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756Y1 -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756Y1
KR200486756Y1 KR2020170006132U KR20170006132U KR200486756Y1 KR 200486756 Y1 KR200486756 Y1 KR 200486756Y1 KR 2020170006132 U KR2020170006132 U KR 2020170006132U KR 20170006132 U KR20170006132 U KR 20170006132U KR 200486756 Y1 KR200486756 Y1 KR 2004867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stepwise
groove
inner cylind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선
Original Assignee
이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선 filed Critical 이호선
Priority to KR2020170006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7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7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7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조절 내부통(100)의 상기 상하 일직선통로(112)에 연이어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와, 그리고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 및 그 끝단에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이 형성됨으로써 회전원주길이를 짧게 하면서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의 상단부가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과 겹치지 않는 확장 보강부(S)를 갖도록 할 뿐 아니라 거푸집에 고정된 외부통(200)에 대하여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삽입ㆍ높이 조절되는 높이조절 내부통(100)이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의 돌출부에 의해 일시 정지ㆍ지지되어 이 정지된 지점에서 내부통(100)의 미세높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높이조절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Pipe sleeve of adjusting height}
본 고안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높이조절 내부통(100)의 상기 상하 일직선통로(112)에 연이어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와, 그리고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 및 그 끝단에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이 형성됨으로써 회전원주길이를 짧게 하면서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의 상단부가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과 겹치지 않는 확장 보강부(S)를 갖도록 할 뿐 아니라 거푸집에 고정된 외부통(200)에 대하여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삽입ㆍ높이 조절되는 높이조절 내부통(100)이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의 돌출부에 의해 일시 정지ㆍ지지되어 이 정지된 지점에서 내부통(100)의 미세높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높이조절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리 말하면, 본 고안은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와, 그리고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 및 그 끝단에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회전원주길이가 최소화되면서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의 상단부가 확장 보강부(S)가 되고,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의 돌출부에 의해 내부통(100)이 일시 정지되어 내부통(100)의 미세높이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벽체와 슬래브로 이루어지는 아파트, 공동주택 등의 축조는 통상 시멘트 몰탈에 의한 콘크리트 축조이다. 이때 상하수도관, 가스관, 에어컨, 전기ㆍ통신 케이블 등은 벽체와 슬래브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시멘트 몰탈에 의한 축조이므로 거푸집이 먼저 설치된 다음, 그 위에 시멘트 몰탈이 타설된다. 벽체와 슬래브에 대한 상기 상하수도관, 전기ㆍ통신 케이블의 관통통로인 “슬리브(sleeve)"가 통상 설치된다. “슬리브(sleeve)"는 타설 전에 거푸집에 설치된다.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는 “슬리브(sleeve)"는 벽체와 슬래브에 매설된 상태다. 이를 통해 상기 상하수도관, 전기ㆍ통신 케이블이 벽체와 슬래브를 관통하게 된다.
“슬리브(sleeve)"의 높이는 벽체나 슬래브두께와 같다.
그런데 축조되는 건축물의 벽체나 슬래브두께가 일정하지 않다. 고층건물과 저층건물의 벽체와 슬래브두께가 동일한 것이 아니듯이 항상 동일한 두께가 아니다. 그렇다고 그 두께에 따라 각기 다른 높이의 슬리브를 여러 개 제작한다는 것은 비경제적이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것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리브가 종래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 20-0459142호가 개시되어있다(도1a, 1b, 1c참조).
도1a, 1b, 1c에 의하면, 종래기술의 슬리브는, 외부원통관(20)의 걸림턱(21)이 내부원통관(10)의 세로형 승강홈(15)을 타고 상하 이동되어 그 높낮이가 조정되는 구조이다.
내부원통관(10)의 고정은 내부원통관(10)의 가로형 조절홈(11)내로 외부원통관(20)의 걸림턱(21)이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이때 가로형 조절홈(11)은 세로형 승강홈(15)을 중심으로 가로방향으로 평행되게 병렬되어있다. 병렬된 가로형 조절홈(11)의 입구가 같은 높이의 수직선상에 있다.
높이는 외부원통관(20)의 걸림턱(21)이 가로형 조절홈(11)의 수직선상의 입구를 통해 가로형 조절홈(11)에 삽입됨으로써 조절된다.
외부원통관(20)이 고정된 상태에서 그 걸림턱(21)에 내부원통관(10)의 세로형 승강홈(15)이 삽입된다. 그 걸림턱(21)이 가로형 조절홈(11)의 수직선상의 입구를 통해 삽입ㆍ회전되게 함으로써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내부원통관(10)의 높이조절과 함께 고정된다.
