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802B1 - 마개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마개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802B1
KR102096802B1 KR1020180050959A KR20180050959A KR102096802B1 KR 102096802 B1 KR102096802 B1 KR 102096802B1 KR 1020180050959 A KR1020180050959 A KR 1020180050959A KR 20180050959 A KR20180050959 A KR 20180050959A KR 102096802 B1 KR102096802 B1 KR 102096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re
slide
stopper
cylindric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0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6972A (ko
Inventor
고의환
고재환
Original Assignee
고의환
고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의환, 고재환 filed Critical 고의환
Priority to KR1020180050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80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04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not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 형상의 슬리브로 구성되고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는 원통부의 외면부와 마개부의 외면을 형성하도록 음각홈이 형성되고 원료공급부를 가진 고정금형; 상기 고정금형에 형합되고 슬리브의 원통부의 내면부와 마개부의 내면을 형성하도록 일단측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코어부를 갖는 가동금형; 상기 가동금형과 고정금형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를 성형하는 성형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코어부는 슬라이드코어가 결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슬라이드홈이 외주면 측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메인코어;와 상기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드코어;로 구성되어 사출금형비와 제조시간 및 조립시간을 대폭 줄임으로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마개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enetration sleeve for the wall retaining wall having multiple thread acid with a cap and a cylindrical members is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은 실린더 형상의 슬리브 내주면에 걸림턱이나 다줄나사산이 형성되고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관통슬리브의 폭을 다줄 나사산의 결합방식 또는 걸림턱과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는 관통슬리브를 원통부와 마개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하는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벽체에는 환기용, 냉난방용, 스프링클러, 전기배선, 하수, 공조덕트, 소방관, 가스관, 에어컨 등의 관로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반드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통공을 만들기 위해서는 거푸집 내측으로 일정한 직경과 폭을 갖는 관통슬리브를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통공이 만들어진다.
상기 관통슬리브는 도 1a와 같이 관통슬리브 양단에 고정구를 끼우고 상기 고정구의 상단부분에 "ㄱ"형상의 결합편을 끼워 고정시킨 후, 결합편의 절곡된 단부를 거푸집 상방에 고정시키고, 고정구를 역시 거푸집에 고정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관통슬리브는 일정한 길이의 결합편을 매개로 건축용 거푸집에 고정되기 때문에 높이의 조절이 자유롭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통슬리브를 건축용 거푸집에 설치하려면 상기 결합편의 상단부를 건축용 거푸집에 고정시킨 후, 상기 결합편의 하단부를 관통슬리브에 고정시키는 과정이 번거롭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축용 거푸집의 폭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관통슬리브의 폭을 설치될 현장의 여건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규격화된 관통슬리브를 양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도 1b와 같이 나사식으로 관통슬리브를 거푸집의 내부에 장착을 할 경우에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 벽체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촘촘히 형성된 철근 사이로 일정한 크기의 암,수 형태로 결합되어진 관통슬리브를 넣어서 거푸집에 관통슬리브를 설치하기 위한 정확한 높이와 거푸집의 넓이만큼 길이조절을 하면서 고정설치하는 것이 어려웠고, 철근 사이로 넣었다 하더라도 관통슬리브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거푸집의 넓이만큼 길이를 조절할 때 고정되지 않은 타측의 관통슬리브 몸체 전체를 회전해야만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설치는 공간이 협소한 거푸집 내측으로 설치되는 관통슬리브의 높이를 임의대로 맞춘 상태에서 고정을 위한 못이나 고정구의 설치 작업이 어렵고 몸체가 암,수의 나사로 된 관통슬리브의 회전이 상당한 힘을 요하게 되는 것이고, 더욱이 협소한 공간에서 이러한 회전작업과 높이 조절이 더욱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제품불량으로 인한 슬리브를 교환할 경우에 회전작업을 통해서만 분리되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따른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등록특허 제10-1709634호에는 도 2와 같이 관통슬리브의 폭을 다줄 나사 결합에 의해 쉽고 빠르게 조절하여 거푸집에 고정할 수 있는 다줄 나사산을 이용한 관통슬리브의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나, 도 