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499B1 -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499B1
KR101426499B1 KR1020140039758A KR20140039758A KR101426499B1 KR 101426499 B1 KR101426499 B1 KR 101426499B1 KR 1020140039758 A KR1020140039758 A KR 1020140039758A KR 20140039758 A KR20140039758 A KR 20140039758A KR 101426499 B1 KR101426499 B1 KR 101426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oupling
deck plate
anch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남
Original Assignee
김홍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남 filed Critical 김홍남
Priority to KR1020140039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499B1/ko
Priority to IN3674MU2014 priority patent/IN2014MU03674A/en
Priority to CN201410669440.6A priority patent/CN104975717A/zh
Priority to EP14194181.5A priority patent/EP2927382A1/en
Priority to US14/548,368 priority patent/US9169662B1/en
Priority to JP2014236469A priority patent/JP5792880B1/ja
Priority to PCT/KR2015/002559 priority patent/WO20151525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콘크리트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앵커가 결합되되 하나의 장치로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하여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콘크리트가 타설 및 결합되는 데크플레이트의 앵커 배치지점을 따라 형성된 천공의 테두리에 고정되되, 상기 천공과 연통되도록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체결홀이 형성되는 지지몸체부; 및 상기 중공체결홀에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나사 결합되되 상기 천공보다 좁은 직경으로 구비되며 내부에 앵커결합홈이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된 레벨링지지부를 포함하는 승강몸체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complex cast-in insert apparatus for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앵커가 결합되되 하나의 장치로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하여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은 건축물의 형태에 맞는 거푸집을 제작하고 건축물의 골격을 이루는 지주에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콘크리트가 건조 및 경화되면 거푸집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를 통해 형성된 건축물의 천장에는 각종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한 앵커가 결합되며, 상기 앵커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된 인서트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인서트를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하기 위한 방법으로 콘크리트 양생 후에 구멍을 천공하여 인서트를 설치하는 후설치(post-install) 방법과, 앵커가 설치될 위치에 미리 인서트를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선설치(cast-in) 방법이 있으며, 선설치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인서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인서트(1)는 하면에 앵커홈이 형성되며, 인서트(1)의 하단을 거푸집(m)의 바닥면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c)를 주입 및 양생하였으며, 거푸집(m)을 제거하여 노출된 앵커홈에 앵커(a)를 결합하여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였다.
이때, 상기 구조물은 덕트, 천장판 골격, 전기배선 등을 포함하며, 상기 앵커(a)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고, 설치된 상기 천장판 골격을 따라 천장판을 결합하면 천장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서트(1)는 앵커(a)의 하중에 대한 지지력은 높았지만, 콘크리트(c)의 표면에 앵커(a)를 지지하여, 앵커(a)에 횡방향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균열이 쉽게 발생되고, 발생된 균열이 내부로 전파되는 경우가 많아 인서트(1)의 지지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c)의 지지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거푸집(m)과 인서트(1) 하면 사이에 이물질로 인해 틈이 형성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앵커홈의 내부로 콘크리트(c)가 쉽게 유입될 뿐만 아니라, 유입된 콘크리트(c)를 제거할 때 앵커홈의 나사산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앵커(a) 설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콘크리트 슬레브의 측부에 이음 철근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거푸집(m)의 측벽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이음 철근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했으므로 구멍으로 인해 거푸집이 훼손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콘크리트(c)의 지지력 증가를 위해 콘크리트(c)의 내부에 철근을 배근하는 경우에는 거푸집과 일정한 높이로 이격된 철근 배근을 위해 별도의 철근 스페이서가 요구되었다.
