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268B1 -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268B1
KR100728268B1 KR1020070030578A KR20070030578A KR100728268B1 KR 100728268 B1 KR100728268 B1 KR 100728268B1 KR 1020070030578 A KR1020070030578 A KR 1020070030578A KR 20070030578 A KR20070030578 A KR 20070030578A KR 100728268 B1 KR100728268 B1 KR 100728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oke
joist
fixed
groove
retai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수연
김재엽
하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주식회사 콘스텍
(주)건양구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부원비엠에스, 주식회사 콘스텍, (주)건양구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030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thread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옹벽에 거푸집을 설치할 때 공간을 절약하고, 무지주로 흙막이벽에 거푸집 패널을 고정시킬 때 거푸집에 손이 많이 가는 못작업을 하여 장선을 고정시키지 않고 인장와이어의 단부에 멍에를 고정시키면서 장선은 멍에에 고정되어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는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며, 사각바 형상의 몸체(1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결홈부(12)와 연결돌기부(13)가 형성되어 수직으로 다수개가 결합되고, 몸체(11)의 배면에 다수개의 장선(20)이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되도록 고정판홈(16)이 형성되며, 몸체(11)의 전면에 다수개의 체결구홈(14)이 형성되고, 체결구홈(14)과 통하도록 홀(15)이 형성되는 멍에(10); 내부에 이동홈(23)이 형성된 사각막대 형상의 몸체(21) 전면에 고정판(22)이 형성되고, 고정판(22)은 멍에(10)의 고정판홈(16)에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되며, 몸체(21)의 배면에 개방구(25)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이동홈(23)의 내측벽면에 가이드홈(24)이 형성되며, 몸체(21) 상하면에 이동홈(23)과 통하도록 가이드홀(26)이 형성되는 장선(20); 3개의 스프링판(31) 사이에 다수개의 스프링(32)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장선(20)의 이동홈(23)에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어셈블리(30); 사각바 형상의 몸체(41) 전면에 수평으로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되어 장선(20)의 가이드홈(24)에 삽입 이동되고, 몸체(41)의 배면에 지지돌기(43)가 형성되어 장선(20)의 개방구(2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지지돌기(43)에 고무판(44)이 부착되어 거푸집패널(2)의 전면과 밀착되고, 몸체(41)의 상하를 관통하는 볼트홀(45)이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일측의 볼트홀(45)은 유볼트(47)로 다른 인접 몸체(41)와 고정되며, 타측의 볼트홀(45)은 몸체(41)가 장선(20)의 이동홈(23)에 삽입되었을때 가이드홀(26)을 통해 가이드볼트(46)가 체결되는 수평연결체(40); 일측단은 흙막이(1)에 고정된 앵커볼트(4)와 커플러(5)로 고정되고, 타측단은 거푸집패널(2)을 관통한후 멍에(10)의 홀(15)을 통해 체결구(60)로 고정되는 인장와이어(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푸집, 인장와이어, 장선, 멍에

Description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Structure of connection using matrix}
도 1은 본 발명의 무지주 옹벽 거푸집 시공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흙막이 2 : 거푸집패널
3 : 압축지지대 4 : 앵커볼트
5 : 커플러 10 : 멍에
11 : 몸체 12 : 연결홈부
13 : 연결돌기부 14 : 체결구홈
15 : 홀 16 : 고정판홈
20 : 장선 21 : 몸체
22 : 고정판 23 : 이동홈
24 : 가이드홈 25 : 개방구
26 : 가이드홀 30 : 스프링어셈블리
31 : 스프링판 32 : 스프링
40 : 수평연결체 41 : 몸체
42 : 가이드돌기 43 : 지지돌기
44 : 고무판 45 : 볼트홀
46 : 가이드볼트 47 : 유볼트
48 : 너트 50 : 인장와이어
51, 52 : 볼트부 60 : 체결구
본 발명은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 옹벽에 거푸집을 설치할 때 공간을 절약하고, 무지주로 흙막이벽에 거푸집 패널을 고정시킬 때 거푸집에 손이 많이 가는 못작업을 하여 장선을 고정시키지 않고 인장와이어의 단부에 멍에를 고정시키면서 장선은 멍에에 고정되어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는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토목공사 등에서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하여서는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기초층을 건설하게 되며 이때에 지면을 파내고 그 둘레에 옹벽을 구축하여 외벽을 형성한다.
