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7955B1 - 급배수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멀티박스 - Google Patents

급배수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멀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7955B1
KR101037955B1 KR1020080069316A KR20080069316A KR101037955B1 KR 101037955 B1 KR101037955 B1 KR 101037955B1 KR 1020080069316 A KR1020080069316 A KR 1020080069316A KR 20080069316 A KR20080069316 A KR 20080069316A KR 101037955 B1 KR101037955 B1 KR 101037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water supply
pipe
distribu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714A (ko
Inventor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앤에스
Priority to KR1020080069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795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8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7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7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배수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멀티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수 배관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매설된 이중관 배관을 통해 바닥배수로 자연스럽게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건축의 피해를 제거하고 향후 배관보수 및 유지에 편의를 도모하는 동시에, 바닥 배수 내에서 각각의 배관을 분배시켜 급수, 급탕 배관 유지보수를 위한 별도의 점검구 설치가 필요 없고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던 종래 급수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의 멀티박스는 배수 시공 이후 타공정으로 인한 파손을 줄임으로써 자재비,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고 물을 빠른 시간에 배수함과 아울러 배수시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급배수, 분배기, 조인트박스, 플로워 드레인, 배수, 트랩, 봉수, 오배수관

Description

급배수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멀티박스 {Integrated system for water supply and drain, and multybox therefor}
본 발명은 급배수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멀티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수 배관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매설된 이중관 배관을 통해 바닥배수로 자연스럽게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건축의 피해를 제거하고 향후 배관보수 및 유지에 편의를 도모하는 동시에, 바닥 배수 내에서 각각의 배관을 분배시켜 급수, 급탕 배관 유지보수를 위한 별도의 점검구 설치가 필요 없고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던 종래 급수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한 급배수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멀티박스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및 주택의 세대 내에는 급수, 급탕을 위한 배관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급수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급수 시스템은 급수처를 화장실, 주방, 발코니 등의 다수의 영역(zone)으로 나눈 후에 원 급수처로부터 급수받은 분배기로부터 각 영역으로 배관 을 설치하고, 각 영역에서는 또다시 도 2에서 예시된 조인트박스(Joint Box)를 설치하여 세면대, 욕조, 변기 등의 최종 급수처까지 배관을 설치함으로써 급수, 급탕을 분배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에 의하자면 각 세대 내에서도 분배기 따로, 2~4개의 조인트 박스 따로 일일이 설치하여야 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이들은 설치시 위치선정이 매우 어렵고 벽체 또는 바닥체에 매립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용이하게 누수여부를 점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방식에서는 누수를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분배기, 조인트박스, 최종 급수처 간의 배관으로 이중관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이중관을 사용하는 결과 배관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배관을 따라 조인트박스에 모이게 되지만 조인트박스는 점검도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누수를 마땅하게 배출할 방법도 없으므로, 결국 누수가 발생하게 되면 어쩔 수 없이 바닥 마감재 또는 주변 건축 구조물에 누수된 물이 침투하여 피해를 유발하며, 적절한 보수 시기를 놓칠 경우에는 배관라인 전체를 재시공하거나 부분적인 철거를 통해 보수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누수된 물이 아랫집에 침투하여 벽면이나 천정 등을 오염시켜 이웃간의 분쟁을 야기하므로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누수의 원인이 배관의 균열 또는 배관과 조인트 박스간의 결합성 저하 등으로 인한 저압 누수라면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또 한편, 화장실, 주방, 발코니 등의 급수처에는 급수, 급탕된 이후에 세면 대, 욕조, 바닥 등으로 배출되는 물을 