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634B1 -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 Google Patents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9634B1 KR101709634B1 KR1020160047231A KR20160047231A KR101709634B1 KR 101709634 B1 KR101709634 B1 KR 101709634B1 KR 1020160047231 A KR1020160047231 A KR 1020160047231A KR 20160047231 A KR20160047231 A KR 20160047231A KR 101709634 B1 KR101709634 B1 KR 1017096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support cap
- threaded
- sleeves
- fixing p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7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cast in situ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는,
원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에는 제1지지캡(190)이 삽입·제거되는 결합구조로 설치되고, 타단의 내주면에는 다줄암나사산(120)이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캡(190)의 중앙부에는 거푸집(10)에 결합되는 제1고정핀(191)이 돌출형성되는 제1슬리브(100);와, 원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리브(100)의 타측에 결합되되, 일측에는 제2지지캡(290)이 삽입·제거되는 결합구조로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다줄암나사산(120)과 결합되는 다줄수나사산(2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캡(290)의 중앙부에는 거푸집(10)에 결합되는 제2고정핀(291)이 돌출형성되는 제2슬리브(200);가 포함되고, 상기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는 상호 회전 방향에 따라 조임과 풀림으로 상기 다줄암나사산(120)과 다줄수나사산(220)에 의해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슬리브(200)의 외측에는 상기 다줄암나사산과 다줄수나사산(220)에 의해 조절되는 상기 제1,2슬리브의 양단 폭의 길이를 알 수 있도록 치수가 기재된 폭눈금판(240)이 형성되고, 제1슬리브(100)는 일측의 내측으로 연장슬리브(300)를 결합하여 슬리브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에 따르면, 관통슬리브의 양단 폭의 길이를 다줄나사산의 결합에 의해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고, 291관통슬리브에 표시된 치수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폭의 길이를 필요한 만큼 정확하게 조절한 후 거푸집에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관통슬리브의 양측 지지캡에 고정핀을 형성하여 건축용 거푸집의 높이에 상관없이 어느 위치에나 고정이 가능하고, 제1슬리브(100)는 일측의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는 연장슬리브(300)를 결합하여 슬리브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게 되므로 작업 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원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에는 제1지지캡(190)이 삽입·제거되는 결합구조로 설치되고, 타단의 내주면에는 다줄암나사산(120)이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캡(190)의 중앙부에는 거푸집(10)에 결합되는 제1고정핀(191)이 돌출형성되는 제1슬리브(100);와, 원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리브(100)의 타측에 결합되되, 일측에는 제2지지캡(290)이 삽입·제거되는 결합구조로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다줄암나사산(120)과 결합되는 다줄수나사산(2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캡(290)의 중앙부에는 거푸집(10)에 결합되는 제2고정핀(291)이 돌출형성되는 제2슬리브(200);가 포함되고, 상기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는 상호 회전 방향에 따라 조임과 풀림으로 상기 다줄암나사산(120)과 다줄수나사산(220)에 의해 폭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슬리브(200)의 외측에는 상기 다줄암나사산과 다줄수나사산(220)에 의해 조절되는 상기 제1,2슬리브의 양단 폭의 길이를 알 수 있도록 치수가 기재된 폭눈금판(240)이 형성되고, 제1슬리브(100)는 일측의 내측으로 연장슬리브(300)를 결합하여 슬리브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에 따르면, 관통슬리브의 양단 폭의 길이를 다줄나사산의 결합에 의해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고, 291관통슬리브에 표시된 치수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폭의 길이를 필요한 만큼 정확하게 조절한 후 거푸집에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관통슬리브의 양측 지지캡에 고정핀을 형성하여 건축용 거푸집의 높이에 상관없이 어느 위치에나 고정이 가능하고, 제1슬리브(100)는 일측의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는 연장슬리브(300)를 결합하여 슬리브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게 되므로 작업 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관통슬리브의 폭의 길이를 다줄 나사산의 결합에 의해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고, 관통슬리브에 표시된 치수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폭의 길이를 필요한 만큼 정확하게 조절한 후 결합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관통슬리브의 양측 지지캡에 고정핀을 형성하여 건축용 거푸집의 높이에 상관없이 어느 위치에나 고정이 가능하고, 제1슬리브(100)는 일측의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는 연장슬리브를 결합하여 슬리브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벽체에는 환기용, 냉난방용, 스프링클러, 전기배선, 하수, 공조덕트, 소방관, 가스관, 에어컨 등의 관로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반드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통공을 만들기 위해서는 거푸집 내측으로 일정한 직경과 폭을 갖는 관통슬리브를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통공이 만들어진다.