이러한 옹벽은 토압의 저항으로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예방하는 벽체 구조물로써 옹벽 자체의 무게와 바닥면의 마찰력 등을 이용하여 안정을 유지하는 항토압 구조물이며, 벽에 작용하는 토압과 그 흙 위에 실린 하중, 지지력, 지반의 지지력 등을 조건으로 하여 구조부재의 안정성과 벽 전체가 쓰러지거나 미끄러지는 데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지하에 벽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넓이 둘레에 'H'빔을 지주로 하여 타설하고 이 'H'빔과 'H'빔에 버팀목으로 체결시키거나, 또는 콘크리트 파일을 가지런히 박아 벽을 형성함으로서 토사 붕괴를 막아주는 토류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토류벽과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 거푸집을 구성하여 이들의 사이에 철근과 함께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서 토류방지 옹벽이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에 거푸집과 토류벽을 소정간격으로 고정하는 수단으로 토류벽을 구성한 각목 또는 콘크리트파일 등에 고정되는 체결부재와 이 체결부재에 체결되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거푸집을 고정하도록 하는 철선 또는 기다란 간격유지볼트, 봉 등을 체결시켜 거푸집이 소정거리에서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은 매우 난이하고 또한 번잡하며 그 고정수단이 견고하지 못할 경우 거푸집이 쓰러지거나 콘트리트 몰탈 주입시 압력과 중량을 이기지 못하여 거푸집이 파손되는 문제와 특히 거푸집과 토류벽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할 경우, 콘크리트의 압력에 의해 상기 거푸집과 토류벽을 고정한 체결부재가 빠져 거푸집이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구축된 거푸집이 파손되거나 토류방지옹벽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한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게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 작업은 좁은 공간에서 많은 철근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므로 체결이 어려워 작업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거푸집을 토류벽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로 선등록 실용신안 20-0162028호 토류벽막이용 거푸집 고정구가 안출된 바 있다.
거푸집 고정구는 다수의 조절공을 천공한 체결판을 형성하고 그 후단으로 기다란 연결봉과 단부에 토류벽을 구축하는 각목의 버팀목 사이를 관통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 화살촉과 같이 납작하고 뾰족한 걸림부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화살촉부의 걸림부를 버팀목사이로 끼워 넣고 노출된 체결판의 다공에 거푸집을 고정한 기다란 간격유지봉을 체결하게 된다.
이때 간격유지봉에 형성된 체결공과 체결판의 조절공을 관통한 고정핀을 관 통하여 이들이 체결상태를 유지하도록 체결핀으로 체결시켜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버팀목에 끼워 넣어 고정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버팀목사이에 걸림부를 끼워넣는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지하 옹벽의 설치 현장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공법은 유로폼이나 합벽지지대 시스템으로 지하 옹벽을 시공하고 있지만, 이 방법은 설치 해체시의 작업공정과 또한 지하내의 좁은 공간에서의 시공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국내 건설시장에서 전체 공사비의 약 30%에 해당되는 공사가 지하 공사이고, 이 지하공사중에 지하 옹벽 시공공사는 약 10%로 평가되므로 공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과 구조가 필요하다.
