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0010U - 토류벽막이용 거푸집 고정구 - Google Patents

토류벽막이용 거푸집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0010U
KR19990010010U KR2019970023275U KR19970023275U KR19990010010U KR 19990010010 U KR19990010010 U KR 19990010010U KR 2019970023275 U KR2019970023275 U KR 2019970023275U KR 19970023275 U KR19970023275 U KR 19970023275U KR 19990010010 U KR19990010010 U KR 199900100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fastening
work
prese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2028Y1 (ko
Inventor
이희만
Original Assignee
이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만 filed Critical 이희만
Priority to KR2019970023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2028Y1/ko
Publication of KR199900100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0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2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20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 E04G17/072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742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means of wedge-shaped members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
본 고안은 토목공사 또는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한 땅파기 작업으로 발생된 토류벽내측부에 콘크리트벽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거푸집을 형성하고 이 거푸집을 고정하는 토류벽용 거푸집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고정구는 적층된 수평보와 보 사이에 걸림판이 형성되고 끝단에 체결고리를 일체로 구성한 고정구를 삽입고정하여 고정시키고 이 고정구에 철사 또는 기다란 간격봉으로 콘크리트 벽체의 두께로 형성되는 거푸집을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거푸집의 간격 및 지지하는 철사를 고정구의 고리에 체결할 때에 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므로 본 고안은 이를 개선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3. 고안의 해결 방법의 요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의 고정구는 걸림편에 일체로 구성된 연결봉에 다수의 체결공을 형성한 체결판을 일체로 형성시켜 거푸집을 고정하는 거푸집지지간과 쉽게 체결이 가능하며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건설공사에서 흙파기로 인하여 토사 유출 및 토목공사에서 토류유출방지벽을 구성하는 거푸집 작업을 할 때에 거푸집의 견고한 고정수단과 작업의 편리성 및 거리조절이 편리하게 구성되어 작업이 용이한 특징을 가진 고안이다.

