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9224B1 -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 - Google Patents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9224B1
KR102589224B1 KR1020220040398A KR20220040398A KR102589224B1 KR 102589224 B1 KR102589224 B1 KR 102589224B1 KR 1020220040398 A KR1020220040398 A KR 1020220040398A KR 20220040398 A KR20220040398 A KR 20220040398A KR 102589224 B1 KR102589224 B1 KR 102589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bending
b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1172A (ko
Inventor
전상수
Original Assignee
전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수 filed Critical 전상수
Priority to KR1020220040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9224B1/ko
Publication of KR20230141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1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9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61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used as wall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부를 타일로 마감 처리하여 실내의 인테리어와 어울리는 다양한 색상이나 형태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 심미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 본 타일 세면대는 벽면에 배치되는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10)를 벽면에 장착시키는 장착브래킷(20)과, 상기 프레임부(10)의 내측에 부착되는 세면대부(30)와, 상기 세면대부(30)의 내측에 구비되는 배수커버(40)와, 상기 프레임부(10)와 세면대부(30) 및 배수커버(40)의 노출된 외면에 다수의 타일이 시멘트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타일부(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WALL MOUNTED TYPE TILE WASHSTAND}
본 발명은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면대부를 타일로 마감 처리하여 실내의 인테리어와 어울리는 다양한 색상이나 형태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 심미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는 물을 받거나 틀어 놓은 상태에서 선 자세로 세수 및 머리를 감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화장실이나 욕실 등에 시공되는 시설물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세면대(100)는 전방에 물을 받아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수부가 마련되고, 저수부의 후방 상부 면에 수전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수전은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온수공급관이 연결되고, 냉온수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냉온수를 선택적으로 또는 목적하는 수온에 맞게 혼합하는 한편, 배출되는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 카트리지가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밸브 카트리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수도꼭지가 돌출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욕실의 세면대 뒤편에는 일명 젠다이라고 부르는 욕실 선반(조적 선반)이 배치 구성되고 있으며, 이 욕실 선반의 기능은 세면대 배관을 선반 뒤편으로 숨겨 배관을 정리하고, 선반 위쪽에 욕실용품을 올려놓을 수 있는 공간과 상부에 공공주택의 부족한 수납 향상을 위한 넓은 욕실장의 설치가 가능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세면대는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백색의 세면보울이 벽면에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그 심미감이 현저히 저하되고, 욕실 등의 실내 인테리어에 어울리는 다양한 색상이나 형태를 적절히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898125호 "욕실 세면대 설치 구조물"(2018.09.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면대부를 타일로 마감 처리하여 실내의 인테리어와 어울리는 다양한 색상이나 형태를 구현할 수 있으면서 심미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는, 전후좌우로 사각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로 전방과 좌우로 디귿자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모서리 부위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양내측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기역자 형태로 형성되어 후면측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면을 받친 상태로 벽면에 앵커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이 고정볼트로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선단이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고정턱을 가지는 장착브래킷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사이로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단에 수평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배수공과, 상기 수평판의 단부에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판과, 상기 절곡판의 상단에서 전방을 향해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끝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부착되는 경사판과, 상기 수직판과 수평판 및 절곡판과 경사판의 양측면을 폐쇄하도록 부착되고 상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측면판을, 포함하는 세면대부와; 상기 수평판의 상면을 커버하게 평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곡판의 높이보다 높게 상기 수평판의 상면에 상부로 이격되도록 선단과 후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절곡지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에 대응되는 상기 절곡지지턱의 중앙 부위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배수홈이 형성되는 배수커버와; 상기 프레임부와 세면대부 및 배수커버의 외부로 노출된 외면에 다수의 타일이 시멘트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타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의 상기 수직판은, 그 상단이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된 후에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보강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판은, 그 상단이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된 후에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보강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판은, 그 상단이 양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부착되는 받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의 상기 수평판은, 그 네 모서리 부위에서 상기 배수공을 향해 함몰되게 형성되는 네 개의 유도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의 상기 프레임부는, 후방측에 위치한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의 사이에 양단이 부착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브래킷은, 상기 고정볼트의 단부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세면대부를 타일로 마감 처리하여 실내의 인테리어와 어울리는 다양한 색상이나 형태를 구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세면대 자체의 심미감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세면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세면대를 보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세면대의 세면대부를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세면대의 타일을 부착하기 전의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세면대의 타일을 부착한 후의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세면대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일 세면대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는 벽면에 배치되는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10)를 벽면에 장착시키는 장착브래킷(20)과, 상기 프레임부(10)의 내측에 부착되는 세면대부(30)와, 상기 세면대부(30)의 내측에 구비되는 배수커버(40)와, 상기 프레임부(10)와 세면대부(30) 및 배수커버(40)의 노출된 외면에 다수의 타일이 시멘트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타일부(5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0)는 전후좌우로 사각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상부프레임(11)과,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하부로 전방과 좌우로 디귿자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2)과, 상기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의 모서리 부위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수직프레임(13)과,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양내측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4)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0)는 상기 장착브래킷(20)에 의해 벽면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되는 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세면대부(30)와 타일부(50)가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1)은 상기 프레임부(10)의 상부로 사각 테두리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하부프레임(12)의 상기 프레임부(10)의 하부로 디귿자형 테두리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3)은 상기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의 모서리 부위를 상호 연결하여 사각 박스 형태의 몸체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4)는 상기 프레임부(10)의 내측으로 상기 세면대부(30)가 지지되어 부착되어 지지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부(10)는 후방측에 위치한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13)의 사이에 양단이 부착되는 지지대(15)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5)는 상기 프레임부(10)의 후방측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장착브래킷(20)은 기역자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면이 후면측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하면을 받친 상태로 배면이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앵커볼트(A)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1)이 고정볼트(22)로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선단이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22)가 나사 결합되는 고정턱(21)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후방측을 벽면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턱(21)은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전방으로 상기 고정볼트(22)가 나사 결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볼트(22)는 상기 고정턱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상부프레임(11)을 벽면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상부프레임(11)의 고정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수평도가 손쉽게 맞춰진다.