2b와 같이 제1원통부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관통슬리브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시에 제1원통부 내측을 형성하는 코어를 분리하기 위해 일측을 개방되는 형상으로 하고, 개방된 일측을 통해 코어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로 인해 마개부와 제1원통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조할 수 없고, 원통부와 마개를 별도로 제조해야 하므로 각각의 금형이 필요하고 제조 공정과 조립 공정이 증가하여 생산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09634호 한국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14-0000615호 한국공개실용신안번호 제20-2009-0000525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839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제1원통부와 제2원통부가 나사산으로 결합되는 관통슬리브를 제조함으로써 사출금형비와 제조시간 및 조립시간을 대폭 줄이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와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조 장치는, 실린더 형상으로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리브의 제1원통부의 외면부와 제1마개부의 외면을 형성하도록 음각홈이 형성되고 원료공급부를 가진 고정금형; 상기 고정금형에 형합되고 제1슬리브의 제1원통부의 내면부와 제1마개부의 내면을 형성하도록 일단측에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원기둥 형상의 코어부를 갖는 가동금형; 상기 가동금형과 고정금형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리브를 성형하는 성형공간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부는 상기 제1원통부의 내주면에 다줄나사산을 형성하지 않는 부분을 이루는 메인코어와, 다줄나사산을 형성하는 슬라이드코어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메인코어는 하나의 원기둥 형상의 외주면 측에 복수개의 슬라이드홈이 좌우 양단까지 길게 등간격으로 형성되며,상기 슬라이드코어는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드홈에 복수개가 삽입 결합되어 좌우로 동시에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 및 제2 슬리브를 포함하는 관통슬리브 중, 제1슬리브의 제1원통부의 외면부와 제1마개부의 외면을 형성하도록 음각홈이 형성되고 원료공급부를 가진 고정금형; 상기 고정금형에 형합되고 제1슬리브의 제1원통부의 내면부와 제1마개부의 내면을 형성하도록 일단측에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원기둥 형상의 코어부를 갖는 가동금형; 상기 가동금형과 고정금형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리브를 성형하는 성형공간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부는 상기 제1원통부의 내주면에 다줄나사산을 형성하지 않는 부분을 이루는 메인코어와, 다줄나사산을 형성하는 슬라이드코어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메인코어는 하나의 원기둥 형상의 외주면 측에 복수개의 슬라이드홈이 좌우 양단까지 길게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코어는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드홈에 복수개가 삽입 결합되어 좌우로 동시에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이루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1슬리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부를 통해 상기 성형공간부 내에 성형재료를 주입하여 제1슬리브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가동금형이 고정금형으로부터 분리되는 단계; 상기 가동금형의 슬라이드코어가 메인코어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하는 단계; 제1슬리브의 내면과 슬라이드코어가 분리되는 단계: 제1슬리브가 방출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출금형비와 제조시간 및 조립시간을 대폭 줄임으로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관통슬리브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일례도
도 2는 종래의 다줄 나사산을 갖는 관통슬리브 일례로 원통부와 마개부가 분리된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의 정면도 및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의 금형의 작동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의 금형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어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코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코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사시도 및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가동코어와 슬리브가 분리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제1슬리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의 금형의 작동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제1슬리브(A)를 제조하는 장치 및 그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관통슬리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리브(A)와 제2슬리브(B)가 다줄 나사산 구조로 형성된 다줄나사산걸림부(A4)과 제1,2다줄나사산걸림부(B4, B5)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슬리브(A)와 제2슬리브(B)는 내부에 탄성부재(C)에 의해 양쪽으로 밀어주면서 거푸집에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제1,2마개부(A2, B2) 부분을 제거하면 통공이 형성되게 된다. 다줄 나사산을 사용하는 종래기술에서는 도 2와 같이 제1원통부는 내부에 형성되는 나사산(A4) 때문에 마개가 결합되는 일측으로 코어금형을 회전시켜 빼내는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상기 개방된 일측은 마개를 별도로 제조하여 삽입해야 했다.