상기 관통슬리브는 도 1a와 같이 관통슬리브 양단에 고정구를 끼우고 상기 고정구의 상단부분에 "ㄱ"형상의 결합편을 끼워 고정시킨 후, 결합편의 절곡된 단부를 거푸집 상방에 고정시키고, 고정구를 역시 거푸집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관통슬리브는 일정한 길이의 결합편을 매개로 건축용 거푸집에 고정되기 때문에 높이의 조절이 자유롭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통슬리브를 건축용 거푸집에 설치하려면 상기 결합편의 상단부를 건축용 거푸집에 고정시킨 후, 상기 결합편의 하단부를 관통슬리브에 고정시키는 과정이 번거롭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축용 거푸집의 폭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관통슬리브의 폭의 길이를 설치될 현장의 여건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규격화된 관통슬리브를 양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b와 같이 나사식으로 관통슬리브를 거푸집의 내부에 장착을 할 경우에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 벽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촘촘히 형성된 철근 사이로 일정한 크기의 암,수 형태로 결합되어진 관통슬리브를 넣어서 거푸집에 관통슬리브를 설치하기 위한 정확한 높이와 거푸집의 넓이만큼 길이조절을 하면서 고정설치하는 것이 어려웠고, 철근 사이로 넣었다 하더라도 관통슬리브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거푸집의 넓이만큼 길이를 조절할 때 고정되지 않은 타측의 관통슬리브 몸체 전체를 회전해야만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설치는 공간이 협소한 거푸집 내측으로 관통슬리브의 설치되는 높이를 임의대로 맞춘 상태에서 고정을 위한 못이나 고정구의 설치 작업이 어렵고 몸체가 암,수의 나사로 된 관통슬리브의 회전이 상당한 힘을 요하게 되는 것이고, 더욱이 협소한 공간에서 이러한 회전작업과 높이 조절이 더욱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제품불량으로 인한 슬리브의 교환할 경우에 회전작업을 통해서만 분리되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따른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이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10-2009-0054790호에도 도 1c와 같이 관통슬리브를 등분되는 암,수의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하여 길이조절이 되는 관통슬리브를 제안하고 있으나, 이러한 암.수의 나사식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것은 1줄의 나사산 구조이어서 나사의 1회전에 나사산 피치만큼만 길이가 조절되므로 나사를 많이 회전시켜야 하므로 관통슬리브의 폭의 길이를 맞추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관통슬리브의 길이를 조절함에 있어 폭의 길이를 알 수 없어 자로 재거나 눈대중으로 맞춘 후 거푸집에 삽입하여 나사를 회전시켜 길이를 조절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1, 제2 지지캡의 크기가 다르게 되어 각각의 사출금형의 제작비용이 증가되고, 캡을 각각 구분하여 보관하고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하고, 옹벽 등 길이가 긴 곳에 사용되는 길이만큼 긴 관통슬리브가 없으므로 별도의 파이프를 잘라서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통슬리브의 폭의 길이를 다줄 나사 결합에 의해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고, 관통슬리브 기재된 치수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폭의 길이를 필요한 만큼 정확하게 조절한 후 결합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관통슬리브의 양측 지지캡에 고정핀을 형성하여 건축용 거푸집의 높이에 상관없이 어느 위치에나 고정이 가능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관통슬리브가 상호 나사결합되는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로 구성되어 설치되는 현장의 여건에 따라 폭의 조절이 용이하게 되어 규격화된 관통슬리브를 양산하고, 종래 관통슬리브의 양단의 지지캡의 크기가 다르게 제작되던 것을 같은 크기로 제작함으로써 사출금형 등의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1슬리브(100) 및 제2슬리브(200)의 외주면에는 각각 파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미끄럼 없이 용이하게 폭을 조절할 수 있는 다줄 나사산을 갖는 관통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관통슬리브가 상호 나사결합되는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가 나사결합되고 길이가 조절되지 않는 긴 개소에는 연장슬리브를 사용하여 길이를 쉽게 연장할 수 있는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는, 원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에는 제1지지캡(190)이 삽입·제거되는 결합구조로 설치되고, 타단의 