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526B1 -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526B1
KR101119526B1 KR1020100038686A KR20100038686A KR101119526B1 KR 101119526 B1 KR101119526 B1 KR 101119526B1 KR 1020100038686 A KR1020100038686 A KR 1020100038686A KR 20100038686 A KR20100038686 A KR 20100038686A KR 101119526 B1 KR101119526 B1 KR 101119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noise
backflow
waste water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153A (ko
Inventor
이도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토이엔지
(주) 코아트 코리아
대림산업개발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토이엔지, (주) 코아트 코리아, 대림산업개발 (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토이엔지
Priority to KR1020100038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52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52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60Reducing noise in plumbing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이 용이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부(200)와, 상기 배수부(200) 하단과 연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300)과 유입된 오폐수가 모였다가 유출되는 유출관(400)이 설치되는 한편 내부에 봉수관(140)이 설치되어 냄새의 역류를 차단하는 봉수부(100)로 구성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봉수부(100)는 측면 벽이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공간(150)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150)에 공기가 수용되어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보온과 소음방지 기능을 가지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배수트랩 벽면에 형성된 공기층에 의해 소음방지와 단열기능을 확보할 수 있고, 오폐수가 유입되는 관이 오폐수가 유입되지 않을 때에도 항상 막혀있도록 함으로써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draining trap}
본 발명은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욕실, 화장실, 베란다, 세면대, 욕조 등과 같이 오폐수가 사용되는 장소의 바닥과 설비들에 적용는 배수트랩이 오폐수의 흐름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게 구성됨과 아울러 냄새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 화장실, 베란다, 세면대, 욕조 등과 같이 오폐수가 사용되는 장소의 바닥과 설비들에는 오폐수를 배출함과 아울러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트랩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배수트랩에는 욕조나 세면대 등에서 배출되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관 및 건물외부 오폐수관으로 오폐수를 배출하는 관 등 각종 관이 연결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배수트랩은 오폐수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거주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온도가 급격히 하강할 경우 트랩 내부의 오폐수가 얼어 기능이 상실될 수 있었으며, 더불어 오폐수에서 발생 된 악취가 역류하여 실내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악취의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종래 배수트랩이 가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단열기능이 있어 쉽게 동파 되지 않으며, 악취의 역류를 확실하게 막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배수트랩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배수트랩 벽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소음방지와 단열기능을 갖도록 하고, 오폐수가 유입되는 관이 배수트랩에 담겨있는 오폐수에 의해 막히도록 함으로써 악취가 역류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수트랩 벽면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소음방지와 단열기능을 확보할 수 있고, 오폐수가 유입되는 관이 오폐수가 유입되지 않을 때에도 항상 막혀있도록 함으로써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트랩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봉수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
