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198Y1 -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 Google Patents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198Y1
KR200320198Y1 KR20-2003-0010401U KR20030010401U KR200320198Y1 KR 200320198 Y1 KR200320198 Y1 KR 200320198Y1 KR 20030010401 U KR20030010401 U KR 20030010401U KR 200320198 Y1 KR200320198 Y1 KR 200320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oupling
fastening
wall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용웅
Original Assignee
배용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용웅 filed Critical 배용웅
Priority to KR20-2003-00104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1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1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을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시공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일측의 연결부가 소정각도로 상하 유동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거푸집에 끼워진 연결대와 토류벽과의 위치가 일선상에 놓이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성이 용이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는, 거푸집에 설치된 연결구를 일측에 결합하여 토류벽과 거푸집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거푸집 고정구에 있어서, 중앙에 체결공(11)이 관통되고 이 체결공이 일단에 보조체결공(12)이 관통된 결합편(13)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일측으로 연장된 연결편(14)을 갖는 결합부(10)와; 상기 결합부의 연결편에 일측이 힌지핀(30)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단에는 다수개의 끼움공(21)이 형성된 연결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중앙에 체결공(11)이 관통되고 이 체결공이 일단에 보조체결공(12)이 관통된 결합편(13)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일측단으로 연장된 연결편(14)을 갖는 결합부(10)와; 상기 결합부의 연결편에 일측이 힌지핀(30)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단에는 볼트체결부(21a)가 형성된 체결부(20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CONCRETE FORM FIXING TOOL FOR UNDERGROUND BREAST WALL}
본 고안은 콘크리트 구조물 건축시에 지하 옹벽을 구축하기 위해 거푸집을 고정하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의 견고한 고정에 의해 콘크리트 압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공수를 감소시켜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볼트체결공을 양측에 대응지게 형성하고 이 볼트체결공의 일측에 각각 에비체결공을 형성하여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일측이 소정각도로 상하 유동되게 함으로써 거푸집과 토류벽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한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상에 건설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지하층을 건설하여야 하는 바, 이 지하층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하에 옹벽을 구축하여 지하층의 외벽을 형성한다.
이런, 옹벽은 토압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예방하는 벽체 구조물로써 벽 자체의 무게와 바닥면의 마찰력 등을 이용하여 안정을 유지하는 항토압 구조물이며, 벽에 작용하는 토압과 그 흙 위에 실린 하중, 지지력, 지반의 지지력 등을 조겅으로 하여 구조부재의 안정성과 벽 전체가 쓰러지거나 미끄러지는데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지하에 옹벽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반을 파서 H형빔을 옹벽이 형성되는 지주부분에 타설하고, 지하층의 확보된 넓이의 지반을 파내려 가면서 각목을 수평으로 끼워 조립함으로써, 토사의 붕괴를 막아주는 토류벽을 형성한 다음, 상기 거푸집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거푸집을 고정구로 고정한 후, 토류벽과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을 형성한다.
상기 거푸집과 토류벽과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각목 등을 거푸집과 토류벽사이에 끼워 넣거나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거푸집과 토류벽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상기 거푸집과 토류벽 사이에 장입한, 각목이 빠져 나가거나 하여 거푸집이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구축된 옹벽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하고 배부름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옹벽의 외부면이 일정면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실용신안등록 249941호인,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가 있으며, 이는, 일측부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토류벽과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타측부에는 볼트머리를 형성하되 볼트머리에서부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홈인 중공부를 형성하는 고정볼트와, 상기고정볼트의 중공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콘크리트의 두께로 토류벽과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너트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와샤와 윙너트를 체결하여 거푸집을 가로목과 세로목으로 지지하면서 간격유지너트와 윙너트로 거푸집을 조입 결합하도록 나나산이 형성된 조임나사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는, 종래 각목을 이용하여 토류벽과 거푸집을 연결하여 거푸집을 고정함에 따라 제기된 문제점을 어느정도 해결하고는 있으나,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이 클 경우, 상기 고정장치가 거푸집을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게 되어 구축된 옹벽의 외벽면이 일정하게 유지하는데에 다소 무리가 따른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토류벽과 거푸집을 연결고정하는 과정에서, 상기와 같은 고정장치들이 유동이 없음에 따라, 토류벽과 거푸집을 연결하는 위치가 항상 일선상에 위치되도록 거푸집을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더디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토류벽과 거푸집을 고정하는 장치들이 각각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하는 작업에 있어 많은 작업시간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거푸집과 토류벽을 연결하여 거푸집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들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거푸집을 견고하게 고정함은 물론, 시공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일측의 연결부가 소정각도로 상하 유동될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거푸집에 끼워진 연결대와 토류벽과의 위치가 일선상에 놓이지 않아도 됨으로써 작업성이 용이하고, 작업능률이 향상될 수 있는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고정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고정구에 의해 토류벽의 일측에 거푸집이 고정된 것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고정구와 거푸집에 일측이 연결된 보조연결구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고정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고정구에 의해 토류벽의 일측에 거푸집이 고정된 것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결합부 11 : 체결공
