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7319A - 천장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천장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7319A
KR20240027319A KR1020220105400A KR20220105400A KR20240027319A KR 20240027319 A KR20240027319 A KR 20240027319A KR 1020220105400 A KR1020220105400 A KR 1020220105400A KR 20220105400 A KR20220105400 A KR 20220105400A KR 20240027319 A KR20240027319 A KR 20240027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ceiling
support device
ceiling suppor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김명환
최영복
유희성
박옥배
Original Assignee
(주)디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앤에프 filed Critical (주)디앤에프
Priority to KR1020220105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7319A/ko
Publication of KR20240027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731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57Longitudinally-externally threaded elements extending from the concrete or masonry, e.g. anchoring bolt with embedded hea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는, 천장에 마련되는 슬리브를 관통하여 슬리브 상단에 노출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양생부 및 상기 양생부 하단으로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양생부는, 외곽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는 콘크리트 수용홈을 마련하여, 상기 콘크리트 수용홈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하여 고정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장 지지장치 {Ceiling frame support}
본 발명은 천장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천장의 판재를 고정하기 위한 시공 작업을 간소화하고, 천장 구조물 고정 시공시, 천장 구조물의 상부에 형성되는 슬리브에 볼팅식으로 고정되는 지지장치가 아닌, 상부에 위치한 슬리브에서 양생되는 시멘트로 하여 콘크리트가 가진 고정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천장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 판재는 천장 슬리브의 하부에 결합되어 단열 및 방음 역할을 함과 동시에 천장의 판넬 혹은 건물 내부의 천장에 구비되는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며, 천장 판재를 신속하게 고정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천장 지지장치는, 콘크리트가 준공되어 양생된 후, 상기 양생된 콘크리트에 볼트로 고정시키는 천장 지지장치를 체결한 후, 상기 콘크리트에 볼트로 고정시키는 부분의 반대편 단부에 천장을 이루는 판재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공되어 왔다.
그 예로, 한국 공개 실용신안 2000-0000077호 '천장 고정구'와, 한국 공개특허 10-2011-0120043호 '일체형 볼트 너트에 의한 경량철골 시공방법'과, 한국등록실용신안 20-0162756호 '천장 판재 고정구'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시공 방법은, 콘크리트가 양생된 천장의 슬리브에 볼팅하는 방식으로 인해 시공 후, 콘크리트에 미세 균열을 형성할 수 있고, 시공자의 미숙된 작업으로 인해 천장 지지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콘크리트를 천공하는 면적과 범위에 오차가 발생될 경우, 콘크리트에 커다란 균열을 형성하여 건물의 바닥이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상술한 천장 지지장치를 이용한 천장 시공 공법은, 천장 슬리브의 수평이 균일하지 않을 경우, 천장이 일측 소정 각도로 기울어 지거나, 평평한 천장을 설치하는데 있어, 각도를 통일화 시키는 것에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에 볼트 구멍을 천공하여 매설하지 않고, 신속/간편하며, 평평한 기준을 맞출 수 있는 천장 지지장치에 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장 지지장치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콘크리트에 볼트 구멍을 천공하여 결합하는 구조가 아닌, 콘크리트가 양생되며 가지는 콘크리트 자체의 고정력으로 천장의 지지프레임을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천장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는, 천장에 마련되는 슬리브를 관통하여 슬리브 상단에 노출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양생부 및 상기 양생부 하단으로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양생부는, 외곽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는 콘크리트 수용홈을 마련하여, 상기 콘크리트 수용홈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하여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생부는, 상기 양생부의 하단에 마련되되, 양생부가 관통한 슬리브의 하면과 맞닿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양생부 타격부 및 상기 양생부가 관통한 슬리브의 상면과 맞닿으며, 상기 양생부 타격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양생부의 둘레를 따라 외곽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양생부 타격부와 체결돌기의 간격은, 양생부와 결합되는 슬리브의 두께와 상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지지장치는, 슬리브와 결합되는 트러스 거더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천장 지지장치는, 천장 판넬이 고정되는 고정체로서, 양생부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의 반대편 단부에 구비되는 천장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생부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양생부 중공홀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양생부가 삽입되는 단부로부터, 반대편의 단부까지 상기 양생부 중공홀과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양생부 중공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제 1 분할 프레임 및 제 2 분할 프레임으로 분단되고, 제 1 분할 프레임 및 제 2 분할 프레임은, 심부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연장 수단에 의해 이격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생부는, 양생부를 측방으로 확장, 축소시키는 양생부 확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양생부 확장 수단은, 확장 볼트가 삽입되는 확장부 커버; 상기 확장부 커버의 외곽 둘레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제 1 확장 플레이트부; 상기 제 1 확장 플레이트부의 단부와 양생부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제 2 확장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확장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확장 볼트 삽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양생부 확장 수단을 상기 확장 볼트의 조절에 의해 확장 및 축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지지장치는, 