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336B1 -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 - Google Patents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336B1
KR101476336B1 KR1020130012258A KR20130012258A KR101476336B1 KR 101476336 B1 KR101476336 B1 KR 101476336B1 KR 1020130012258 A KR1020130012258 A KR 1020130012258A KR 20130012258 A KR20130012258 A KR 20130012258A KR 101476336 B1 KR101476336 B1 KR 101476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athroom
shelf
storage box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9624A (ko
Inventor
서정모
김용덕
서병수
유재윤
Original Assignee
서병수
유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병수, 유재윤 filed Critical 서병수
Priority to KR1020130012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33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9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2Portable toilet tables; Wash cabinets or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선반을 선반의 상측에 설치되는 욕실용품함의 두께에 따라 돌출시켜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선반의 위치를 임의대로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욕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욕실장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측면이 개방되고, 전면에 세면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 상측에 형성되어 수도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세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면부의 상측 및 하측 주변에 형성되며, 욕실용품이 수납되도록 형성되는 수납함과,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을 덮으며, 상측에 욕실용품이 적재되는 판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Integral shelf with cabinet and washbasin}
본 발명은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선반을 선반의 상측에 설치되는 욕실용품함의 두께에 따라 돌출시켜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선반의 위치를 임의대로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시공되는 아파트의 경우 다른 아파트와의 차별성을 위해 매우 다양한 형식의 평면설계가 적용되어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하고 있다. 이러한 평면설계는 거주자의 동선을 참고함은 물론 미감을 부가하여 보다 편리하고 특이하며 아름다운 형태의 내부 구조를 제공한다.
한편, 욕실의 건축에 있어서도 최근에는 건식공법을 주로 적용한다. 건식공법은 습식공법과 대비되는 것으로서, 욕실의 바닥면적과 같은 면적을 갖도록 미리 제작된 방수판과, 상기 판넬의 테두리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네 벽을 이루는 벽판넬과, 상기 벽판넬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욕실의 천장면을 제공하는 천장판넬을 조립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벽판넬은 그 안쪽면에 타일이 부착된 상태로, 건축시공을 통해 마련된 시멘트 건축벽(건물의 종류에 따라 콘트리트벽 일 수도 있음)에 브라켓을 통해 고정된다.
이러한 욕실의 일반적인 구조는 욕실을 구획하는 건축벽의 내부에 사각판 형태의 방수판이 깔려 있고, 상기 방수판의 테두리부에 벽판넬이 세워져 있다. 상기 방수판은 슬라브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로 그 위에 배치된 욕조와 세면대와 변기 등을 지지한다. 상기 방수판은 이를테면 FRP와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되므로 미감을 고려하여 그 상면에 타일을 부착한다.
여하튼 상기 벽판넬은 그 하단부가 방수판의 테두리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브라켓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벽판넬과 건축벽의 사이에 위치하여 건축벽에 대해 벽판넬을 평행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다른 일반적인 구조는, 수평의 슬라브 위에 방수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벽판넬의 하단부가 방수판의 테두리에 마련되어 있는 홈에 끼워진 채로 수직으로 세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벽판넬이 하부벽판넬과 상부벽판넬로 나뉘어져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벽판넬과 상부벽판넬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판넬로서 다수의 연결용 철편을 통해 상호 결합된다.
상기 하부벽판넬은 고정브라켓을 통해 건축벽에 지지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고정브라켓이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다수의 고정브라켓을 필요한 부위에 적절히 배치하여 상하부벽판넬을 건축벽에 대해 견고하게 지지시킨다. 상부벽판넬과 건축벽의 사이에도 상기 고정브라켓이 위치함은 물론이다.
종래 욕실에서의 벽판넬은 수직한 내벽면을 제공할 뿐 별다른 특색이 없다. (기껏해야 타일 문양의 디자인을 특이하게 하거나 또는 큰 거울을 부착시켜 놓거나, 벽의 귀퉁이부에 수납장을 설치하는 정도이다.) 이러한 형태의 욕실은 다른 아파트와의 차별성을 제공할 수 없고 수요자에게 별다른 인상을 심어줄 수 없다.
아울러 보통의 경우, 욕실을 시공할 때 욕실의 바닥면적을 가급적 넓게 하기 위하여 최대한 넓은 방수판을 적용하는데, 이는 하부벽판넬과 건축벽의 사이 간격을 그만큼 좁히는 결과를 낳는다. 하부벽판넬과 건축벽의 사이가 좁으면, 그만큼 세면기에 연결되는 급수관이나 급탕관을 배관하기가 어려워진다.
더 나아가 하부벽판넬의 뒤쪽이 급수관과 급탕관 등으로 꽉 차 있다면, 세면대에서 나오는 배수관을 하부벽판넬의 뒤쪽으로 빼낼 수 없으므로, 배수관을 배관하기 위하여 방수판에 구멍을 뚫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방수판에 구멍을 형성한다는 것은 방수처리를 추가로 해야함을 의미한다.