그리고, 앵커(a) 설치를 위한 인서트(1), 철근 배근을 위한 철근 스페이서를 각각 구비하고 설치하기 위해서 불필요한 자재비용 및 설치기간이 소모되어 시공 비용 및 기간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c) 내부에 불필요한 장치들이 삽입되어 콘크리트(c)의 지지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건물의 용도나 크기에 따라 콘크리트 슬래브의 두께가 일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슬래브의 두께가 변하여 철근의 배근 간격이 바뀌게 되면 배근 간격에 맞는 별도의 스페이서를 준비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콘크리트(c) 타설시에 슬래브의 수평이나 두께를 확인하기 위해 높이가 표시된 막대 등의 레벨러를 사용하였는데, 바닥면 상태나 타설 높이에 따라 각각 주어진 치수로 제품을 생산하거나 긴 치수의 제품을 규격에 맞게 제단하고, 긴 치수의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타설 후 돌출된 부분을 제거해야 하는 등 작업상의 불편함을 발생시켰다.
이처럼, 콘크리트(c) 타설시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 인서트(1), 철근 스페이서, 레벨러 등을 별도로 구비하고 설치하기 위해 설계 및 시공이 복잡화됨과 아울러 시공 비용 및 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효율적인 시공이 이루어지기 힘들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0853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에 각종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앵커가 결합되되 하나의 장치로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하여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가 타설 및 결합되는 데크플레이트의 앵커 배치지점을 따라 형성된 천공의 테두리에 고정되되, 상기 천공과 연통되도록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체결홀이 형성되는 지지몸체부; 및 상기 중공체결홀에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나사 결합되되 상기 천공보다 좁은 직경으로 구비되며 내부에 앵커결합홈이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된 레벨링지지부를 포함하는 승강몸체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의 길이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두께 및 상기 지지몸체부의 높이의 합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의 하단부는 상기 천공을 관통하여 상기 데크플레이트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부의 하단부 외주에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플랜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체결홀 내주의 나사산에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부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지지몸체부의 상단 테두리에 걸림되어 나사결합을 구속하는 스토퍼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레벨링지지부는 외주부에 철근결속 와이어가 삽입 및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와이어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레벨링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측정하도록 평탄하게 구비되며, 상기 승강몸체부의 상부에는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와의 경계부를 밀폐하는 차수 덮개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공체결홀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타공하는 절삭날부를 포함하는 드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몸체부의 외주 상단에는 드릴척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물림되는 드릴물림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지지몸체부는 거푸집에 고정되되 내부에 나사 결합되어 승강되는 승강몸체부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몸체부의 레벨링지지부는 철근을 고정하고 상면을 콘크리트 타설시 기준면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장치로 앵커 인서트, 레벨러, 철근 스페이서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승강몸체부는 레벨링지지부의 상면을 콘크리트 타설 기준면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와이어삽입홀을 통해 철근을 고정 및 지지하되 지지몸체부의 내부에서 승강되어 높이 조절되므로 앵커가 배치될 각 지점에 설치되면 각 지점별로 철근 스페이서나 레벨러로 호환 사용되어 한종의 장치로 시공 일체를 수행할 수 있어 시공 설계 및 준비가 단순화됨에 따라 제품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승강몸체부의 체결부는 천공보다 좁은 직경으로 구비되되 데크플레이트의 두께 및 지지몸체부의 높이의 합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체결부의 하단부가 천공을 통과하여 데크플레이트의 하부로 돌출되므로 앵커결합홈의 위치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앵커를 손쉽게 체결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드릴부는 상기 지지몸체부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결합되어 데크플레이트에 천공을 형성하고 타공 후에는 분리하여 재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드릴부를 통해 천공을 형성하며 플랜지부가 데크플레이트에 접촉되면 천공 형성과 동시에 중공체결홀의 정렬이 이루어져 별도의 정렬 작업 없이 즉시 지지몸체부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인서트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의 지지몸체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의 승강몸체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에 차수용 덮개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에 철근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을 나타낸 예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의 지지몸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의 승강몸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100)는 건축물의 천장을 형성할 때 콘크리트(도 5의 c 참조) 내부에 매설되도록 타설 전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타설 후 각종 구조물 설치를 위한 앵커(도 5의 a 참조)가 삽입 및 결합되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앵커 설치 외에도 철근 배근을 위한 철근 스페이서나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측정하는 레벨러 등을 대체하여 호환 사용되며, 다양한 규격의 콘크리트 시공에 적용될 수 있어 콘크리트 시공 설계 및 준비가 단순화될 수 있어 시공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100)는 지지몸체부(20)와 승강몸체부(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몸체부(20)는 콘크리트가 타설 및 결합되는 데크플레이트(d)의 앵커 배치지점을 따라 형성된 천공(h)의 테두리에 고정되되, 상기 천공(h)과 연통되도록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체결홀(21)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데크플레이트(d)는 건물의 천장을 시공하기 위해 건물의 골격을 형성하는 지주에 설치되며, 설치된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천장을 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데크플레이트(d)는 콘크리트 타설 