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722Y1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722Y1
KR200235722Y1 KR2020010009045U KR20010009045U KR200235722Y1 KR 200235722 Y1 KR200235722 Y1 KR 200235722Y1 KR 2020010009045 U KR2020010009045 U KR 2020010009045U KR 20010009045 U KR20010009045 U KR 20010009045U KR 200235722 Y1 KR200235722 Y1 KR 200235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water
receiving portion
drain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0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영
Original Assignee
오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영 filed Critical 오세영
Priority to KR20200100090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7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72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따라, 봉수(SW)가 수용되는 봉수수용부(11)와, 상기 봉수수용부(11)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봉수수용부(11)를 배수관(2)에 지지하고 둘레의 일부에 배수부(13)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2)를 구비하는 트랩외통(10); 상기 트랩외통(10)에 삽입 장착되고, 일단이 자유단(22)으로 되어 있는 다수의 거름돌기들(21)이 형성되어 있는 오물거름부재(20); 및 상기 트랩외통(10)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봉수수용부(11) 안으로 신장되어 그 하단이 상기 봉수(SW)에 잠겨서 상기 봉수(SW)에 트랩(S)을 형성하는 트랩형성부재(30); 을 포함하는 배수트랩이 제공되고,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 봉수(SW)가 수용되는 봉수수용부(41)와, 상기 봉수수용부(41)의 상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그 상단이 자유단(43)으로 되어 있고 그 사이사이가 배수부(44)를 이루며 상기 봉수수용부(41)를 배수관(2)에 지지하는 다리형 지지부(42)를 구비하는 트랩외통(40); 및 상기 지지부(42)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봉수수용부(41) 안으로 신장되어 그 하단이 상기 봉수(SW)에 잠기고 오수를 상기 봉수수용부(41)로 유도하는 상하가 개방된 트랩형성부재(50); 을 포함하는 배수트랩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수트랩{Drain Trap}
(기술분야)
본 고안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걸린 오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오물에 의한 봉수 소진이 방지되며 걸린 오물의 청소가 용이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욕실, 화장실, 베란다, 싱크대, 세면대, 욕조와 같이 물이 사용되는 바닥과 설비들에는 오수를 배수관으로 배출함과 아울러 배수관으로부터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트랩이 설치된다.
배수트랩에 요구되는 바람직한 조건들로는, 가능한 한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할 것, 오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것, 걸러진 오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위생적일 것, 걸러진 오물을 쉽게 청소(제거)할 수 있을 것, 걸린 오물로 인하여 봉수가 소진되지 않을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배수트랩은 오물을 걸러내는 그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걸러진 오물이 외부로 노출되어 비위생적이고 미관상 좋지 않으며,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이 그릴에 감기고 엉켜서 배수가 지연되고 청소할 때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다.
또한, 봉수의 상부에 위치한 그릴에 머리카락이나 보풀 등이 걸려 봉수에 그 하단이 잠겨 있게 됨에 따라 봉수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오물을 따라 증발하게 됨으로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배수트랩에 요구되는 여러 가지 바람직한 조건들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배수트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걸린 오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오물에 의한 봉수 소진이 방지되며 걸린 오물의 청소가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배수트랩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배수트랩의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의 시공단면도,
도3은 도1에 적용되는 다른 오물거름부재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배수트랩의 분해사시도,
도5는 도4의 시공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배수트랩의 시공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배수트랩의 분해사시도,
도8은 도7의 시공도,
도9는 도7의 다른 시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배수트랩 2: 배수관
3: 캡 4: 뚜껑
10, 40: 트랩외통 11, 41: 봉수수용부
12, 42: 지지부 13, 44: 배수부
20: 오물거름부재 21: 거름돌기
22, 43: 자유단 30, 50: 트랩형성부재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라, 봉수가 수용되는 봉수수용부와, 상기 봉수수용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봉수수용부를 배수관에 지지하고 둘레의 일부에 배수부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트랩외통; 상기 트랩외통에 삽입 장착되고, 일단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는 다수의 거름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오물거름부재; 및 상기 트랩외통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봉수수용부 안으로 신장되어 그 하단이 상기 봉수에 잠겨서 상기 봉수에 트랩을 형성하는 트랩형성부재; 을 포함하는 배수트랩이 제공된다.