Description

토류벽막이용 거푸집 고정구
본 고안은 토목공사 또는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한 땅파기 작업으로 발생된 토류벽내측부에 콘크리트벽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거푸집을 형성하고 이 거푸집을 고정하는 토류벽용 거푸집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토목공사(건축공사를 포함한 땅파기로 형성된 토류벽)를 할 때에 땅을 파게됨으로서 흙벽이 형성된다.
이러한 흙벽을 지지하는 토류방지벽 또는 건축물의 기초에서 토사가 흘러내리거나 붕계의 위험성을 막기 위한 콘크리트벽을 구성하여 안전벽을 구성하여 왔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공개번호 1995년 제33458호의 지하 옹벽 구축용 거푸집의 고정장치와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 1997년 제13784호를 볼 수 있다.
상기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땅을 파 흙벽이 형성된 흙벽 내측으로 H빔의 지주를 일정한 간격으로 박고 이 지주의 H빔과 빔 사이에 토사방지용 목재수평보를 적층시켜 벽체를 구성함으로서 토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이 토사방지벽을 지지체로 하는 콘크리트의 외벽을 구성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적층된 수평보와 보 사이에 걸림판이 형성되고 끝단에 체결고리를 일체로 구성한 고정구를 삽입고정하여 고정시키고 이 고정구에 철사 또는 기다란 간격봉으로 콘크리트벽체의 두께로 형성되는 거푸집을 고정하게 된다.
이상에 의해 고정된 토류벽과 거푸집 사이에 철근과 콘크리트몰탈을 충진하여 양생함으로서 콘크리트벽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의 고정구는 전기 공개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리를 형성한 선단부에 삼각 또는 사각체의 고정판을 형성하여 선단의 고정판이 수평보 사이에서 걸리는 목적과 거푸집의 간격 및 지지하는 철사를 고정구의 고리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에 비하여 많은 편리성을 증대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굵은 철사(지름이 약 5㎜로 휨성이 양호하지 않은 철선)를 작업자가 거리에 맞게 절단하고 고정시키는 번잡성이 있다.
또는 상기 고정판에 기다란 체결봉을 형성하여 나사로 결합하는 것에 있어서는 나사 조임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들은 힘든 일을 하지 않을려는 작업풍토에 의해 작업자가 좁고 습기와 먼지 및 고열의 열기가 나는 한편 힘이 들어 현장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기피하는 폐단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지지부를 형성할 때에 이를 생략함으로서 거푸집이 무너지거나 콘크리트벽이 부실내지는 붕괴되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고안의 고정구는 걸림편에 일체로 구성된 연결봉에 다수의 체결공을 형성한 체결판을 일체로 형성시켜 거푸집을 고정하는 거푸집 지지간과 쉽게 체결하면서 간격을 쉽게 조절하여 맞출 수 있도록 한 고정구를 안출함을 목적으로 함과 함께 일체로 구성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대량생산성과 현장에서 보다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특징의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의 (가)(나)는 본 고안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걸림편20 : 연결봉
30 : 체결판31 : 체결공
40 : 고정편50 : 나사봉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지의 고정구에 있어서, 일체로 걸림편과 연결봉 및 체결판을 형성하되 상기 체결판에는 다수의 체결공을 구성하여서 체결이 용이하도록 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또는 선단이 뾰쪽한 판체로 걸림편(10)이 형성되어 연결봉(20)과 함께 체결판(30)을 일체로 구성하되, 상기 체결판(30)에는 다수의 체결공(31)과 회전지지공(32)을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이며, 도 3의 (가)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체결공(31)을 형성한 체결판(30)을 연장하여 그 선단부를 상하부로 절결절곡시킨 고정편(40)을 일체로 구성한 것이며 (나)는 체결판(30)에 나사봉(50)을 결합시켜 수평보(2)에 나사체결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편리성을 증대한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3은 거푸집 4는 거푸집지지간 5는 체결핀 6은 H빔 7은 콘크리트 토류방지벽을 도시하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목공사 및 건축공사에서 땅파기로 인하여 토사가 유출되고 이를 막기 위한 콘크리트토류방지벽(7)을 형성할 때에 공지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H빔(6) 지주를 박고 상기 H빔과 H빔 사이로 H빔의 양측판 내로 토류방지수평보(2)를 삽입시켜 공지와 같은 토류방지막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의 수평보(2)로 구성되는 토류방지막은 유출토사를 방지하여 공사를 원만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함께 콘크리트토류방지벽(7)을 구성하는 지지부가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구성된 토류방지막에 의해 내측으로 콘크리트토류방지벽(7)을 형성할 때에 먼저 철근을 형성하고 다음으로 본 고안의 거푸집고정구를 상하로 적층된 수평보(2) 사이로 삽입시켜 그 둔부인 걸림편(10)이 관통되도록 하고 기다란 도구를 이용, 체결판(30)의 선단측으로 형성된 회전지지공(32)에 지지시켜 본 고안의 고정구를 90도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으로 본 고안의 고정구와 수평보(2)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걸림편(30)은 상하의 수평보(2)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함과 함께 공지와 같이 거푸집(3)을 구성한다.
그리고 거푸집(3)을 관통하는 거푸집지지간(4)을 거푸집(3)외부에서 체결핀(5)으로 체결 일정한 위치를 지지한 다음에 본 고안의 체결판(30)과 거푸집지지간(4)이 교차되는 위치의 체결공(31)에 체결핀(5)을 관통시켜 체결판(10)과 거푸집지지간(4)을 고정시키면 거푸집(3)이 견고히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거푸집(3)과 수평보(2)의 거리가 작업조건에 따라 달리 형성됨으로 종래에는 그 크기에 맞도록 작업자가 철사를 절단 절곡하거나 지지봉을 맞추어야 되는 단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폐단 없이 체결공(31)의 위치를 바꾸면서 체결함으로 체결고정이 매우 간단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지지간(4)에서도 다수의 체결공을 형성하여도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거푸집(3)을 고정함과 함께 공지와 같이 수평보(2)와 거푸집(3) 사이에 콘크리트몰탈을 충진하여 양생함으로서 토류방지벽(7)이 구성되고 양생된후 거푸집(3)외부로 노출된 거푸집 지지간(4)의 끝단에 형성된 절단요부를 절단하고 거푸집(3)을 제거함으로서 콘크리트토사방지벽이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의 본 고안에서 걸림편(10)과 연결봉(20) 및 체결판(30)을 각기 구성하여 용접부착하거나 또는 일체의 판을 절단구성할 수 있으나 이러한 실시들은 같은 구성목적으로 본 고안의 단순 실시에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의 (가)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체결판(30)을 길게 연장하고 그 선단을 상하양측을 절취 절곡시켜 고정편(40)이 형성된 구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수평보(2) 사이에 체결되고 체결공(31)으로 거푸집지지간(4)을 체결 및 거리를 조절함은 본 고안과 일치되는 목적이다.
도 3의 (나)는 체결판(30)선단측에 나사봉(50)을 구성시켜 수평보(2)에 나사체결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편리성을 증대한 실시예의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체결되는 걸림편(10)과 연결부 및 거리를 조절하고 체결하는 체결판(30)의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편리하고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현장에서 작업효과를 높일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건설공사에서 흙파기로 인하여 토사 유출 및 토목공사에서 토류유출방지벽을 구성하는 거푸집 작업을 할 때에 거푸집의 견고한 고정수단과 작업의 편리성을 얻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수평보에 체결이 용이함과 함께 거푸집고정용 지지간과의 체결과 조절이 편리하게 구성됨으로서 작업자가 쉽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특징과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여 대량생산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선단부가 뾰쪽한 판체로 걸림편(10)이 형성된 후단으로 연결봉(20)이 형성되는 토류벽막이용 고정구에 있어서,
    선단부가 뾰쪽한 판체로 걸림편(10)과 연결봉(20)의 후단으로 체결판(30)을 일체로 구성하되, 상기 체결판(30)에는 다수의 체결공(31)과 회전지지공(32)을 형성하여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토류벽용 거푸집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체결공(31)을 형성한 체결판(30)을 연장하여 그 선단부를 상하부로 절결절곡시킨 고정편(40)을 일체로 구성한 토류벽용 거푸집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체결판(30)에 나사봉(50)을 결합시켜 수평보(2)에 나사체결이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토류벽용 거푸집 고정구.
KR2019970023275U 1997-08-26 1997-08-26 토류벽막이용 거푸집 고정구 KR200162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275U KR200162028Y1 (ko) 1997-08-26 1997-08-26 토류벽막이용 거푸집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275U KR200162028Y1 (ko) 1997-08-26 1997-08-26 토류벽막이용 거푸집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010U true KR19990010010U (ko) 1999-03-15
KR200162028Y1 KR200162028Y1 (ko) 1999-12-01