본 발명은 원통부(A1, B1)와 마개부(A2, B2)가 일체로 형성되는 제1,2슬리브(A, B)를 제조하는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제1슬리브(A)와 제2슬리브(B)는 금형의 성형공간부(30)와 코어부(100)의 형상만 상이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어 도 3과 같이 서로 결합하면 되므로 도면은 제1슬리브(A)를 중심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개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리브(A)의 제1원통부(A1)의 외면부와 제1마개부(A2)의 외면을 형성하도록 음각홈이 형성되고 원료공급부(21)를 가진 고정금형(20)과, 상기 고정금형(20)에 형합되고 제1슬리브의 제1원통부(A1)의 내면부와 제1마개부(A2)의 내면을 형성하도록 일단측에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원기둥 형상의 코어부(100)를 갖는 가동금형(10)으로 구성된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동금형(10)과 고정금형(20) 사이에는 상기 제1슬리브(A)를 성형하는 성형공간부(30)가 형성된다.
도 6과 같이 상기 코어부(100)는 상기 제1원통부(A1)의 내주면에 다줄나사산을 형성하지 않는 부분을 이루는 메인코어(110)와, 다줄나사산을 형성하는 슬라이드코어(120)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메인코어(110)는 하나의 원기둥 형상의 외주면 측에 복수개의 슬라이드홈(112)이 좌우 양단까지 길게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드홈(112)에 복수개가 삽입 결합되어 좌우로 동시에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복수개의 메인코어(110)의 슬라이드홈(112)에 복수개의 슬라이드코어(120)가 결합되어 슬리브 내부를 형성하는 원기둥의 형상을 이룬다.
삭제
상기 메인코어(110)의 슬라이드홈(112)은 도 7과 같이 메인코어(1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메인코어단면부(114) 측의 지름(a)이 상기 제1플랜지부(113)측의 지름(b)보다 작게 형성되어(a<b) 경사지고,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제2플랜지부(123)의 상부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2플랜지부(123)의 높이(d1) 보다 슬라이드코어단면부(121c)의 높이(d2)가 크게 형성되어(d1<d2) 경사지게 이루어져, 도 6과 같이 슬라이드코어(120)가 상기 메인코어단면부(114) 측으로 이동시 슬라이드코어(120)의 반경이 좁아져 상기 제1슬리브(A)의 내면부와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조는 원료공급부(21)를 통해 공급된 수지재료가 제1슬리브(A)를 코어부(100)가 슬리브의 제1원통부(A1)의 내면부와 제1마개부(A2)의 내면을 형성한 후(도 3b), 제1슬리브(A)의 내면에 형성된 다줄나사산 또는 다줄나사산걸림부(A4)의 형상을 손상하지 않고 유지하면서 도 6a와 같은 원통형의 코어부(100)와 분리되어야 한다.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제1슬리브를 슬라이드코어(12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밀어내게 되는데, 이때 슬라이드코어(120)는 메인코어(110)의 경사진 슬라이드홈(112)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반경이 점차로 줄어들게 되므로 도 4e 및 도 5c와 같이 제1슬리브의 제1원통부(A1)의 내면부로부터 슬라이드코어(120)가 분리되게 된다.
