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022Y1 - 욕실용 선반 - Google Patents

욕실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022Y1
KR200490022Y1 KR2020180004948U KR20180004948U KR200490022Y1 KR 200490022 Y1 KR200490022 Y1 KR 200490022Y1 KR 2020180004948 U KR2020180004948 U KR 2020180004948U KR 20180004948 U KR20180004948 U KR 20180004948U KR 200490022 Y1 KR200490022 Y1 KR 200490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fixing
coupling member
shelf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문식
Original Assignee
정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문식 filed Critical 정문식
Priority to KR2020180004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0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0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부재를 벽면에 설치한 후 상기 받침부재의 측면에 설치하는 욕실의 분위기에 맞추어 타일부재를 부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선반의 디자인을 욕실의 인테리어에 맞추도록 하여 인테리어 가치와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욕실용 선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욕실용 선반은, 상판(100);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고정 장착되되, 결합홈(210)이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받침부재(200); 설치할 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결합홈(210)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100)을 지지하는 결합부재(300); 상기 결합부재(300)를 설치할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0); 상기 받침부재(200)의 측부 및 하부에 부착되는 타일부재(50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욕실용 선반{Shelf for bathroom}
본 고안은 욕실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욕실 내부에 설치되되 욕실 내부 분위기와 조화를 이를 수 있도록 설치시 사용자가 타일을 선택하여 외관을 꾸밀 수 있는 욕실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은 물론 각종 공공 장소의 욕실 또는 화장실에는 세면, 용변 등의 행위를 위한 설비인 세면대, 변기 등이 벽면과 바닥에 고정된 형태로 장착되어 세면이나 손을 씻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가정의 욕실에는 세면대, 및 변기와 함께 샤워기와 욕조 등이 설치된다.
여기서, 세면대나 샤워기는 보통 욕실이나 화장실의 벽면에 설치되는데, 이 때, 세면대와 샤워기에 온수 및 냉수 공급을 위한 배관들은 보통 벽면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방수 처리된 시멘트로 미장공사를 통해 덮은 후, 표면에 타일 등을 부착하는 습식시공을 통해 설치된다.
그리고 세면대에서 발생된 하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은 하수관으로부터 취기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P트랩 또는 S 트랩이 설치되고, 이러한 트랩은 보통 욕실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한편, 일반적인 종래의 세면대는 통상적으로 물을 담수하고 배수하는 세면대만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세면대와 일체로 된 선반을 갖는 형태로 구비되어 있을 뿐, 깨끗하게 씻을 수 있는 양치 및 세수에 필요한 도구인 치약, 칫솔, 비누, 수건 등을 담아두거나 보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는다.
물론 일반 가정의 경우에는 양치와 세수에 필요한 도구 및 물품을 보관하는 수납공간 또는 선반을 구비하게 되나, 상기 수납장 또는 선방은 세면대와는 분리된 채 세면대의 상부 일측벽면 또는 별도의 위치에 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별도의 선반을 설치할 경우 세면대 주변은 물론 욕실 전체의 분위기를 어지럽게 함으로써,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8085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부재를 벽면에 설치한 후 상기 받침부재의 측면에 설치하는 욕실의 분위기에 맞추어 타일부재를 부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선반의 디자인을 욕실의 인테리어에 맞추도록 하여 인테리어 가치와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욕실용 선반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욕실용 선반은, 상판(100);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고정 장착되되, 결합홈(210)이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받침부재(200); 설치할 벽면에 고정되며, 상기 결합홈(210)에 삽입되어 상기 상판(100)을 지지하는 결합부재(300); 상기 결합부재(300)를 설치할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0); 상기 받침부재(200)의 측부 및 하부에 부착되는 타일부재(500); 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재(300)에는 관통공(31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400)은, 일단이 상기 관통공(310)을 통과하여 설치할 벽면에 삽입되는 고정앵커(410); 상기 고정앵커(410)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결합부재(300)를 벽면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볼트(420);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앵커(410)가 상기 벽면에 삽입되는 길이와 상기 결합부재(300)에 삽입되는 길이의 비는 5:8이다..