상기 오물거름부재는 상기 트랩외통과 단일부재로 일체로 형성하거나 상기 트랩형성부재와 단일부재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 봉수가 수용되는 봉수수용부와, 상기 봉수수용부의 상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그 상단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그 사이사이가 배수부를 이루며 상기 봉수수용부를 배수관에 지지하는 다리형 지지부를 구비하는 트랩외통; 및 상기 지지부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봉수수용부 안으로 신장되어 그 하단이 상기 봉수에 잠기고 오수를 상기 봉수수용부로 유도하는 트랩형성부재; 를 포함하는 배수트랩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배수트랩의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의 시공단면도, 도3은 도1에 적용되는 다른 오물거름부재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배수트랩의 분해사시도, 도5는 도4의 시공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배수트랩의 시공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배수트랩의 분해 사시도, 도8은 도7의 시공도, 도9는 도7의 다른 시공도이다.
제1 구체예
이하,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예시적인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체예의 배수트랩(1A)은 트랩외통(10), 오물거름부재(20) 및 트랩형성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트랩외통(10)은 예를 들어 ABS와 같은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되며, 전체적으로 단일부재이지만 기능적으로 봉수수용부(11)와, 배수부(13)가 형성된 지지부(12)로 이루어진다.
봉수수용부(11)는 악취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봉수(SW)가 수용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용기로서, 본 구체예의 배수트랩(1A)이 설치되는 배수관(2: 배수트랩을 배수관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배수트랩 설치용 슬리브를 매개하여 설치하는 경우에는 슬리브, 이하 동일함) 내에 수용된다.
봉수수용부(11)의 봉수수용량은 배수트랩(1A)이 설치되는 배수관(2)의 크기와 벼려지는 오수의 용량 등에 따라 결정되며, 바람직하게 봉수수용부(11)의 직경은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배수관(2)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배수관(2)의 직경보다 충분히 작은 직경으로 형성한다.
상기 지지부(12)는 봉수수용부(11)를 배수관(2)에 지지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예를 들어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12A)을 배수관(2)에 걸어서 배수관(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지지부(12)와 봉수수용부(11)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둘레의 일부(예, 전체 둘레의 1/3)에서만 연결부(12B)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연결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예, 전체 둘레의 2/3)은 봉수수용부(11)를 흘러 넘친 오수가 배수관(2)으로 흘러나가는 배수부(13)를 형성한다.
트랩외통(10)에는 오수 중에 포함된 머리카락이나 보풀과 같은 오물을 걸러내는 오물거름부재(20)가 삽입 장착된다. 오물거름부재(20)도 ABS와 같은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다수의 거름돌기들(21)이 형성되어 있다.
거름돌기들(21)은 트랩외통(10)의 배수부(13)를 통하는 오수로부터 오물을 걸러낸다. 거름돌기들(21)의 일단은 자유단(22)으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거름돌기(21)에 걸린 오물은 상기 자유단(22) 쪽으로 당기거나 밀어 올려 뺌으로써 이들 오물들이 감기고 엉켜 있다고 하더라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자유단(22)이란 걸린 오물을 아래로 당기거나 밀어 올려 뺄 수 있도록 다른 구조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단부를 의미한다.
도1은 거름돌기(21)의 하단이 자유단(22)이고 상단은 연결부(23)에 의해 연결된 예를, 도3은 거름돌기(21)의 상단이 자유단(22)이고 하단은 연결부(23)에 의해 연결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며, 도1에서 걸림돌기(21)의 자유단(22)을 ㄱ자로 형성한 것은 봉수수용부(11)에 자연스럽게 삽입 장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구체예의 오물거름부재(20)에 있어서는 연결부(12B)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거름돌기(21)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막혀 있어서 거름돌기(21)가 없는 부분을 연결부(12B)에 맞추어(거름돌기와 배수부를 맞추어) 장착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하였으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거름돌기(21)를 형성하여 거름돌기(21)를 배수부(13)에 맞출 필요 없이 장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거름돌기(21)의 개수는 상기 배수부(13)를 적절히 배분하여 오물이 잘 걸러질 정도의 개수면 된다.