후 분리되지 않고 콘크리트와 결합되어 천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크플레이트(d)는 가볍고 높은 강도를 지닌 알루미늄이나 비교적 저렴하고 높은 하중 지지력을 지닌 스틸(steel) 계열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는 앵커 배치지점을 따라 천공(h)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부(20)는 기형성된 천공(h)의 테두리에 안착 고정되어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되며, 상기 앵커는 상기 천공(h)을 통해 상기 지지몸체부(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승강몸체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몸체부(20)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중공체결홀(21)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체결홀(21)은 상기 천공(h)과 연통되도록 상기 지지몸체부(20)의 내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몸체부(20)는 상기 중공체결홀(21)의 하부 개구가 상기 천공(h)의 테두리 내측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중공체결홀(21)의 내경은 상기 천공(h)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작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몸체부(10)는 체결부(10b)와 레벨링지지부(10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10b)는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상기 중공체결홀(21)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10b)는 상기 중공체결홀(21)의 상부 개구에 배치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중공체결홀(21)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타방향 회전시 상기 중공체결홀(21)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0b)는 상기 천공(h)보다 좁은 직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천공(h)을 통과하여 상기 데크플레이트(d)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10b)의 하면에는 천장에 시공되는 각종 구조물이 설치되는 앵커가 결합되도록 앵커결합홈(1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10b)의 앵커결합홈(16)이 상기 천공(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요철 형상으로 구비된 데크플레이트(d) 하면에서 육안으로 쉽게 구분될 수 있어 작업자가 앵커결합홈(16)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하여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결합홈(16)이 요철 형상의 내측 부분에서 외부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앵커를 끼워 돌리는 결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앵커는 일반적인 천장시공에 사용되는 표준치수의 직경으로 구비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앵커결합홈(16)의 내경은 상술된 표준치수의 앵커가 결합될 수 있는 치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0b)의 길이는 상기 데크플레이트(d)의 두께 및 상기 지지몸체부(20)의 높이의 합보다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체결부(10b)의 길이는 상기 승강몸체부(10)의 상단이 콘크리트 타설면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10b)의 하단부가 상기 천공(h)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벨링지지부(10a)는 상기 체결부(10b)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된다. 즉, 상기 레벨링지지부(10a)는 콘크리트의 내부에 삽입되되, 돌출된 부분의 하면이 상기 콘크리트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몸체부(10)가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될 때 앵커에 설치된 구조물의 하중으로 인해 하측으로 빠져나가 상기 데크플레이트(d)를 가압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경화된 콘크리트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몸체부(20)의 하단부 외주에는 상기 데크플레이트(d)의 상면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플랜지부(2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부(22)는 상기 지지몸체부(20)의 외주 하단에 외측으로 절곡된 면을 형성하여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밀착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지몸체부(20)의 재질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몸체부(20)가 강화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로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결합수단은 철판피스(p)나 양면 테이프, 접착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철판피스(p)는 회전되어 상기 플랜지부(22)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d)를 관통하여 삽입 및 고정됨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22)를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랜지부(22)에는 상기 철판피스(p)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피스홀(22a)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플랜지부(22)는 하면에 접착제 혹은 양면 테이프를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접착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지지몸체부(20)가 금속 재질로 구비된 경우에 상기 플랜지부(22)는 용접을 결합수단으로 하여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몸체부(20)는 상기 천공(h)의 테두리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22)와 상기 데크플레이트(d) 사이 경계부를 용접함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22)와 상기 데크플레이트(d) 사이의 경계부가 용접에 의해 견고하고 정확하게 밀착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플랜지부(22)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d) 사이로 콘크리트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누설된 콘크리트가 천공(h)을 통해 유동되어 데크플레이트(d)의 하면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공의 품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몸체부(20)의 외주는 사각 내지 팔각 기둥 형상의 다각 기둥 형상이나 원형 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내부에 중공체결홀(21)이 형성된 상태로 콘크리트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몸체부(10)는 상기 지지몸체부(20)에 의해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결합되되, 콘크리트 양생 후에는 승강몸체부(10)의 외부가 직접 콘크리트에 삽입 및 결속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몸체부(10)는 강성이 높은 소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강화 합성 수지 혹은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높은 강성을 가진 스틸 계열의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하였다.