내주면에는 다줄암나산이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캡(190)의 중앙부에는 거푸집(10)에 결합되는 제1고정핀(191)이 돌출형성되는 제1슬리브(100);와, 원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리브(100)의 타측에 결합되되, 일측에는 제2지지캡(290)이 삽입·제거되는 결합구조로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다줄암나사산(120)과 결합되는 다줄수나사산(2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캡(290)의 중앙부에는 거푸집(10)에 결합되는 제2고정핀(291)이 돌출형성되는 제2슬리브(200);가 포함되고, 상기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는 상호 회전 방향에 따라 조임과 풀림으로 상기 다줄암나사산(120)과 다줄수나사산(220)에 의해 폭이 신장되거나 축소되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슬리브(200)의 외측에는 상기 다줄암나사산(120)과 다줄수나사산(220)에 의해 조절되는 상기 제1,2슬리브의 양단 폭의 길이를 알 수 있도록 치수가 기재된 폭눈금판(2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슬리브(100)에 제2슬리브(2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에서 관통슬리브의 양단의 지지캡의 크기가 같을 것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슬리브의 형상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를 나사 결합 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반원 형상의 파지부돌기로 형성되는 제1파지부(130)와 제2파지부(230)가 일체로 형성되어 관통슬리브의 폭의 길이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슬리브(100)는 일측의 내측으로 연장슬리브(300)를 결합하여 슬리브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는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관통슬리브의 폭의 길이를 다줄나사산의 결합에 의해 관통슬리브이 폭의 길이를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고, 291관통슬리브에 표시된 치수를 이용하여 육안으로 폭의 길이를 필요한 만큼 정확하게 조절한 후 거푸집에 결합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관통슬리브의 양측에 고정핀을 형성하여 건축용 거푸집의 높이에 상관없이 어느 위치에나 고정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 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관통슬리브가 상호 나사결합되는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로 구성되어 설치되는 현장의 여건에 따라 폭의 조절이 용이하게 되어 규격화된 관통슬리브를 양산할 수 있고, 종래 관통슬리브의 양단의 지지캡의 크기가 다르게 제작되던 것을 같은 크기로 제작함으로써 사출금형 등의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관통슬리브가 상호 나사결합되는 제1슬리브와 제2슬리브로 길이가 조절만으로는 되지 않는 벽체옹벽의 폭이 긴 개소에는 연장슬리브를 사용하여 길이를 쉽게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관통슬리브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일례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로 연장슬리브(300)를 포함하고 있는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로 연장슬리브(300)를 포함하고 있는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우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연장슬리브(300)를 포함하고 있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는 다줄암나사산(120)이 형성된 제1슬리브(100)와 다줄수나사산(220)이 형성된 제2슬리브(200)가 나사산에 의해 결합되며, 제1지지캡(190), 제1고정핀(191), 제2지지캡(290), 제2고정핀(291) 및 연장슬리브(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슬리브(100)는 원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20)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제1지지캡(19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지지캡(190)은 콘크리트 타설시에 상기 제1슬리브(100)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콘크리트의 양생 후 거푸집(10)을 제거한 후, 상기 제1지지캡(190)을 가압하여 제거하면, 상기 제1슬리브(100)를 매개로 콘크리트에는 공조덕트, 소방관, 가스관, 에어컨의 관로 등이 지나가는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슬리브(100)의 다줄암나사산(120)은 후술할 제2슬리브(200)의 다줄수나사산(220)과 나사결합이 회전에 의해 신장되거나 축소되어 상기 제1슬리브(100)와 상기 제2슬리브(200)의 폭을 조절가능하게 한다.