내부원통관(10)의 높이조절이 한 번에 이루어지지 않고 두세 번 조절하는 것이 보통이다. 왜냐하면 슬래브의 경우 외부원통관(20)의 하부는 하부거푸집에 확실하게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이지만 그 상부, 즉 외부원통관(20)에 삽입된 내부원통관(10)의 상부는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 상부표면(이는 아직도 유동적인 불확실한 상부표면)이므로 그 높이가 일치되지 않아 불가피하게 몰탈 상부표면에 일치되도록 그 높이를 조절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를 배경으로 도1a, 1b, 1c에 의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원통관(10)의 높이조절을 위한 원주회전 길이가 길어 높이조절작업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외부원통관(20)이 고정된 상태에서 이에 삽입된 내부원통관(10)의 회전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구조이다. 즉, 외부원통관(20)의 걸림턱(21)에, 높이가 서로 다른 가로형조절홈(11)중의 하나를 선택ㆍ삽입한 상태에서 가로형조절홈(11)을 회전함으로써 그 높이가 조절된다.
그런데 내부원통관(10)의 높이조절은 통상 단한 번만의 높이조절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슬래브의 경우를 예로 들어 그 이유를 살펴본다.
슬래브는 그 하부에 거푸집이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설치되지 않는다.
하부거푸집에 고정된 외부원통관(20)에는 내부원통관(10)이 삽입된다. 시멘트 몰탈이 거푸집위에 타설되고, 그 몰탈 표면이 내부원통관(10)의 상단과 일치된다.
타설된 몰탈 표면은 유동적이어서 내부원통관(10)의 상단과 일치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그 일치를 위해 내부원통관(10)의 가로형조절홈(11)에서 외부원통관(20)의 걸림턱(21)을 빼낸 다음, 그 높이에 맞는 가로형조절홈(11)에 이를 삽입해야한다. 걸림턱(21)에서 가로형조절홈(11)을 빼내거나 다시 삽입할 경우 가로형조절홈(11)의 회전원주길이(거의 1/2의 원주)가 길어 내부원통관(10)의 회전에 의한 높이조절작업이 비효율적이 된다. 특히 상기 걸림턱(21)이 스토퍼(16)에 위치된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둘째, 외부원통관(20)의 걸림턱(21)이 세로형 승강홈(15)에 위치된 곳에서만 동일수직선상에 일렬로 배치된 가로형 조절홈(11)의 안내부(12)로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그 걸림턱(21)의 안내부(12)로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세로형 승강홈(15)은 외부원통관(20)의 걸림턱(21)이 상하로 통과되는 단순한 통로일 뿐, 미세한 높이조절을 위해 그 걸림턱(21)이 일시 정지ㆍ지지될 수 있는 구조가 없으므로 몰탈이 타설된 상태에서 동일수직선상에 일렬로 배치된 가로형 조절홈(11)의 안내부(12)에 삽입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미세한 높이조절작업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셋째, 하부거푸집에 고정된 외부원통관(20)에 삽입된 내부원통관(10)은 걸림턱(21)과 가로형 조절홈(11)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내부원통관(10)은 걸림턱(21)에 의해 지지된다. 즉, 걸림턱(21)이 가로형 조절홈(11)과 가로형 조절홈(11)사이의 형성된 가로형 보강돌테(p)를 지지한다.
통상 슬리브는 미세 높이조절이므로 가로형 조절홈(11)이 촘촘히 형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턱(21)이 지지하는 가로형 보강돌테(p)의 두께역시 얇게 된다.