본 발명의 메인코어(110)의 상기 슬라이드홈(112)은 도 7c와 같이 그 단면이
Figure 112019101046624-pat00001
형상으로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된다. 또한 슬라이드코어(120)는 도 8과 같이 상기 메인코어(110)의 슬라이드홈(112)에 삽입.결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단면이
Figure 112019101046624-pat00002
형상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길게 형성된 메인코어(110)의 슬라이드홈(112)에 길게 형성된 슬라이드코어(120)가 삽입결합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시 유동이 없이 원활하게 작동되므로 미려하고 정밀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도 8a와 같이 제1슬리브(A)의 제1원통부(A1)의 내주면에 다줄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플랜지부(123)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턱(123a)과 만나는 원형부(121a)에 소정의 폭으로 다줄나사산음각부(1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줄나사산음각부(124)는 도 10과 같이 제1슬리브가 다줄나사산걸림부 대신에 나사산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걸림턱(A4')이 형성될 수 있도록 걸림턱음각부를 형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는 도 3과 같이 제1슬리브(A)의 내면에 형성된 다줄나사산걸림부(A4)과 제2슬리브(B)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줄나사산걸림부(B4, B5)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2플랜지부(123)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턱(123a)과 만나는 원형부(121a)에는 관통슬리브의 다줄나사산걸림부(A4)을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드코어(120)가 우측으로 이동함과 함께 슬리브와 분리가 시작되게 되어 슬라이드코어(120)의 이동거리가 짧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다줄나사산음각부(124)는 다줄 나사산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는 다줄나사산걸림부(A4)와 다줄나사산걸림부(B4, B5)가 다줄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슬리브의 길이가 신속하게 조절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나사의 원리는 직각 삼각형의 종이를 원통 위에 휘감았을 때, 이 직각 삼각형의 빗면이 만드는 곡선은 나선모양이 되고 이것을 “나사곡선"이라고 부른다. 또, 나사곡선의 경사선 각도(β)를 '리드각'이라고 부르는데, 이 리드(lead)는 나사가 축을 중심으로 한 바퀴 회전했을 때 축 방향으로 이동한 거리가 된다. 한 개의 코일로 만들어진 나사를 '한줄나사' 2개 이상으로 만들어진 것을 '다줄 나사'라고 칭한다. 2개 이상의 나사산을 갖는 나사. 나선의 줄 수에 따라 2줄 나사, 3줄 나사 등으로 분류되고. 줄 수가 많을수록 리드각은 크게 된다. 리드를 L, 피치를 P, 줄수를 n으로 하면, L = n×P의 관계가 있기 때문에 한줄 나사에서는 L = P가 되고, 다줄나사로 하면 회전이 적어서 빨리 조이거나 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다줄나사의 특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6줄의 나사산을 갖는 다줄 나사산으로 구성하였으므로, 1줄의 나사산으로 구성하는 것보다 6배나 빨리 그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며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상기 다줄나사의 수는 파이프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그 수를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제1슬리브(A)의 다줄나사산음각부(124)가 다줄나사산으로 형성되면 이와 결합되는 제2슬리브(B)에 형성되는 제1,2 다줄나사산걸림부(B4, B5)도 다줄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슬라이드홈(112)과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2개 내지 8개 중 어느 하나의 복수로 형성된다. 슬라이드코어(120)는 슬리브의 직경에 크기에 따라 수를 조절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가장 바람직한 것은 3~4개가 안정적으로 슬리브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부(100)는 상기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에 복수 개 구비되어 1회에 복수로 제조할 수 있다. 이는 그 크기에 따라 한 번에 여러 개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 및 제2 슬리브를 포함하는 관통슬리브 중, 제1슬리브(A)의 제1원통부(A1)의 외면부와 제1마개부(A2)의 외면을 형성하도록 음각홈이 형성되고 원료공급부(21)를 가진 고정금형(20); 상기 고정금형(20)에 형합되고 제1슬리브의 제1원통부(A1)의 내면부와 제1마개부(A2)의 내면을 형성하도록 일단측에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원기둥 형상의 코어부(100)를 갖는 가동금형(10); 상기 가동금형(10)과 고정금형(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리브(A)를 성형하는 성형공간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부(100)는 상기 제1원통부(A1)의 내주면에 다줄나사산을 형성하지 않는 부분을 이루는 