도 3은 볼 발명에 적용되는 봉수부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입관에 설치되는 역류방지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건축물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부와, 상기 배수부 하단과 연통하여 설치되되 오폐수의 유입과 유출을 담당하는 유입관과 유출관이 설치되는 한편 내부에 봉수관이 설치되어 냄새의 역류를 차단하는 봉수부로 구성되는 배수트랩의 구조를 개선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트랩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봉수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 도 3은 볼 발명에 적용되는 봉수부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도 4는 본 발명의 유입관에 설치되는 역류방지관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은, 건축물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부(200)와, 상기 배수부(200) 하단과 연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300)과 유입된 오폐수가 모였다가 유출되는 유출관(400)이 설치되는 봉수부(100)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배수부(200)는 욕실이나 베란다와 같이 물을 사용하는 장소의 바닥에 매설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오폐수가 봉수부(100)로 배출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가 비어 오폐수가 관통될 수 있게 구성되며 상단에는 거름망이 씌워져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로 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배수부(200)의 구성은 공지된 다양한 구성을 그대로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봉수부(100)는 상기 배수부(200)의 하단에 연통관(112)에 의해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닥 아래층에 드러나게 설치되어 각종 관을 연결하여 오폐수를 모아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된다. 내부에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봉수관(140)이 설치되고 측면 벽면은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공간(150)이 형성됨으로써 소음을 방지하고 단열 기능을 가지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봉수관(140)은 내부가 빈 것으로서 상기 배수부(200)와 연통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봉수관(140)의 상단은 상기 연통관(112) 내부에 억지끼움 형태로 끼워져 배수부(200)와 연통된다. 이때 냄새와 오폐수가 봉수관(140)의 상단과 연통관(112)의 내벽 사이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봉수관(140)의 하단에는 유입관(300)과 유출관(400)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통공(142)이 형성된다. 상기 봉수부(100) 내부는 유입관(300)과 유출관(400) 아래쪽에 항상 오폐수가 차 있게 되는바, 따라서 평상시에도 상기 통공(142)이 막혀 있게 되어 배수부(200)를 관통한 오폐수가 상기 통공(142)을 거쳐 유출관(400)으로 배출될 수는 있게 되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은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봉수부(100) 측면 벽에 형성되는 공간(150)은, 상부에 상기 배수부(200)와 연결되는 연통관(112)이 형성되는 연결된 외부케이스(110)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측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내부케이스(12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내부케이스(120)의 개방된 하면에는 이물질배출캡(130)이 결합되어 막힘으로써 오폐수가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게 구성되며, 사용함에 따라 내부케이스(120) 바닥에 쌓이는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배출캡(130)을 분리한 뒤 외부로 빼 내 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부케이스(110)와 내부케이스(120)로 구성되는 봉수부(100)의 측면에는 유출관(400)과 다수의 유입관(300)을 결합하여 줄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이때, 유입관(300)이 하나만 필요할 경우 불필요한 구멍은 캡을 씌워 막아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봉수부(100)에 연결되는 상기 유입관(300)의 말단에는 끝단이 봉수부(100)의 내부 바닥에 인접하게, 더욱 상세히는 유입관(300)과 유출관(400)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그 끝단이 위치하게 형성되는 역류방지관(310)이 결합된다.
상기 역류방지관(310)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유입관(300)과 수평을 이루는 수평부분과 수직을 이루는 수직부분으로 구성되는바, 수직으로 형성되는 부분이 전?후 폭은 좁고 좌?우 폭은 넓게 형성된다. 따라서, 유입되는 오폐수가 넓게 퍼지면서 흘러들어가게 함으로써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유입관(300)에 역류방지관(310)이 설치됨으로써 유입관(300)의 입구가 항상 오폐수에 막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로 인해 오폐수가 유입관(300)을 거쳐 유출관(400)으로는 배출될 수 있게 되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은 방지되는 것이다.
더불어 역류방지관(310)의 끝단이 봉수부(100) 내부에서 항상 오폐수에 잠겨 있는 상태이므로 유입관(300)을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가 봉수부(100) 내부에 담겨진 물에 부딪히지 않고 자연스럽게 흘러들어와 섞이게 됨에 따라 물이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소음의 발생이 억제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은 봉수부(100)의 벽면에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소음방지와 단열기능을 확보할 수 있고, 오폐수가 유입되는 관이 오폐수가 유입되지 않을 때에도 항상 막혀있도록 함으로써 악취가 역류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100 : 봉수부, 112 : 연통관,
110 : 외부케이스, 120 : 내부케이스,
130 : 이물질배출캡, 140 : 봉수관,
142 : 통공, 150 : 공간,
200 : 배수부, 300 : 유입관,
310 : 역류방지관, 400 : 유출관.