통합하여 배수하기 위한 플로워 드레인(Floor Drain)이 설치되어지는데, 이들 플로워 드레인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량이 높지 않으면서도 자체로서 부피를 많이 차지하므로 시공상에 어려움이 있을뿐더러 설치 이후에 타 시공으로 인하여 파손이 빈번하므로 교체가 불가피하고 이로 인한 인건비 및 자재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고는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배기 없이도 급수, 급탕의 분배가 가능하되, 특히 조인트 박스와 플로워 드레인의 상승적인 기능결합으로 인하여 배관에서 발생한 누수를 자연스럽게 배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미 발생한 누수로 야기될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사전에 누수의 감지 및 예방을 가능하게 하는 급배수 통합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상의 용이성을 추구하며 시공 인건비와 자재비용의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구현하면서도 동시에 플로워 드레인의 기존 단점을 더욱 보완한 멀티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급배수 통합 시스템은, 세대 내에서 다수로 분할된 급배수 영역의 바닥마다 배수를 위한 유도부를 가지는 멀티박스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멀티박스에는 입수구와 다수의 출수구를 연결하는 분배관이 설치된 분배부를 가지고, 원 급수처로부터 입수받은 일 멀티박스의 출수구로부터 타 멀티박스의 입수구 및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최종 급수처로 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분배부는 유도부와 연통되어 분배부 내의 누수가 유도부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멀티박스의 분배관은 급수용과 급탕용이 별도로 설치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부는, 일정 높이를 갖도록 경계면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하부를 따라 유도하는 유도부; 및 상기 경계면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도부의 하단과 연통되어 측방으로 배수관이 형성되는 봉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배부는 상기 유도부 측방에 위치되도록 경계면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경계면 상부의 공간이 절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부는 분배부 공간을 밀폐하며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부 배수관으로 밀폐된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부와 유도부 사이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유도부로부터 역류하는 배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급배수 통합 시스템을 위한 멀티박스는, 일정 높이를 갖도록 경계면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하부를 따라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경계면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도부의 하단과 연통되어 측방으로 배수관이 형성되는 봉수부; 및 상기 유도부 측방에 위치되도록 경계면 상부에 배치되어 경계면 상부의 공간이 절약되고, 입수구와 다수의 출수구를 연결하는 분배관이 설치된 분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부는 분배부 몸체 내에 입수구와 다수의 출수구를 연결하는 분배관이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부는 분배부 공간을 밀폐하며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부 배수관으로 밀폐된 공간이며, 상부 배수관의 하단에는 상부 배수관 중심축 일정 위치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하향 경사지어 상기 물을 분산 유동시키는 경사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배부와 유도부 사이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유도부로부터 역류하는 배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부는 분배부와 분리되고, 상부로부터 배수 유로를 일정 거리 형성하는 상부 배수관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배수관의 하단에는 중심축 일정 위치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하향 경사지어 상기 물을 분산 유동시키는 경사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수부에는 상기 유도부의 하단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유도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그 하단이 상기 봉수부의 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봉수관 몸체로 이루어지는 봉수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수관의 상단 내부에는 악취 방지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악취 방지부는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지지체가 형성되어 지지체 상단에는 악취 방지판이 구비되고, 상부 측면에는 배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된 컵과, 상기 컵의 상부와 악취 방지판의 외주를 밀폐하는 연질탄성 커버를 포함한채 봉수관의 상단을 덮으면서 이루어져, 배수가 컵의 악취 방지판과 연질탄성 커버 사이로 빠져나와 유출구로 유출되어 배수되어지되, 악취는 악취 방지판 외주를 둘러싼 연질탄성 커버에 의해 역류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수관은 상기 봉수관 몸체의 일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채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봉수부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악취 