메인코어(110)와, 다줄나사산을 형성하는 슬라이드코어(120)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메인코어(110)는 하나의 원기둥 형상의 외주면 측에 복수개의 슬라이드홈(112)이 좌우 양단까지 길게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드홈(112)에 복수개가 삽입 결합되어 좌우로 동시에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이루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1슬리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부(21)를 통해 상기 성형공간부(30) 내에 성형재료를 주입하여 제1슬리브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가동금형(10)이 고정금형(20)으로부터 분리되는 단계; 상기 가동금형(10)의 슬라이드코어(120)가 메인코어(110)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하는 단계; 제1슬리브(A)의 내면과 슬라이드코어(120)가 분리되는 단계: 제1슬리브(A)가 방출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삭제
또한, 상기 제1슬리브(A)의 내면과 슬라이드코어(120)가 분리되는 단계는 상기 메인코어(1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코어(110)의 일단에 형성된 메인코어단면부(114) 측의 지름(a)이 상기 메인코어(110)의 타단에 형성된 제1플랜지부(113) 측의 지름(b)보다 작게 형성되어(a<b) 경사지고,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제2플랜지부(123)의 상부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2플랜지부(123)의 높이(d1) 보다 슬라이드코어단면부(121c)의 높이(d2)가 크게 형성되어(d1<d2) 경사지게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코어(120)가 상기 메인코어단면부(114) 측으로 이동시 슬라이드코어(120)의 반경이 좁아져 상기 제1슬리브(A)의 내면부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상기 제1슬리브(A)의 제1원통부(A1)의 내주면에 다줄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플랜지부(123)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턱(123a)과 만나는 원형부(121a)에 소정의 폭으로 다줄나사산음각부(1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줄나사산음각부(124)는 걸림턱음각부로 형성하거나 등간격으로 분할 구성된 나사산 홈으로 형성하여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드홈(112)과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2개 내지 8개 중 어느 하나의 복수로 형성되거나, 코어부(100)가 상기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에 복수 개 구비되어 1회에 복수 개를 제조할 수 있는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A: 제1슬리브
A1: 제1원통부
A2: 제1마개부
A3: 제1고정핀
A4: 다줄나사산걸림부
A4':걸림턱
A5: 내면부
A6: 탄성부재봉
B: 제2슬리브
B1: 제2원통부
B2: 제2마개부
B3: 제2고정핀
B4: 제1다줄나사산걸림부
B5: 제2다줄나사산걸림부
C: 탄성부재
10 : 가동금형
20 : 고정금형
21 : 원료공급부
30 : 성형공간부
100 : 코어부
110 : 메인코어
111 : 원형몸체부
111a : 원형몸체단부
111b : 원형몸체측부면
112 : 슬라이드홈
112a : 슬라이드홈단부
112b : 바닥면
112c : 돌기홈
113 : 제1플랜지부
113a : 플랜지턱
114 : 메인코어단면부
120 : 슬라이드코어
121a : 원형부
121b : 바닥면
121c : 슬라이드코어단면부
122c : 돌기
123 : 제2플랜지부
123a : 플랜지턱
124 : 다줄나사산음각부

Claims (14)

  1.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를 포함하는 관통슬리브 중, 제1슬리브(A)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슬리브(A)의 제1원통부(A1)의 외면부와 제1마개부(A2)의 외면을 형성하도록 음각홈이 형성되고 원료공급부(21)를 가진 고정금형(20);
    상기 고정금형(20)에 형합되고 제1슬리브의 제1원통부(A1)의 내면부와 제1마개부(A2)의 내면을 형성하도록 일단측에 제1플랜지부(1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원기둥 형상의 코어부(100)를 갖는 가동금형(10);
    상기 가동금형(10)과 고정금형(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리브(A)를 성형하는 성형공간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부(100)는
    상기 제1원통부(A1)의 내주면에 다줄나사산을 형성하지 않는 부분을 이루는 메인코어(110)와, 다줄나사산을 형성하는 슬라이드코어(120)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메인코어(110)는 하나의 원기둥 형상의 외주면 측에 복수개의 슬라이드홈(112)이 좌우 양단까지 길게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드홈(112)에 복수개가 삽입 결합되어 좌우로 동시에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112)은 상기 메인코어(1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코어(110)의 일단에 형성된 메인코어단면부(114) 측의 지름(a)이 상기 메인코어(110)의 타단에 형성된 제1플랜지부(113) 측의 지름(b)보다 작게 형성되어(a<b) 경사지고,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제2플랜지부(123)의 상부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2플랜지부(123)의 높이(d1) 보다 슬라이드코어단면부(121c)의 높이(d2)가 크게 형성되어(d1<d2) 경사지게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코어(120)가 상기 메인코어단면부(114) 측으로 이동시 슬라이드코어(120)의 반경이 좁아져 상기 제1슬리브(A)의 내면부와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는 하는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112)은 단면이