상기 관통공(310)은 상하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1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앵커(410)의 확장시 상기 고정앵커(410)와 맞물림 되는 요철부(311)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300)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받침부재(2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부재(200)에 밀착되는 흔들림방지수단(600); 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재(300)에는 삽입홈(320)이 형성되고, 상기 흔들림방지수단(600)은, 상기 삽입홈(320)에 삽입 배치되는 볼부재(610); 상기 삽입홈(320)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볼부재(610)를 상기 받침부재(20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620);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욕실용 선반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기 상판(100)과 상기 받침부재(200)를 벽면에 설치한 후 상기 타일부재(500)를 부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선반이 욕실의 분위기와 일치되도록 할 수 있어 욕실의 인테리어적인 가치와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준다.
상기 관통공(310)의 상하 폭이 상기 고정수단(400)의 상하 폭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벽면에 고정된 상기 결합부재(300)의 상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상하 수평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흔들림방지수단(600)은 상기 결합부재(300)가 상기 결합홈(210)에 삽입될 때 상기 볼부재(610)가 상기 탄성부재(6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받침부재(200)의 측면에 밀착되며, 이로 인해 상기 받침부재(200)가 쉽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선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선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의 B-B에서 바라본 욕실용 선반의 단면도,
도 4는 도 1 의 B_B에서 바라본 욕실용 선반의 단면도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선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선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 의 B-B에서 바라본 욕실용 선반의 단면도, 도 4는 도 1 의 B_B에서 바라본 욕실용 선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욕실용 선반은, 상판(100), 받침부재(200), 결합부재(300), 고정수단(400) 및 타일부재(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100)은 물을 사용하는 욕실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욕실의 분위기와 어울리는 타일 재질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대리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판(100)은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납작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재(20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볍고 타일이 잘 부착되는 재질, 구체적으로 표면에 시멘트가 도포된 PP(폴리프로필렌)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받침부재(200)는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고정 장착되되, 결합홈(210)이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재(200)는 3개로 이루어지며, 2개의 상기 결합홈(210)이 형성되도록 상호 이격 배치되어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부재(200)와 상기 상판(100)은 시멘트로 부착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300)는 후술할 상기 고정수단(400)에 의해 설치 장소, 즉 화장식의 벽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육면체 형상이며, 가공성이 좋고 가벼운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300)는 2개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홈(210)에 일치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어 상기 벽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300)에는 상기 고정수단(400)이 삽입되는 관통공(310)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10)은 벽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공(310)의 상하 폭은 상기 고정수단(400)의 상하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관통공(310)의 상하 폭이 상기 고정수단(400)의 상하 폭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벽면에 고정된 상기 결합부재(300)의 상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상하 수평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관통공(31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앵커(410)의 확장시 상기 고정앵커(410)와 맞물림 되는 요철부(311)가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311)는 후술할 상기 고정수단(400)이 상기 관통공(310)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수단(400)과 맞물림되어 상기 고정수단(4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수단(400)은 상기 결합부재(300)를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고정앵커(410)와 고정볼트(42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앵커(410)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외측에는 외주연을 따라 고정돌기(411)가 형성되며, 일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상기 고정볼트(420)가 체결된다.
상기 고정돌기(411)는 단면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10)에 삽입시 상기 관통공(3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앵커(410)의 길이는 상기 결합부재(300)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관통공(310)을 통과하여 상기 벽면에 삽입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앵커(410)가 상기 벽면에 삽입되는 길이와 상기 결합부재(300)에 삽입되는 길이의 비는 5:8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앵커(410)가 상기 벽면에 삽입되는 길이는 5cm이고, 상기 결합부재(300)에 삽입되는 길이는 8cm이다.