타측 천장 지지장치와 연동되어 천장 지지장치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고정력 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력 형성부는,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며, 와이어를 인, 출입시키는 권취 수단 및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며, 걸림부 고정홀이 형성된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단부에 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걸림부 고정홀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되, 타측 천장 지지장치의 걸림부 고정홀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생부는, 양생부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이루며 형성된 제 1 가이드 홈; 상기 제 1 가이드 홈의 단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된 제 2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홈의 길이를 따라 삽입되는 가이드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지지장치는, 천장의 내부에 내장되는 전선 또는 수도관이 수용되는 내장 케이블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장 케이블 수용부는, 수용되는 수도관의 동파 방지를 위한 발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양생부는, 콘크리트에 타설되는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어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양생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생부는, 콘크리트에 타설되는 양생부 둘레에서 일정한 패턴 또는 임의의 패턴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양생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는, 콘크리트에 볼팅 결합시키는 것이 아닌, 콘크리트가 가진 자체의 고정력으로 인해 천장 지지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체결홀 없이 효과적을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볼팅 결합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콘크리트에 볼트 구멍을 뚫는 작업이 생략되어, 천장 지지장치를 시공하는데 필요한 시간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는, 별도의 앙카를 포함하지 않은 상태로 형성되어, 천장을 준공하는데 필요한 건축 자재의 가지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는, 별도의 앙카를 포함하지 않아, 천장을 준공하는데 선행되어야할 앙카 설치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는, 지지프레임의 높낮이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천장의 수평을 맞추고, 천장 높이의 기준을 설정하는데 있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도 1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2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의 분해도 및 양생부의 내부 투영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고정부가 결합된 천장 지지프레임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가 천장에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생부 중공홀과 양생부 중공부를 포함하는 천장 지지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생부 중공홀과 양생부 중공부를 포함하는 천장 지지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제 1 분할 프레임 및 제 2 분할 프레임으로 분단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천장 지지프레임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의 (a) 및 (b) 는, 제 1 분할 프레임, 제 2 분할 프레임, 연장 수단을 구비하여 천장 지지프레임의 길이가 가변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9 는 양생부 확장 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생부 확장 수단의 분해도이다.
도 11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생부 확장 수단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12 는 고정력 형성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3 은 가이드 체결부가 형성된 천장 지지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4 는 가이드 체결부가 양생부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내부 투영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장 케이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천장 지지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6 은 내장 케이블 수용부와 천장 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천장 지지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7 의 (a) 및 (b) 는 내장 케이블 수용부가 열리고 닫히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8 의 (a) 내지 (d)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생 돌기부가 구비된 양생부의 예시도이다.
도 19 의 (a) 내지 (c)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생 함몰부가 구비된 양생부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1)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1 내지 19 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본다.
먼저, 도 1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2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의 분해도 및 양생부의 내부 투영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고정부가 결합된 천장 지지프레임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가 천장에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1)는, 양생부(100), 지지프레임(2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양생부(100)는, 콘크리트(C)가 양생되는 천장의 슬리브(S)에 위치하여, 콘크리트(C)를 구성하기 위한 시멘트가 슬리브(S)에 타설될 시, 함께 파묻힌 상태로 시멘트가 양생되어 고정력을 갖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생부(100)는, 콘크리트 수용홈(101)과, 양생부 타격부(102)와, 삽입구(1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수용홈(101)은,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부(100)의 외곽 둘레에서 띠의 형상을 이루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양생부(100)가 시공시 돌출된 상태로 콘크리트(C)에 의해 묻혔을시, 콘크리트 수용홈(101)에 시멘트가 용이하게 침투하여, 양생부(100)를 단단히 고정시켜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양생부 타격부(102)는, 양생부(10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생부 타격부(102)는, 양생부(100)를 천장의 슬리브(S)에 쉽게 박아넣을 수 있도록 타격하거나 가압시키도록 마련된 구성이다.