봉수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급배수 통합 시스템은 분배기 및 조인트박스 없이도 급수, 급탕의 분배가 가능하되, 특히 배관에서 발생한 누수를 자연스럽게 바닥 배수로 배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건축의 직접적인 피해와 향후 배관유지 보수 또는 리모델링 시공시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 배수 내에서 각각의 배관을 분배시키므로 세대 내에 급수, 급탕 배관 유지보수를 위한 별도의 점검구 설치가 필요 없으며, 수려한 인테리어 효과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급배수 통합 시스템을 위한 멀티 박스는 시공 완료 후 타공정에 의한 배수의 내부 파손시 재시공으로 인한 피해를 줄여 시공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배수하는 경우에 배수되는 물의 유동 속도를 증가시키어 빠른 유속으로 배수시킴과 아울러 이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배수하는 경우에 상부와 하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2단으로 배수되는 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거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이 배수되는 경우에 배수되는 물에 포함되는 악취가 봉수 구조물의 상부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도록 다단으로 악취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급배수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멀티박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급배수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급배수 시스템에 사용되는 멀티 박스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급배수 시스템에 사용되는 멀티 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멀티 박스에서 분배부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6의 악취 봉수판을 보여주는 절단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급배수 통합 시스템은 각 세대 내에서 원 급수처로부터 배수관을 이용하여 급수를 받는 다수의 멀티박스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즉, 각 세대에서 급배수가 필요한 화장실, 주방, 발코니 등을 별도의 영역(zone)으로 나누고, 각 영역의 바닥에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박스를 설치하는데, 각 멀티박스에는 입수구와 다수의 출수구를 연결하는 분배관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원 급수처와, 각 멀티박스 간에는 배관으로 연결되어지되, 원 급수처로부터 일 영역의 멀티박스 입수구로 급수되고, 그리고 멀티박스에서는 분배관을 통해 다수의 출수구로 급수하여 그 영역 내에서의 세면대, 욕조, 변기 등의 최종 급수처로 급수하고, 그중 일부는 다른 영역의 멀티박스로 급수하여 다시금 분배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온수를 사용하기 위한 급탕은 급수를 위한 배관과 별도로 설치되어지되, 멀티박스 내에는 급탕을 위한 별도의 전용 분배관이 설치되어 있어 동일한 방식으로 분배가 가능하다.
이러한 멀티박스는 바닥에 설치되어지되, 자체로서 플로워 드레인과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중관으로 부터 누수된 물이 분배부로 모이게 되면 이를 배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급배수 통합 시스템은 별도의 분배기 및 조인트박스 없이도 급수, 급탕의 분배가 가능하되, 특히 배관에서 발생한 누수를 자연스럽게 바닥 배수로 배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건축의 직접적인 피해와 향후 배관유지 보 수 또는 리모델링 시공시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상의 플로워 드레인 위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배관을 분배시키므로 세대 내에 급수, 급탕 배관 유지보수를 위한 별도의 점검구 설치에 따른 공간낭비가 필요 없으며, 수려한 인테리어 효과가 제공된다.
다음으로는 상기의 급배수 통합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박스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멀티박스는 유도부(100)와 봉수부(300) 및 상기 유도부(100)의 측방에 위치되는 분배부(700)로 구성되고, 상기 유도부(100)와 상기 봉수부(300)는 거푸집과 같은 경계면(600)에 의하여 상부와 하부로 구획될 수 있다.
먼저, 도 5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경계면(600) 상부는 단일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분배부(700)를 이루되, 분배부(700)의 상부에는 거름망(111)을 구비한 상부 캡(110)이 설치되어 분배부(700)의 상부의 물은 분배부(700) 공간과 밀폐된채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부 배수관(200)을 따라 직접 경계면(600) 하부로 전달되며, 이때 상부 배수관(200)으로 밀폐된 공간이 유도부(100)를 이루는데, 상기 분배부(700)와 상기 유도부(100)는 서로 연통되어 분배부(700) 내의 누수가 유도부(100)로 배수되는 것이다.
이때, 상부 캡(110)은 분배부(700)의 상부에서 위치가 자유로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처럼 상부 캡(110)의 위치가 조절됨에 불구하고 상부 배수관(200)이 분배부(700) 내에서 경계면(600) 하부에까지 밀폐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름관 형태로 되어 자유로운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배부(700)과 봉수부(300) 사이에는 체크밸브(350)가 구비되어 있어서, 평소에는 봉수부(300)에 발생한 악취나 배수관(130)으로부터 역류된 배수가 분배부(700)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다가, 분배부(700) 내부에 누수가 고이면 체크밸브(350)가 열리면서 누수가 봉수부(300)로 배수되어진다.