외부원통관(20)은 하부거푸집에 고정되어있으므로 걸림턱(21)이 내부원통관(10)의 자중을 지지하게 된다. 슬래브 타설 시에는 내부원통관(10)의 자중뿐만 아니라 상부하중(시멘트 몰탈의 무게, 작업자의 무게 등)이 그 위에 겹치게 되어 걸림턱(21)이 견고한 경우, 가로형 보강돌테(p)가 내부원통관(10)의 자중과 그 상부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파단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 본 고안은 높이조절 내부통(100)의 상기 상하 일직선통로(112)에 연이어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와, 그리고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 및 그 끝단에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이 형성됨으로써 회전원주길이를 짧게 하면서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의 상단부가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과 겹치지 않는 확장 보강부를 갖도록 할 뿐 아니라 거푸집에 고정된 외부통(200)에 대하여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삽입ㆍ높이 조절되는 높이조절 내부통(100)이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의 돌출부에 의해 일시 정지ㆍ지지되어 이 정지된 지점에서 내부통(100)의 미세높이조절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높이조절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에 결착되게 함으로써 각 가로 원주홈(115)의 길이(b)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원주의 3등분점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내부통(100)의 상하 일직선통로(112)도 3등분점에 형성되게 함으로써 내부통(100)의 회전에 의한 높이조절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 그뿐 아니라 상기 높이조절고정턱(210)의 진입로인 높이조절 내부통(100)에 삽입구(117)를 형성하되 삽입구(117)의 상단은 내부통(100)의 두께와 동일하면서 그 하단은 높이조절고정턱(210)의 경사 유도면이 되게 함으로써 높이조절고정턱(210)의 진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진입된 후에는 강제적인 힘이 아니고서는 빠져나오지 않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높이조절 내부통(100)의 기준턱선(110)을 중심으로 형성된 상하 일직선통로(112)에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높이조절 내부통(100)이 상하 이동되게 하되 높이조절 내부통(100)에 형성된 공지의 가로형 조절홈(11)에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삽입됨으로써 그 고정이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슬리브에 있어서
높이조절 내부통(100)의 상기 상하 일직선통로(112)에 연이어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와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각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의 끝단에는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대응ㆍ고정되는 계단식상향고정홈(116)이 형성되며, 이에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위치되어 높이조절 내부통(100)의 자중에 의해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이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에 중력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이다.
여기에다.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을 3등분점에 하나씩 3개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높이조절 내부통(100)에도 3개의 상하 일직선통로(112)와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 및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높이조절고정턱(210)의 진입로인 높이조절 내부통(100)에 삽입구(117)를 형성하되 삽입구(117)의 상단은 내부통(100)의 두께와 동일하고, 그 하단은 높이조절고정턱(210)의 경사 유도면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이다.
그뿐 아니라,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는 상하 일직선통로(112)의 우측선(y)으로부터 일정거리(d)씩 계단식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의 각 끝단 상향고정홈(116)도 일정거리(d)씩 계단식으로 형성하되 각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의 상부에는 확장된 보강부(S)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이다.
본 고안은 높이조절 내부통(100)의 상기 상하 일직선통로(112)에 연이어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와, 그리고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 및 그 끝단에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이 형성된 구성이다.
높이 조절를 위한 회전 원주길이를 짧게 하기위하여 도4에서와 같이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의 첫 번째 계단의 가로 원주홈(115)의 돌출부(a)는 수직선 y과 일치되는 위치에 있다. 두 번째 계단의 가로 원주홈(115)의 돌출부(a)는 수직선 y에서 d만큼 떨어진 거리에 위치되며 그 끝단의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이 첫 번째 계단의 상향고정홈(116)보다 d만큼 떨어져있다. 세 번째 계단, 네 번째 계단,ㆍㆍㆍ도 이와 같다. 이를 달리 말하면, 가로 원주홈(115)의 돌출부(a)가 아래로 향해가면서 계단형태를 이루고, 이에 대응되는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역시 계단형태를 이룬다. 특히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의 계단형태는 그 상부가 서로 겹치지 않는다. 서로 겹치지 않으므로 결착된 높이조절고정턱(210)에 대하여 중력방향의 힘을 받고 있는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이 서로 겹침이 없는 만큼 크게 보강된다. 이 보강을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에 대한 확장된 보강부(S)라 부르기로 한다.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에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이 중력방향으로 내려오는 내부통(100)의 자중에 의해 결착되는 곳이므로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의 형상은 위로 올라간 형상이다.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의 결착상태를 해제하기위해서는 내부통(100)을 약간 들어 올려 가로 원주홈(115)에 내려놓으면 쉽게 내려올 수 있는 통로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에 결착되게 함으로써 각 가로 원주홈(115)의 길이(b)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원주의 3등분점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내부통(100)의 상하 일직선통로(112)도 3등분점에 형성된다. 가로 원주홈(115)의 길이가 3등분되고, 여기에다 가로 원주홈(115)의 길이(b)가 최소화됨으로써 내부통(100)의 회전에 의한 높이조절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하부 거푸집에 고정된 외부통(200)에 내부통(100)이 삽입될 때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내부통(100)의 상하 일직선통로(112)의 최하단에 삽입된다. 상하 일직선통로(112)상에 높이조절고정턱(210)이 위치된 상태에서는 내부통(100)는 그 자중에 의하여 자연히 중력방향으로 내려간다.