특히 거푸집을 고정하는 장선과 멍에는 일반적으로 거푸집에 장선을 못 등으로 고정하고, 장선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멍에를 고정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일일이 못으로 고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장선과 멍에가 충분한 지지력을 얻기 위해서는 간격이 좁게 다수개의 장선과 멍에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많은 인력이 소요되고, 못으로 고정하기 때문에 한번 사용하면 다시 재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좁은 지하 공간에서 지주를 설치하지 않고, 거푸집을 세워 무지주 지하 옹벽 거푸집 시공을 하게 하며, 압축력과 인장력을 동시에 거푸집에 작용하게 하여 거푸집이 콘크리트의 압력을 견디게 하는 구조에서 장선을 횡으로도 연결하여 거푸집패널에 작용 하는 압력을 잘 견딜수 있게 하고, 장선과 멍에를 일체로 하여 멍에만 인장와이어에 의하여 잡아주면 별도의 고정작업이 필요없는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장선을 횡으로 연결할 때 수평연결체의 결합을 쉽게 하고, 장선에 수평연결체를 설치시 스프링어셈블리를 밀면서 삽입시킨후 가이드볼트와 유볼트를 체결하면 간단하게 고정되게 하며, 수평결합시 공차를 스프링어셈블리가 흡수하게 하여 멍에 사이의 간격이 차이가 있더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흙막이에 거푸집패널을 인장와이어로 고정하여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는힘이 작용하게 하고, 인장와이어에 의해 작용되는 힘과 대응되는 방향의 지지력을 압축지지대로 발생시키는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구조에 있어서, 사각바 형상의 몸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결홈부와 연결돌기부가 형성되어 수직으로 다수개가 결합되고, 몸체의 배면에 다수개의 장선이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되도록 고정판홈이 형성되며, 몸체의 전면에 다수개의 체결구홈이 형성되고, 체결구홈과 통하도록 홀이 형성되는 멍에; 내부에 이동홈이 형성된 사각막대 형상의 몸체 전면에 고정판이 형성되고, 고정판은 멍에의 고정판홈에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되며, 몸체의 배면에 개방구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이동홈의 내측벽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몸체 상하면에 이동홈과 통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장선; 3개의 스프링판 사이에 다수개의 스프링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장선의 이동홈에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어셈블리; 사각바 형상의 몸체 전면에 수평 으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장선의 가이드홈에 삽입 이동되고, 몸체의 배면에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장선의 개방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지지돌기에 고무판이 부착되어 거푸집패널의 전면과 밀착되고, 몸체의 상하를 관통하는 볼트홀이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일측의 볼트홀은 유볼트로 다른 인접 몸체와 고정되며, 타측의 볼트홀은 몸체가 장선의 이동홈에 삽입되었을 때 가이드홀을 통해 가이드볼트가 체결되는 수평연결체; 일측단은 흙막이에 고정된 앵커볼트와 커플러로 고정되고, 타측단은 거푸집패널을 관통한후 멍에의 홀을 통해 체결구로 고정되는 인장와이어;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지하 옹벽에 거푸집을 설치할 때 공간을 절약하고, 무지주로 흙막이벽에 거푸집 패널을 고정시킬 때 거푸집에 손이 많이 가는 못 작업을 하여 장선을 고정시키지 않고 인장와이어의 단부에 멍에를 고정시키면서 장선은 멍에에 고정되어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흙막이(1)와 거푸집패 널(2) 사이에 압축지지대(3)가 설치되고, 인장와이어(50)가 흙막이(1)에 고정된 앵커볼트(4)에 커플러(5)로 연결되어 거푸집패널(2)을 잡아당겨 고정시키는 구조에 사용하는 멍에(10)와 장선(20)에 관한 구성이다.
멍에(10)는 사각바 형상의 몸체(1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결홈부(12)와 연결돌기부(13)가 형성되어 수직으로 다수개가 결합되고, 몸체(11)의 배면에 다수개의 장선(20)이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되도록 고정판홈(16)이 형성된다. 따라서 멍에(10)는 수직으로 다수개가 고정될 때, 연결돌기부(13)를 연결홈부(12)에 삽입시킨 후 볼트로 고정한다.
멍에(10)의 몸체(11)의 전면에 다수개의 체결구홈(14)이 형성되고, 체결구홈(14)과 통하도록 홀(15)이 형성되어 홀(15)을 통해 인장와이어(50)가 관통되어 체결구(60)와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인장와이어는 와이어 형태의 것과 와이어봉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와이어 형태의 것은 볼트부를 형성하기 위해 와이어와 볼트부의 연결구성을 채용할 수 있고, 볼트부가 형성되지 않은 것은 통상의 와이어 체결장치로 고정하면 된다.
장선(20)은 멍에(10)의 후면에 다수개가 고정되어 거푸집패널을 외측에서 지지하여 준다.
장선(20)은 내부에 길이방향의 이동홈(23)이 형성된 사각막대 형상의 몸체(21) 전면에 고정판(22)이 형성되고, 고정판(22)은 멍에(10)의 고정판홈(16)에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된다.
장선(20)의 몸체(21) 배면에 개방구(25)가 수평으로 형성되어 내부의 이동홈(23)이 개방된다. 이때 이동홈(23)은 개방구(25) 뿐만 아니라 양측부도 개방되어 있어 후술할 수평연결체(40)가 삽입된다.
장선(20)의 이동홈(23) 내측벽면, 즉 전면측 내부벽면에 가이드홈(24)이 형성되고, 몸체(21) 상하면에 이동홈(23)과 통하도록 가이드홀(26)이 형성된다. 이동홈(23)에는 스프링어셈블리(30)가 삽입되고, 스프링어셈블리(30)의 양쪽으로 수평연결체(40)의 일부가 삽입된다.
