하게 정렬하여 배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사용모식도이다. 제7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몸체부(650)의 하부에 구비되는 드릴부(68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600)는 드릴부(6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릴부(680)는 상기 중공체결홀(651)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시 상기 데크플레이트(d)를 타공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드릴부(680)는 상기 중공체결홀(651)의 하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체결홀(651)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중공체결홀(651)의 내측으로 나사 결합되며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릴부(680)의 하부에는 절삭날부(680a)가 형성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시 상기 데크플레이트(d)를 타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삭날부(680a)의 절삭방향(m)과 상기 드릴부(680)의 나사 결합방향(n)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삭날부(680a)가 절삭을 위해 회전되는 방향은 상기 드릴부(680)가 상기 중공체결홀(651)에 삽입되도록 나사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일방향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절삭날부(680a)의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드릴부(680)가 상기 중공체결홀(651)에서 풀려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절삭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부(650)의 외주 상단에는 드릴척(b)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물림되는 드릴물림부(65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드릴물림부(654)는 상기 드릴척(b)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다각단면으로 구비되거나 D컷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드릴물림부(654)는 상기 드릴척(b)의 회전력을 상기 드릴부(680)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릴척(b)은 전동 드릴몸체의 단부에 구비되되, 나사 조임 등에 의해 벌어지거나 다물어지며 다양한 형상의 드릴을 물어 고정하며, 전동 드릴몸체 내부의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드릴로 전달하는 일반적인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드릴부(680)는 상기 지지몸체부(650)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d)의 앵커 배치지점에 접촉되고, 회전력을 가하면 상기 데크플레이트(d)를 절삭하여 타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652)가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접촉되면 회전을 중지하고, 상기 플랜지부(652)를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 후, 드릴부(680)를 분리하고, 상기 지지몸체부(650)의 상부에 승강몸체부를 결합하여 레벨러 및 철근 스페이서의 용도에 맞게 높이를 조절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지지몸체부(650)의 중공체결홀(651)과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기형성된 천공을 정렬하여 상기 플랜지부(652)를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드릴부(680)를 통해 천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중공체결홀(651)이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8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몸체부(750)가 다단으로 구비된 것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몸체부(750)는 상기 판재(p)에 고정되는 제1지지몸체부(750b)와, 상기 제1지지몸체부(750b)의 내측에 나사 결합되어 승강되는 제2지지몸체부(750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몸체부(750a)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체결홀(751)에 상기 승강몸체부(72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몸체부(750a) 및 상기 승강몸체부(720)가 다단으로 승강될 수 있으므로 적용가능한 콘크리트의 두께 및 철근 배치 간격의 범위가 확장될 수 있어 다양한 시공 환경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몸체부(750a)의 외측에는 지지몸체스토퍼(79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몸체스토퍼(790)의 내부에는 상기 제2지지몸체부(750a)가 관통되는 지지관통홀(791)이 형성되되, 상기 지지관통홀(791)은 제2지지몸체부(750a)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몸체부(750b)가 상기 판재(p)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지지몸체부(750a)의 높이를 조절하고, 지지몸체스토퍼(790)를 통해 상기 제1지지몸체부(750b)의 상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지지몸체부(750a)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스토퍼(790)에는 용접이나 철근결속 와이어를 통해 철근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건축에 비해 규모가 큰 교량, 터널, 도로 등을 짓는 토목 시공의 경우에도 철근의 다단 배근 및 두꺼운 콘크리트 두께에 대응하여 철근 스페이서 및 레벨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의 