이때, 상기 양생부 타격부(102)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부(100)의 원주 둘레에서 평평한 면을 가진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작업자가 망치와 같은 타격수단으로 쉽게 때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판이 아닌 다각형의 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양생부(100)에는, 콘크리트(C)를 구성하는 시멘트가 타설되기 전, 슬리브(S)와 임시적인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 1 의 (b)와, 도 2 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부(100)의 외부 원주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돌출되는 체결돌기(10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의 (b) 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체결돌기(104)는, 상술한 양생부 타격부(102)가 마련된 양생부(100)의 최 하단부에서, 슬리브(S)의 두께와 상응하는 간격의 높이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 예를 들어 상기 체결돌기(104)의 이용과 구비되는 목적을 설명하자면, 작업자가 양생부(100)를 슬리브(S)의 후방에 위치시킨 후, 양생부 타격부(102)로 하여 슬리브(S)의 방향으로 강한 압력을 가할 경우, 양생부(100)가 슬리브(S)에 체결되게 되는데, 이때, 양생부(100)의 표면이 단순히 매끈한 면을 가지도록 구비될 경우, 양생부(100)가 중력에 의해 슬리브(S)의 하방으로 탈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결돌기(104)가 형성된 양생부(100)의 경우, 슬리브(S)를 아래 위로 맞물리고 있는 체결돌기(104)와 양생부 타격부(102)의 형태로 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삽입구(103)는, 상기 지지프레임(200)을 삽입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며, 지지프레임(200)은 양생부(100)의 몸체 내부로 소정 깊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200)을 양생부(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0)에 나사산(P)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산(P)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200)을 볼트 체결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술한 결합 방식은, 바람직한 일 실시 예일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닌, 양생부(100)와, 지지프레임(200)을 연결하며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슬리브(S) 상단으로 양생된 콘크리트(C)에 의해 고정된 상기 양생부(100)와 결합하여 수직으로 길이방향을 형성하는 프레임이며, 프레임의 끝단부에는 천장 구조물과의 결합을 통하여 천장 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천장 구조물이란, 건물 내부의 천장을 이루는 판넬 혹은 전선 케이블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같은, 건물 내부의 천장에 구비되는 시설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200)의 길이로 인해 형성되는 천장 슬리브와 천장 구조물 사이의 공간에는 전선, 케이블, 수도관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상기 천장 지지장치(1)가 천장 판넬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장치로 이용될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1)는, 천장 고정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장 고정부(300)는, 천장 판넬을 고정하는 고정체로서 양생부(100)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00)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천장 고정부(300)는, 천장을 이루는 판넬을 고정할 수 있도록, 천장 판넬이 얹혀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는 천장 판넬 고정부(3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장 판넬 고정부(301)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고정부(300)에 형성되되, 지지프레임(200)과 맞닿는 면에 형성되며, 천장 고정부(300)의 원주 둘레에서 평평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술한 천장 고정부(300)는, 천장 판넬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일 실시 예일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천장 고정부(300)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00)의 단부가 천장 판넬을 파고드는 삽입 볼트의 형상으로 변형되어, 천장 고정부(300)의 구성을 생략한 채, 천장판넬을 지지프레임(200)에 직접 박아넣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천장 고정부(300)가, 지지프레임(200)과 볼팅 결합되되, 소정 면적을 가진 평평한 판으로 형성되어, 천장 판넬과, 상기 소정 면적을 가진 평평한 판을 함께 볼팅하는 방식으로 천장 판넬을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1)는, 천장의 상측, 즉, 슬리브(S)에서 정사각형의 간격을 가지도록 배열되어 양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리브(S)에는, 천장 지지장치(1)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양생부(100)가 꽂힐 수 