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818Y1 - 배수 트렌치 - Google Patents

배수 트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818Y1
KR200394818Y1 KR20-2005-0015681U KR20050015681U KR200394818Y1 KR 200394818 Y1 KR200394818 Y1 KR 200394818Y1 KR 20050015681 U KR20050015681 U KR 20050015681U KR 200394818 Y1 KR200394818 Y1 KR 200394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trench
bottom portion
sides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5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05-0015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8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8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 트렌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오수를 배수구로 유도하기 위하여 시공조건에 따라 배수로의 바닥 구배를 조절하여 시공함으로써 실내 욕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 트렌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배수로를 형성하는 바닥부(10a); 및 상기 바닥부(10a)의 일측변 또는 양측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배수로 측벽을 형성하는 측판부(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수 트렌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a) 상에 형성된 배수로 바닥의 구배(Θ) 조절을 위하여 상기 바닥부(10a) 밑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배수 트렌치는 시공시 예컨대 욕실 바닥골조의 구배 등과 같은 현장의 여건에 따라 자체 구성만으로 배수로 바닥의 구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매우 간편하다.

Description

배수 트렌치{Drain trench}
본 고안은 배수 트렌치(Drain trench)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바닥에 흐르는 오수를 배수구로 유도하기 위하여 실내 욕실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위쪽이 개방된 배수로를 형성하는 배수 트렌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공조건에 따라 배수로의 바닥 구배를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는 배수 트렌치에 관한 것이다.
배수 트렌치는 욕실, 화장실, 베란다 등의 바닥 일측에 설치되는 배수시설로, 바닥에 흐르는 오수를 어느 한 쪽 구석에 설치되는 배수구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배수 트렌치는 통상 욕실 등의 바닥 일측을 따라 설치되어 욕실 등의 바닥 보다 높이가 낮은 바닥의 배수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수 트렌치는 욕실 등의 바닥 보다 낮은 위치에서 배수로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일측변 또는 양측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배수로의 한 쪽 측벽 또는 양 측벽을 형성하는 측판부 등으로 이루어져 대체적으로 L자형 또는 납작한 U자형의 단면구조를 가지며, 개방된 위쪽은 배수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금속제 그리드로 차폐되기도 한다. 그리고, 양쪽 선단에는 배수로를 마감할 수 있는 마감판이 별도 제작되어 결합되거나 일체로 성형되기도 하며, 바닥부에는 배수로내 오수를 집수하여 그 아래에 매설된 배수관으로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장치가 일체 또는 별도로 설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배수 트렌치는 합성수지 소재나 인조 대리석 등으로 일정한 단위 길이로 제작되며, 현장의 조건에 따라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후 마감 시공시 마감타일 등과 함께 욕실 등의 바닥에 매립 시공된다. 그리고, 시공시에는 배수로에 유입되는 오수가 그 배수 트렌치 일측에 설치되는 배수구까지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하기 위해 배수로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의 상면이 적당한 구배를 갖도록 시공된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전형적인 종래 배수 트렌치들은 길이방향으로 볼 때 일단에서 타단까지 바닥부의 두께가 동일하기 때문에, 시공시 숙련공이라 하더라도 구배가 없는 욕조 등의 바닥에 대하여 바닥부 상면이 적당한 구배를 갖도록 시공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바닥부에 직접 구배가 형성된 배수 트렌치가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이와 같은 배수 트렌치는 욕조 등의 바닥 자체에 구배가 있는 경우 그 구배에 따라 바닥부 상면의 구배가 달라지기 때문에 앞서 바닥부 두께가 동일한 배수 트렌치의 시공성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배수 트렌치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욕실 등의 바닥 구배 등의 현장 시공 조건에 따라 배수로 바닥의 구배 조절이 가능하여 시공하기가 간편한 배수 트렌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렌치는, 배수로를 형성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일측변 또는 양측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배수로 측벽을 형성하는 측판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수 트렌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상에 형성된 배수로 바닥의 구배 조절을 위하여 상기 바닥부 밑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바닥부의 밑면에 형성된 