이와 같은 상기 장착브래킷(20)은 상기 고정볼트(22)의 단부와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패드(23)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무패드(23)는 상기 고정볼트(22)에 의한 상기 상부프레임(11)의 가압을 적절히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면대부(30)는 세면용 물이 포집되면서 배수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세면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세면대부(30)는 상기 지지프레임(14)의 사이로 상기 프레임부(10)의 내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판(31)과, 상기 수직판(31)의 하단에 수평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판(32)과, 상기 수평판(32)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배수공(33)과, 상기 수평판(32)의 단부에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판(34)과, 상기 절곡판(34)의 상단에서 전방을 향해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35)과, 상기 수직판(31)과 수평판(32) 및 절곡판(34)과 경사판(35)의 양측면을 폐쇄하도록 부착되고 상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4)의 상면에 부착되는 측면판(36)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판(31)은 상기 세면대부(30)의 후방측에 수직면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수직판(31)은 그 상단이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된 후에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보강턱(31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보강턱(311)은 상기 수직판(31)의 상단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판(32)은 상기 세면대부(30)의 내측 하부로 평평한 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배수공(33)이 형성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수평판(32)은 그 네 모서리 부위에서 상기 배수공(33)을 향해 함몰되게 형성되는 네 개의 유도홈(32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유도홈(321)은 상기 수평판(32)의 상면에 포집되는 물이 신속하게 배수되도록 물을 상기 배수공(33)으로 유도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유도홈(321)은 물의 배수가 원활하도록 상기 배수공(33)을 가까울수록 그 더 낮게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공(33)은 상기 세면대부(3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배수공(33)에는 배수관이 연결되고, 상기 배수공(33)의 상단에는 상기 배수공(33)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구가 설치된다.
상기 절곡판(34)은 상기 수직판(31)과 함께 상기 배수커버(40)가 끼워지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사판(35)은 상기 세면대부(30)의 전방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세면대부(30)의 전방으로 물의 높이가 낮은 부위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기 배수공(33)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물이 배수될 때 상기 배수공(33)으로 적절히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경사판(35)은 그 상단이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된 후에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보강턱(35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보강턱(351)은 상기 경사판(35)의 상단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판(36)은 상기 세면대부(30)의 측면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측면판(36)은 그 상단이 양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4)의 상면에 부착되는 받침턱(361)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받침턱(361)은 상기 측면판(36)이 상기 지지프레임(14)의 상면에 부착되어 지지되는 부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수커버(40)는 상기 수평판(32)의 상면을 커버하게 평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곡판(34)의 높이보다 높게 상기 수평판(32)의 상면에 상부로 이격되도록 선단과 후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절곡지지턱(41)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35)에 대응되는 상기 절곡지지턱(41)의 중앙 부위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배수홈(42)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판(32)의 상면을 커버하면서 상기 타일부(50)가 부착되는 장소를 제공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곡지지턱(41)은 상기 배수커버(40)가 상기 수직판(31)의 하부와 상기 절곡판(34)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상기 수평판(32)의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배수홈(42)은 상기 세면대부(30)의 내측으로 수용된 물이 상기 절곡지지턱(41)을 통과하여 상기 배수공(33)으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타일부(50)는 상기 프레임부(10)와 세면대부(30) 및 배수커버(40)의 외부로 노출된 외면에 다수의 타일이 시멘트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다양한 색상과 형태를 구현하여 본 세면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타일부(50)에 구비되는 타일은 통상적으로 진흙을 구워서 형성되는 자기 재질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프레임부
11 : 상부프레임 12 : 하부프레임
13 : 수직프레임 14 : 지지프레임
15 : 지지대
20 : 장착브래킷
21 : 고정턱 22 : 고정볼트
23 : 고무패드
30 : 세면대부
31 : 수직판 311 : 제1 보강턱
32 : 수평판 321 : 유도홈
33 : 배수공 34 : 절곡판
35 : 경사판 351 : 제2 보강턱
36 : 측면판 361 : 받침턱
40 : 배수커버
41 : 절곡지지턱 42 : 배수홈
50 : 타일부

Claims (4)

  1. 전후좌우로 사각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상부프레임(11)과,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하부로 전방과 좌우로 디귿자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2)과, 상기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의 모서리 부위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수직프레임(13)과,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양내측에 각각 부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4)을, 포함하는 프레임부(10)와;
