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976Y1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976Y1
KR200295976Y1 KR2020020025279U KR20020025279U KR200295976Y1 KR 200295976 Y1 KR200295976 Y1 KR 200295976Y1 KR 2020020025279 U KR2020020025279 U KR 2020020025279U KR 20020025279 U KR20020025279 U KR 20020025279U KR 200295976 Y1 KR200295976 Y1 KR 2002959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drainage
drain
cover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김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환 filed Critical 김태환
Priority to KR2020020025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9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9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976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름돌기가 연속되는 덮개의 각 모서리에 "L"자 형의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동시에 외측벽에 다수개의 간격조절돌기가 수평상태로 형성되게 하여, 배수잔류통내의 설치시 균일한 간격이 유지되면서 설치되게 하는 한편,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되게 하고, 배수잔류통이 길게 형성되게 하는 동시에 배수관이 일측에 치우쳐 설치되게 하여 배수되는 물의 저항이 최소화되어 원활하게 배수되게 하며, 여러 사이즈의 배수관을 겸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트랩{DRAIN TRAP}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등록고안인 실용신안 등록 제234676호(출원번호: 2001-8252)의 개량 고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거름돌기가 연속되는 덮개의 각 모서리에 "L"자 형의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동시에 외측벽에 다수개의 간격조절돌기가 수평상태로 형성되게 하여, 배수잔류통내의 설치시 균일한 간격이 유지되면서 설치되게 하는 한편,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되게 하고, 배수잔류통이 길게 형성되게 하는 동시에 배수관이 일측에 치우쳐 설치되게 하여 배수되는 물의 저항이 최소화되어 원활하게 배수되게 하며, 여러 사이즈의 배수관을 겸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트랩은 배수되는 하수에 포함된 오물이 걸러지게 하고, 배수구에서 역류하는 악취가 차단되게 하는 것으로, 오물이 걸러지게 하는 거름쇠와, 약간의 물이 배수잔류통내에 고여 있게 하는 일명 종발이라고 불리는 덮개로 구성된다.
본 출원인의 등록고안인 실용신안 등록 제234676호에 개시된 배수트랩은 배수가 양호하게 하고,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이중으로 거를 수 있게 하는 한편, 이물질의 청소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배수잔류통의 바닥에 덮개가 얹혀지게 되는 받침구가 일체로 돌출 되어 형성되고, 내측벽면에 보강리브가 설치되어 프레스성형되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보강프레임을 바닥면에까지 덮을 수 없게 되었고, 덮개를 반드시 4개의 받침구에 맞추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또한 배수잔류통내의 공간이 협소하여 많은 양의 물이 일시에 배수될 때에는 물의 저항에 의해 원활하게 배수되지 않게 되는 점도 있었다.
또한 목욕탕 및 샤워실 등에는 직사각 통체의 배수받이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배수받이는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걸러내게 하는 기능이 있으나, 실질적으로 배수통로의 기능만을 수행하여 냄새가 역류하게 됨을 방지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거름돌기가 연속되는 덮개의 각 모서리에 "L"자 형의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동시에 외측벽에 다수개의 간격조절돌기가 수평상태로 형성되게 하여, 배수잔류통내의 설치시 균일한 간격이 유지되면서 설치되게 하는 한편,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되게 하고, 둘째, 배수잔류통이 길게 형성되게 하는 동시에 배수관이 일측에 치우쳐 설치되게 하여 배수되는 물의 저항이 최소화되어 원활하게 배수되게 하며, 셋째, 여러 사이즈의 배수관을 겸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의 통체로 중앙에 수직으로 배수통로가 형성되는 배수잔류통과, 하부가 개방되는 돔형상의 통체로, 상기 배수잔류통내에 덮여지게 되고, 하부의 테두리에 거름돌기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부면에는 반구의 받침돌기가 다수개 형성되는 한편 상부를향해 손잡이돌기가 형성되는 덮개와, 