12 : 보조체결공 13 : 결합편
14 : 연결편 20 : 연결부
21 : 끼움공 20a : 체결부
21a : 볼트체결부 30 : 힌지핀
40, 40' : H빔 50 : 토류벽
51 : 각목 60 : 거푸집
70 : 보조연결구 71 : 관통홈
80 : 나사연결구 81 : 끼움봉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는,
거푸집에 설치된 연결구를 일측에 결합하여 토류벽과 거푸집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거푸집 고정구에 있어서,
중앙에 체결공이 관통되고 이 체결공이 일단에 보조체결공이 관통된 결합편이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일측단에 연장된 연결편을 갖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연결편에 일측이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단에는 다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된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앙에 체결공이 관통되고 이 체결공이 일단에 보조체결공이 관통된 결합편이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일측단에 연장된 연결편을 갖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연결편에 일측이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단에는 볼트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는, 토류벽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거푸집에 연결된 연결구조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어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짐에 따라, 거푸집을 고정하는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부가 결합부와 힌지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소정각도로 상하 유동이 가능함으로써, 거푸집과 토류벽과의 연결위치가 일선상에 놓이지 않아도 연결작업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을 고정하는 시공이 간단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의 제1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설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는, 결합부(10)와 이 결합부(10)의 일단측에 힌지핀(30)에 의해 일측이 힌지결합된 연결부(20)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10)는, 중앙에 체결공(11)이 관통되고, 이 체결공(11)의 일측으로 보조체결공(12)이 더 통공된 결합편(13)과, 상기 결합편(13)의 타측단에 연장형성된 연결편(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결합부(10)의 연결편(13)에 별도의 힌지핀(30)에 의해 힌지결합된 일측단의 타측방향으로 다수개의 끼움공(2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H형빔(40)과 H형빔(40') 사이에 적층된 각목(51)(51)들에 의해 형성된 토류벽(5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입설되는 거푸집(6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데에 사용된다.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를 이용하여 상기 토류벽(50)과 거푸집(60)을 연결 고정하는 방법은, 먼저, 상기 결합부(10)의 일측단에 양측방향으로 절곡형성된 형성된 결합편(13)(13)들에 관통된 보조체결공(12)에 적은 못을 박아 상기 토류벽(20)의 일측에 결합부(10)가 어느정도 고정되도록 한 다음, 상기 결합편(13)의 내측에 각각 통공된 체결공(11)들에 볼트(B)를 인입하고, 인입된 볼트(50)를 상기 토류벽(20)을 이루는 각목(21)과 각목(21) 사이에 끼움 고정한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0)의 연결편(14)과 힌지결합된 연결부(20)의 끼움공(21) 중, 어느 하나의 끼움공(20)에 상기 토류벽(50)과 대응되는 위치에 입설되는 거푸집(60)에 일측이 타이핀(T1)에 의해 결합된 별도의 보조연결구(70)에 형성된 관통홈(71)을 일치시킨 후, 별도의 타이핀(T2)과 타이핀(T3)을 이용하여 체결한다.
상기 별도의 타이핀(T2)과 타이핀(T3)을 이용하여 보조연결구(70)의 관통홈(71)과 상기 연결부(20)의 끼움공(21)을 체결하는 방법은, 상기 연결부(20)에 다수개 형성된 끼움공(21) 중 하나의 끼움공(21)과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보조연결구(70)의 일단측에 형성된 관통홈(71)을 동일선상에 오도록 하고, 중앙부에 걸이홈(T2a)이 형성된 타이핀(T2)을 상기 끼움공(21)과 관통홈(71)을 통과하도록 하여 장입한 후, 장입된 타이핀(T2)의 중앙에 형성된 걸이홈(T2a)에 또 다른 타이핀(T3)을 세워 끼움으로써,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의 일측 연결부(20)에 보조연결구(70)를 체결한다.
상기 결합부(10)의 일측단에 양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결합편(13)을토류벽(50)의 일측에 고정함에 있어서, 볼트(B)를 상기 토류벽(50)을 이루는 각목(51)과 각목(51) 사이에 장입하여 고정하기 전, 먼저 상기 결합편(13)에 형성된 보조체결공(12)을 이용하여 적은 못을 상기 토류벽(50)의 일측단에 미리 박아 결합편(13)을 어느정도 고정시킴으로써, 본 고안인 결합부(10)를 볼트(B)를 이용하여 상기 토류벽(50)의 일측단에 견고하게 결합하는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거푸집(60)에 타이핀(T)에 의해 일측이 결합된 보조연결구(70)를 바로 상기 결합부(10)의 일측에 힌지핀(30)에 의해 힌지결합된 연결부(20)의 끼움공(21)에 체결할 수 있음에 따라, 종래 연결구들이 각각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야기된 작업효율성의 저하되는 문제점이 해결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더욱이, 상기 연결부(20)의 끼움공(21)에 일측 관통홈(71)이 끼워져 체결되는 보조연결구(70)가 상기 연결부(20)와 일선상에 위치되지 않더라도, 상기 연결부(20)가 결합부(10)와 일측단이 힌지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소정각도록 상하 유동됨이 가능하여 보조연결구를 상기 연결부에 체결함에 있어서, 굳이 보조연결구와 연결부가 일선상에 놓이지 않아도 된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의 제2실시예에 의해 구비되는 고정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0)의 일측 연결편(14)에 힌지핀(30)에 의해 일측이 결합된 체결부(20a)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20a)는, 일측이 상기 결합부(10)의 연결편(14)에 힌지핀(30)에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단에는 내주연이 나사부로 이루어진 볼트체결부(21a)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거푸집(60)과 토류벽(50)과를 연결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도시되고 설명된 장형의 보조연결구(70)가 아닌, 외주연이 나사산으로 형성될 끼움봉(81)이 일측에 형성된 나사연결구(80)를 이용하여 거푸집과 토류벽을 연결할 때 사용된다.