상세히, 상기 체결부(10b)의 외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레벨링지지부(10a)가 콘크리트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체결홀(21)에 나사 결합되도록 체결부(10b)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나사부(14)를 통해 콘크리트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됨과 함께 요철 형상을 통한 맞물림 결합으로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공체결홀(21) 내주의 나사산에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부(10b)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14)의 상단부에는 상기 지지몸체부(20)의 상단 테두리에 걸림되어 나사결합을 구속하는 스토퍼부(1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10b)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나사부(14)는 상기 중공체결홀(21)의 내주를 따라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어 일방향 회전시 상기 나사산을 따라 결합되며 하강되고 타방향 회전시 상기 나사산으로부터 이탈되며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몸체부(10)의 높이가 정확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시 유동되지 않고 승강된 높이로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부(15)는 상기 중공체결홀(21)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부(15)의 외면에는 상기 콘크리트 내의 배치된 철근이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몸체부(10)가 상기 콘크리트 내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각 앵커의 지지하중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하중을 분산지지하기 위한 앵커 배치량을 줄여 편리하고 간단한 시공이 가능하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레벨링지지부(10a)는 외주부에 철근결속 와이어(도 6의 w 참조)가 삽입 및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와이어삽입홀(11)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의 상면(18)은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측정하도록 평탄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벨링지지부(10a)는 콘크리트에 대한 지지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체결부(10b)의 외주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다각이나 원형 판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의 하부에 철근 결합시 휘어지지 않고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육각 판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부분을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와이어삽입홀(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벨링지지부(10a)가 육각 판의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에 상기 와이어삽입홀(11)은 모서리부의 내측에 형성되되 두 모서리부마다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각 와이어삽입홀(11)에는 철근결속 와이어(도 6의 w 참조)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철근결속 와이어는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의 하측에 배치된 철근을 감싸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철근결속 와이어는 일반적인 공사 현장에서 철근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철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는 앵커 결합지점에 천공(h)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천공(h)의 테두리에 상기 지지몸체부(20)를 설치하고, 해당 시공의 콘크리트 타설 높이에 맞는 철근 배근 위치로 상기 승강몸체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에 철근을 고정하면, 상기 철근이 콘크리트 두께에 맞는 높이로 정렬 배치되고, 콘크리트 타설시 유동되지 않고 정확하게 매설될 수 있다.
따라서, 시공시마다 별도의 철근 스페이서나 시공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에 맞는 규격의 철근 스페이서를 준비하고 설치하는 절차 없이 정확한 높이에 간편하게 철근을 배근할 수 있어 시공의 정확성 및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삽입홀(11)의 내측에는 상기 체결부(10b)의 측면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의 하면을 지지하는 하중보강부(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중보강부(13)는 상기 레벨링지지부(10a)가 철근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휘어지거나 시공 후 구조물이 설치된 앵커의 하중으로 위해 상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구조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의 상면(18)은 평탄하게 구비되되, 상면 일측에 전자레벨기가 고정되는 고정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레벨기는 상기 고정홈(12)에 고정되거나,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의 상면(18)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레벨기를 통해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의 높이를 측정하며 상기 승강몸체부(10)를 회전시켜 기설계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의 높이가 기설계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로 조절되면, 상기 전자레벨기를 분리하고 콘크리트를 주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의 상면을 기준면으로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기설계된 타설 높이로 정확하게 주입할 수 있다.