즉, 배수관을 방수판을 통해 하부로 연장시킨다는 것은 (보기에 좋지 않은) 배수관이 욕실 내부공간에 노출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배수관을 감추기 위하여 배수관을 내장하는 타입의 세면대를 선택하던가 아니면 배수관을 노출시키던지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0527호가 있다.
본 발명은 욕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선반을 선반의 상측에 설치되는 욕실용품함의 두께에 따라 돌출시켜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선반의 위치를 임의대로 변경하여 설치할 수 있는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반 일체형 세면대는, 욕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욕실장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측면이 개방되고, 전면에 세면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 상측에 형성되어 수도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세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면부의 상측 및 하측 주변에 형성되며, 욕실용품이 수납되도록 형성되는 수납함과,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을 덮으며, 상측에 욕실용품이 적재되는 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전면에 형성된 상기 세면부의 상측 및 하측의 빈 공간에 상기 수납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상기 수납함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납함은 수납되는 상기 욕실용품의 길이 또는 크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넬은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길이 보다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에 설치하며, 상기 판넬의 돌출되는 일측 또는 타측단을 지지하도록 보관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관함은 전면에 상기 욕실용품이 수납되는 수납함이 결합되며, 상기 수납함이 결합되도록 삽입홈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함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에는 욕실 용품이 수납되도록 상기 지지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수납판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면부와 본체부로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이 구성되므로 선반을 원하는 위치의 욕실 벽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인테리어를 임의대로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의 패널이 제거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의 후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의 수납함 결합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의 패널이 길게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욕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수납장의 하측에 설치되며, 수납장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전면에 세면부(20)가 형성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수도(21)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세면부(20)와, 본체부(10)의 전면에 형성되고, 세면부(20)의 외측위치에 형성되어 욕실용품이 수납되는 수납함(30)과, 본체의 상측면을 덮으며 결합되며, 욕실용품이 적재되는 판넬(4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는 욕실의 벽면에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측면과 하단면이 개방되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면이 고정부(50)를 통해 욕실의 벽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5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욕실 벽면에 일측면이 고정체(60)를 통해 고정되고, 일측면과 수직 형성되는 수직면이 본체부(10)의 양측면 내면에 고정체(60)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본체부(10)는 플라스틱 또는 발포수지 또는 나무 또는 석고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무게가 가볍고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는 내부가 비어진 형태로 형성되며, 전면에 세면부(20)가 결합되는 부분의 후면, 즉 내부면에는 보강대가 결합되어 전면에 결합되는 세면부(20)의 무게를 지탱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와 세면대를 결합하는 다른 구성으로, 상기 세면부(20)가 결합되는 본체부(10)에는 결합부(80)가 형성되어 세면부(20)를 본체부(10)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결합부(80)와 본체부(10)를 관통하는 고정체(60)를 통해 세면부(20)가 본체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부(80)를 통해 본체부(10)에 세면부(20)가 결합될 때는 본체부(10)의 후면에 슬라이드부(81)가 형성되고, 본체부(10)를 고정체(60)가 관통하여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홈(83)이 형성되며, 고정체(60)가 고정되어 슬라이드부(81)의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체(82)가 tf라이드부에 결합되며, 슬라이드홈(83)을 관통하는 고정체(60)가 슬라이드홈(83)과 슬라이드부(81)를 통해 슬라이드되어 세면부(20)의 크기에 따른 결합위치를 변경하여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의 전면 중단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2)이 형성되어 세면부(20)의 수도(21)에 연결되는 연결관(22)과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출관(23)이 관통되어 본체부(10)의 내부를 통해 욕실의 수도(21)관과 배수구에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부(10)의 관통홀(12)에는 연결관(22)과 배출관(23)이 관통되어 설치된뒤 연결관(22)과 배출관(23)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가림체(13)가 관통홀(12)을 덮으며 세면부(2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가림체(13)는 세면부(20)의 하부와 본체부(10)의 전면을 연결하며 결합되어 관통홀(12)을 덮어 관통홀(12)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는 세면부(20)가 결합되는 위치의 외측으로 삽입홈(11)이 형성되어 수납함(30)이 결합된다.
상기 본체부(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삽입홈(11)은 다수로 구성되어 수납함(30)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필요에 따라 본체부(10)의 양측면에도 삽입홈(11)이 형성되어 수납함(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삽입홈(11)에 결합되는 수납함(30)은 수납되는 욕실용품의 크기에 따라 임의의 크기로 형성할 수 있고, 샤워용품 또는 세면용품의 경우 쉽게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함(3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지지대(31)가 결합되고, 지지대(31)를 기준으로 욕실용품이 수납되는 회전수납판(32)이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수납함(30)이 본체부(10)의 삽입홈(11)에 삽입되어 고정될 때는 삽입홈(11)의 입구 주변에 일정 깊이로 고정홈(14)이 형성되어 수납함(30)이 삽입홈(11)에 삽입될 때 수납함(30)의 입구에 형성되는 테두리판(33)을 고정체(60)로 고정홈(14)에 고정시키고, 수납함(30)의 전면에 테두리판(33)이 드러나지 않도록 전면판이 결합된다.