스페이서몸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9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페이서몸체부(830)에 관통부(832)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몸체부(830)에는 상기 결합관통홀(831)의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체결부(820a)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관통부(832)가 형성되되, 상기 관통부(832) 및 상기 결합관통홀(831)의 연결부분에는 상기 체결부(820a)를 탄발고정하는 고정돌기(833)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관통부(832)는 상기 승강몸체부의 체결부(820a)가 통과할 수 있는 폭으로 상기 스페이서몸체부(830)의 일측이 절삭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부(832)를 통해 상기 스페이스몸체부(830)가 상기 체결부(820a)의 측면으로 끼워져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돌기(833)는 상기 스페이서몸체부(830)의 측방향 삽입시 가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체결부(820a)가 상기 결합관통홀(83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 후에는 상기 체결부(820a)의 외주를 구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820a)가 상기 지지몸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820a)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스페이서몸체부(830)를 상기 체결부(820a)에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시 여러개의 철근이 종횡으로 겹쳐진 부분이나 철근의 길이가 짧아 여러개의 철근은 덧대어 용접한 부분에는 설계된 철근의 높이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치럼, 다양한 시공 상황에 따라 상기 스페이서몸체부(830)를 손쉽게 추가하여 상기 체결부(820a)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종래의 인서트 a: 앵커
c: 콘크리트 p: 판재
w: 철근결속 와이어 s: 철근
d: 데크플레이트 b: 드릴척
h: 천공 10: 인서트장치
50,350,550,650: 지지몸체부 51: 중공체결홀
52: 플랜지부 20: 승강몸체부
20a: 체결부 20b: 레벨링지지부
22: 앵커결합홈 30,230,830: 스페이서몸체부
31: 결합관통홀 30b: 결합몸체부
30a: 안착부 40: 차수덮개부
160: 스토퍼몸체부 370: 관통유도부
680: 드릴부
c: 콘크리트 p: 판재
w: 철근결속 와이어 s: 철근
d: 데크플레이트 b: 드릴척
h: 천공 10: 인서트장치
50,350,550,650: 지지몸체부 51: 중공체결홀
52: 플랜지부 20: 승강몸체부
20a: 체결부 20b: 레벨링지지부
22: 앵커결합홈 30,230,830: 스페이서몸체부
31: 결합관통홀 30b: 결합몸체부
30a: 안착부 40: 차수덮개부
160: 스토퍼몸체부 370: 관통유도부
680: 드릴부
Claims (5)
-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판재에 고정되되, 내부에 관통 형성된 중공체결홀의 내주를 따라 제1나사산이 구비되는 지지몸체부;
상기 중공체결홀을 관통하여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외주에 상기 제1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구비되며 내부에 앵커결합홈이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레벨링지지부를 포함하는 승강몸체부; 및
상기 지지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체결부가 관통되도록 결합관통홀이 내부에 형성되는 스페이서몸체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몸체부는 상기 체결부를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내주를 따라 상기 제2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3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몸체부와, 상기 결합몸체부의 상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구비되는 안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외주부에는 철근결속 와이어가 삽입 및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와이어삽입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부의 상단 및 상기 스페이서몸체부 사이에는 하측 이동시 상기 지지몸체부의 상단을 가압하여 상기 승강몸체부가 고정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가압체결홀의 내주를 따라 상기 제2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는 제4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토퍼몸체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몸체부에는 상기 결합관통홀의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는 폭을 갖는 관통부가 형성되되, 상기 관통부 및 상기 결합관통홀의 연결부분에는 상기 체결부를 탄발고정하는 고정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0192A KR101426500B1 (ko) | 2014-05-20 | 2014-05-20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IN3674MU2014 IN2014MU03674A (ko) | 2014-04-03 | 2014-11-19 | |
US14/548,368 US9169662B1 (en) | 2014-04-03 | 2014-11-20 | Multiple cast-in insert apparatus for concrete |
EP14194181.5A EP2927382A1 (en) | 2014-04-03 | 2014-11-20 | Multiple cast-in insert apparatus for concrete |
CN201410669440.6A CN104975717A (zh) | 2014-04-03 | 2014-11-20 | 混凝土注入用复合插入装置 |
JP2014236469A JP5792880B1 (ja) | 2014-04-03 | 2014-11-21 | コンクリート打込用複合インサート装置 |