다수개의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덮개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잔류통에 덮여지게 되는 거름판으로 되는 배수트랩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하부 테두리 각 모서리에 거름돌기와 같은 높이를 지니는 "L"자 형상의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한편, 외측벽면에 수평으로 다수개의 간격조절돌기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배수잔류통의 저면에 위치하게 되는 배수통로의 제1원통 외주면에 동일중심을 이루게 되는 제2원통을 형성하여 그 사이에 배수관이 끼움 되는 환형끼움홈이 형성되게 하는 한편, 배수잔류통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배수통로의 제1원통 외주면에 동일중심을 이루게 되는 제3원통을 형성하여 그 사이에 배수잔류통의 바닥면보다 낮은 링형상의 잔수홈이 형성되게 하며, 배수잔류통의 저면에 위치하게 되는 제3원통의 외주면에 동일중심을 이루게 되는 한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 보강반원형리브가 형성되게 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배수잔류통과, 덮개 및 거름판은 배수통로를 이루는 제1원통을 중심으로 일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긴 길이의 직사각체가 되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반원형리브의 일측에 동일한 형상의 보조반원형리브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배수잔류통의 상부 테두리인 걸림턱에서부터 내측벽과 바닥면에까지 스테인리스 재질의 보강프레임이 설치되게 하되, 잔수홈이 노출되게 설치되게 하고, 걸림턱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보강프레임에 상기 거름판이 얹혀지게 되는 받침턱이 형성되게 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M ... 본체 10 ... 배수잔류통
11 ... 걸림턱 12 ... 보강리브
13 ... 제1원통 13a ... 배수통로
14 ... 제2원통 14a ... 환형끼움홈
15 ... 제3원통 15a ... 집수홈
16 ... 보강반원형리브 17 ... 보조반원형리브
18 ... 보강프레임 18a ... 결속부
18b ... 받침턱 20 ... 덮개
21 ... 받침대 22 ... 거름돌기
23 ... 손잡이돌기 24 ... 간격조절돌기
25 ... 받침돌기 30 ... 거름판
31 ... 배수구멍
다음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배수트랩 본체(M)는 설치될 바닥면에 매설되는 배수잔류통(10)과, 이 배수잔류통(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덮개(20) 및 이 덮개(20)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잔류통(10)을 덮게 되는 거름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잔류통(10)은 긴 길이의 직사각의 통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외측벽면에는 보강리브(12)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의 둘레면에는 도 4 도시와 같이 테두리를 이루게 되는 걸림턱(11)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잔류통(10)의 걸림턱(11) 및 바닥면에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보강프레임(18)이 일체로 설치되는데, 이 보강프레임(18)은 후술하게 되는 잔수홈(15a)이 노출되게 하여 설치된다. 상기 보강프레임(18)은 둘레면이 걸림턱(11)을 따라 절곡되는 한편, 최외단부인 결속부(18a)가 걸림턱(11)의 바닥면에 닿게 절곡되어 고정되며, 걸림턱(11)의 내측에 후술하게 되는 거름판(30)이 얹혀지게 하는 받침턱(18b)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배수잔류통(10)에는 일측으로 치우쳐서 수직으로 배수통로(13a)가 형성되는데, 이 배수통로(13a)는 배수잔류통(10)을 수직으로 관통하게 되는 제1원통(1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원통(13)의 외주면에는 동일중심을 이루게 되는 제2원통(14)과 제3원통(15) 그리고 보강반원형리브(16)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되는데, 상기 제2원통(14)은 배수잔류통(10)의 바닥면의 외부에 형성되어 그 사이에 배수관(도시 없음)이 끼움 되게 하는 환형끼움홈(14a)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제3원통(15)은 배수잔류통(10)의 바닥면보다 낮은 높이를 이루면서 형성되어 링형상의 잔수홈(15a)이 형성되게 하며, 상기 보강반원형리브(16)는 거의 반원형을 이루게 되는 한편, 낮은 높이를 이루게 되는 두 개 한쌍의 리브가 제1원통(13)과 동일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상기 배수잔류통(10)의 바닥면에는 배수통로(13a)의 설계변경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반원형을 이루게 되는 한편, 낮은 높이를 이루게 되는 두 개 한쌍의 리브가 동일중심을 이루게 되는 보조반원형리브(17)가 