이때, 상부 배수관(200)의 하단의 중심축 일정 위치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하향 경사지어 상기 물을 분산 유동시키는 경사판(21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배수관(200)의 내주에는 나선형 유로(220)가 구비된다.
따라서, 거름망(111)을 통하여 물이 배수되면, 상기 배수되는 물은 상부 배수관(200)으로 유입되고, 상부 배수관(200)으로 유입된 물은 상부 배수관(200)의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상기 나선형 유로(220)에 의하여 소용돌이를 일으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부 배수관(200)의 내부에서 일정 이상의 유속을 형성하여 하방으로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배수관(200)은 상기 상부 배수관(200)의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경사질 수도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배수관(200)은 그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경사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배수관(200)으로 유입된 물은 상부 배수관(200)의 하방으로 직접 배수되지 않고 상부 배수관(200)의 경사면에 안내되어 상부 배수관(200)의 하단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배수관(200)은 제 1이물질 거름 관(2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이물질 거름관(230)은 상단이 상기 상단 캡(110)의 저면 테두리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상부 배수관(200)의 외주 일정 위치까지 연장되는 제 1거름관 몸체(231)와, 상기 제 1거름관 몸체(231)의 하단과 상기 상부 배수관(200)의 외주를 연결하는 제 1연결 몸체(23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상부 캡(110)을 통하여 상부 배수관(200)으로 유입되는 물에는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상기 상부 캡(110)의 거름망(111)으로 유입될 때에 상부 배수관(200)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 1거름관 몸체(231)와 제 1연결 몸체(232)의 내부에 쌓이게 되고, 제 1거름관 몸체(231)의 상단을 흘러 넘치는 물만이 상부 배수관(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이물질 거름관(230)은 배수되는 물로부터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제거하고, 이물질이 제거된 물만을 상부 배수관(200)에 유입시키어 배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배수관(200)으로 유입되어 배수되는 물은 상부 배수관(200)의 하단에서 경사판(210)에 의하여 분산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도부(100)에서는 외부로부터 배수될 수 있도록 상부 캡(110)을 통하여 배수되는 물을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거르고, 배수되는 물의 유속을 상승시키며, 유속이 상승된 물의 배수로 인한 소음을 상부 배수관(200) 자체의 경사와 경사판(210)에 의하여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은, 경계면(600)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유도부(100)의 측방에 위치되 는 분배부(7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분배부(700)는 상기 유도부(100) 측방에 위치되는 분배기 몸체(710)와, 상기 분배기 몸체(710)의 내부에 서로 다른 층을 이루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와 냉수를 서로 독립적으로 유동시키는 다수개의 분배관들(720)을 갖는다.
상기 분배관들(720)은 외부로부터 냉수를 공급받는 하나 또는 다수의 냉수 분배관(721)과, 상기 냉수 분배관(721)과 다른 층을 이루고 외부로부터 온수를 공급받는 하나 또는 다수의 온수 분배관(722)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배관들(720)은 상기 유도부(100)를 에워싸도록 일정의 곡률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분배관들(720)이 원형에 가까운 곡률을 형성함으로써 유도부(100)의 측방에서 설치되는 설치 공간에 대한 부피를 일정 이하로 줄일 수 있다.
즉, 유도부(100)의 중심과 봉수부(300)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경계면 상부에 위치되는 유도부(100)의 측방에는 일정의 여유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에 본 발명에 따르는 분배부(7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730'은 분배관들(720)로부터 분기되어 일정 위치로 분기되는 분기관들이다.
다음은, 거푸집과 같은 경계면(6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봉수부(300)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봉수부(300)는 상기 경계면(600)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도부(100)의 하단과 연통되며 측방 또는 사방으로 배수관(130)이 형성되어 이것은 배수 주관에 연결되어 옥외로 배수되고 또 다른 측방향에는 배수 유입관(140)이 연결되어 욕조나 세면기로부터 배출된 배수가 유입된다.