Claims (4)

  1. 건축물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부(200)와, 상기 배수부(200) 하단과 연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300)과 유입된 오폐수가 모였다가 유출되는 유출관(400)이 설치되는 한편 내부에 봉수관(140)이 설치되어 냄새의 역류를 차단하는 봉수부(100)로 구성되는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봉수부(100)는 측면 벽이 이중구조로 형성되어 공간(150)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150)에 공기가 수용되어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보온과 소음방지 기능을 가지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150)은 상부에 상기 배수부(200)와 연결되는 연통관(112)이 형성되는 연결된 외부케이스(110)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10) 내측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내부케이스(120)에 의해 형성되되,
    상기 내부케이스(120) 하면에는 이물질배출캡(130)이 결합됨으로써 막히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300)의 말단에는 끝단이 봉수부(100)의 내부 바닥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역류방지관(310)이 결합되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고 물이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관(310)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직으로 형성되는 부분이 전?후 폭은 좁고 좌?우 폭은 넓게 형성되어 유입되는 오폐수가 퍼지면서 흘러가게 함으로써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KR1020100038686A 2010-04-26 2010-04-26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Expired - Fee Related KR101119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686A KR101119526B1 (ko) 2010-04-26 2010-04-26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686A KR101119526B1 (ko) 2010-04-26 2010-04-26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153A KR20110119153A (ko) 2011-11-02
KR101119526B1 true KR101119526B1 (ko) 2012-03-13

Family

ID=45390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68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19526B1 (ko) 2010-04-26 2010-04-26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5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6112A (zh) * 2014-09-24 2014-12-10 丁晴 一种地漏
CN105297877A (zh) * 2015-11-23 2016-02-03 丁泽寰 一种水封防臭地漏
CN105401641A (zh) * 2015-12-11 2016-03-16 武汉圣禹排水系统有限公司 带有滤水桶的雨水口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20077A1 (en) * 1994-01-24 1995-07-27 Pasquale Nivelli Drainage system for waste water in buildings, separated into two parts, a fixed outer one and an inner replaceable one
KR200168589Y1 (ko) * 1999-08-31 2000-02-15 평화프라스틱공업주식회사 소음방지 배수용 이음관
KR200360049Y1 (ko) * 2004-06-09 2004-08-25 오승일 세면기용 배수관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20077A1 (en) * 1994-01-24 1995-07-27 Pasquale Nivelli Drainage system for waste water in buildings, separated into two parts, a fixed outer one and an inner replaceable one
KR200168589Y1 (ko) * 1999-08-31 2000-02-15 평화프라스틱공업주식회사 소음방지 배수용 이음관
KR200360049Y1 (ko) * 2004-06-09 2004-08-25 오승일 세면기용 배수관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153A (ko) 201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6707A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CN101668906A (zh) 地漏
KR101119526B1 (ko)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KR101150282B1 (ko) 층상 배수 시스템
KR101312216B1 (ko) 층상 배수장치
KR100720969B1 (ko) 건물의 침출오수 차단배수장치
KR101177495B1 (ko) 배관 연결이 용이한 배수트랩
KR101229689B1 (ko) 층상 배관용 배수트랩
KR101170813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100895271B1 (ko) 연결소켓 겸용 배수트랩
KR101188012B1 (ko) 배수 트랩 및 층상 배수 시스템
KR20120076006A (ko) 통합 이중관 및 그를 적용한 통합 배수관 시공방법
KR101348450B1 (ko) 용수공급부가 구비된 배수트랩 및 이를 이용한 층상 배수 시스템
KR101487394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101511683B1 (ko) 욕실용 통합 배수트랩
KR101111528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용 봉수 구조를 갖는 배수 트랩
JP3460056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447783Y1 (ko) 세면대 연결소켓 겸용 욕실 배수트랩
KR101181937B1 (ko) 봉수가 잔존되는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KR101130190B1 (ko) 세면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
KR20120043317A (ko) 층상배관용 배수관 장치
KR20130125207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중트랩 층상배관장치
KR101130189B1 (ko) 서랍형 배수트랩을 갖는 배수관 장치
KR200305922Y1 (ko) 배수배관용 연결 플로어
KR101219057B1 (ko) 층상배관용 배수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