있는 슬리브 홀(SH)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 에서 도시한 천장 지지장치(1)의 간격은, 천장 구조물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적인 형상으로, 천장 지지장치(1)의 배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슬리브(S)에서 다른 배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직사각형 배열 혹은 곡선의 배열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1)의 배열은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만 일정한 간격으로만 마련되면 무관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1)는, 도 4 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콘크리트(C)가 양생되는 방향에 위치한 슬리브(S)와 결합되는 트러스 거더(TG)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러스 거더(TG)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열의 상부철근과, 상부철근의 양측 하방으로 구비되는 2열의 하부철근과, 상부철근에 꼭지점이 접합되며 하부철근에 양 끝단이 접합되는 '∧'자 형태의 경사철근과, 경사철근에서 자립 가능하도록 연장되는 받침다리와, 받침다리를 연결하는 연결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1열의 상부철근과 2열의 하부철근은 삼각형 구조를 형성하며, 경사철근, 받침다리, 연결다리는 삼각형 구조의 상/하부 철근의 양측에 접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통해, 상기 트러스 거더(TG)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천장 지지장치(1)의 양생부(100)는, 작업자가 슬리브(S) 위를 이동하는 와중에도 슬리브(S)의 외부로 돌출된 양생부(100)가 트러스 거더(TG)에 의해 보호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생부 중공홀과 양생부 중공부를 포함하는 천장 지지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생부 중공홀과 양생부 중공부를 포함하는 천장 지지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프레임의 양생부(100)는, 양생부 중공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생부 중공홀(110)은, 양생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양생부 중공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생부 중공부(210)는, 상기 상술한 양생부(100)에 형성된 양생부 중공홀(110)에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생부 중공부(210)는, 상기 양생부(100)가 삽입되는 단부로부터, 천장 구조물이 결합되는 타단부까지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양생부(100)가 시공시 돌출된 상태로 시멘트가 타설되는 도중, 양생부(100)에 형성된 양생부 중공홀(110)로 하여 시멘트가 양생부(100)의 내부와 지지프레임(200)의 내부에 형성된 양생부 중공부(210)에 침투되어 양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1)의 내부에서 시멘트가 양생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1)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은 제 1 분할 프레임 및 제 2 분할 프레임으로 분단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천장 지지프레임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 의 (a) 및 (b) 는, 제 1 분할 프레임, 제 2 분할 프레임, 연장 수단을 구비하여 천장 지지프레임의 길이가 가변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7 과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의 지지프레임은, 제 1 분할 프레임(220), 제 2 분할 프레임(230), 지지프레임 연장 수단(2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분할 프레임(220)과 제 2 분할 프레임(230)은, 서로 상응하는 직경을 가진 상태로 지지프레임(200)이 분할되어 형성되는 프레임이다.
또한, 상기 제 1 분할 프레임(220)과 제 2 분할 프레임(230)은, 지지프레임 연장 수단(240)을 내부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 연장 수단(240)은, 상기 상술한 제 1 분할 프레임(220)과 제 2 분할 프레임(230)에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프레임 연장 수단(240)을 이용한 제 1 분할프레임(220)과 제 2 분할 프레임(230)의 구체적인 사용 예를 들자면, 작업자가 천장 지지장치(1)의 총 길이를 변화시켜, 천장 슬리브와 천장 구조물 사이의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지지프레임 연장 수단(240)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제 1 지지프레임(220)과, 제 2 지지프레임(23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서, 도 8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지지장치(1)의 길이를 수축시키거나, 도 8 의 (b)와 같이 확장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길이 가변이 가능한 천장 지지장치(1)로 하여, 천장 슬리브와, 천장 구조물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는 양생부 확장 수단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생부 확장 수단의 분해도이며, 도 11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생부 확장 수단의 작동 예시도이다.