슬롯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두께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높이가 다른 여러 규격의 복수 개의 단위 높이조절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부 양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바닥부 밑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그 이송량에 따라 바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이루어진 복수 개의 높이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구성과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그 배수 트렌치 결합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도 1의 Ⅲ-Ⅲ 단면도, Ⅳ-Ⅳ 단면도, Ⅴ-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는 욕실 등의 바닥에 매립되어 오수를 배수구까지 유도하기 위한 배수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L자형 측구의 형상을 갖는 트렌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위 높이조절부재(21.22)로 구성되어 있다.
트렌치 본체(10)는 욕실 등의 바닥 보다 낮은 배수로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10a)와 상기 바닥부(10a) 일측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배수로의 한 쪽 측벽을 형성하는 측벽부(10b)가 일체로 성형된 것으로, 상기 바닥부(10a)의 밑면에는 높이조절부재(21,22)를 결합하기 위한 슬롯(10c)들이 너비방향로 볼 때 중앙과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각 슬롯(10c) 사이에는 굽힘강도를 높이기 위한 리브(10d)들이 길이방향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그 일측면에는 굽힘강성을 높일 수 있는 금속제의 보강 스트립(12)이 덧대어질 수 있다.
상기 측벽부(10b)는 굽힘강성을 높일 수 있는 중공의 사각단면을 가지며, 그 내측면에는 굽힘강도 보강을 위한 금속재질의 'ㄷ'자형 단면의 보강용 스트립(11)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보강용 스트립은 I자나 L자형의 단면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높이조절부재(21,22)들은 트렌치 본체(10)의 밑면 양측에 각각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게 상면에 상기 트렌치 본체(10)의 슬롯에 대응하는 결합돌기(21a)가 성형된 것으로서, 상기 트렌치 본체 바닥부(10a)의 구배 조절을 위해 시공조건에 따라 선택되어 트렌치 본체(10)의 밑면 양측에 각각 슬라이딩 결합되는, 단위 두께(t1)(t2)가 다른 여러 개의 단위 높이조절부재(21,22)로 구성된다. 상기 각 단위 높이조절부재(21,22)들은 바람직한 구성으로 그 각각이 두께(t)가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얇아지면서 소정의 각도(λ)로 테이퍼진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배수 트렌치는 시공 조건에 따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다음 마감 시공시 마감타일 등과 함께 욕실 등의 바닥에 매립 시공하게 되는데, 이 때 트렌치 본체(10)의 양측에 두께(t1)(t2)가 다른 단위 높이조절부재(21)(22)를 각각 결합하여 트렌치 본체(10)의 바닥부의 양측 높이를 달리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자체 구성(트렌치 본체(10) 및 높이조절부재(21,22))만으로 트렌치 본체(10)의 바닥부(10a)가 오수 배수에 적당한 구배(Θ)를 갖도록 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욕실 등의 바닥 구배 등의 시공상의 제약에 구애받지 않고 자체 구성만으로 트렌치 본체(10)가 형성하는 배수로가 오수 배수에 적당한 구배(Θ)를 갖도록 시공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21,22)는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슬롯(10c)별로 결합할 수 있게 구성된 높이조절부재(23)와 같이 너비나 길이 등을 달리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형태로 실시되어 트렌치 본채(10)에 끼워지는 높이조절부재(24)와, 높이조절부재(24)의 바닥부(10a) 밑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높이조절구(30)로 대체 구성될 수 있다. 즉, 높이조절부재(24)를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부재로 형성하고, 이 높이조절부재(24)의 바닥의 일측과 타측 그리고 그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나사체결홈(10e)에 높이조절구(30)를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골조 바닥 구배 등과 같은 현장 시공조건에 따라 체결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배수로의 바닥 구배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구(30) 등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구(30)를 높이조절수단으로 채용하는 경우 높이조절구(30)를 단일 규격으로 제작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규격(두께)이 다른 여러 종류의 단위 부재를 제작해야 하는 상기 높이조절부재(21,22)를 적용하는 경우 보다 제작원가는 낮고 시공은 오히려 더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 트렌치는 시공시 예컨대 욕실 바닥골조의 구배 등과 같은 현장의 여건에 따라 자체 구성만으로 배수로 바닥의 구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수 트렌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도 1의 Ⅳ-Ⅳ 단면도.
도 5는 도 1의 Ⅴ-Ⅴ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트렌치의 저면사시도.
도 8은 도 7의 배수 트렌치 종단면도.
도 9는 도 7의 배수 트렌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수 트렌치 10a : 바닥부
10b : 리브 10c : 슬롯
10e : 체결홈 21,22 : 높이조절부재
21a : 결합돌기 30 : 높이조절구