상기 수납함(30)과 세면부(20)가 결합된 본체부(10)의 상측면에는 판넬(40)이 결합되어 본체부(10)의 상측면을 덮는다.
이러한 상기 판넬(4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0)의 상측면을 덮어 차단시키고, 상측에 욕실 용품이 적재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넬(40)은 욕실의 구조에 따라 미관을 미려하도록 하기 위하여 변기를 덮거나 필요에 따라 본체부(10)의 상측면 길이 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설치되는 길이로 판넬(40)을 형성하여 본체부(10)의 상측면을 덮고, 일측 또는 타측의 돌출되는 부분의 끝단 하측에는 보관함(70)이 설치되어 판넬(40)의 끝단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보관함(70)에는 욕실 용품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함(30)이 결합되며, 수납함(30)이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홈(11)이 다수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세면부와 본체부로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이 구성되므로 선반을 원하는 위치의 욕실 벽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인테리어를 임의대로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 : 본체부 11 : 삽입홈
12 : 관통홀 13 : 가림체
14 : 고정홈
20 : 세면부 21 : 수도
22 : 연결관 23 : 배출관
30 : 수납함 31 : 지지대
32 : 회전수납판 33 : 테두리판
40 : 판넬
50 : 고정부 60 : 고정체
70 : 보관함
80 : 결합부 81 : 슬라이드부
82 : 슬라이드체 83 : 슬라이드홈

Claims (6)

  1. 욕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욕실장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만큼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측면이 개방되고, 전면에 세면부가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 상측에 형성되어 수도와 배출구가 형성되는 세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면부의 상측 및 하측 주변에 형성되며, 욕실용품이 수납되도록 형성되는 수납함; 및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을 덮으며, 상측에 욕실용품이 적재되는 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납함은 수납되는 상기 욕실용품의 길이 또는 크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도 형성되며,
    상기 수납함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대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에는 욕실 용품이 수납되도록 상기 지지대를 기준으로 회전되는 회전수납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넬은 본체부의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상기 본체부의 길이보다 길게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본체부의 상측면에 설치하며, 상기 판넬의 돌출되는 일측 또는 타측단을 지지하도록 보관함이 설치되고, 상기 보관함은 전면에 상기 욕실용품이 수납되는 수납함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012258A 2013-02-04 2013-02-04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 KR101476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258A KR101476336B1 (ko) 2013-02-04 2013-02-04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2258A KR101476336B1 (ko) 2013-02-04 2013-02-04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624A KR20140099624A (ko) 2014-08-13
KR101476336B1 true KR101476336B1 (ko) 2014-12-24

Family

ID=51745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258A KR101476336B1 (ko) 2013-02-04 2013-02-04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3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663B1 (ko) 2016-01-25 2017-02-23 주식회사 두원 욕실용 세면기 일체형 하부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895B1 (ko) 2020-10-27 2023-06-12 주식회사 카비스 세면대 설치형 하부장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1172A (ja) * 1998-02-09 1999-08-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カウンター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1172A (ja) * 1998-02-09 1999-08-1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カウンター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663B1 (ko) 2016-01-25 2017-02-23 주식회사 두원 욕실용 세면기 일체형 하부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624A (ko)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663B1 (ko) 욕실용 세면기 일체형 하부장
KR20130029152A (ko) 세면대 설치 겸용 선반유닛
KR200430527Y1 (ko) 선반을 갖는 욕실용 조립식 벽체
KR101476336B1 (ko) 세면기 부착형 수납함 일체식 선반
US20130061388A1 (en) Shower base for a space-limited room
KR101588085B1 (ko) 친환경 욕실용 선반유닛 및 그 시공방법
KR101512817B1 (ko) 모듈러 가변형 벽체를 이용하여 서랍식 수납공간에 형성되는 화장실 모듈 유닛 및 그 시공 방법
US9526379B2 (en) Enclosure with storage
CN211534150U (zh) 一种柜体式洗手池
JP2008088663A (ja) シューズクローク付き玄関
KR200490022Y1 (ko) 욕실용 선반
RU2199935C1 (ru) Экран для ванн
JP5774827B2 (ja) 水廻り設備室構造および洗面カウンターの配置構造
KR102495765B1 (ko) 세면대 거치형 건식 구조물
JP7186555B2 (ja) サイドキャビネット、洗面化粧台及び洗面化粧台の施工方法
US2901780A (en) Home installations
JPH0431331Y2 (ko)
KR100216497B1 (ko) 조립식 욕실의 벽면 삽입형 기능 판넬 및 그시공 방법
JP5512164B2 (ja) 間仕切り壁構造
JP2003245148A (ja) 洗面室及びこれに使用する間仕切り収納ユニット
KR100684363B1 (ko) 다기능 세면대
JP5539919B2 (ja) 洗面台ユニットの支持構造
ITCZ20110006A1 (it) Lavabo ribaltabile, per applicazioni a piccoli e grandi spazi all interno del bagno, in particolare all interno di un vano doccia chiuso su almeno due lati contigui.
JP3540667B2 (ja) 洗面化粧台
KR200486177Y1 (ko) 세면기용 하부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