이하, 도 9 내지 11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생부 확장 수단(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1)는, 양생부 확장 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양생부 확장 수단(400)은, 양생부(100)를 측방으로 확장, 축소시킴으로서, 양생부(100)가 시멘트에 타설되는 면적을 조절하도록 하여, 더욱 강한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생부 확장 수단(400)은, 확장부 커버(420), 확장 볼트(410), 제 1 확장 플레이트부(430), 제 2 확장 플레이트부(44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00)은, 확장 볼트 삽입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확장부 커버(420)는, 확장 볼트(410)가 삽입될 수 있는 확장 볼트 삽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 커버(420)는, 도 9 내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이후 서술할 제 1 확장 플레이트(430)와, 상기 제 1 확장 플레이트(430)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제 2 확장 플레이트부(440)를 원활히 동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확장부 커버(420), 제 1 확장 플레이트부(430), 제 2 확장 플레이트부(440)는, 확장 볼트(410)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확장 플레이트부(430)와 제 2 확장 플레이트부(440)는, 도 9 에 도시된 것처럼 평평한 면체의 다발이 확장부 커버(420)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인 예를 들자면, 도 11 의 (a)의 형상은, 흔히 이용되고 있는 우산을 상하로 대칭시켜 고정시킨 모습이며, 상기 대칭되어 있던 우산을 펼치게 되면, 우산에 구비된 우산살이 도 11 의 (b)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확장 플레이트부(430)와 제 2 확장 플레이트부(440)의 형상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면체 다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일 뿐, 제 1 확장 플레이트부(430)와 제 2 확장 플레이트부(440)가 회동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형상이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술한 구성들인 확장부 커버(420), 제 1 확장 플레이트부(430), 제 2 확장 플레이트부(440)는, 확장 볼트(410)의 체결에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성들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수단이 힌지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양생부 확장 수단(400)에 구비된 확장 볼트(410)를 조이고 풀어냄으로서, 양생부 확장 수단(400)의 확장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장부 커버(420)는, 최대한 원형의 형상과 가까운 형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상술한 제 1 확장 플레이트(430)와, 상기 제 1 확장 플레이트(430)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제 2 확장 플레이트부(440)의 개체 수를 최대한 확장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1 확장 플레이트(430)와, 제 2 확장 플레이트부(440)의 개체 수가 많아질수록, 보다 넓은 표면적으로 하여, 양생부가 더욱 강한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로써, 상기 제 1 확장 플레이트부(430)와, 제 2 확장 플레이트(440)부가 도 11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으로 확장될 경우, 시멘트가 수용될 수 있는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중공부에 시멘트가 타설되어 단단한 콘크리트로 양생될 시, 확장된 양생부 확장 수단(400)에 의해 더욱 강한 고정력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는 고정력 형성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1)는, 타측에 구비되는 천장 지지장치와 연동되어, 천장 지지장치(1)의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고정력 형성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력 형성부(500)는, 권취 수단(510), 와이어 고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 수단(510)은, 지지프레임(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와이어(W)를 인, 출입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W)는, 와이어(W)가 인출되는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고정부(520)는, 상기 와이어(W)의 단부에 구비된 걸림부(540)를 체결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걸림부 고정홀(5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술한 권취 수단(510)과 와이어 고정부(520)의 위치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2 에 도시된 권취 수단(510)과 와이어 고정부(520)의 위치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수단(510)이 와이어 고정부(520)의 상측에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지지프레임(200)의 길이방향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변형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수단(510)과 와이어 고정부(520)의 위치를 교차되도록 하여, 와이어(W)가 상, 하로 교차되며 트러스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하나, 이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일 뿐, 권취 수단(510)과 와이어 고정부(520)가 구비되는 위치를 수평면으로 하여, 일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예는, 천장 지지장치(1)의 타측에 구비되는 천장 지지장치(1')에 와이어(W)를 결합시킴으로서, 천장 구조물의 상부에 위치되는 천장 지지장치가 서로를 구속 및 지지하도록 하여, 천장 구조물을 지지하는 천장 지지장치(1)의 고정력과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프레임(200)은, 상기 상술한 권취 수단(510)과, 와이어 고정부(520)가 지지프레임(200)에 결합될 때, 나사산(P)의 구성이 일부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프레임(200)에 구비되는 나사산(P)은, 양생부(100)와, 천장 구조물이 지지프레임(200)의 나사산과 볼팅 결합될 수 있도록 양쪽 끝단부에만 소정길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지프레임(20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나사산(P)이, 양생부(100)가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00)의 단부에서 천장 구조물이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00)의 단부 끝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경우, 형성된 나사산(P)에 의해 상기 권취 수단(510)과 와이어 고정부(520)를 결합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 13 은 가이드 체결부가 형성된 천장 지지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14 는 가이드 체결부가 양생부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내부 투영도이다.