상기 트랩형성부재(30)도 예를 들어 ABS와 같은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제조되며, 상기 오물거름부재(20)의 상측에 상기 지지부(12)에 삽입 장착된다. 본 구체예의 트랩형성부재(30)는 이를 트랩외통(10)에 삽입 장착하기 위한 상측의 원형 지지부(31)와 본 지지부(31)로부터 봉수수용부(11) 안으로 신장된 상협하광의 깔때기 형상의 트랩부(32)로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로부터 오수가 유입되고 아래로 오수가 배출되도록 상하가 개방되어 있다.
트랩형성부재(30)의 하단은 봉수수용부(11)에 수용된 봉수(SW)에 대략 중간 깊이까지 잠길 정도로 신장되어 있다. 또한, 트랩형성부재(30)는 봉수수용부(11)의 내부 공간을 적절히 구획하여 봉수를 오수유입부와 오수유출부로 분할함으로써 악취역류방지트랩(S자 형이라 볼 수 있음)을 형성한다.
상기 트랩형성부재(30)의 상측에는 중앙에 단일의 배수공(3A)이 형성된 캡(3)을 트랩외통(10)에 삽입함으로써 본 고안의 배수트랩(1A)의 미관을 더욱 좋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1에 예시된 배수트랩(1A)은, 배수관(2)의 상단에 트랩외통(10)을 장착하고, 트랩외통(10) 안에 오물거름부재(20)를 삽입하고, 오물거름부재(20) 위로 트랩형성부재(30)를 삽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트랩형성부재(30) 위에는 캡(3)을 덮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6의 제3 구체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트랩형성부재(30) 위에는 뚜껑(4)을 덮어 배수트랩(1)이 싱크대나 욕조 등과 같이 물을 모아둘 필요가 있는 곳에 설치될 때 물이 흘러나가는 것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구체예의 배수트랩(1A)의 작용을 설명하면, 오수는 캡(3)의 배수공(3A)을 통해 트랩형성부재(30)의 표면을 따라 흘러서 봉수수용부(11)로 유입되고, 봉수수용부(11)를 넘쳐흐른 오수는 배수부(13)를 통해 배수관(2)으로 흘러 나가며, 이때 오수에 포함된 오물이 거름돌기(21)에 걸리게 된다. 거름돌기(21)에 걸린 오물은 캡(3)을 열고 트랩형성부재(30)를 제거하고 오물거름부재(20)를 들어 올려 자유단(22) 쪽으로 당기거나 밀어 올려 뺌으로써 일시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봉수수용부(11)에 봉수(SW)가 수용되어 있음에 따라 배수관(2)으로부터 배수부(13)를 통해 역류하는 악취는 봉수수용부(11), 트랩형성부재(30) 및 봉수(SW)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S자형 트랩에 의해 차단된다.
도1에 도시된 제1 구체예에 있어서는 오물거름부재(20)가 트랩외통(10) 및 트랩형성부재(30)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오물거름부재(20)를 트랩외통(10)에 일체로 형성하여 두 부재를 단일부재로 형성하거나 오물거름부재(20)를 트랩형성부재(30)에 일체로 형성하여 두 부재를 단일부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구체예
이하, 도4와 도5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른 구체예의 배수트랩(1B)을 설명하며, 도1의 구체예와 동일한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구체예는 오물거름부재(20)가 트랩형성부재(30)에 일체로 형성된 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체예의 트랩외통(10)도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되며, 전체적으로는 단일부재이지만 기능적으로는 봉수수용부(11)와, 배수부(13)가 형성된 지지부(12)로 이루어진다.