제1고정핀(191)은 상기 제1지지캡(190)의 중앙부에 돌출형성 되며, 상기 제1고정핀(191)은 거푸집(10)의 홈에 결합 된다. 즉, 작업자가 거푸집(10)에 구멍을 뚫어 놓으면, 거푸집(10)의 높이에 상관없이 상기 제1슬리브(100)를 거푸집(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제2슬리브(200)는 상기 제1슬리브(100)와 마찬가지로 원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슬리브(1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다줄암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다줄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제2지지캡(29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슬리브(100)의 다줄암나사산(120)에 상기 제2슬리브(200)의 다줄수나사(220)을 결합하여 회전시키면 회전방향에 따라 폭이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제1슬리브(100)와 상기 제2슬리브(200)의 폭을 거푸집(10)의 폭과 같은 폭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은 제1슬리브(100) 및 제2슬리브(200)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다줄나사산을 채택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나사의 원리는 직각 삼각형의 종이를 원통 위에 휘감았을 때, 이 직각 삼각형의 빗면이 만드는 곡선은 나선모양이 되고 이것을 “나사곡선"이라고 부른다. 또, 나사곡선의 경사선 각도(β)를 '리드각'이라고 부르는데, 이 리드(lead)는 나사가 축을 중심으로 한 바퀴 회전했을 때 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가 된다. 한 개의 코일로 만들어진 나사를 '한줄나사' 2개 이상으로 만들어진 것을 '다줄 나사'라고 칭한다. 2개 이상의 나사산을 갖는 나사. 나선의 줄 수에 따라 2줄 나사, 3줄 나사 등으로 분류되고. 줄수가 많을수록 리드각은 크게 된다. 리드를 L, 피치를 P, 줄수를 n으로 하면, L = n ㅧP의 관계가 있기 때문에 한줄 나사에서는 L = P가 되고, 다줄나사로 하면 회전이 적어서 빨리 조이거나 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다줄나사의 특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같이 12줄의 나사산을 갖는 다줄나사를 갖는 관통슬리브를 구성하였으므로, 종래의 같은 직경을 갖는 관통슬리브에서 같은 피치의 나사산을 갖는다면 12배나 빨리 관통슬리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줄나사의 수는 파이프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캡(290) 역시 상기 제1지지캡(190)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제2슬리브(200)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콘크리트의 양생 후 거푸집(10)을 제거한 후, 상기 제2지지캡(290)을 가압하여 제거하면, 상기 제2슬리브(200)를 매개로 콘크리트에는 공조덕트, 소방관, 가스관, 에어컨의 관로 등이 지나가는 통공이 형성된다.
제2고정핀(291)은 상기 제1고정핀(191)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지지캡(290)의 중앙부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핀(291)은 거푸집(10)의 홈에 결합 된다. 즉, 작업자가 거푸집(10)에 구멍을 뚫어 놓으면, 거푸집(10)의 높이에 상관없이 상기 제2슬리브(200)를 거푸집(1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거푸집(10)의 양측에 구멍을 뚫어서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를 고정시키는 간단한 과정으로 통공을 형성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줄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리브(100)의 일측에는 또 연장할 수 있는 연장슬리브(30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1슬리브(100)와 연장슬리브(300)를 연속으로 설치하면, 거푸집(10)의 폭이 넓어져도 통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구조는 종래 도 1a와 같은 구조에서는 관통 벽의 길이에 따라 관통슬리브의 길이를 맞추어 파이프를 절단하고 일일이 제작해야 하므로 규격화가 불가능 했지만 본원 발명에서는 관통슬리브의 폭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규격화 할 수 있으므로 양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제2슬리브(200)의 외측에는 상기 다줄암나사산(220)과 다줄수나사산(220)에 의해 조절되는 상기 제1,2슬리브의 양단 폭의 길이를 알 수 있도록 치수가 기재된 폭눈금판(240)이 형성된다. 예를들어 도 2와 같이 제1,2 슬리브가 완전히 조여졌을 때 제1,2 슬리브의 양단의 폭은 120mm가 되고, 제1,2 슬리브가 회전에 의해 풀려져 제1슬리브(100)의 제1파지부(130) 끝부분이 150에 있을 때는 제1,2 슬리브의 양단의 폭은 150mm가 된다. 상기의 눈금판은 관통슬리브를 거푸집에 설치할 때 작업자가 거푸집의 간격에 맞게 조정한 후, 거푸집에 형성된 고정핀의 구멍에 제1,2 고정핀(191, 291)의 위치를 맞추고, 제1,2 파지부(130, 230)를 양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면 간단히 체결되게 된다.