봉수부(300)에는 하부 습식 봉수부와 상부 건식 봉수부가 이중으로 구비되어 오배수관 내부의 냄새를 완전 차단하게 되는데, 상기 상부 배수관(200)의 하단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분사 유동되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420)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420)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그 하단이 상기 봉수부(300)의 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봉수관 몸체(421)로 이루어지는 봉수관(400)이 설치되어 주된 봉수 기능을 발휘하는 하부 습식 봉수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구(4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따라 일정 지름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배수관(200)의 하단에 설치되는 경사판(210)에 의하여 분산 유동되는 물은 상기 유입구(420)로 안내되고, 상기 유입구(420)에 형성되는 안내면에 의하여 봉수관 몸체(421)의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상부 배수관(200)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의 배수로 인한 소음 역시 추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유입구(4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수관 몸체(421)의 직경보다 일정 직경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봉수관(420)의 상단 내부에는 악취 방지 부(41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악취 방지부(410)는 추가적인 봉수기능을 위한 상부 건식 봉수부를 이루는 것으로,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지지체(411)가 형성되어 지지체(411) 상단에는 악취 방지판(412)이 구비되고, 상부 측면에는 배수가 유출되는 유출구(413)가 다수개 구비된 컵(414)과, 상기 컵(414)의 상부와 악취 방지판(412)의 외주를 밀폐하는 연질탄성 커버(415), 예로써 실리콘 커버를 포함한 채, 상부를 구성하는 플랜지(416)가 봉수관(420)의 상단에 걸쳐지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부 배수관(200)으로부터 유입된 물은 악취 방지부(410)의 연질탄성 커버(415)와 악취 방지판(412) 사이를 벌리면서 배수되어 컵(414) 위로 떨어졌다가 유출구(413)를 통해 배수되며, 반대로 악취는 컵(414) 내부에 고여있는 물 및 악취 방지판(412) 외주를 둘러싼 연질탄성 커버(415)에 의해 배출이 저지되면서 역류가 방지되는 것이다.
즉, 악취 방지부(410)로 물이 유입되면 고정링(412)과 악취 방지판(412)의 외주를 에워싸고 있는 연질탄성 커버(415)는 악취 방지판(412)의 외주로부터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악취 방지판(412)과 연질탄성 커버(415)의 사이에는 틈이 형성되고, 이 틈을 통하여 물은 컵(414)의 내부 저면으로 배수되고, 물이 모두 배수되면 연질탄성 커버(415)는 원위치로 복귀되어 연질탄성 커버(415)와 악취 방지판(412)의 외주는 다시 밀착된다.
이에 따라, 컵(414)의 내면 저면으로 배수된 물에 포함되는 악취는 악취 방 지판(412)에 의하여 유도부(100)의 내부로 역류할 수 없게 될 뿐 아니라, 습식 봉수를 위하여 봉수부(300)에 고여있는 물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봉수부(300)에 물이 과도하게 누적되더라도 유도부(10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처럼 악취 방지부(410)를 통해 배수된 물은 봉수부(300)의 내부 저부에서 배수관(130)보다 낮은 수위로 봉수부(300) 바닥에 고여있게 되면서 배수관(300)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를 차단하는 습식 봉수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봉수관(400)은 상기 봉수관 몸체(421)의 일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고 상단이 상기 유입구(420)의 외주에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봉수관 몸체(421)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악취 봉수판(4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봉수부(300)에는 배수관(130)과 별도로 예로써 욕조 등으로부터 배수된 물이 유입되는 배수 유입관(140)이 마련되는데, 이때, 상기 악취 봉수판(450)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봉수부(300)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 또는 배수관으로부터 역류된 악취가 봉수관 몸체(421)의 주위를 둘러서 직접 배수 유입관(14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악취가 실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배수 유입관(140)은 반드시 봉수부(300)에 구비될 필요가 없이 매립배관의 경우에는 유도부(100) 또는 분배부(700)의 측방 또는 사방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악취 봉수판(450)이 필요가 없다.