이러한 상기 고정앵커(410)는 내부에 상기 고정볼트(420)가 체결되면 확장되면서 상기 고정돌기(411)가 상기 관통공(310) 및 벽면 내부에 밀착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재(300)가 벽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볼트(420)는 일반적인 볼트와 동일하게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앵커(410)와 마찬가지로 상기 결합부재(300)의 폭 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420)의 직경은 상기 고정앵커(410)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볼트(420)에 삽입될 때 상기 고정앵커(410)가 확장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타일부재(500)는 상기 받침부재(200)의 측부 빛 하부에 부착되어 선반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받침부재(200)를 벽면에 설치한 후 상기 받침부재(200)의 측부 및 하부에 부착된다.
여기에서 상기 타일부재(500)는 벽면 타일의 색과 일치되거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사용자가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다.
즉, 상기 타일부재(500)는 상기 상판(100)과 상기 받침부재(200)를 상기 결합부재(300)에 먼저 장착한 후 상기 받침부재(200)와 상기 결합부재(300)의 측면에 시멘트를 발라 상기 타일부재(500)를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부재(200)에 상기 타일이 잘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재(200)의 표면에 시멘트가 도포된 재질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판(100)과 상기 받침부재(200)를 벽면에 설치한 후 상기 타일부재(500)를 부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선반이 욕실의 분위기와 일치되도록 할 수 있어 욕실의 인테리어적인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준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300)에는 상기 받침부재(200)와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흔들림방지수단(600)이 더 구비된다.
상기 흔들림방지수단(600)은 상기 결합부재(300)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받침부재(2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부재(200)에 밀착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볼부재(610) 및 탄성부재(6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부재(610)는 구형상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재(300)의 삽입홈(320)에 삽입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삽입홈(320)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삽입홈(320)은 상기 결합부재(3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입구쪽인 일단의 직경이 타단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부재(610)의 최대직경은 상기 삽입홈(320)의 입구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볼부재(610)는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삽입홈(3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탄성부재(620)는 압축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삽입홈(320)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볼부재(610)를 상기 받침부재(20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흔들림방지수단(600)은 상기 결합부재(300)가 상기 결합홈(210)에 삽입될 때 상기 볼부재(610)가 상기 탄성부재(6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받침부재(200)의 측면에 밀착되며, 이로 인해 상기 받침부재(200)가 쉽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200)가 상기 결합부재(300)와 결합될 때 상기 볼부재(610)가 회전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상판 200 : 받침부재
300 : 결합부재 310 : 관통공
311 : 요철부
320 : 삽입홈 400 : 고정수단
410 : 고정앵커 411 : 고정돌기
420 : 고정볼트 500 : 타일부재
600 : 흔들림방지수단 610 : 볼부재
620 : 탄성부재

Claims (6)

  1.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납작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 상판(100);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상판(100)의 하부에 고정 장착되되, 다수의 결합홈(210)이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받침부재(200);
    육면체 형상으로 설치할 벽면에 고정되도록 중앙에 상하로 긴 장공 형상으로 벽면방향으로 전후로 관통되는 관통공(310)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재(200)의 결합홈(210)에 삽입되어 상판(100)을 지지하는 다수의 결합부재(300);
    상기 결합부재(300)를 설치할 벽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400);
    상기 받침부재(200)의 측부 및 하부에 부착되어 선반의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타일부재(500);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400)은,
    일단이 상기 관통공(310)을 통과하여 설치할 벽면에 삽입되며, 외측에는 외주연을 따라 단면이 지그재그 형성으로 형성되어 관통공(3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고정돌기(411)가 형성된 고정앵커(410);
    상기 고정앵커(410)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결합부재(300)를 벽면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볼트(420);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앵커(410)가 상기 벽면에 삽입되는 길이와 상기 결합부재(300)에 삽입되는 길이의 비는 5: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선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0)의 관통공(310) 내측에는 상기 고정앵커(410)의 확장시 상기 고정앵커(410)의 고정돌기(411)와 맞물림되도록 형성되는 요철부(3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선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0)의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받침부재(200)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받침부재(200)에 밀착되는 흔들림방지수단(6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300) 양측에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입구쪽인 일단의 직경이 타단의 직경보다 작게 삽입홈(320)이 형성되고,
    상기 흔들림방지수단(600)은,
    구 형상의 고무재질로 상기 삽입홈(320)에 삽입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삽입홈(320)의 외부로 돌출되는 볼부재(610);
    상기 삽입홈(320)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볼부재(610)를 상기 받침부재(200)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6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용 선반.