형성되는데, 이 보조반원형리브(17)는 상기 배수통로(13a)가 형성되는 그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덮개(20)는 직사각의 종발 형상으로 상부는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형성되고, 이 평평한 상부면에는 상기 거름판(30)을 받쳐 거름판(30)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게 하는 다수개의 받침돌기(25)이 2열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이 받침돌기(25)가 형성되는 상부면의 길이방향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손잡이돌기(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돌기(23)는 수직으로 세워진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받침돌기(25)들과 높이를 갖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 개 한쌍이 마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20)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수직 하향되게 다수개의 거름돌기(22)가 형성되는데, 이 거름돌기(22)는 거름판(30)에서 걸러내지 못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것으로 빗살모양으로 촘촘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20)의 하부 테두리 모서리에는 "L"자 형상의 받침대(21)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받침대(21)는 상기 거름돌기(22)와 같은 높이를 지니면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20)의 측벽을 이루는 벽면에는 수평상태로 다수개의 간격조절돌기(24)들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길이방향의 측벽면 및 폭의 방향의 측벽면에 동일한 길이의 간격조절돌기(24)가 수평상태로 돌출 되어 형성된다. 상기 간격조절돌기(24)들은 상기 배수잔류통(10)의 내측벽면에 밀착되지 않을 정도로 돌출 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름판(30)은 상기 배수잔류통(10)의 받침턱(18b)에 얹혀지게 되어 배수잔류통(10)을 덮어주게 되는 평평한 직사각의 판체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배수구멍(31)이 직렬로 배열되어 형성되는데, 이 배수구멍(31)은 종래의 거름망과는 달리 중앙부까지 모두 형성되어 배수를 더욱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보강프레임(18)이 일체로 되는 배수잔류통(10)은 배수관과 결합되게 바닥에 매설되고, 배수잔류통(10)의 내부 바닥에는 덮개(20)가 설치되는 한편, 그 상부에 거름판(30)이 얹혀지게 되는데, 이 거름판(30)은 테두리가 배수잔류통(10)의 받침턱(18b)에 얹혀진 상태로 덮여지게 된다.
그리고 배수되는 물 중에 포함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은 거름판(30)에 의해 걸러지게 하고, 배수구멍(31)을 통과하게 되는 이물질은 덮개(20)의 거름돌기(22)에 의해 재차 걸러지게 하며, 물을 배수되게 하는 것으로, 배수통로(13a)가 일측에 치우쳐 설치됨으로써, 비교적 넓은 면적의 공간이 형성되어 배수되는 물의 저항이 최소화되어 보다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덮개의 하부 테두리 모서리마다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외측벽에 다수개의 간격조절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배수잔류통내의 설치시 간격조절돌기에 의해 내측벽과의 간격이 항시 균일하게 됨과 동시에 편리하고 신속하게 설치되게 할 수 있고, 배수관이 일측에 치우쳐 설치됨으로써, 배수되는 물의 저항이 최소화되어 보다 원활하게 배수되게 할 수 있으며, 배수통로를 이루는 제1원통의 외부에 제2 및 제3원통이 동일중심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여러 사이즈의 배수관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시공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목욕탕 및 샤워실에의 설치시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이 걸러지게 하는 동시에 하수관으로부터 냄새가 역류하게 되는 것을 방지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의 통체로 중앙에 수직으로 배수통로(13a)가 형성되는 배수잔류통(10)과, 하부가 개방되는 돔형상의 통체로, 상기 배수잔류통(10)내에 덮여지게 되고, 하부의 테두리에 거름돌기(22)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부면에는 반구의 받침돌기(25)가 다수개 형성되는 한편 상부를 향해 손잡이돌기(23)가 형성되는 덮개(20)와, 다수개의 배수구멍(31)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덮개(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잔류통(10)에 덮여지게 되는 거름판(30)으로 되는 배수트랩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의 