즉, 상기 거푸집(60)에 일측이 관통되고, 별도의 조임구(82)에 의해 상기 거푸집(60)에 일측단이 체결된 나사연결구(80)의 타측단 끼움봉(81)을 상기 체결부(20a)의 볼트체결부(21a)에 나사체결하여 토류벽(50)의 일측에 거푸집(60)을 견고하게 입설한다.
이 때에도, 상기 결합부(10)이 일측에 힌지핀(30)에 의해 일측단이 힌지결합된 체결부(20a)가 소정의 각도로 상하 유동됨이 가능하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푸집(60)에 일측이 체결된 나사연결구(80)가 상기 결합부(10)와 일직선상에 위치되지 않아도 체결이 가능함에 따라 작업효율성이 향상된다.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에 의하면, 토류벽의 일측에 거푸집을 견고하게 입설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먼저 못 등을 이용하여 어느정도 고정한 다음, 볼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작업자가 고정구를 토류벽에 고정하기 위해 손으로 고정구를 잡는 불편함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몸체에 토류벽과 거푸집의 보조연결구가 연결되는 구성이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거푸집 고정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고, 작업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는 물론, 시공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능률의 향상을 가져오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2)

  1. 거푸집에 설치된 연결구를 일측에 결합하여 토류벽과 거푸집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거푸집 고정구에 있어서,
    중앙에 체결공(11)이 관통되고 이 체결공이 일단에 보조체결공(12)이 관통된 결합편(13)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일측으로 연장된 연결편(14)을 갖는 결합부(10)와;
    상기 결합부의 연결편에 일측이 힌지핀(30)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단에는 다수개의 끼움공(21)이 형성된 연결부(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2. 거푸집에 설치된 연결구를 일측에 결합하여 토류벽과 거푸집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거푸집 고정구에 있어서,
    중앙에 체결공(11)이 관통되고 이 체결공이 일단에 보조체결공(12)이 관통된 결합편(13)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편의 일측단으로 연장된 연결편(14)을 갖는 결합부(10)와;
    상기 결합부의 연결편에 일측이 힌지핀(30)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타측단에는 볼트체결부(21a)가 형성된 체결부(20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KR20-2003-0010401U 2003-04-04 2003-04-04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KR200320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401U KR200320198Y1 (ko) 2003-04-04 2003-04-04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401U KR200320198Y1 (ko) 2003-04-04 2003-04-04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198Y1 true KR200320198Y1 (ko) 2003-07-16

Family

ID=4933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401U KR200320198Y1 (ko) 2003-04-04 2003-04-04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1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243B1 (ko) 2006-12-04 2008-03-10 송기용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
KR101932592B1 (ko) * 2018-06-18 2019-03-15 강덕만 흙막이를 이용한 합벽식옹벽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243B1 (ko) 2006-12-04 2008-03-10 송기용 지하 합벽의 자립형 거푸집 지지구조
KR101932592B1 (ko) * 2018-06-18 2019-03-15 강덕만 흙막이를 이용한 합벽식옹벽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4004B1 (en) Lateral force resisting system
CN201635388U (zh) 现浇混凝土圆弧外墙体单侧支模体系
KR101378793B1 (ko) 나사 조립식 마감캡을 갖는 절토부 패널옹벽
JPH10140578A (ja) ストラップ継手コネクタ
KR102284789B1 (ko) 외벽마감장치
KR100728286B1 (ko)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인장와이어 체결구
KR200320198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KR200249941Y1 (ko)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JP2007218043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接合緊締構造とその金具,柱脚構造とその金具,および柱・梁接合構造とその金具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102011988B1 (ko) 트러스 거더 탈착식 데크플레이트
KR200306744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KR100797830B1 (ko) 연결형 강관
CN211691060U (zh) 一种抗震性能好的隔墙板
KR101033530B1 (ko) 천장 거푸집 지지용 써포트의 안전키트
KR200362839Y1 (ko) 지하옹벽용 대형거푸집 고정구조
KR101424347B1 (ko) 신·구 콘크리트 접합용 전단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신·구 콘크리트 접합방법
KR200277911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
KR200326563Y1 (ko) 거푸집 체결부재
KR200277912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JPH031530Y2 (ko)
KR100728268B1 (ko)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
US20220228384A1 (en) Stem Wall Bracket System and Method
JPH04153465A (ja) 増築用間仕切耐力壁パネルの施工方法
KR200362840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