제2 구체예의 트랩외통(10)은 지지부(12)가 봉수수용부(11)의 상단에 확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상광하협의 형상을 가진다는 면에서 도1의 제1 구체예와 동일하나, 제1 구체예와는 달리 하부의 봉수수용부(11)에 대하여 상부의 지지부(12)가 한쪽으로 편중되어 위치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예시된 도4와 같이 트랩외통(10)의 일측부(좌측부)는 거의 수직을 이루지만 타측부(우측부)는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지지부(12)와 봉수수용부(11)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둘레의 일부(예, 전체 둘레의 3/4)에서만 연결부(12B)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연결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부분(예, 전체 둘레의 1/4)은 봉수수용부(11)를 흘러 넘친 오수가 배수관(2)으로 흘러나가는 배수부(13)를 형성한다.
상기 트랩외통(10)에는 오수 중에 포함된 머리카락이나 보풀과 같은 오물을 걸러내는 오물거름부재(20)가 삽입 장착되는 바, 제2 구체예는 오물거름부재(20)와 트랩형성부재(30)가 일체로 형성된 예임으로 트랩형성부재(30)를 먼저 설명한다.
제1 구체예에서 트랩형성부재(30)가 상광하협의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으로 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제2 구체예의 트랩형성부재(30)는 이를 트랩외통(10)에 삽입 장착하기 위한 상측의 지지부(31)와, 지지부(31)로부터 봉수수용부(11) 안으로 신장되어 그 하단이 봉수(SW)에 잠겨서 상기 봉수(SW)에 트랩을 형성하도록 아래로 완곡하게 신장된 판상의 트랩부(32)로 구성된다. 판상의 트랩부(32)도 그 하단은 봉수수용부(11)에 수용된 봉수(SW)에 대략 중간 깊이까지 잠길 정도로 신장되며, 봉수수용부(11)의 내부 공간을 적절히 구획하여 봉수를 오수유입부와 오수유출부로 분할함으로써 악취역류방지트랩(S자형이라 볼 수 있음)을 형성한다.
오물거름부재(20)는 트랩형성부재(3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배수부(13)에 대응하는 위치에 트랩형성부재(30)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거름돌기들(21)로 이루어진다. 각 거름돌기들(21)은 배수부(13)를 통하는 오수로부터 오물을 걸러낸다. 거름돌기들(21)의 상단은 지지부(3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하단은 자유단(22)으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거름돌기(21)에 걸린 오물은 상기 자유단(22) 쪽으로 당김으로써 쉽게 제거할 수 있다. 거름돌기(21)의 개수는 상기 배수부(13)를 적절히 배분하여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이 잘 걸러질 정도의 개수면 된다. 도4에는 오물거름부재(20)가 트랩형성부재(30)에 일체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도1과 같이 별도의 부재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4와 도5에 예시된 배수트랩(1B)은, 배수관(2)의 상단에 트랩외통(10)을 장착하고, 트랩외통(10) 오물거름부재(20)가 일체로 형성된 트랩형성부재(30)를 삽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트랩형성부재(30) 위에는 캡(3)을 씌워 사용할 수 있다. 본 제2 구체예의 배수트랩(1B)의 작용은 제1 구체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 구체예
이하, 도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른 구체예의 배수트랩(1C)을 설명하며 도1의 구체예와 중복되는 내용을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구체예의 배수트랩(1C)은 욕조(5)에 설치하기 적합한 것으로서, 욕조(5)에 설치되는 배수트랩은 배수관(2)이 배수트랩(1C)의 측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구체예의 배수트랩(1C)도 트랩외통(10), 오물거름부재(20) 및 트랩형성부재(30)를 포함한다.
트랩외통(10)은 봉수수용부(11) 및 배수부(13)가 형성된 지지부(12)로 이루어지되,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봉수수용부(11)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지지부(12)가 신장되어 봉수수용부(11)를 감싸서 봉수수용부(11)가 지지부(12) 내부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봉수수용부(11)의 상단과 지지부(12)의 상단 사이의 틈이 배수부(13)가 된다.