이처럼, 앵커가 결합될 위치를 따라 상기 지지몸체부(20)를 설치하기만 하면, 철근 배근을 위한 별도의 철근 스페이서나 콘크리트 타설 높이 조절을 위한 별도의 레벨러가 없더라도 정확한 높이로 철근을 정렬 배치하고, 정확한 높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므로 시공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시공에 맞는 철근 스페이서, 레벨러 등을 준비하고 설치하는 과정 없이 앵커 배치에 맞게 지지몸체부(20)를 설치하기만 하면, 상기 승강몸체부(10)의 높이를 조절하여 각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시공을 위한 설계/준비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철근이 지지될 위치, 콘크리트 높이를 측정할 위치, 앵커가 설치될 위치 등 다양한 부분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고, 하나로 통일된 장치를 설치하여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고, 콘크리트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내부 삽입물을 최소화하여 시공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결합홈(16)의 하부에는 상기 앵커를 가이드하도록 하측으로 갈수록 확관되는 앵커유도부(17)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앵커유도부(17)는 상기 앵커결합홈(16)의 내주와 상기 체결부(10b)의 외주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앵커결합홈(16)이 육안으로 확인되지 않더라도 상기 앵커유도부(17)를 따라 앵커를 밀어 넣으면, 앵커의 단부가 상기 앵커결합홈(16)의 내부로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으므로 손쉬운 결합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승강몸체부(10)의 상부에는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c)와의 경계부를 밀폐하는 차수 덮개부(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차수 덮개부(30)는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의 하면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수 덮개부(30)는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의 상면이 상기 콘크리트(c)의 외부로 노출되어 레벨러로 사용될 때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위치가 상하수도 배관 등이 위치된 부엌이나 욕실 등 누수 발생 영역인 경우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수 덮개부(30)는 방수 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무나 실리콘, 벤토나이트(bentonite)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벤토나이트 소재로 구비된 차수 덮개부(30)는 누수가 발생된 경우 팽창하며 상기 콘크리트와의 경계부를 더욱 정확하게 밀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레벨링지지부(10a)가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측정하는 경우에 상기 레벨링지지부(10a)는 상기 콘크리트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레벨링지지부(10a) 사이의 경계부는 누수에 취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와 상기 레벨링지지부(10a) 사이로 수분이 유입된 경우에 상기 레벨링지지부(10a)가 부식되어 쉽게 파손될 수 있으므로 상기 앵커 및 앵커에 설치된 구조물에 대한 지지력이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콘크리트의 내부로 유입된 수분은 경화된 콘크리트 입자 사이의 결합력을 감소시켜 균열을 발생시키고 기발생된 균열은 쉽게 내부로 전파되어 건축물의 내구성을 저하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수 덮개부(30)는 상기 레벨링지지부(10a)와 상기 콘크리트 사이의 경계부를 밀폐하여 수분 침투를 방지하므로 시공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전술된 상기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100)를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에 차수용 덮개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에 철근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 시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데크플레이트(d)가 설치되면, 앵커가 배치될 각 지점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 데크플레이트(d)의 천공(h) 테두리를 따라 상기 지지몸체부(20)를 배치 및 결합한 후 콘크리트(c)를 타설하게 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몸체부(20)가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레벨링지지부의 상면(18)에 전자레벨기(미도시)를 배치하고, 전가레벨기를 통해 측정된 높이가 기설계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와 대응되도록 상기 승강몸체부(10)를 회전하여 상기 레벨링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벨링지지부의 높이가 조절되면, 상기 레벨링지지부에서 전자레벨기를 분리하고 상기 레벨링지지부의 상부에 상기 차수용 덮개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수용 덮개(30)는 상기 콘크리트(c)와 상기 레벨링지지부 사이를 밀폐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c)의 상부에 누수가 발생될 수 있는 욕실이나 부엌, 상하수시설 등에서 수분이 콘크리트 내부로 유동되어 콘크리트의 강성을 저하시키고 균열을 발생시키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벨링지지부의 상면(18)을 기준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할 수 있다. 