    기역자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면이 후면측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하면을 받친 상태로 배면이 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앵커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1)이 고정볼트(22)로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선단이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22)가 나사 결합되는 고정턱(21)을 가지는 장착브래킷(20)과;
    상기 지지프레임(14)의 사이로 상기 프레임부(10)의 내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판(31)과, 상기 수직판(31)의 하단에 수평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평판(32)과, 상기 수평판(32)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배수공(33)과, 상기 수평판(32)의 단부에 상부를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판(34)과, 상기 절곡판(34)의 상단에서 전방을 향해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판(35)과, 상기 수직판(31)과 수평판(32) 및 절곡판(34)과 경사판(35)의 양측면을 폐쇄하도록 부착되고 상단이 상기 지지프레임(14)에 부착되는 측면판(36)을, 포함하는 세면대부(30)와;
    상기 수평판(32)의 상면을 커버하게 평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곡판(34)의 높이보다 높게 상기 수평판(32)의 상면에 상부로 이격되도록 선단과 후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절곡지지턱(41)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35)에 대응되는 상기 절곡지지턱(41)의 중앙 부위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배수홈(42)이 형성되는 배수커버(40)와;
    상기 프레임부(10)와 세면대부(30) 및 배수커버(40)의 외부로 노출된 외면에 다수의 타일이 시멘트로 부착되어 형성되는 타일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판(31)은,
    그 상단이 후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된 후에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보강턱(311)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판(35)은,
    그 상단이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 절곡된 후에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보강턱(35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판(36)은,
    그 상단이 양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4)의 상면에 부착되는 받침턱(36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평판(32)은,
    그 네 모서리 부위에서 상기 배수공(33)을 향해 함몰되게 형성되는 네 개의 유도홈(321)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10)는,
    후방측에 위치한 한 쌍의 상기 수직프레임(13)의 사이에 양단이 부착되는 지지대(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착브래킷(20)은,
    상기 고정볼트(22)의 단부와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는 고무패드(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40398A 2022-03-31 2022-03-31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 KR102589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398A KR102589224B1 (ko) 2022-03-31 2022-03-31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398A KR102589224B1 (ko) 2022-03-31 2022-03-31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172A KR20230141172A (ko) 2023-10-10
KR102589224B1 true KR102589224B1 (ko) 2023-10-12

Family

ID=8829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398A KR102589224B1 (ko) 2022-03-31 2022-03-31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92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3550Y2 (ja) * 1990-01-09 1998-06-04 株式会社イナックス 洗面台の設置構造
JP2000316737A (ja) * 1999-05-13 2000-11-21 Inax Corp カウンター
KR200327263Y1 (ko) * 2003-06-13 2003-09-19 김완수 생활하수의 배수 유도기
KR101965298B1 (ko) 2017-07-21 2019-08-07 윤장노 지지력 보강형 세면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125B1 (ko) 2018-03-21 2018-09-12 이승재 욕실 세면대 설치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3550Y2 (ja) * 1990-01-09 1998-06-04 株式会社イナックス 洗面台の設置構造
JP2000316737A (ja) * 1999-05-13 2000-11-21 Inax Corp カウンター
KR200327263Y1 (ko) * 2003-06-13 2003-09-19 김완수 생활하수의 배수 유도기
KR101965298B1 (ko) 2017-07-21 2019-08-07 윤장노 지지력 보강형 세면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172A (ko)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1582B2 (en) Shower enclosure and base
US20120079652A1 (en) Reversible low profile shower base
KR200408194Y1 (ko) 벽체 매입형 분배용 수전함
KR200430527Y1 (ko) 선반을 갖는 욕실용 조립식 벽체
KR102589224B1 (ko)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
KR100644429B1 (ko) 벽체 매입형 분배용 수전함
KR20010078654A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102589225B1 (ko) 벽부 설치형 타일 세면대의 시공 방법
KR200237238Y1 (ko) 벽면 탈착형 다기능 세면대
KR200490022Y1 (ko) 욕실용 선반
US6625825B1 (en) Convertible shower
JPH0941684A (ja) 浴室ユニット
JPH017791Y2 (ko)
JPH0131651Y2 (ko)
JP2561177Y2 (ja) 浴室床パネルの排水口構造
JP3665988B2 (ja) 浴室
JPH085660Y2 (ja) 洗面器ユニット
JP3503322B2 (ja) 配管ユニットの取付構造
KR100456077B1 (ko) 벽면 탈착형 다기능 세면대
JPH0410302Y2 (ko)
JPH0336627Y2 (ko)
JPH0211495Y2 (ko)
JPH0240866Y2 (ko)
RU2199935C1 (ru) Экран для ванн
JPH051527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