도 13 내지 도 1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1)의 양생부(100)는, 제 1 가이드 홈(270) 및 제 2 가이드 홈(280)을 포함하고, 지지프레임(200)은, 가이드 체결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가이드 홈(270)은, 양생부(100)에 형성된 지지프레임 삽입구의 원주 둘레로부터, 양생부(100)의 내부 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가이드 홈(280)은, 상기 제 1 가이드 홈(270)의 단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200)은, 지지프레임(200)이 이루는 외부면의 원주 둘레를 따라,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체결부(260)가 일정거리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200)을 양생부(100)에 형성된 지지프레임(200) 삽입구에 꽂아 넣을 때,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측방에 구비된 가이드 체결부(260)를 양생부(100)에 구비된 제 1 가이드 홈(270)의 단부까지 꽂아 넣는다.
그 후, 지지프레임(200)을 돌림으로서, 제 1 가이드 홈(270)에 끼워져있던 가이드 체결부(260)를 제 2 가이드 홈(280)의 단부까지 돌려 결합시킨다.
즉, 제 1 내지 제 2 가이드 홈(270, 280)은, 양생부(100) 내측 둘레를 기준으로 'ㄴ' 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 14 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생부(100)는, 앞서 상술한 제 2 가이드 홈(280)의 단부에서 지지프레임 삽입구 외측 방향으로 수직되어 이루어진 제 3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제 1 내지 제 3 가이드홈이 양생부(100) 내측 둘레를 기준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지지프레임(200)이 양생부(100)에 끼워 맞춤되어 결합될 시, 작업자의 작업 실수로 지지프레임(200)이 회전하게 되어, 양생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과정으로 체결된 천장 지지장치(1)를 다시 분해하고자 한다면,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분해 가능하다.
앞서 상술한 실시 예는, 천장 지지장치(1)의 분해와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천장 지지장치(1)를 시공함에 있어, 간편한 끼워 맞춤 방식으로 시공시 발생되는 시간적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장 케이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천장 지지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16 은 내장 케이블 수용부와 천장 지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천장 지지장치의 예시도이며, 도 17 의 (a) 및 (b) 는, 내장 케이블 수용부가 열리고 닫히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1)는, 내장 케이블 수용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장 케이블 수용부(600)는, 지지프레임(20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6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프레임(200)은, 상술한 내장 케이블 수용부(600)가 결합되기 위한 내장 케이블 수용부 수용홈(29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장 케이블 수용부(600)는, 천장의 내부에 내장되는 전선 케이블 또는 수도관이 수용될 수 있는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선 케이블 또는 수도관이 관통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중공부(H)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장 케이블 수용부(600)는,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630) 및 여닫이를 위한 힌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내장 케이블 수용부(600)에 구비된 손잡이(630)를 이용하여, 내장 케이블 수용부(600)를 개방하고, 전선 케이블 또는 수도관을 내장 케이블 수용부의 중공부(H)에 삽입시킨 후, 다시 닫음으로서, 천장 구조물 혹은 천장을 이루는 판넬의 상부에서 늘어지는 전선 혹은 수도관이 없이 깨끗한 상태로 마무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장 케이블 수용부(600)와 지지프레임(200)의 결합 방식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 맞춤식으로 결합 방식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내장 케이블 수용부(600)를 지지프레임(200)의 소정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방식(볼팅, 용접, 핀 결합)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장 케이블 수용부(600)는, 열선 혹은 냉각수 공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상술한 수도관이 내장 케이블 수용부(600)로 하여 고정될 시, 겨울철 수도관 내부의 물이 얼어 붙음으로서,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사계절 내장 케이블 수용부(600)로 고정된 고압 전선들에 예기치 못한 열이 발생할 경우, 고압 전선의 온도를 낮춰 줌으로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18 의 (a) 내지 (d)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생 돌기부가 구비된 양생부의 예시도이다.