또한, 본 구체예에서 트랩외통(10)은 지지부(12)를 어댑터(60)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욕조 아래의 공간에 장착되며, 지지부(12)의 측면(도면에서는 우측)에 배수관(2)이 수평으로 연결되어 있다.
트랩외통(10)에는 오물을 걸러내는 오물거름부재(20)가 삽입 장착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도 제1 구체예와 유사하게 오물거름부재(20)로서 거름돌기(21)의 하단이 자유단(22)이고 상단이 연결부(23)에 의해 연결된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단이 자유단(22)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오물거름부재(20)는 그 하단을 봉수수용부(11) 안에 삽입함으로써 트랩외통(10) 내에 장착한다. 거름돌기(21)의 개수는 상기 배수부(13)를 적절히 배분하여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이 잘 걸러질 정도의 개수면 된다.
본 구체예의 트랩형성부재(30)는 도1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트랩형성부재(30)를 오물거름부재(20)의 상단에 올려 장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본 구체예의 배수트랩(1C)이 욕조용으로 적합함에 따라 상기 트랩형성부재(30)의 상부에는 욕조(5)의 물을 가두어 두기 위한 뚜껑(4)을 덮어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본 구체예에서 트랩형성부재(30)와 봉수수용부(11)의 상단 사이에 장착된 오물거름부재(20) 대신에, 트랩외통(10)의 저면에 닿도록 트랩형성부재(30)의 하단에 오물거름부재(20)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체형의 트랩형성부재(30)와 오물거름부재(20)는 오물거름부재(20)의 하단을 트랩외통(10)의 저면에 올려 놓는 방식으로 트랩외통(10)에 장착되며, 오물은 트랩외통(10)의 봉수수용부(11)에서 걸러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6의 배수트랩(1C)은, 욕조(5)의 저면에 수평 배관된 배수관(2)에 트랩외통(10)을 장착하고, 트랩외통(10)에 어댑터(60)를 삽입한 후 오물거름부재(20)와 트랩형성부재(30)를 순차로 삽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고, 트랩형성부재(30) 위에는 뚜껑(4)을 덮어 사용한다.
이와 같은 제3 구체예의 배수트랩(1C)에 따라, 오수는 트랩형성부재(30)의 표면을 따라 흘러서 봉수수용부(11)로 유입되고, 봉수수용부(11)를 넘쳐흐른 오수는 배수부(13)를 통해 배수관(2)으로 흘러 나가며, 이때 거름돌기(21)에 오물이 걸리게 된다. 거름돌기(21)에 걸린 오물은 트랩형성부재(30)를 제거하고 오물거름부재(20)를 들어 올려 자유단(22) 쪽으로 당겨 뺌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봉수수용부(11)에 봉수(SW)가 수용되어 있음에 따라 배수관(2)으로부터 배수부(13)를 통해 역류하는 악취는 봉수수용부(11), 트랩형성부재(30) 및 봉수(SW)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S자형 트랩에 의해 차단된다.
제4 구체예
이하,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른 구체예의 배수트랩(1D)을 설명하며, 도1의 구체예와 동일한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구체예의 배수트랩(1D)은 트랩외통(40)과 트랩형성부재(5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트랩외통(40)은 전술한 도1의 구체예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ABS와 같은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일체로 성형하여 제조되며, 전체적으로는 단일부재이지만 기능적으로는 봉수수용부(41)와, 배수부(44)가 구비된 지지부(42)로 이루어진다.