  6. 삭제
KR2020180004948U 2018-11-01 2018-11-01 욕실용 선반 KR200490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948U KR200490022Y1 (ko) 2018-11-01 2018-11-01 욕실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948U KR200490022Y1 (ko) 2018-11-01 2018-11-01 욕실용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022Y1 true KR200490022Y1 (ko) 2019-11-04

Family

ID=6853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948U KR200490022Y1 (ko) 2018-11-01 2018-11-01 욕실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022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8927U (ko) * 1978-09-04 1980-03-13
KR820001114Y1 (ko) * 1980-09-10 1982-05-28 주식회사성예사 부엌용 다목적 선반
KR900009877Y1 (ko) * 1986-11-13 1990-10-20 김범준 목재가구 조립용 앵커
US5542218A (en) * 1994-06-08 1996-08-06 Innovis Corporation Structural support frame for ceramic tile corner seats and service trays
JP2013042864A (ja) * 2011-08-23 2013-03-04 Panasonic Corp 棚板装置及び棚板支持構造
KR101588085B1 (ko) 2013-07-05 2016-01-25 주식회사 한샘 친환경 욕실용 선반유닛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8927U (ko) * 1978-09-04 1980-03-13
KR820001114Y1 (ko) * 1980-09-10 1982-05-28 주식회사성예사 부엌용 다목적 선반
KR900009877Y1 (ko) * 1986-11-13 1990-10-20 김범준 목재가구 조립용 앵커
US5542218A (en) * 1994-06-08 1996-08-06 Innovis Corporation Structural support frame for ceramic tile corner seats and service trays
JP2013042864A (ja) * 2011-08-23 2013-03-04 Panasonic Corp 棚板装置及び棚板支持構造
KR101588085B1 (ko) 2013-07-05 2016-01-25 주식회사 한샘 친환경 욕실용 선반유닛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333174T3 (en) Drainage system for shower bath
KR20130029152A (ko) 세면대 설치 겸용 선반유닛
KR101709663B1 (ko) 욕실용 세면기 일체형 하부장
KR200408194Y1 (ko) 벽체 매입형 분배용 수전함
KR101588085B1 (ko) 친환경 욕실용 선반유닛 및 그 시공방법
US20090013461A1 (en) Siphon system attainable directly during the forming of sanitary ware
KR200490022Y1 (ko) 욕실용 선반
US11607085B2 (en) Shower pans and related linear drain configurations
KR101476336B1 (ko)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
JP2005224540A (ja) 浴室用洗面器及び浴室用備品載置台
KR100569035B1 (ko) 주택 욕실 장애인 겸용 세면 시설
KR101325099B1 (ko) 샤워기 및 욕실용품을 구비한 욕실용 샤워보드
KR101666675B1 (ko) 다용도 세척조를 갖는 욕실
KR102495765B1 (ko) 세면대 거치형 건식 구조물
KR102589225B1 (ko)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의 시공 방법
KR200446560Y1 (ko) 세면대 배수관의 보호커버 결합구조
KR200486252Y1 (ko) 세면기 고정구조
KR102589224B1 (ko)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
KR20090078685A (ko) 욕조 겸용 샤워부스
KR100684363B1 (ko) 다기능 세면대
KR100626153B1 (ko) 건축물용 욕실 세면시설
KR200368916Y1 (ko) 세면대
KR101921482B1 (ko) 수납장을 구비하는 조립형 세면대
RU2199935C1 (ru) Экран для ванн
KR20110006966U (ko) 세면대 디딤틀 받침용 수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