내부통(100)이 아래로 내려가는 중에 내부통(100)을 살짝 약간 회전하게 되면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내부통(100)의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에 걸려 일시ㆍ정지된다. 내부통(100)의 일시정지가 가능하므로 일시 정지된 상태에서 미세높이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 본 고안은 높이조절 내부통(100)의 상기 상하 일직선통로(112)에 연이어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와, 그리고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 및 그 끝단에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이 형성됨으로써 회전원주길이를 짧게 하면서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의 상단부가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과 겹치지 않는 확장 보강부를 갖도록 할 뿐 아니라 거푸집에 고정된 외부통(200)에 대하여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삽입ㆍ높이 조절되는 높이조절 내부통(100)이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의 돌출부에 의해 일시 정지ㆍ지지되어 이 정지된 지점에서 내부통(100)의 미세높이조절이 용이하고 이와 동시에 그 높이조절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고,
⒝ 또한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에 결착되게 함으로써 각 가로 원주홈(115)의 길이(b)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원주의 3등분점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내부통(100)의 상하 일직선통로(112)도 3등분점에 형성되게 함으로써 내부통(100)의 회전에 의한 높이조절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으며,
⒞ 그뿐 아니라 상기 높이조절고정턱(210)의 진입로인 높이조절 내부통(100)에 삽입구(117)를 형성하되 삽입구(117)의 상단은 내부통(100)의 두께와 동일하면서 그 하단은 높이조절고정턱(210)의 경사 유도면이 되게 함으로써 높이조절고정턱(210)의 진입이 용이할 뿐 아니라 진입된 후에는 강제적인 힘이 아니고서는 빠져나오지 않게 되는 효과를 지닝 유용한 고안이다.
[도1a] 종래기술의 슬리브의 분해사시도
[도1b] 도1a의 슬리브가 슬래브에 설치된 상태단면도
[도1c] 도1a의 슬리브 가로형 조절홈의 확대사시도
[도2] 본 발명 높이조절 내부통의계단식 가로 원주홈과 계단식 상향고정홈이 형성된 높이조절 내부통과 외부통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3] 도2의 분해사시도
[도4] 도2의 가로 원주홈과 계단식 상향고정홈을 나타낸 단면도
본 고안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실용신안등록 제 20-0459142호)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다음 구성을 제외하고는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본 고안과 종래기술과의 다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원주의 3등분점이고, 이에 대응되는 내부통(100)의 상하 일직선통로(112)도 3등분점이다.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은 높이조절 내부통(100)의 삽입구(117)를 통해 상하 일직선통로(112)로 진입된다. 이때 삽입구(117)의 상단은 내부통(100)의 두께와 동일하고, 그 하단은 높이조절고정턱(210)의 경사 유도면으로 이루어진 구조다. 삽입구(117)의 상단은 높이조절고정턱(210)이 높이조절 내부통(100)의 상하 일직선통로(112)에 진입된 상태에서 높이조절고정턱(210)이 걸치게 되는 턱이다. 강제적인 힘이 아니고서는 잘 빠지지 않게 된다.
둘째, 높이조절 내부통(100)의 상하 일직선통로(112)에 연이어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와, 그리고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 및 그 끝단에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이 형성함으로써 회전원주길이를 짧게 한 구성이다.
셋째,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와, 그리고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 및 그 끝단에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이 형성됨으로써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의 상단부가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과 겹치지 않으면서 각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의 상부에는 확장된 보강부(S)가 형성된 구성이다.
넷째, 거푸집에 고정된 외부통(200)에 대하여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삽입ㆍ높이 조절되는 높이조절 내부통(100)이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의 돌출부에 의해 일시 정지ㆍ지지됨으로써 정지된 지점에서 내부통(100)의 미세높이조절이 용이한 구성이다.
이들 구성을 제외하고는 거푸집에 고정된 외부통(200)에 대하여 내부통(100)의 회전에 의해 높이조절이 양자 동일하고, 이에 대한 실시양태가 동일하다.
거푸집에 고정된 외부통(200)에 대하여 내부통(100)을 삽입하고 일단 그 높이를 조절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타설된 콘크리트표면과 내부통(100)의 상단이 일치되지 않게 되면,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의 돌출부에 의해 내부통(100)을 일시 정지시킨다음 내부통(100)의 높이를 미세 조절한다.
타설된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거푸집을 때어 내고 내부통(100)의 뚜껑부(13)(도1c의 부호)를 제거하면 배관통로로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와, 그리고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 및 그 끝단에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회전원주길이가 최소화되면서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의 상단부가 확장 보강부가 되고,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의 돌출부에 의해 내부통(100)이 일시 정지되어 내부통(100)의 미세높이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유용한 고안이다.