본 발명은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를 나사 결합 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슬리브(100)의 일측의 타단부 외주면에는 제1파지부(1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슬리브(200)의 일측의 단부 외주면에는 제2파지부(2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파지부(130) 및 제2파지부(230)는 도 6과 같이 원형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반원 형상의 파지부돌기(135)로 형성되거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의 구성은 제1,2 슬리브를 손으로 파지하여 회전시킬 때 미끄럼 현상없이 관통슬리브의 폭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고 거푸집에 단단히 밀착시켜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슬리브(100)의 일측과 상기 제2슬리브(200)의 일측에는 연장슬리브(30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연장슬리브(300)는 상기 제1슬리브(100) 및 제2슬리브(200)의 다줄나사산에 의해 신장된 폭의 최대치보다 벽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벽의 두께에 상관 없이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지지캡(190) 및 제2지지캡(290)은 동일하여 상호 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b와 같이 종래의 나사식 관통슬리브에서는 제1, 제2 슬리브의 직경이 달라 제1지지캡 및 제2지지캡의 직경의 크기가 달라 각각 제작해야 하므로 금형비가 배로 들고 또 운반이나 보관 등에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같이 지지캡(190, 210)의 직경의 크기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1,2 슬리브의 형상과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지지캡(190, 290)은 도 3과 같이 거푸집이 닿는 면을 평면으로 하고 제1,2 슬리브(100 200)에 삽입되는 내측을 공간을 갖도록 하였다. 이는 도 1a와 같이 고정구의 지지캡이 거푸집이 닿는 면이 공간이 생기면 이 공간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이물질이 고이는 문제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10 거푸집
100: 제1슬리브
120: 다줄암나사산
130: 제1파지부
135: 파지부돌기
190: 제1지지캡
191: 제1고정핀
200: 제2슬리브
220: 다줄수나사산
230: 제2파지부
240: 폭눈금판
290: 제2지지캡
291: 제2고정핀
300: 연장슬리브
100: 제1슬리브
120: 다줄암나사산
130: 제1파지부
135: 파지부돌기
190: 제1지지캡
191: 제1고정핀
200: 제2슬리브
220: 다줄수나사산
230: 제2파지부
240: 폭눈금판
290: 제2지지캡
291: 제2고정핀
300: 연장슬리브
Claims (6)
- 원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에는 제1지지캡(190)이 삽입·제거되는 결합구조로 설치되고, 타단의 내주면에는 다줄암나사산(120)이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며, 상기 제1지지캡(190)의 중앙부에는 거푸집(10)에 결합되는 제1고정핀(191)이 돌출형성되는 제1슬리브(100);와
원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리브(100)의 타측에 결합되되, 일측에는 제2지지캡(290)이 삽입·제거되는 결합구조로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다줄암나사산(120)과 결합되는 다줄수나사산(220)이 형성되며, 상기 제2지지캡(290)의 중앙부에는 거푸집(10)에 결합되는 제2고정핀(291)이 돌출형성되는 제2슬리브(200);
상기 제1지지캡(190) 및 제2지지캡(290)은 동일하여 상호 교환되고, 상기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를 나사 결합 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슬리브(100)의 일측의 타단부 외주면에는 제1파지부(1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슬리브(200)의 일측의 단부 외주면에는 제2파지부(23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슬리브(100)와 제2슬리브(200)는 상호 회전 방향에 따라 조임과 풀림으로 상기 다줄암나사산(120)과 다줄수나사산(220)에 의해 폭이 조절되되,
상기 제2슬리브(200)의 외측에는 상기 다줄암나사산과 다줄수나사산(220)에 의해 조절되는 상기 제1,2슬리브의 양단 폭의 길이를 알 수 있도록 치수가 기재된 폭눈금판(240)이 형성되고,
상기 제1파지부(130) 및 제2파지부(230)는 원형의 외부면에 다수개의 반원 형상의 파지부돌기로 형성되거나,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지캡(190)과 제2지지캡(190, 290)은 거푸집이 닿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7231A KR101709634B1 (ko) | 2016-04-18 | 2016-04-18 |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7231A KR101709634B1 (ko) | 2016-04-18 | 2016-04-18 |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9634B1 true KR101709634B1 (ko) | 2017-02-23 |
Family
ID=5831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7231A KR101709634B1 (ko) | 2016-04-18 | 2016-04-18 |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9634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1803B1 (ko) * | 2017-03-14 | 2018-09-27 | 필립산업 (주) |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
KR20190126972A (ko) | 2018-05-03 | 2019-11-13 | 고의환 | 마개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
