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503U - 노출형 전등의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노출형 전등의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503U
KR20170001503U KR2020150006821U KR20150006821U KR20170001503U KR 20170001503 U KR20170001503 U KR 20170001503U KR 2020150006821 U KR2020150006821 U KR 2020150006821U KR 20150006821 U KR20150006821 U KR 20150006821U KR 20170001503 U KR20170001503 U KR 201700015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posed
bracket
main body
hexagonal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109Y1 (ko
Inventor
권영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창
Priority to KR2020150006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0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5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4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having multiple lighting devices, e.g. connected to a common ceiling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4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e.g. dovetail interlocking means fixed by sl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의 천장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노출형 전등의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를 개선하여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에 파이프를 견고하면서도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가이드레일(10)에 감싸지게 설치되는 본체(20)의 내부에 가이드레일에 끼워지는 한 쌍의 돌기(21)를 형성함과 함께 일 측의 돌기 사이로는 볼트(30)가 노출되게 볼트 체결공(22)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20)의 저부에는 파이프(40)의 숫나사(41)에 체결된 상부 육각너트(51)의 머리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공회전 방지홈(23)을 하부에 개구부(24)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40)에 2개의 육각너트(51)(52)를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게 체결한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51)가 공회전 방지홈(23)에 위치됨과 동시에 하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52)는 개구부(24)를 통해 공회전 방지홈(23)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파이프(40)를 조립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52)를 조임에 따라 파이프(40)가 본체(20)의 하부로 노출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노출형 전등의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Exposed lamp pipe support bracket}
본 고안은 실내의 천장에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노출형 전등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그 구조를 개선하여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에 파이프를 견고하면서도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노출형 전등의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천장에는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전등이 설치되는데, 전등이 설치되는 전등 프레임의 장착상태에 따라 매립형 또는 노출형으로 대별된다.
상기 매립형은 천장이 석고보드로 마감된 사무실의 경우에 많이 적용되고, 노출형은 인테리어의 잦은 변경으로 조명할 부위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많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노출형 전등은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레일에 브라켓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전선이 통과하는 파이프를 고정하여 성기 파이프의 끝단에 전등이 내장되는 전등 프레임을 고정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에 보울트 및 나비너트를 체결하여 브라켓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의 저부에 형성된 통공의 내부에는 너트를 집어넣은 다음 숫나사가 형성된 파이프를 통공으로 밀어넣어 너트를 체결함에 따라 파이프가 브라켓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121106호(2012.11.05.공개)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가이드레일에 브라켓을 지지하기 위해 나비 너트를 회전시킬 때, 볼트가 공회전하여 브라켓을 고정시킬 수 없기 때문에 볼트를 잡아준 상태에서 나비 너트를 회전시켜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수반되었다.
둘째, 브라켓에 파이프를 고정시킬 때, 브라켓에 형성된 통공의 내부에 너트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숫나사가 형성된 파이프를 통공으로 집어넣어 너트를 체결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게 된다.
셋째,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을 프레스로 성형 제작하기 때문에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브라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가이드레일에서 브라켓의 위치를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브라켓에 파이프를 고정시킬 때, 브라켓의 외부에서 너트를 체결함에 따라 파이프의 고정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브라켓을 압출 성형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함과 동시에 볼트 체결공만을 후 가공함으로써, 대량 생산에 따른 원가 절감으로 브라켓을 저렴한 가격으로 널리 보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가이드레일에 감싸지게 설치되는 본체의 내부에 가이드레일에 끼워지는 한 쌍의 돌기를 형성함과 함께 일 측의 돌기 사이로는 볼트가 노출되게 볼트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저부에는 파이프의 숫나사에 체결된 상부 육각너트의 머리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공회전 방지홈을 하부에 개구부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에 2개의 육각너트를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게 체결한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가 공회전 방지홈에 위치됨과 동시에 하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는 개구부를 통해 공회전 방지홈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파이프를 조립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를 조임에 따라 파이프가 본체의 하부로 노출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전등의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이 제공된다.
본 고안은 브라켓에 형성된 볼트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브라켓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브라켓의 위치 조절작업이 편리해지게 됨은 물론이고 브라켓에 파이프를 고정시킬 때에는 파이프에 형성된 숫나사에 체결된 상부의 육각너트를 공회전 방지홈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를 체결하기만 하면 상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가 공회전 방지홈에서 공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파이프의 고정작업이 편리해지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브라켓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써,
도 3a는 파이프의 상부에 체결된 육각너트가 공회전 방지홈에 위치되고, 하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는 체결되지 전의 상태도
도 3b는 파이프의 하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를 체결하여 파이프가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브라켓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로써, 본 고안은 가이드레일(10)에 감싸지게 설치되는 본체(20)의 내부에는 가이드레일이 끼워지는 한 쌍의 돌기(21)가 형성되어 있고 일 측의 돌기 사이로는 볼트(30)가 노출되게 볼트 체결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20)의 저부에는 파이프(40)의 숫나사(41)에 체결된 상부 육각너트(51)의 머리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공회전 방지홈(23)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공회전 방지홈(23)의 하부에는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트 체결공(22)이 형성되는 본체(20)의 외측으로 덧살(25)을 더 구비하면 볼트(30)의 체결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회전 방지홈(23)에 고정되는 파이프(40)의 숫나사(41)에는 2개의 육각너트(51)(52)가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게 체결되어 있어 상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51)를 공회전 방지홈(23)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하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52)는 개구부(24)를 통해 공회전 방지홈(23)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파이프(40)를 공회전 방지홈(23)에 조립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52)를 조임에 따라 파이프(40)가 본체(20)의 하부로 노출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20)의 내부에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돌기(21)를 이용하여 본체(20)를 가이드레일(10)에 결합함과 동시에 본체(20)를 원하는 지점에 위치시키고 난 다음에는 볼트(30)를 조여주기만 하면 본체(20)가 유동되지 않는다.
그 후, 2개의 육각너트(51)(52)가 숫나사(41)에 결합된 파이프(40)를 본체(20)에 형성된 공회전 방지홈(23)에 조립하는데, 이를 위해 파이프(40)의 상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51)를 공회전 방지홈(23)에 밀어 넣으면 공회전 방지홈(23)의 하부에 개구부(24)가 형성되어 있어 파이프(40)가 간섭을 받지 않고 도 3a와 같이 본체(20)의 공회전 방지홈(23)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패너(도시는 생략함)를 이용하여 파이프(40)의 하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52)를 조여주면 파이프(40)의 상부에 위치하며 공회전 방지홈(23)에 위치하는 육각너트(51)에 의해 파이프(40)가 공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공회전 방지홈(23)에 위치하는 육각너트(51)를 잡아주지 않고도 편리하게 하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52)를 도 3b와 같이 체결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가이드레일 20 : 본체
21 : 돌기 22 : 볼트 체결공
23 : 공회전 방지홈 24 : 개구부
25 : 덧살 40 : 파이프
41 : 숫나사 51, 52 : 육각너트