스프링어셈블리(30)는 3개의 스프링판(31) 사이에 다수개의 스프링(32)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장선(20)의 이동홈(23)에 삽입 설치된다.
수평연결체(40)는 사각바 형상의 몸체(41) 전면에 수평으로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되어 장선(20)의 가이드홈(24)에 삽입 이동되고, 몸체(41)의 배면에 지지돌기(43)가 형성되어 장선(20)의 개방구(2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지지돌기(43)에 고무판(44)이 부착되어 거푸집패널(2)의 전면과 밀착되고, 고무판(44)은 거푸집패널(2)과의 밀착이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멍에(1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수평연결체(40)의 몸체(41) 상하를 관통하는 볼트홀(45)이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의 볼트홀(45)은 유볼트(47)와 너트(48)로 다른 인접 몸체(41)와 고정되며, 타측의 볼트홀(45)은 몸체(41)가 장선(20)의 이동홈(23)에 삽입되었을 때가이드홀(26)을 통해 가이드볼트(46)가 너트(48)로 체결된다.
수평연결체(40)를 장선(20)의 이동홈(23)에 삽입하여 가이드홀(26)을 통해 가이드볼트(46)를 체결하게 되면 가이드볼트(46)가 가이드홀(26)의 내부에서만 이동하게 되므로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인장와이어(50)의 일측단은 흙막이(1)에 고정된 앵커볼트(4)와 커플러(5)로 고정되고, 타측단은 거푸집패널(2)을 관통한 후 멍에(10)의 홀(15)을 통해 체결구(60)로 고정된다.
인장와이어(50)는 양단에 각각 볼트부(51)(52)가 형성되어 일단의 볼트부(51)는 커플러(5)에 체결되고, 타단의 볼트부(52)는 체결구(60)에 형성된 홀의 나사산과 결합되어 체결된다. 이때 체결구(60)는 체결구홈(14)에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좁은 지하 공간에서 지주를 설치하지 않고, 거푸집을 세워 무지주 지하 옹벽 거푸집 시공을 하게 하며, 압축력과 인장력을 동시에 거푸집에 작용하게 하여 거푸집이 콘크리트의 압력을 견디게 하는 구조에서 장선을 횡으로도 연결하여 거푸집패널에 작용하는 압력을 잘 견딜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장선과 멍에를 일체로 하여 멍에만 인장와이어에 의하여 잡아주면 별도의 고정작업이 필요없게 되므로 작업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장선을 횡으로 연결할 때 수평연결체의 결합을 쉽게 하고, 장선에 수평연결체를 설치시 스프링어셈블리를 밀면서 삽입시킨후 가이드볼트와 유볼트를 체결하면 간단하게 고정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결합시 공차를 스프링어셈블리가 흡수하게 하여 멍에 사이의 간격 이 차이가 있더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고무판이 거푸집패널에 밀착되어 지지되므로 콘크리트타설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흙막이에 거푸집패널을 인장와이어로 고정하여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는힘이 작용하게 하고, 인장와이어에 의해 작용되는 힘과 대응되는 방향의 지지력을 압축지지대로 발생시키는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구조에 있어서,
    사각바 형상의 몸체(1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결홈부(12)와 연결돌기부(13)가 형성되어 수직으로 다수개가 결합되고, 몸체(11)의 배면에 다수개의 장선(20)이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되도록 고정판홈(16)이 형성되며, 몸체(11)의 전면에 다수개의 체결구홈(14)이 형성되고, 체결구홈(14)과 통하도록 홀(15)이 형성되는 멍에(10);
    내부에 이동홈(23)이 형성된 사각막대 형상의 몸체(21) 전면에 고정판(22)이 형성되고, 고정판(22)은 멍에(10)의 고정판홈(16)에 삽입되어 볼트로 고정되며, 몸체(21)의 배면에 개방구(25)가 수평으로 형성되고, 이동홈(23)의 내측벽면에 가이드홈(24)이 형성되며, 몸체(21) 상하면에 이동홈(23)과 통하도록 가이드홀(26)이 형성되는 장선(20);
    3개의 스프링판(31) 사이에 다수개의 스프링(32)이 용접으로 고정되어 장선(20)의 이동홈(23)에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어셈블리(30);
    사각바 형상의 몸체(41) 전면에 수평으로 가이드돌기(42)가 형성되어 장선(20)의 가이드홈(24)에 삽입 이동되고, 몸체(41)의 배면에 지지돌기(43)가 형성되어 장선(20)의 개방구(2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지지돌기(43)에 고무판(44) 이 부착되어 거푸집패널(2)의 전면과 밀착되고, 몸체(41)의 상하를 관통하는 볼트홀(45)이 양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일측의 볼트홀(45)은 유볼트(47)로 다른 인접 몸체(41)와 고정되며, 타측의 볼트홀(45)은 몸체(41)가 장선(20)의 이동홈(23)에 삽입되었을때 가이드홀(26)을 통해 가이드볼트(46)가 체결되는 수평연결체(40);
    일측단은 흙막이(1)에 고정된 앵커볼트(4)와 커플러(5)로 고정되고, 타측단은 거푸집패널(2)을 관통한후 멍에(10)의 홀(15)을 통해 체결구(60)로 고정되는 인장와이어(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