KR20200012014A (ko) | 2020-01-28 | 2020-02-04 | 고의환 | 벽체용 관통슬리브 |
KR102107497B1 (ko) | 2018-11-20 | 2020-05-08 | 정종하 | 설치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6534U (ko) * | 1993-08-24 | 1995-03-21 | 김원소 | 관연결부를 2줄나사로 형성한 씽크용 배수전 |
KR200288395Y1 (ko) | 2002-06-15 | 2002-09-09 | 이영근 | 건축용 관통슬리브 |
KR200397595Y1 (ko) * | 2005-05-14 | 2005-10-05 | 홍춘희 | 거푸집 체결구조 |
KR20090000525U (ko) | 2007-07-13 | 2009-01-16 | 박종홍 | 건축용 관통슬리브 |
KR20090054790A (ko) | 2007-11-27 | 2009-06-01 | 이상석 | 나사형 관통슬리브 |
KR20110059625A (ko) * | 2008-09-23 | 2011-06-02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헬리컬 기어장치 |
KR20140000615U (ko) | 2012-07-18 | 2014-01-29 | 하철상 | 길이조절이 용이한 관통슬리브 |
-
2016
- 2016-04-18 KR KR1020160047231A patent/KR1017096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6534U (ko) * | 1993-08-24 | 1995-03-21 | 김원소 | 관연결부를 2줄나사로 형성한 씽크용 배수전 |
KR200288395Y1 (ko) | 2002-06-15 | 2002-09-09 | 이영근 | 건축용 관통슬리브 |
KR200397595Y1 (ko) * | 2005-05-14 | 2005-10-05 | 홍춘희 | 거푸집 체결구조 |
KR20090000525U (ko) | 2007-07-13 | 2009-01-16 | 박종홍 | 건축용 관통슬리브 |
KR20090054790A (ko) | 2007-11-27 | 2009-06-01 | 이상석 | 나사형 관통슬리브 |
KR20110059625A (ko) * | 2008-09-23 | 2011-06-02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헬리컬 기어장치 |
KR20140000615U (ko) | 2012-07-18 | 2014-01-29 | 하철상 | 길이조절이 용이한 관통슬리브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1803B1 (ko) * | 2017-03-14 | 2018-09-27 | 필립산업 (주) |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
KR20190126972A (ko) | 2018-05-03 | 2019-11-13 | 고의환 | 마개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
KR102096802B1 (ko) | 2018-05-03 | 2020-04-03 | 고의환 | 마개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
KR102107497B1 (ko) | 2018-11-20 | 2020-05-08 | 정종하 | 설치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
KR20200012014A (ko) | 2020-01-28 | 2020-02-04 | 고의환 | 벽체용 관통슬리브 |
KR102184827B1 (ko) | 2020-01-28 | 2020-12-01 | 고의환 | 벽체용 관통슬리브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9634B1 (ko) |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 |
KR101824499B1 (ko) | 슬라이더형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 |
KR101797470B1 (ko) |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 |
KR101901803B1 (ko) |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 |
EA029426B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оправки на трубчатом элементе | |
KR20190015838A (ko) | 설치성이 개선된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 |
KR20140000615U (ko) | 길이조절이 용이한 관통슬리브 | |
KR20120005460U (ko) | 설치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 |
KR200491199Y1 (ko) | 외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 |
KR102141439B1 (ko) |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 |
KR101643398B1 (ko) |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 |
KR101630765B1 (ko) | 콘크리트 거푸집용 철근고정구 | |
KR200288395Y1 (ko) | 건축용 관통슬리브 | |
KR200488782Y1 (ko) | 설치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 |
KR200493966Y1 (ko) |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 |
KR101399294B1 (ko) | 건물 벽체용 슬리브 | |
KR102184827B1 (ko) | 벽체용 관통슬리브 | |
KR100466870B1 (ko) |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 |
CN206385727U (zh) | 一种可伸缩变直径钢筋连接套管 | |
KR102096802B1 (ko) | 마개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 |
KR20090000525U (ko) | 건축용 관통슬리브 | |
ITCO20120051A1 (it) | Motore tubolare con supporto per un elemento di fissaggio | |
KR20170001503U (ko) | 노출형 전등의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 | |
KR102107497B1 (ko) | 설치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 |
KR200281485Y1 (ko) | 콘크리트 거푸집의 간격고정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