봉수수용부(41)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봉수(SW)가 수용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용기로서, 본 고안의 배수트랩(1D)이 설치되는 배수관(2: 또는 슬리브) 내에 수용되는 등 도1의 구체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지지부(42)는 봉수수용부(41)를 배수관(2)에 지지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1의 구체예와는 달리 봉수수용부(41)의 상부 둘레에 상측으로 길게 신장된 다수개의 다리구조로 되어 있다. 즉, 여러 개의 다리로 된 지지부(42)의 상단들은 다른 구조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자유단(43)으로 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지지부(42)의 걸림턱 형상의 이들 자유단(43)을 배수관(2: 또는 슬리브)에 걸어서 배수관(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2)의 다리구조 사이의 개방된 공간이 배수부(44)로서 작용하여 봉수수용부(41)를 흘러 넘친 오수가 흘러 나가게 되고, 또한 지지부(42)의 다리구조가 오수 속에 포함된 오물을 걸러내는 도1 구체예의 오물거름부재(20)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오수가 지지부(42) 사이의 배수부(44)로 흘러가면서 오물이 지지부(42)의 다리구조에 걸리게 되고, 지지부(42)에 걸린 오물은그 상단의 자유단(43) 쪽으로 당겨 뺌으로써 이들 오물들이 감기고 엉켜 있다고 하더라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지지부(42)의 다리 개수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봉수수용부(41)를 견고하게 유지시키고 배수부(44)로의 원활한 배수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오수 속의 오물을 잘 걸러 낼 수 있을 정도의 개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구체예는 동일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8개의 다리를 가지는 지지부(42)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트랩형성부재(50)도 예를 들어 ABS와 같은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제조되며 지지부(42)에 삽입 장착된다. 본 구체예의 트랩형성부재(50)도 제1 구체예와 마찬가지로 위로부터 오수가 유입되고 아래로 오수가 배출되도록 상하가 개방된 통상으로 되어 있고, 그 하단은 봉수수용부(41)에 수용된 봉수(SW)에 잠길 정도(바람직하게 봉수의 중간 깊이까지 잠길 정도)로 신장되어 있으며, 봉수수용부(41)의 내부 공간을 적절히 구획하여 악취역류방지트랩(S자 형 트랩)을 형성하도록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광하협의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8은 배수관(2) 위에 바로 배수트랩(1D)을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9는 배수트랩(1D)을 배수관(2: 또는 슬리브)에 장착하지 않고 별도의 어댑터(60)를 이용하여 걸림턱 형상의 자유단(43)을 어댑터(60)의 단턱(61)에 걸침으로써 배수관(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트랩형성부재(50)의 저면에 상기 자유단(43)의 위치와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된 요부들(51)은 본 구체예의 배수트랩(1D)을 배수관(2) 위에 바로 설치할 때 악취가 새어나갈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자유단(43)은 상기 요부(51)에 꼭맞게 끼워짐으로써 트랩형성부재(50)의 저면이 배수관(2) 상단에 밀착되어 틈새가 없어지게 된다.
도7 내지 도9의 배수트랩(1D)도, 어댑터(60)를 사용하여 또는 사용 없이 배수관(2: 또는 슬리브)의 상단에 트랩외통(40)을 장착하고, 트랩외통(40) 안에 트랩형성부재(50)를 삽입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제4 구체예의 배수트랩(1D)의 작용을 설명하면, 오수는 상광하협의 트랩형성부재(50)를 따라 흘러서 봉수수용부(41)로 유입되고, 봉수수용부(41)를 넘쳐흐른 오수는 배수부(44)를 통해 배수관(2)으로 흘러 나가며, 이때 배수부(44)를 가로질러 있는 다리구조의 지지부(42)에 오물이 걸리게 된다. 지지부(42)에 걸린 오물은 트랩형성부재(50)를 제거하고 트랩외통(40)을 들어 올려 자유단(43) 쪽으로 당겨 뺌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봉수수용부(41)에 봉수(SW)가 수용되어 있음에 따라 배수관(2)으로부터 배수부(44)를 통해 역류하는 악취는 봉수수용부(41), 트랩형성부재(50) 및 봉수(SW)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S자형 트랩에 의해 차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1)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둘째, 걸러진 오물이 트랩형성부재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음으로 위생과 미관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셋째, 봉수를 통과한 이후에 오물을 걸러내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봉수(SW)가 걸린 오물에 의해 소진될 염려가 없고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진다.
넷째, 걸린 오물은 오물거름부재의 자유단 쪽으로 당기거나 밀어 올려서 쉽게 제거할 수 있음으로 오물청소가 매우 용이하다.