    Figure 112019101046624-pat00003
    형상으로 외주면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상기 슬라이드홈(112)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단면이
    Figure 112019101046624-pat00004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는 하는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상기 제1슬리브(A)의 제1원통부(A1)의 내주면에 다줄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플랜지부(123)의 플랜지턱(123a)과 만나는 원형부(121a)에 소정의 폭으로 다줄나사산음각부(1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112)과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2개 내지 8개 중 어느 하나의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100)는 상기 고정금형(20)과 가동금형(10)에 복수 개 구비되어 1회에 복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9.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슬리브 및 제2슬리브를 포함하는 관통슬리브 중, 제1슬리브(A)의 제1원통부(A1)의 외면부와 제1마개부(A2)의 외면을 형성하도록 음각홈이 형성되고 원료공급부(21)를 가진 고정금형(20); 상기 고정금형(20)에 형합되고 제1슬리브의 제1원통부(A1)의 내면부와 제1마개부(A2)의 내면을 형성하도록 일단측에 플랜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원기둥 형상의 코어부(100)를 갖는 가동금형(10); 상기 가동금형(10)과 고정금형(2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슬리브(A)를 성형하는 성형공간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부(100)는 상기 제1원통부(A1)의 내주면에 다줄나사산을 형성하지 않는 부분을 이루는 메인코어(110)와, 다줄나사산을 형성하는 슬라이드코어(120)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메인코어(110)는 하나의 원기둥 형상의 외주면 측에 복수개의 슬라이드홈(112)이 좌우 양단까지 길게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상기 복수개의 슬라이드홈(112)에 복수개가 삽입 결합되어 좌우로 동시에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이루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제1슬리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부(21)를 통해 상기 성형공간부(30) 내에 성형재료를 주입하여 제1슬리브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가동금형(10)이 고정금형(20)으로부터 분리되는 단계;
    상기 가동금형(10)의 슬라이드코어(120)가 메인코어(110)로부터 분리되어 이동하는 단계;
    제1슬리브(A)의 내면과 슬라이드코어(120)가 분리되는 단계:
    제1슬리브(A)가 방출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1슬리브(A)의 내면과 슬라이드코어(120)가 분리되는 단계는
    상기 메인코어(1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코어(110)의 일단에 형성된 메인코어단면부(114) 측의 지름(a)이 상기 메인코어(110)의 타단에 형성된 제1플랜지부(113) 측의 지름(b)보다 작게 형성되어(a<b) 경사지고,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제2플랜지부(123)의 상부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2플랜지부(123)의 높이(d1) 보다 슬라이드코어단면부(121c)의 높이(d2)가 크게 형성되어(d1<d2) 경사지게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코어(120)가 상기 메인코어단면부(114) 측으로 이동시 슬라이드코어(120)의 반경이 좁아져 상기 제1슬리브(A)의 내면부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상기 제1슬리브(A)의 제1원통부(A1)의 내주면에 다줄나사산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플랜지부(123)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턱(123a)과 만나는 원형부(121a)에 소정의 폭으로 다줄나사산음각부(1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112)과 상기 슬라이드코어(120)는 2개 내지 8개 중 어느 하나의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방법.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100)는 상기 고정금형과 가동금형에 복수 개 구비되어 1회에 복수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개부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제1슬리브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방법.