Claims (5)

  1. 배수로를 형성하는 바닥부(10a); 및 상기 바닥부(10a)의 일측변 또는 양측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배수로 측벽을 형성하는 측판부(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수 트렌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a) 상에 형성된 배수로 바닥의 구배(Θ) 조절을 위하여 상기 바닥부(10a) 밑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렌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바닥부의 밑면에 형성된 슬롯(10c)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높이조절부재(2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렌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21,22)는 두께(t1,t2)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λ)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렌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21,22)는 높이가 다른 여러 규격의 복수 개의 단위 높이조절부재(21,22)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부 양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렌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바닥부 밑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그 이송량에 따라 바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이루어진 복수 개의 높이조절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트렌치.
KR20-2005-0015681U 2005-06-01 2005-06-01 배수 트렌치 KR200394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681U KR200394818Y1 (ko) 2005-06-01 2005-06-01 배수 트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5681U KR200394818Y1 (ko) 2005-06-01 2005-06-01 배수 트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818Y1 true KR200394818Y1 (ko) 2005-09-07

Family

ID=4369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681U KR200394818Y1 (ko) 2005-06-01 2005-06-01 배수 트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48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9718A (zh) * 2019-05-21 2019-07-19 中交第四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海绵港区下沉式集装箱堆场雨水排水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9718A (zh) * 2019-05-21 2019-07-19 中交第四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海绵港区下沉式集装箱堆场雨水排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00579A (ja) 磁気的なドアシール
BR112013002424B1 (pt) calha de escoamento para chuveiros no nível do piso
US20100180374A1 (en) Low-profile basin installed with a built-in drain
EP2405062B1 (en) Showerdrain with insert
RU2569064C1 (ru) Сточный желоб для душа, расположенный на одинаковом уровне с полом
KR200394818Y1 (ko) 배수 트렌치
EP3550087B1 (en) Drain for draining liquids
RU2410501C1 (ru) С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ITVR20030050U1 (it) Canalina componibile provvista di mezzi che consentono l'aggancio e lo sgancio rapido di ulteriori componenti che la completano
US20210363742A1 (en) Drain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20150001401A (ko) 변형 방지 조립식 수로관
KR20210104052A (ko) 오버행 요소
KR200408151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배수 트렌치
KR101967854B1 (ko) 배수트렌치 구조
JP2003041669A (ja) 外壁目地の下屋部分における止水構造
KR200341856Y1 (ko) 트랜치형 배수구조
KR200352198Y1 (ko) 트랜치형 배수구조
AU2021107129A4 (en) Drain
KR101261760B1 (ko) 스테인레스 배수 트랜치
KR101148237B1 (ko) 욕실용 배수장치
JPS6341467Y2 (ko)
US20210189712A1 (en) Frame for a Floor Drain
KR840001296Y1 (ko) 높이 조절식 배수전
JP5148392B2 (ja) 合成樹脂製デッキ材
JPH04265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