주입된 콘크리트(c)가 경화되면, 상기 천공(h)을 통해 상기 데크플레이트(d)의 하부로 돌출된 상기 체결부(10b)의 앵커결합홈(16)에 앵커(a)를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장치로 앵커 인서트 및 레벨러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시공 설계 및 준비가 단순화됨에 따라 시공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몸체부(10)는 기설계된 콘크리트(c) 타설 높이에 대응되는 철근 배치 높이로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벨링지지부의 와이어삽입홀(11)에 철근결속 와이어(w)를 삽입하여 철근(s)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거푸집에 상기 콘크리트(c)를 주입하여 양생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c)의 두께 맞는 위치로 상기 철근(s)을 정확하게 정렬 배치하여 콘크리트(c) 내부에 매설할 수 있다. 이처럼, 하나의 장치로 앵커 인서트 및 철근 스페이서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부(20)가 금속 재질로 구비된 경우에 상기 플랜지부(22)는 용접(t)을 결합수단으로 하여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몸체부(20)는 상기 천공(h)의 테두리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22)와 상기 데크플레이트 사이의 경계부가 용접됨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22)와 상기 데크플레이트(d) 사이의 경계부가 용접에 의해 견고하고 정확하게 밀착 결합되어 상기 플랜지부(22) 및 상기 데크플레이트(d) 사이의 콘크리트 누설이 예방될 수 있으며, 누설된 콘크리트에 의한 데크플레이트의 오염이 방지될 수 있어 시공의 품질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콘크리트 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d)가 설치되면, 앵커(a)가 배치될 각 지점에 천공을 형성하고, 각 천공의 테두리에 상기 지지몸체부를 고정하여 상기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때, 각 지점별로 배치된 장치 중 일부(k)는 레벨러의 기능을 수행하며, 기설계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까지 승강몸체부(10)를 승강시켜 레벨링지지부의 상면을 타설 기준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지점별로 배치된 장치 중 나머지(g)는 철근 스페이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콘크리트 타설 높이에 대응되는 철근 배근 높이까지 승강몸체부(10)를 승강시켜 레벨링지지부에 철근을 결합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처럼, 앵커가 배치될 각 지점에 상기 지지몸체부(20)를 설치하고 수행할 기능에 맞게 승강몸체부(10)를 승강시켜, 각 지점별로 철근 스페이서나 레벨러로 호환 사용될 수 있으므로, 한종의 장치로 시공 일체를 수행할 수 있어 시공 설계 및 준비가 단순화될 수 있어 제품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철근 스페이서, 레벨러, 인서트 등의 여러 장치를 별도로 보관하고, 시공시마다 각 장치를 필요한 만큼 준비하며, 부족한 장치는 개별적으로 구매하여 조달하는 등 번거로운 절차를 제거함으로써 한종의 장치만 구비하여 시공 상황에 따라 호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드릴부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 및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200)는 드릴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릴부(240)는 상기 중공체결홀(221)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240b)와, 상기 결합부(240b)의 하부에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데크플레이트(d)를 타공하는 절삭날부(240a)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결합부(240b)는 상기 중공체결홀(221)의 하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체결홀(221)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타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중공체결홀(221)의 내측으로 나사 결합되며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삭날부(240a)는 상기 결합부(240b)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시 상기 데크플레이트(d)를 타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삭날부(240a)의 절삭방향(e)과 상기 결합부(240b)의 나사 결합방향(f)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삭날부(240a)가 절삭을 위해 회전되는 방향은 상기 결합부(240b)가 상기 중공체결홀(221)에 삽입되도록 나사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일방향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절삭날부(240a)가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240b)가 