또 한편, 상기 유도부(100)와 상기 봉수부(300)의 사이에는 높이 조절 파이 프(500)가 설치되되, 상기 유도부(100)의 하단에는 상기 높이 조절 파이프(500)의 상단이 끼워지는 끼움홈(101)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 파이프(500)의 하단은 상기 봉수부(300)의 내주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유도부(1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에 일정 길이를 갖는 높이 조절 파이프(500)를 일정 길이로 잘라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급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급수 시스템에서 사용되던 조인트 박스의 내부 모습이다.
도 3은 종래의 배수 시스템에서 사용되던 플로워 드레인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급배수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급배수 시스템에 사용되는 멀티 박스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급배수 시스템에 사용되는 멀티 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멀티 박스에서 분배부를 보여주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6의 악취 봉수판을 보여주는 절단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유도부 110 : 상부 캡
111 : 거름망 130 : 오배수관
140 : 배수 유입관
200 : 상부 배수관 210 : 경사판
220 : 나선형 유로 230 : 제 1이물질 거름관
300 : 봉수부 350 : 체크밸브
400 : 봉수관 410 : 악취 방지부
411 : 지지체 412 : 악취 방지판
413 : 유출구 414 : 컵
415 : 연질탄성 커버 416 : 플랜지
420 : 유입구 421 : 배수관 몸체
450 : 악취 봉수판
500 : 높이 조절 파이프 600 : 경계면
700 : 분배부 710 : 분배부 몸체
720 : 분배관 721 : 냉수 분배관
722 : 온수 분배관

Claims (13)

  1. 세대 내에서 다수로 분할된 급배수 영역의 바닥마다 배수를 위한 유도부를 가지는 멀티박스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멀티박스에는 입수구와 다수의 출수구를 연결하는 분배관이 설치된 분배부를 가지고, 원 급수처로부터 입수받은 일 멀티박스의 출수구로부터 타 멀티박스의 입수구 및 적어도 1개소 이상의 최종 급수처로 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분배부는 유도부와 연통되어 분배부 내의 누수가 유도부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통합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멀티박스의 분배관은 급수용과 급탕용이 별도로 설치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통합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일정 높이를 갖도록 경계면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하부를 따라 유도하는 유도부; 및 상기 경계면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도부의 하단과 연통되어 측방으로 배수관이 형성되는 봉수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배부는 상기 유도부 측방에 위치되도록 경계면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경계면 상부의 공간이 절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통합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분배부 공간을 밀폐하며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부 배수관으로 밀폐된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통합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와 유도부 사이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유도부로부터 역류하는 배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통합 시스템.
  6. 일정 높이를 갖도록 경계면 상부에 설치되고,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하부를 따라 유도하는 유도부;
    상기 경계면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도부의 하단과 연통되어 측방으로 배수관이 형성되는 봉수부; 및
    상기 유도부 측방에 위치되도록 경계면 상부에 배치되어 경계면 상부의 공간이 절약되고, 입수구와 다수의 출수구를 연결하는 분배관이 설치된 분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통합 시스템을 위한 멀티박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는 분배부 몸체 내에 입수구와 다수의 출수구를 연결하는 분배관이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통합 시스템을 위한 멀티박스.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분배부 공간을 밀폐하며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부 배수관으로 밀폐된 공간이며, 상부 배수관의 하단에는 상부 배수관 중심축 일정 위치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하향 경사지어 상기 물을 분산 유동시키는 경사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통합 시스템을 위한 멀티박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분배부와 유도부 사이에는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유도부로부터 역류하는 배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통합 시스템을 위한 멀티박스.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분배부와 분리되고, 상부로부터 배수 유로를 일정 거리 형성하는 상부 배수관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배수관의 하단에는 중심축 일정 위치에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하향 경사지어 상기 물을 분산 유동시키는 경사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통합 시스템을 위한 멀티박스.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부에는 상기 유도부의 하단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유도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며 그 하단이 상기 봉수부의 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봉수관 몸체로 이루어지는 봉수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통합 시스템을 위한 멀티박스.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관의 상단 내부에는 악취 방지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악취 방지부는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지지체가 형성되어 지지체 상단에는 악취 방지판이 구비되고, 상부 측면에는 배수가 유출되는 유출구가 구비된 컵과, 상기 컵의 상부와 악취 방지판의 외주를 밀폐하는 연질탄성 커버를 포함한채 봉수관의 상단을 덮으면서 이루어져,
    배수가 컵의 악취 방지판과 연질탄성 커버 사이로 빠져나와 유출구로 유출되어 배수되어지되, 악취는 악취 방지판 외주를 둘러싼 연질탄성 커버에 의해 역류가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통합 시스템을 위한 멀티박스.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봉수관은 상기 봉수관 몸체의 일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채 상단이 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봉수부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악취 봉수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배수 통합 시스템을 위한 멀티박스.