도 1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1)의 양생부(100)는, 시멘트에 타설되는 양생부(100)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양생 돌기부(9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8 및 도 12 내지 도 17 을 함께 살펴보며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생부(100)는, 주로 원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외곽의 둘레에 소정 깊이 함몰된 콘크리트 수용홈(101)이 형성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 18 의 (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부(100)에 형성된 콘크리트 수용홈(101)이 형성됨과 동시에, 양생부(100)의 외면에 보조 콘크리트 수용홈(7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양생부(100)가 시멘트에 타설되었을 때, 콘크리트 수용홈(101) 뿐만이 아닌,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보조 콘크리트 수용홈(710)을 포함하는 양생부(710)로 하여, 시멘트와 양생부(100)가 맞닿는 표면적을 더욱 확장시킴으로서 고정력 및 지지력을 더욱 보강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양생부(100)는, 반드시 원통형의 몸체가 아닌, 도 18 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형상(720)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양생부(100)는, 도 18 의 (c), (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부가 반구형의 형태를 갖되, 외부에 돌기부 및 양생침(730, 74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돌기부 및 양생침(730, 740)을 구비한 양생부(100)가 시멘트의 내부에서 양생되어 고정될 때, 표면에 형성된 돌기부 및 양생침(730, 740)으로 하여, 시멘트와 양생부가 맞닿는 표면적의 범위를 더욱 넓게 형성함으로서, 천장 지지장치(1)의 더욱 강한 지지력으로 양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도 19 의 (a) 내지 (c)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생 함몰부가 구비된 양생부의 예시도이다.
도 1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생부는, 콘크리트(C)에 타설되는 양생부(100) 둘레에서 양생부(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패턴 또는 임의의 패턴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양생 함몰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생 함몰부(950)는, 도 19 의 (a) 와 같이 양생부(100)의 둘레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9 의 (b) 와 같이 나선 형태의 스파이럴 형상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19 의 (c) 와 같이 양생부(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층층이 함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1)는, 양생부(100)가 시멘트에 타설되었을 때, 콘크리트 수용홈(101) 뿐만이 아닌, 양생부(100)의 둘레에 함몰되도록 마련된 양생 함몰부(750)로 하여, 시멘트와 양생부(100)가 맞닿는 표면적을 더욱 확장시킴으로서 천장 지지장치(1)의 고정력 또는 지지력을 더욱 보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 1 내지 1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 지지장치(1)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천장 지지장치
100 : 양생부
101 : 콘크리트 수용홈
102 : 양생부 타격부
103 : 삽입구
104 : 체결돌기
110 : 양생부 중공홀
200 : 지지프레임
210 : 양생부 중공부
220 : 제 1 분할 프레임
230 : 제 2 분할 프레임
240 : 지지프레임 연장 수단
250 : 확장 볼트 삽입부
260 : 가이드 체결부
270 : 제 1 가이드 홈
280 : 제 2 가이드 홈
290 : 내장 케이블 수용부 수용홈
300 : 천장 고정부
301 : 천장 판넬 고정부
400 : 양생부 확장 수단
410 : 확장 볼트
420 : 확장부 커버
430 : 제 1 확장 플레이트부
440 : 제 2 확장 플레이트부
500 : 고정력 형성부
510 : 권취 수단
520 : 와이어 고정부
530 : 걸림부
540 : 걸림부 고정홀
600 : 내장 케이블 수용부
610 : 체결부
620 : 내장 케이블 수용부의 힌지
630 : 손잡이
710 : 보조 콘크리트 수용홈
720 : 다각형의 양생부
730 : 양생 돌기부
740 : 양생침
750 : 양생 함몰부
P : 나사산
C : 콘크리트
TG : 트러스 거더
S : 슬리브
SH : 슬리브 홀
W : 와이어
H : 중공부

Claims (11)

  1. 천장에 마련되는 슬리브를 관통하여 슬리브 상단에 노출되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양생부 및
    상기 양생부 하단으로 결합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양생부는,
    외곽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는 콘크리트 수용홈을 마련하여,
    상기 콘크리트 수용홈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로 하여 고정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부는,
    상기 양생부의 하단에 마련되되, 양생부가 관통한 슬리브의 하면과 맞닿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양생부 타격부 및
    상기 양생부가 관통한 슬리브의 상면과 맞닿으며, 상기 양생부 타격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양생부의 둘레를 따라 외곽 방향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양생부 타격부와 체결돌기의 간격은,
    양생부와 결합되는 슬리브의 두께와 상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지지장치는,
    슬리브와 결합되는 트러스 거더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지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부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양생부 중공홀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양생부에 삽입되는 단부로부터, 반대편의 단부까지 상기 양생부 중공홀과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양생부 중공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지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제 1 분할 프레임 및 제 2 분할 프레임으로 분단되고,