상기 중공체결홀(221)에서 풀려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절삭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몸체부(220)의 외주 상단에는 드릴척(b)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물림되는 드릴물림부(22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드릴물림부(224)는 상기 드릴척(b)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다각단면으로 구비되거나 D컷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릴물림부(224)는 상기 드릴척(b)의 회전력을 상기 드릴부(240)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릴척(b)은 전동 드릴몸체의 단부에 구비되되, 나사 조임 등에 의해 벌어지거나 다물어지며 다양한 형상의 드릴을 물어 고정하며, 전동 드릴몸체 내부의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드릴로 전달하는 일반적인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드릴부(240)는 상기 지지몸체부(220)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데크플레이트(d)의 앵커 결합지점에 접촉되고, 회전력을 가하면 상기 데크플레이트(d)를 절삭하여 타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222)가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접촉되면 회전을 중지하고, 상기 플랜지부(222)를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 후, 드릴부(240)를 분리하고, 상기 지지몸체부(220)의 상부에 승강몸체부를 결합하여 레벨러 혹은 철근 스페이서의 용도에 맞게 높이를 조절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지지몸체부(220)의 중공체결홀(221)과 상기 데크플레이트(d)에 기형성된 천공을 정렬하여 상기 플랜지부(22)를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드릴부(240)를 통해 천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중공체결홀(221)이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랜지부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돌출부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부(322)의 하부에는 상기 데크플레이트(d)의 천공(h)에 삽입되도록 상기 중공체결홀(321)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돌출부(32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출부(323)는 상기 지지몸체부(320)의 중공체결홀(321)과 상기 데크플레이트(d)의 천공(h)을 정렬할 때, 상기 천공(h)의 내측로 삽입되어 걸림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랜지부(322)와 상기 데크플레이트(d)의 결합시 상기 지지몸체부(320)가 이동되어 상기 천공(h)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공(h) 및 상기 중공체결홀(321)의 정렬시 육안으로 각 타공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더라도 상기 가이드돌출부(323)가 상기 천공(h)에 삽입되는 걸림되는 고정감을 통해 정렬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콘크리트 양생 후 앵커를 결합할 때 상기 가이드돌출부(323)가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하부로 돌출되어 앵커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종래의 인서트 a: 앵커
c: 콘크리트 m: 거푸집
w: 철근결속 와이어 s: 철근
d: 데크플레이트 p: 철판피스
b: 드릴척 h: 천공
100,200,300: 인서트장치 10: 승강몸체부
10a: 레벨링지지부 10b: 체결부
11: 와이어삽입홀 12: 고정홈
13: 하중보강부 14: 나사부
15: 스토퍼부 16: 앵커결합홈
20,220,320: 지지몸체부 21,221,321: 중공체결홀
22,222,322: 플랜지부 30: 차수용 덮개
240: 드릴부

Claims (5)

  1. 콘크리트가 타설 및 결합되는 데크플레이트의 앵커 배치지점을 따라 형성된 천공의 테두리에 고정되되, 상기 천공과 연통되도록 내부를 관통하는 중공체결홀이 형성되는 지지몸체부; 및
    상기 중공체결홀에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되도록 나사 결합되되 상기 천공보다 좁은 직경으로 구비되며 내부에 앵커결합홈이 형성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일체로 돌출된 레벨링지지부를 포함하는 승강몸체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길이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두께 및 상기 지지몸체부의 높이의 합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의 하단부는 상기 천공을 관통하여 상기 데크플레이트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부의 하단부 외주에는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설되는 플랜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체결홀 내주의 나사산에 결합되도록 상기 체결부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지지몸체부의 상단 테두리에 걸림되어 나사결합을 구속하는 스토퍼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지지부는 외주부에 철근결속 와이어가 삽입 및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와이어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레벨링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측정하도록 평탄하게 구비되며,