KR1020080069316A 2008-07-16 2008-07-16 급배수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멀티박스 KR101037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316A KR101037955B1 (ko) 2008-07-16 2008-07-16 급배수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멀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316A KR101037955B1 (ko) 2008-07-16 2008-07-16 급배수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멀티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714A KR20100008714A (ko) 2010-01-26
KR101037955B1 true KR101037955B1 (ko) 2011-05-30

Family

ID=4181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316A KR101037955B1 (ko) 2008-07-16 2008-07-16 급배수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멀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7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329B1 (ko) * 2012-01-27 2014-03-12 이도경 다단 분기를 위한 급수/급탕/난방 분배기 통합 배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302A (ja) 2003-03-10 2004-09-30 Toto Ltd 排水トラップ
JP2004293055A (ja) 2003-03-25 2004-10-21 Sekisui Chem Co Ltd 移動設置可能な流し台並びに建物、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
KR20050033807A (ko) * 2004-10-04 2005-04-13 주식회사 피아이피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302A (ja) 2003-03-10 2004-09-30 Toto Ltd 排水トラップ
JP2004293055A (ja) 2003-03-25 2004-10-21 Sekisui Chem Co Ltd 移動設置可能な流し台並びに建物、建物ユニット及びユニット建物
KR20050033807A (ko) * 2004-10-04 2005-04-13 주식회사 피아이피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329B1 (ko) * 2012-01-27 2014-03-12 이도경 다단 분기를 위한 급수/급탕/난방 분배기 통합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714A (ko) 2010-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2715A (en) Siphonage floor drain and port protector
KR100720969B1 (ko)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KR101037955B1 (ko) 급배수 통합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멀티박스
KR20110025712A (ko) 복층 건물 실내바닥의 생활오수 누수방지 시스템
WO2016043595A1 (en) Leakage prevention module
CN102330452B (zh) 防返溢同层排水立管连接件
KR100888050B1 (ko) 급배수 통합 시스템을 위한 멀티박스
KR101170813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0327344Y1 (ko) 착탈식 배수트랩
KR101594899B1 (ko)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KR101236143B1 (ko) 층상 배수장치 및 공법
KR101342860B1 (ko) 동층배관 및 층하배관용 통합 배수 시스템
KR20130095538A (ko) 종합육가배수장치
KR101186776B1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JP6768436B2 (ja) 排水チャンバー
KR200480115Y1 (ko) 양변기의 층상배관용 플랜지, 연결소켓 및 배수관의 조립체
US11124953B2 (en) Anti-leak system for sanitary appliances
KR102370423B1 (ko) 사이펀식 바닥배수장치
CN209975682U (zh) 一种整体卫浴底盘侧排系统
KR100962021B1 (ko) 배수 트랩 시스템
KR101130190B1 (ko) 세면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
CN216810197U (zh) 一种集成式组合地漏及卫生间同层排水系统
CN209369000U (zh) 一种新型的卫生间同层排水系统
KR20230001827U (ko) 이중봉수구조를 가지는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