KR1020180050959A 2018-05-03 2018-05-03 마개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2096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959A KR102096802B1 (ko) 2018-05-03 2018-05-03 마개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0959A KR102096802B1 (ko) 2018-05-03 2018-05-03 마개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120A Division KR102184827B1 (ko) 2020-01-28 2020-01-28 벽체용 관통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972A KR20190126972A (ko) 2019-11-13
KR102096802B1 true KR102096802B1 (ko) 2020-04-03

Family

ID=6853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959A KR102096802B1 (ko) 2018-05-03 2018-05-03 마개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8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4308A (zh) * 2022-03-01 2022-05-10 北京利尔高温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稳流器滑动式内芯组合模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040A (ja) 2005-08-29 2007-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サート成形金型
KR100962666B1 (ko) 2009-12-31 2010-06-11 주식회사 서원양행 상하수도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의 성형방법
KR101709634B1 (ko) 2016-04-18 2017-02-23 고의환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9840C (en) * 1997-10-03 2007-10-05 Johnson & Johnson Medical Biopolymer sponge tubes
KR200288395Y1 (ko) 2002-06-15 2002-09-09 이영근 건축용 관통슬리브
KR20090000525U (ko) 2007-07-13 2009-01-16 박종홍 건축용 관통슬리브
KR20140000615U (ko) 2012-07-18 2014-01-29 하철상 길이조절이 용이한 관통슬리브
KR20160139924A (ko) * 2015-05-29 2016-12-07 경성정밀주식회사 언더컷 처리를 위한 슬라이드 경사코어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2040A (ja) 2005-08-29 2007-03-15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ンサート成形金型
KR100962666B1 (ko) 2009-12-31 2010-06-11 주식회사 서원양행 상하수도관 연결구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하수도관 연결구의 성형방법
KR101709634B1 (ko) 2016-04-18 2017-02-23 고의환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972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4911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распорный болт с нанесенной на него методом экструзии распорной втулкой
CA3003657C (en) Embedded concrete anchor system
KR102096802B1 (ko) 마개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된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1709634B1 (ko) 다줄 나사산을 갖는 벽체옹벽용 관통슬리브
CN113027127A (zh) 免套管式对拉螺杆及建筑模板加固方法
CN1550620A (zh) 螺栓固定锚
US8807982B2 (en) Expandable molding insert apparatus and method
EP01353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internally screw-threaded article
KR102097750B1 (ko) 비정형 콘크리트 패널 생산을 위한 로드타입 몰드, 이를 이용한 비정형 콘크리트 패널 생산라인 시스템 및 생산방법
KR200491199Y1 (ko) 외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US7766396B1 (en) Liquid tight coupling for non-metallic conduit
KR102184827B1 (ko) 벽체용 관통슬리브
CN102261041B (zh) 后张预应力桥梁预埋胶管端部固定装置
KR20040014609A (ko) 신장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KR20030045727A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CN104141385A (zh) 用于混凝土板墙浇筑模板安装的对拉装置
CN212155400U (zh) 一种双六角螺栓头螺栓
CN204296002U (zh) 干式套管生产用模具
CN219388393U (zh) 带凹槽的螺母锥形预埋件
CN202073042U (zh) 后张预应力桥梁预埋胶管端部固定装置
KR102446331B1 (ko) 거푸집용 세파타이 고정장치
CN2608743Y (zh) 固定模板用的丝杆及其专用螺母
JP5164637B2 (ja) 吊上げ反転穴つきu字溝製造方法
CN220699968U (zh) 匹配预制节段箱梁工艺孔成孔的预埋装置
CN215241613U (zh) 一种预制墙板穿墙孔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