    상기 승강몸체부의 상부에는 수분을 흡수하여 팽창됨에 따라 상기 콘크리트와의 경계부를 밀폐하는 차수 덮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체결홀의 하부에 착탈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데크플레이트를 타공하는 절삭날부를 포함하는 드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몸체부의 외주 상단에는 드릴척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물림되는 드릴물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20140039758A 2014-04-03 2014-04-03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1426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758A KR101426499B1 (ko) 2014-04-03 2014-04-03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IN3674MU2014 IN2014MU03674A (ko) 2014-04-03 2014-11-19
CN201410669440.6A CN104975717A (zh) 2014-04-03 2014-11-20 混凝土注入用复合插入装置
EP14194181.5A EP2927382A1 (en) 2014-04-03 2014-11-20 Multiple cast-in insert apparatus for concrete
US14/548,368 US9169662B1 (en) 2014-04-03 2014-11-20 Multiple cast-in insert apparatus for concrete
JP2014236469A JP5792880B1 (ja) 2014-04-03 2014-11-21 コンクリート打込用複合インサート装置
PCT/KR2015/002559 WO2015152537A1 (ko) 2014-04-03 2015-03-17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758A KR101426499B1 (ko) 2014-04-03 2014-04-03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499B1 true KR101426499B1 (ko) 2014-08-05

Family

ID=5174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758A KR101426499B1 (ko) 2014-04-03 2014-04-03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4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784A (ja) 1998-05-11 2000-02-02 Masashi Ichimura インサート兼用スペーサー
KR100447474B1 (ko) 2004-01-28 2004-09-14 주식회사 에스. 씨. 엠 단열재용 인서트
JP2008075396A (ja) 2006-09-22 2008-04-03 Mirai Ind Co Ltd インサート
JP2010270495A (ja) 2009-05-21 2010-12-02 Shimizu Corp インサ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784A (ja) 1998-05-11 2000-02-02 Masashi Ichimura インサート兼用スペーサー
KR100447474B1 (ko) 2004-01-28 2004-09-14 주식회사 에스. 씨. 엠 단열재용 인서트
JP2008075396A (ja) 2006-09-22 2008-04-03 Mirai Ind Co Ltd インサート
JP2010270495A (ja) 2009-05-21 2010-12-02 Shimizu Corp インサー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2880B1 (ja) コンクリート打込用複合インサート装置
KR101565467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TWI634250B (zh) 人孔蓋偵測定位裝置及其安裝方法與施工方法
JP6393350B2 (ja) 既存用水路の補修工法
CN105040743B (zh) 地下结构后浇带可拆卸式换撑方法及结构
CN106460403A (zh) 扶手套件,扶手系统和安装方法
KR101426500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GB2527541A (en) An access cover assembly and methods of its installation and manufacture
KR101425511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1426497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1426499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20110007887A (ko) 지주 고정용 기초틀
KR101426498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JP6067425B2 (ja) 床版水抜き管及び該床版水抜き管を使用する橋面排水システム施工方法
KR101462370B1 (ko) 강관을 이용한 지하 터널 구조물의 토압 지지대 설치 구조
JP4981629B2 (ja) 路面補修方法
KR102184769B1 (ko) 자력식 매입형 앵커 및 그 시공방법
JP2014169577A (ja) 杭と上部構造物との接合構造
JP3037129U (ja) グラウトパイプ取付け装置
KR20110104629A (ko) 케이싱 설치 가이드 판 및 이를 이용한 말뚝시공방법
JP2007218072A (ja) マンホール
CN211621686U (zh) 一种可稳定安装的检查井
KR200354124Y1 (ko) 구조물 고정 플레이트
JP3270603B2 (ja) アンカーボルト取付方法
JP5725330B2 (ja) ケーソンおよび基礎杭へのケーソン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