100; 높이조절 내부통,
110; 기준턱선, 112; 상하 일직선통로, 114; 계단식 가로원주돌기, 115; 계단식 가로 원주홈, 116; 계단식 상향고정홈, 117; 삽입구
200; 외부통,
210; 높이조절고정턱,

Claims (3)

  1. 높이조절 내부통(100)의 기준턱선(110)을 중심으로 형성된 상하 일직선통로(112)에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높이조절 내부통(100)이 상하 이동되게 하되 높이조절 내부통(100)에 형성된 공지의 가로형 조절홈(11)에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삽입됨으로써 그 고정이 이루어지는 높이조절슬리브에 있어서
    높이조절 내부통(100)의 상기 상하 일직선통로(112)에 연이어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와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각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의 끝단에는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대응ㆍ고정되는 계단식상향고정홈(116)이 형성되며, 이에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이 위치되어 높이조절 내부통(100)의 자중에 의해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이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에 중력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한편,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는 상하 일직선통로(112)의 우측선(y)으로부터 일정거리(d)씩 계단식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의 각 끝단 상향고정홈(116)도 일정거리(d)씩 계단식으로 형성하되 각 계단식 상향고정홈(116)의 상부에는 확장된 보강부(S)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통(200)의 높이조절고정턱(210)을 3등분점에 하나씩 3개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높이조절 내부통(100)에도 3개의 상하 일직선통로(112)와 계단식 가로원주돌기(114) 및 계단식 가로 원주홈(115)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높이조절고정턱(210)의 진입로인 높이조절 내부통(100)에 삽입구(117)를 형성하되 삽입구(117)의 상단은 내부통(100)의 두께와 동일하고, 그 하단은 높이조절고정턱(210)의 경사 유도면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3. 삭제
KR2020170006132U 2017-11-29 2017-11-29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KR2004867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132U KR200486756Y1 (ko) 2017-11-29 2017-11-29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132U KR200486756Y1 (ko) 2017-11-29 2017-11-29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756Y1 true KR200486756Y1 (ko) 2018-06-27

Family

ID=6274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132U KR200486756Y1 (ko) 2017-11-29 2017-11-29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756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727A (ko) * 2003-05-06 2003-06-11 김하용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KR20080092161A (ko) * 2007-04-11 2008-10-15 박점순 배수관용 슬리브
KR101656623B1 (ko) * 2015-09-14 2016-09-09 김해기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리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727A (ko) * 2003-05-06 2003-06-11 김하용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배관슬리브
KR20080092161A (ko) * 2007-04-11 2008-10-15 박점순 배수관용 슬리브
KR101656623B1 (ko) * 2015-09-14 2016-09-09 김해기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125074U (zh) 复式圆锥形楼板预留洞口模具
CN107605177A (zh) 高效预制楼板的施工方法及其独立支撑架
CN107091007B (zh) 钢筋混凝土烟囱内砌外提模板施工工法
CN104863290B (zh) 一种单一预制墙段的组合墙体及施工方法
CN108755972B (zh) 预制件用垫脚及其使用方法
US9181690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basement construction
CN110594494A (zh) 一种螺纹式管道预埋环及预埋方法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KR200486756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배관슬리브
US20180258653A1 (en) Concrete form system
CN208183551U (zh) 用于桥梁桩基钢筋笼安装的定位装置
CN205976167U (zh) 基于可拆卸式定位控制件现浇楼板结构
KR200459142Y1 (ko) 높낮이 조절기능을 가진 배관 슬리브
KR102001526B1 (ko) 하향식 공법용 수직구 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 시공방법
CN103321405B (zh) 剪力墙、筒体混凝土结构大模板提升式施工方法
CN112681334A (zh) 一种深基坑侧墙混凝土浇筑施工结构及方法
KR100433561B1 (ko) 벽체상승 슬래브하강 타설공법
KR100952991B1 (ko) 슬리브 파이프 홀더
KR100665210B1 (ko) 맨홀 제작용 콘크리트 거푸집
KR200352506Y1 (ko) 거푸집 지지구조
KR101318655B1 (ko) 블럭 조립식 밸브실 맨홀
KR20150049025A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상부철근 고임대
CN101122174A (zh) 建筑物管道预留孔的制作方法
CN207727602U (zh) 桩基础与基础底板之间的连接结构
KR200246592Y1 (ko) 건축용 관통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