하부 테두리 각 모서리에 거름돌기(22)와 같은 높이를 지니는 "L"자 형상의 받침대(21)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한편, 외측벽면에 수평으로 다수개의 간격조절돌기(24)가 형성되게 하고, 상기 배수잔류통(10)의 저면에 위치하게 되는 배수통로(13a)의 제1원통(13) 외주면에 동일중심을 이루게 되는 제2원통(14)을 형성하여 그 사이에 배수관이 끼움 되는 환형끼움홈(14a)이 형성되게 하는 한편, 배수잔류통(1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배수통로(13a)의 제1원통(13) 외주면에 동일중심을 이루게 되는 제3원통(15)을 형성하여 그 사이에 배수잔류통(10)의 바닥면보다 낮은 링형상의 잔수홈(15a)이 형성되게 하며, 배수잔류통(10)의 저면에 위치하게 되는 제3원통(15)의 외주면에 동일중심을 이루게 되는 한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 보강반원형리브(16)가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잔류통(10)과, 덮개(20) 및 거름판(30)은 배수통로(13a)를 이루는 제1원통(13)을 중심으로 일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긴 길이의 직사각체가 되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반원형리브(16)의 일 측에 동일한 형상의 보조반원형리브(17)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잔류통(10)의 상부 테두리인 걸림턱(11)에서부터 내측벽과 바닥면에까지 스테인리스 재질의 보강프레임(18)이 설치되게 하되, 잔수홈(15a)이 노출되게 설치되게 하고, 걸림턱(11)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보강프레임(18)에 상기 거름판(30)이 얹혀지게 되는 받침턱(18b)이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KR2020020025279U 2002-08-24 2002-08-24 배수트랩 KR2002959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279U KR200295976Y1 (ko) 2002-08-24 2002-08-24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279U KR200295976Y1 (ko) 2002-08-24 2002-08-24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976Y1 true KR200295976Y1 (ko) 2002-12-31

Family

ID=7307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279U KR200295976Y1 (ko) 2002-08-24 2002-08-24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97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2472A1 (ko) * 2014-04-02 2015-10-08 서재식 배수트랩
KR20180001584U (ko) * 2016-11-18 2018-05-28 고태희 배수 트랩
KR20180003654U (ko) * 2018-12-14 2018-12-27 고태희 배수 트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2472A1 (ko) * 2014-04-02 2015-10-08 서재식 배수트랩
KR20180001584U (ko) * 2016-11-18 2018-05-28 고태희 배수 트랩
KR200488383Y1 (ko) * 2016-11-18 2019-01-22 고태희 배수 트랩
KR20180003654U (ko) * 2018-12-14 2018-12-27 고태희 배수 트랩
KR200488384Y1 (ko) * 2018-12-14 2019-01-22 고태희 배수 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8661B2 (en) Valve device
KR100953837B1 (ko) 배수트랩
KR200189530Y1 (ko) 가변 조절 기능을 갖는 배수트랩
KR20048289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295976Y1 (ko) 배수트랩
KR200457073Y1 (ko) 배수트랩
KR200472503Y1 (ko) 배수트랩
KR102081750B1 (ko) 하수구용 배수 트랩
KR20210000079U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444012Y1 (ko) 배수트랩
KR200327344Y1 (ko) 착탈식 배수트랩
KR101170813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0181388Y1 (ko) 배수트랩
KR101148237B1 (ko) 욕실용 배수장치
JPS6014865Y2 (ja) 集合排水トラップ
KR200311398Y1 (ko) 일체형 배수트랩
JP2520159Y2 (ja) 浴室用排水器
KR20170003206U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235722Y1 (ko) 배수트랩
KR20090129111A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200200797Y1 (ko) 집수판
KR200191219Y1 (ko) 실내 바닥 배수장치
KR200169068Y1 (ko) 욕실용 배수장치
NO20210044A1 (en) Grating for a floor drain
JPH08151669A (ja) 浴室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