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911Y1 -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 - Google Patents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911Y1
KR200277911Y1 KR2020020007993U KR20020007993U KR200277911Y1 KR 200277911 Y1 KR200277911 Y1 KR 200277911Y1 KR 2020020007993 U KR2020020007993 U KR 2020020007993U KR 20020007993 U KR20020007993 U KR 20020007993U KR 200277911 Y1 KR200277911 Y1 KR 200277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wall
retaining wall
tighten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용웅
Original Assignee
배용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용웅 filed Critical 배용웅
Priority to KR2020020007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911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과 토류벽을 연결하여 거푸집을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몸체를 돌려 거푸집에 연결된 조임볼트가 몸체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거푸집의 견고한 고정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옹벽의 외벽면에 배부름현상을 방지하고, 외벽면이 일정한 두께와 일정면을 갖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거푸집을 고정함으로써, 편리한 시공에 의해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공사단가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한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내부에 나사산으로 이루어지고, 조임볼트가 인입되는 인입공이 형성된 조임부가 상부에 장입되고, 상기 조임부를 감싸며, 아래로 연장된 파지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머리부가 끼워지고 하부에 걸이부가 형성된 회동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CONCRETE FORM CONNECT TOOL FOR UNDERGROUND BREAST WALL}
본 고안은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과 토류벽을 서로 연결할 때, 거푸집이 토류벽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거푸집의 견고한 고정에 의해 콘크리트 압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공수를 감소시켜 설치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지상에 건설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지하층을 건설하여야 하는 바, 이 지하층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하에 옹벽을 구축하여 지하층의 외벽을 형성한다.
이런, 옹벽은 토압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예방하는 벽체 구조물로써 벽 자체의 무게와 바닥면의 마찰력 등을 이용하여 안정을 유지하는 항토압 구조물이며, 벽에 작용하는 토압과 그 흙 위에 실린 하중, 지지력, 지반의 지지력 등을 조정으로 하여 구조부재의 안정성과 벽 전체가 쓰러지거나 미끄러지는데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지하에 옹벽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반을 파서 H형빔을 옹벽이 형성되는 지주부분에 타설하고, 지하층의 확보된 넓이의 지반을 파내려 가면서 각목을 수평으로 끼워 조립함으로써, 토사의 붕괴를 막아주는 토류벽을 형성한 다음, 상기 거푸집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거푸집을 고정구로 고정한 후, 토류벽과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을 형성한다.
상기 거푸집과 토류벽과를 고정하는 수단으로 각목 등을 거푸집과 토류벽사이에 끼워 넣거나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거푸집과 토류벽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상기 거푸집과 토류벽 사이에 장입한, 각목이 빠져 나가거나 하여 거푸집이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어 구축된 옹벽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하고 배부름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옹벽의 외부면이 일정면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수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실용신안등록 249941호인,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가 있으며, 이는, 일측부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토류벽과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타측부에는 볼트머리를 형성하되 볼트머리에서부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홈인 중공부를 형성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의 중공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콘크리트의 두께로 토류벽과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너트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와샤와 윙너트를 체결하여 거푸집을 가로목과 세로목으로 지지하면서 간격유지너트와 윙너트로 거푸집을 조입 결합하도록 나나산이 형성된 조임나사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는, 종래 각목을 이용하여 토류벽과 거푸집을 연결하여 거푸집을 고정함에 따라 제기된 문제점을 어느정도 해결하고는 있으나,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이 클 경우, 상기 고정장치가 거푸집을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게 되어 구축된 옹벽의 외벽면이 일정하게 유지하는데에 다소 무리가 따른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거푸집과 토류벽을 연결하여 거푸집을 고정하는 고정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몸체를 돌려 거푸집에 연결된 조임볼트가 몸체내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거푸집의 견고한 고정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옹벽의 외벽면에 배부름현상을 방지하고, 외벽면이 일정한 두께와 일정면을 갖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에 의해 거푸집을 고정함으로써, 편리한 시공에 의해 작업시간의 단축은 물론, 공사단가가 절감될 수 있도록 한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에 의해 거푸집과 토류벽의 연결되어 거푸집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관통공
12 : 끼움홈 13 : 파지부
20 : 조임부 21 : 인입공
30 : 회동핀 31 : 머리부
32 : 걸이부 40 : 조임볼트
50 : 토류벽 51 : 각목
60 : 거푸집 70 : 고정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는,
내부에 나사산으로 이루어지고, 조임볼트가 인입되는 인입공이 형성된 조임부가 상부에 장입되고, 상기 조임부를 감싸며, 아래로 연장된 파지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머리부가 끼워지고 하부에 걸이부가 형성된 회동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는, 거푸집의 외부로부터 관통된 조임볼트가 연결조임구의 상부에 구성된 조임부의 인입공내로 인입될 뿐만 아니라, 상기 조임볼트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파지부를 잡고 좌 또는 우로 돌리게 되면, 상기 인입공에 인입된 조임볼트가 인입공 내부로 더 인입되다가 더 이상 인입되지 않기 때문에, 거푸집은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하,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는, 장방형의 철편을 조임부(20)를 중심으로 여러번 절곡하여 조임부(20)를 상부에 감싸도록 하여 구성하고, 다시 하부에서 양측의 철편이 겹치도록 하여 양측을 융착하여 서로 접한 후, 융착된 하부에 관통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20)가 구성된 상부면에는 끼움홈(12)이 형성된 몸체(10)와, 이 몸체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1)에 머리부(31)가 안착되고, 타측에 호형상의 걸이부(32)를 갖는 회동핀(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임부(20)는, 내부에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인입공(21)이 관통되어 있음에 따라, 이 인입공(21)에 조임볼트(40)가 인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는, 각목(51)과 각목(51)이 직층되어 이루어진 토류벽(50)과, 거푸집(60)을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는 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류벽(50)을 이루는 각목(51)에 결합된 고정구(70)의 하부에 형성된 걸이홈(71)에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머리부(31)가 끼움 구성된 회동핀(30)의 걸이부(32)를 걸은 후, 거푸집(60)의 외부로부터 장입된 조임볼트(40)의 일측을 상기 몸체(10)의 상부에 포설된 조임부(20)의 인입공(21)내로 인입한 다음, 상기 몸체(10)의 파지부(13)를 잡고, 몸체(10)를 돌리게 되면, 상기 인입공내에 인입된 조임볼트의 일측부는, 인입공내측으로 점차 인입되다가 거푸집(60)과 고정구(70)간에 더 이상 당겨지지 않는 위치까지 인입되면, 상기 거푸집(60)은,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거푸집(60)이 일정면을 갖지 않도록 고정될 경우에는, 상기 몸체(10)를 조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려 조임볼트(40)를 풀어줌으로써 거푸집이 전체적으로 일정면을 갖도록 한다.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가 손으로 파지하여 돌릴 때 회동됨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고정구(70)의 하부에 형성된 걸이홈(71)에 걸어진 회동핀(30)의 머리부(31)가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1)에 끼움 구성됨에 따라 회동핀(30)과 몸체(10)가 서로 간섭되지 않기 때문에, 몸체와 연결된 회동핀은 상기 고정구의 하부에 걸어져 고정됨으로써, 몸체(10)는, 상기 회동핀을 축으로하여 회동됨이 가능하다.
본 고안인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를 설명함에 있어서, 거푸집과 본 고안인 연결조임구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조임볼트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본 고안을 이용한 거푸짐과 토류벽을 연결하여 거푸집을 고정하는 연결구조는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는, 거푸집 전체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거푸집과 토류벽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거푸집이 견고하게 고정됨에 따라 작업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Claims (1)