Family

ID=1950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275U KR200162028Y1 (ko) 1997-08-26 1997-08-26 토류벽막이용 거푸집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202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286B1 (ko) 2007-03-29 2007-06-13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인장와이어 체결구
KR100728267B1 (ko) 2007-03-28 2007-06-13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시공시의 압축지지대
KR100728266B1 (ko) 2007-03-28 2007-06-13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무지주 지하 옹벽 거푸집 시공의 흙막이와 인장와이어연결구조
KR100728268B1 (ko) 2007-03-28 2007-06-13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267B1 (ko) 2007-03-28 2007-06-13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시공시의 압축지지대
KR100728266B1 (ko) 2007-03-28 2007-06-13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무지주 지하 옹벽 거푸집 시공의 흙막이와 인장와이어연결구조
KR100728268B1 (ko) 2007-03-28 2007-06-13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장선과 멍에 연결구조
KR100728286B1 (ko) 2007-03-29 2007-06-13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인장와이어 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2028Y1 (ko) 199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476B1 (ko) 지상구축물의 기초구축 방법 및 기초구축용 부재
KR101257367B1 (ko) 절곡연결대를 이용한 방호시설 시공방법
JP5272923B2 (ja) 土留構造
KR19990010010U (ko) 토류벽막이용 거푸집 고정구
JP6196454B2 (ja) 壁面構築用パネルと壁面の構築方法
JP6192972B2 (ja) カルバート
KR102221830B1 (ko) 울타리지주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 구조
KR102039928B1 (ko) 내하력과 강성이 향상된 아치형 띠장 구조체
KR101298399B1 (ko) 철근받침구조체
JP2010053631A (ja) 擁壁構造、及び擁壁構造の支柱設置方法
JP2000064306A (ja) 杭基礎構造における補強部材
KR101557462B1 (ko) 자립식 가설 흙막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96654Y1 (ko) 빔 난간대 브라켓
JP3035693B2 (ja) 植樹安定装置
KR102653831B1 (ko) 어스앵커홀이 형성된 폐합단면형 띠장과 볼트식 홈메우기 세트를 구비한 어스앵커 전용 단독 띠장 시스템
KR100590178B1 (ko) 토류벽용 거푸집 고정구
JP3597824B2 (ja) 張出し道路の施工法
JP3054640B2 (ja) 植栽樹木の自立装置とその施工方法
JP2005163330A (ja) 受撃版構築用治具および受撃版構築用壁面材および防護用堤体の構築方法
JP699363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構造物接続兼用補強鉄筋ランナ
KR200342710Y1 (ko)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체결부재
KR200348605Y1 (ko) 토류벽용 거푸집 고정구
KR200350178Y1 (ko) 건축용 간격유지봉 체결부재의 체결너트
JPH0696854B2 (ja) 補強土構造物
KR100548157B1 (ko) 지하옹벽 구축용 거푸집 체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