Claims (2)

  1. 가이드레일(10)에 감싸지게 설치되는 본체(20)의 내부에 가이드레일에 끼워지는 한 쌍의 돌기(21)를 형성함과 함께 일 측의 돌기 사이로는 볼트(30)가 노출되게 볼트 체결공(22)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20)의 저부에는 파이프(40)의 숫나사(41)에 체결된 상부 육각너트(51)의 머리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공회전 방지홈(23)을 하부에 개구부(24)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파이프(40)에 2개의 육각너트(51)(52)를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게 체결한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51)가 공회전 방지홈(23)에 위치됨과 동시에 하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52)는 개구부(24)를 통해 공회전 방지홈(23)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파이프(40)를 조립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육각너트(52)를 조임에 따라 파이프(40)가 본체(20)의 하부로 노출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전등의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트 체결공(22)이 형성되는 본체(20)의 외측으로 덧살(25)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전등의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
KR2020150006821U 2015-10-20 2015-10-20 노출형 전등의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 KR200484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21U KR200484109Y1 (ko) 2015-10-20 2015-10-20 노출형 전등의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821U KR200484109Y1 (ko) 2015-10-20 2015-10-20 노출형 전등의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03U true KR20170001503U (ko) 2017-04-28
KR200484109Y1 KR200484109Y1 (ko) 2017-08-01

Family

ID=5866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821U KR200484109Y1 (ko) 2015-10-20 2015-10-20 노출형 전등의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4279A (zh) * 2018-06-29 2018-12-25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灯架
CN109084233A (zh) * 2018-06-29 2018-12-25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吊装式照明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21U (ja) * 1993-06-23 1995-01-24 戸田建設株式会社 デッキスラブの吊金物
KR20110010561U (ko) * 2010-05-04 2011-11-10 김의호 호이스트용 레일 고정구
KR20130044279A (ko) * 2013-04-12 2013-05-02 (주)우영 진동에 의한 이탈방지 브라켓이 적용된 주차장용 직부등
KR20150002542A (ko) * 2013-06-28 2015-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21U (ja) * 1993-06-23 1995-01-24 戸田建設株式会社 デッキスラブの吊金物
KR20110010561U (ko) * 2010-05-04 2011-11-10 김의호 호이스트용 레일 고정구
KR20130044279A (ko) * 2013-04-12 2013-05-02 (주)우영 진동에 의한 이탈방지 브라켓이 적용된 주차장용 직부등
KR20150002542A (ko) * 2013-06-28 2015-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4279A (zh) * 2018-06-29 2018-12-25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灯架
CN109084233A (zh) * 2018-06-29 2018-12-25 东莞市闻誉实业有限公司 吊装式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109Y1 (ko) 2017-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96800A1 (en) Joining device for two building elements
ITMI20092301A1 (it) Dispositivo di ancoraggio per il collegamento di manufatti per la realizzazione di edifici.
US20170096816A1 (en) Nut and method for fixing an object to a building structure
CA2767677A1 (en) Fastening device for attachment to a mounting rail
KR200484109Y1 (ko) 노출형 전등의 파이프 지지용 브라켓
JP2000318537A (ja) 車両のためのルーフレール
CN201059020Y (zh) 型材连接件
US9340964B2 (en) Toilet flange anchor
KR200380495Y1 (ko) 토목 건축용 지지대의 클램핑장치
JPS6018714Y2 (ja) パイプ固定装置
JP2009068208A (ja) レール取付構造
JP3567288B2 (ja) 簡易締結装置
KR200197016Y1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US20150075858A1 (en) Mounting Screw Retention Feature for a Housing of an Electronic Device
JP3018094U (ja) 建築用型枠セパレータ
KR200378155Y1 (ko) 거푸집 고정구
JP7221160B2 (ja) オーニングユニット
JPS634757Y2 (ko)
KR200182841Y1 (ko) 거푸집 고정장치
JP2010196973A (ja) エアコン室外機の据付方法、治具および据付架台
JPH0328141Y2 (ko)
JPS6023547Y2 (ja) アルミ押出型材のビスポケツト
JPH0215951Y2 (ko)
KR200481927Y1 (ko) 엘이디 조명장치
JP2007211444A (ja) 折版屋根谷部用雪止め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