  1. 내부가 나사산으로 이루어지고, 조임볼트가 인입되는 인입공이 형성된 조임부가 상부에 장입되고, 상기 조임부를 감싸며, 아래로 연장된 파지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부에 머리부가 끼워지고, 이 머리부와 연장된 하부에 걸이부가 형성된 회동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
KR2020020007993U 2002-03-18 2002-03-18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 KR200277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993U KR200277911Y1 (ko) 2002-03-18 2002-03-18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993U KR200277911Y1 (ko) 2002-03-18 2002-03-18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911Y1 true KR200277911Y1 (ko) 2002-06-20

Family

ID=7311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993U KR200277911Y1 (ko) 2002-03-18 2002-03-18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9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286B1 (ko)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인장와이어 체결구
KR200249941Y1 (ko)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KR200277911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연결조임구
KR200306744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KR20200011063A (ko) 거푸집 고정장치
KR200362839Y1 (ko) 지하옹벽용 대형거푸집 고정구조
JPH02243873A (ja) 支柱とステーの連結装置
KR200320198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KR200277912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KR200337968Y1 (ko) 철근 지지 및 방수시트 고정용 앵커볼트
KR200362865Y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326562Y1 (ko)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
CN215807217U (zh) 一种抗震支架用槽钢结构
KR100306028B1 (ko) 강관말뚝 머리부와 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CN220504536U (zh) 剪力墙模板支撑装置
CN217379737U (zh) 一种连墙件
KR200275103Y1 (ko) 건축물의 슬래브 서포트파이프 고정 및 보강구조
KR102307075B1 (ko) 전산볼트가 고정되어진 공동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 및 이의 앙카시공방법
CN116104300B (zh) 预制柱灌浆封仓模板
CN215212246U (zh) 悬挑式承力架
KR200187194Y1 (ko) 건축물의 기둥축조용 거푸집 고정구
CN219413791U (zh) 一种混凝土泵送管的固定装置
CN214365422U (zh) 一种建筑用围墙装置
KR200381403Y1 (ko) 개선된 바닥 고정구조를 갖춘 합벽 지지대
CN209244224U (zh) 一种外脚手架悬挑工字钢用螺栓锁紧斜拉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