Claims (5)

  1. 봉수(SW)가 수용되는 봉수수용부(11)와, 상기 봉수수용부(11)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봉수수용부(11)를 배수관(2)에 지지하고 둘레의 일부에 배수부(13)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2)를 구비하는 트랩외통(10); 상기 트랩외통(10)에 삽입 장착되고, 일단이 자유단(22)으로 되어 있는 다수의 거름돌기들(21)이 형성되어 있는 오물거름부재(20); 및 상기 트랩외통(10)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봉수수용부(11) 안으로 신장되어 그 하단이 상기 봉수(SW)에 잠겨서 상기 봉수(SW)에 트랩(S)을 형성하는 트랩형성부재(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거름부재(20)는 상기 트랩외통(10)이나 상기 트랩형성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는 상기 봉수수용부(11)의 상부에 한쪽으로 편중되어 위치하고 상기 배수부(13)는 상기 지지부(12)의 편중 확장된 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트랩형성부재(30)는 상기 트랩외통(10)에 지지되는 상측의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로부터 상기 봉수수용부(11) 안으로 완곡하게 신장된 판상의 트랩부(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외통(10)은 상부가 개방된 상기 봉수수용부(11)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상기 지지부(12)가 신장되어 상기 봉수수용부(11)가 상기 지지부(12)의 내부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배수부(13)는 상기 봉수수용부(11)의 상단과 상기 지지부(12)의 상단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트랩외통(10)이 수평 배관된 배수관(2)의 측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5. 봉수(SW)가 수용되는 봉수수용부(41)와, 상기 봉수수용부(41)의 상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그 상단이 자유단(43)으로 되어 있고 그 사이사이가 배수부(44)를 이루며 상기 봉수수용부(41)를 배수관(2)에 지지하는 다리형 지지부(42)를 구비하는 트랩외통(40); 및 상기 지지부(42)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봉수수용부(41) 안으로 신장되어 그 하단이 상기 봉수(SW)에 잠기고 오수를 상기 봉수수용부(41)로 유도하는 상하가 개방된 트랩형성부재(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KR2020010009045U 2001-03-31 2001-03-31 배수트랩 KR200235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045U KR200235722Y1 (ko) 2001-03-31 2001-03-31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045U KR200235722Y1 (ko) 2001-03-31 2001-03-31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722Y1 true KR200235722Y1 (ko) 2001-10-10

Family

ID=73064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045U KR200235722Y1 (ko) 2001-03-31 2001-03-31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7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904A (ko) * 2021-12-02 2023-06-09 이제환 양변기 배수관 연결구용 쥐유입방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904A (ko) * 2021-12-02 2023-06-09 이제환 양변기 배수관 연결구용 쥐유입방지구
KR102543073B1 (ko) 2021-12-02 2023-06-13 이제환 양변기 배수관 연결구용 쥐유입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4701A (en) Pest and odor preventive sanitary drainer
EA002493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вода жидких экскрементов
US20090307837A1 (en) Odorless drain assembly
KR101699850B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200235722Y1 (ko) 배수트랩
KR20120095119A (ko) 세면대 배수관용 거름장치
KR200352206Y1 (ko) 배수트랩
KR200327344Y1 (ko) 착탈식 배수트랩
KR200369491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1401231B1 (ko) 세면기 배수장치
JP5106897B2 (ja) 排水トラップにおける目皿
KR20090132690A (ko) 하수처리의 위생구조물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JP3569842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を用いた浴室構造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JP3541290B2 (ja) 排水トラップ
JP3112329U (ja) 洗濯機用防水パン
JP6194507B2 (ja) 封水式排水トラップ
KR101312665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295976Y1 (ko) 배수트랩
KR0136675B1 (ko) 무수 소변기
KR200169068Y1 (ko) 욕실용 배수장치
JP6019279B2 (ja) 排水トラップ
KR100698773B1 (ko)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0604978B1 (ko) 악취 역류방지 배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