PCT/KR2015/002559 WO2015152537A1 (ko) | 2014-04-03 | 2015-03-17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0192A KR101426500B1 (ko) | 2014-05-20 | 2014-05-20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26500B1 true KR101426500B1 (ko) | 2014-08-05 |
Family
ID=51749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0192A KR101426500B1 (ko) | 2014-04-03 | 2014-05-20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650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5467B1 (ko) * | 2015-03-17 | 2015-11-04 | 김홍남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KR101639319B1 (ko) * | 2015-02-06 | 2016-07-1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수직부재를 통한 진동 전달 저감을 위한 진동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동차단 바닥시스템 |
KR101869798B1 (ko) * | 2017-03-29 | 2018-06-21 | 김수명 | 중공슬래브를 이용하여 무지주 경간확보가 가능한 철골보의 sph 시공구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45937A (ja) * | 1997-03-05 | 1998-09-14 | Shimizu Corp | レベル調整機能付きスラブ配筋用スペーサー |
KR200375370Y1 (ko) | 2004-11-05 | 2005-03-11 | 김종식 | 건축용 앵커 |
KR100921204B1 (ko) | 2008-10-09 | 2009-10-13 | 강신주 | 단열재용 인서트 |
KR101097207B1 (ko) | 2011-03-08 | 2011-12-22 | (주)풍양기업 | 데크플레이트용 배전관 연결 장치 |
-
2014
- 2014-05-20 KR KR1020140060192A patent/KR1014265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45937A (ja) * | 1997-03-05 | 1998-09-14 | Shimizu Corp | レベル調整機能付きスラブ配筋用スペーサー |
KR200375370Y1 (ko) | 2004-11-05 | 2005-03-11 | 김종식 | 건축용 앵커 |
KR100921204B1 (ko) | 2008-10-09 | 2009-10-13 | 강신주 | 단열재용 인서트 |
KR101097207B1 (ko) | 2011-03-08 | 2011-12-22 | (주)풍양기업 | 데크플레이트용 배전관 연결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9319B1 (ko) * | 2015-02-06 | 2016-07-1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수직부재를 통한 진동 전달 저감을 위한 진동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동차단 바닥시스템 |
KR101565467B1 (ko) * | 2015-03-17 | 2015-11-04 | 김홍남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WO2016148428A1 (ko) * | 2015-03-17 | 2016-09-22 | 김홍남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KR101869798B1 (ko) * | 2017-03-29 | 2018-06-21 | 김수명 | 중공슬래브를 이용하여 무지주 경간확보가 가능한 철골보의 sph 시공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92880B1 (ja) | コンクリート打込用複合インサート装置 | |
KR101565467B1 (ko)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
JP4902504B2 (ja) | 布基礎補強構造及び布基礎補強構造の施工方法並びに補強金物 | |
KR101426500B1 (ko)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
KR102017871B1 (ko) | 캔틸레버 데크를 이용한 교량 선배수 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 |
JP6393350B2 (ja) | 既存用水路の補修工法 | |
AU2018229509A1 (en) | Shower hob apparatus | |
KR100639786B1 (ko) | 맨홀용 프리케스트 인상슬래브 및 맨홀용 프리케스트인상슬래브 설치구조 및 맨홀용 프리케스트 인상슬래브시공방법 | |
KR101426497B1 (ko)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
KR101426499B1 (ko)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
KR101425511B1 (ko)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
JP4823082B2 (ja) | 更生パネル、それを用いた更生方法、および更生された構造物 | |
KR101531766B1 (ko) | 연약 지반에 터널을 설치하기 위한 선지보 터널 공법 | |
JP4982232B2 (ja) | 陽極の設置方法 | |
EP2685008B1 (en) | Device and method for laying the foundations of a solar collector supporting structure in the ground | |
KR101138499B1 (ko) | 마이크로 파일의 두부 정착방법 및 그 장치 | |
JP6067425B2 (ja) | 床版水抜き管及び該床版水抜き管を使用する橋面排水システム施工方法 | |
KR101426498B1 (ko)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
KR100820331B1 (ko) | 맨홀 보수공법 및 그 맨홀 보수부재 | |
JP6966964B2 (ja) | 既存の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工法 | |
JP6545974B2 (ja) | スラブ用スリーブ材 | |
KR101512031B1 (ko) | 그라우팅을 이용한 지반보강방법 | |
KR20140107885A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하우스 구축용 거푸집과 바닥콘크리트의 결합구조 | |
KR20140147186A (ko) | 회전을 이용한 중공형성체의 부력방지용 장치 | |
KR200492369Y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