    제 1 분할 프레임 및 제 2 분할 프레임은,
    심부에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연장 수단에 의해 이격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지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부는,
    양생부를 측방으로 확장, 축소시키는 양생부 확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양생부 확장 수단은,
    확장 볼트가 삽입되는 확장부 커버;
    상기 확장부 커버의 외곽 둘레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제 1 확장 플레이트부;
    상기 제 1 확장 플레이트부의 단부와 양생부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제 2 확장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확장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확장 볼트 삽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양생부 확장 수단을 상기 확장 볼트의 조절에 의해 확장 및 축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지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지지장치는,
    타측 천장 지지장치와 연동되어 천장 지지장치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고정력 형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력 형성부는,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며, 와이어를 인, 출입시키는 권취 수단 및
    지지프레임에 구비되며, 걸림부 고정홀이 형성된 와이어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단부에 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걸림부 고정홀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되,
    타측 천장 지지장치의 걸림부 고정홀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지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부는,
    양생부의 높이 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이루며 형성된 제 1 가이드 홈;
    상기 제 1 가이드 홈의 단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된 제 2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제 1, 제 2 가이드 홈의 길이를 따라 삽입되는 가이드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지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지지장치는,
    천장의 내부에 내장되는 전선 또는 수도관이 수용되는 내장 케이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지지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부는,
    콘크리트에 타설되는 방향의 단부에 형성되어 콘크리트와의 결합력을 보강하는 양생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지지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부는,
    콘크리트에 타설되는 양생부 둘레에서 일정한 패턴 또는 임의의 패턴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양생 함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지지장치
KR1020220105400A 2022-08-23 2022-08-23 천장 지지장치 KR20240027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400A KR20240027319A (ko) 2022-08-23 2022-08-23 천장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400A KR20240027319A (ko) 2022-08-23 2022-08-23 천장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7319A true KR20240027319A (ko) 2024-03-04

Family

ID=9029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400A KR20240027319A (ko) 2022-08-23 2022-08-23 천장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273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06193A1 (zh) 一种预制墙板及其连接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383814B1 (ko) 강선사용 프리텐션 조적벽체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 보강방법
KR20180092677A (ko) 건축물 외장 마감재 고정구조
BG61621B1 (bg) Противоземетръсен ветроустойчив и пожароустойчив полуготовстроителен панел и конструкции, изградени с него
US9175492B2 (en) Wind generator tower and process for assembly thereof
KR101600679B1 (ko) 전단 소켓 앵커
KR20240027319A (ko) 천장 지지장치
JP6122740B2 (ja) 耐震補強構造体
CN211007029U (zh) 一种装配式建筑物用的钢缆拉紧墙面及其构筑物
KR100790019B1 (ko) 조적벽체 보강 공법
US6925769B2 (en) Concrete jar step insert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KR102130526B1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KR100904387B1 (ko) 교각 기초용 앵커볼트 위치고정구
US20110133145A1 (en) Fence columns, fences including such fence columns and related methods
KR200421510Y1 (ko) 조적벽체 보강에 사용되는 픽스 홀더
KR101424347B1 (ko) 신·구 콘크리트 접합용 전단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신·구 콘크리트 접합방법
KR200342718Y1 (ko) 유로폼 레이커 시스템
KR101919583B1 (ko) 자립형 pc 기둥 접합부
KR100947983B1 (ko) 관통슬리브용 고정구
JP4251367B2 (ja) 足場連結が可能な壁体、およびその足場
AU2014336964A1 (en) Building method and system
KR100642327B1 (ko) 조립식 인공암벽
KR200320198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CN216465270U (zh) 可折叠便携式预制梁养护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