KR1020070030578A 2007-03-28 2007-03-28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 KR100728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578A KR100728268B1 (ko) 2007-03-28 2007-03-28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578A KR100728268B1 (ko) 2007-03-28 2007-03-28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268B1 true KR100728268B1 (ko) 2007-06-13

Family

ID=38359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578A KR100728268B1 (ko) 2007-03-28 2007-03-28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2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0214A (zh) * 2022-05-27 2022-09-09 中国化学工程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压缩机下部风道狭窄缝隙内灌浆模板的安装支撑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010U (ko) 1997-08-26 1999-03-15 이희만 토류벽막이용 거푸집 고정구
KR200249941Y1 (ko) 2001-07-12 2001-11-17 원일기공주식회사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KR200326562Y1 (ko) 2003-05-30 2003-09-19 심정란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
KR100465935B1 (ko) 2002-09-25 2005-01-14 (주)태경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010U (ko) 1997-08-26 1999-03-15 이희만 토류벽막이용 거푸집 고정구
KR200249941Y1 (ko) 2001-07-12 2001-11-17 원일기공주식회사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고정장치
KR100465935B1 (ko) 2002-09-25 2005-01-14 (주)태경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 타이볼트
KR200326562Y1 (ko) 2003-05-30 2003-09-19 심정란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0214A (zh) * 2022-05-27 2022-09-09 中国化学工程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压缩机下部风道狭窄缝隙内灌浆模板的安装支撑方法
CN115030214B (zh) * 2022-05-27 2023-06-09 中国化学工程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压缩机下部风道狭窄缝隙内灌浆模板的安装支撑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1320B2 (en) Construction connector anchor cage system
US7774995B1 (en) Wall restraint system
CA2774216C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uilding anchor systems
KR102243984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US8919060B1 (en) Connector and foundation for manufactured building
KR100728286B1 (ko)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인장와이어 체결구
KR101352146B1 (ko) 띠장과 버팀보 일체형 단위 흙막이 가시설 및 그의 시공방법
JP3798420B1 (ja) 鉄骨・鉄筋補強型乾式ブロック組積工法
KR101175112B1 (ko) 다용도 네일링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0728268B1 (ko)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
CN113404268A (zh) 一种地下室外墙脚手架系统及其施工方法
KR101508751B1 (ko) 조적벽체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의 보강방법
CN215630682U (zh) 预制件的干式连接件及预制件的连接节点
KR100728266B1 (ko) 무지주 지하 옹벽 거푸집 시공의 흙막이와 인장와이어연결구조
KR101651824B1 (ko) 공동주택 건설현장에 사용되는 토류판
KR100609500B1 (ko) 철근을 이용한 가설재 고정장치
KR20130133734A (ko) 노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구조물을 위하여 피씨부재를 활용한 리모델링 내진보강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CN112575907A (zh) 预制件的干式连接件及预制件的连接节点
KR200258921Y1 (ko) 흙막이용 벽체 패널의 설치구조
KR102587628B1 (ko) 한옥 기초세트
IT202000016588A1 (it) Sistema e metodo di fondazione con isolamento sismico di edifici
KR100728267B1 (ko)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시공시의 압축지지대
KR102582701B1 (ko) 일방향 설치가 가능한 칸막이벽 내진 보강용 전도방지구
KR200362839Y1 (ko) 지하옹벽용 대형거푸집 고정구조
KR101115015B1 (ko) 프리캐스트 패널을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및 리모델링 프리캐스트 패널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