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7035A -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 Google Patents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7035A
KR20090117035A KR1020080042899A KR20080042899A KR20090117035A KR 20090117035 A KR20090117035 A KR 20090117035A KR 1020080042899 A KR1020080042899 A KR 1020080042899A KR 20080042899 A KR20080042899 A KR 20080042899A KR 20090117035 A KR20090117035 A KR 20090117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tank
main body
wash ba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간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원
Priority to KR1020080042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7035A/ko
Publication of KR20090117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0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 E03D5/006Constructional details of cisterns for using grey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량의 물이 항상 담기게 되는 담수공간부를 갖는 변기본체와, 상기 변기본체로 용수를 공급하는 수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 배수구와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이 내부로 연통되며, 그 저면 일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수조의 작동레버와 연결체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연결관의 선단측 연통로를 개폐하는 마개로 구성된 배수 구조체를 포함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힌지축의 일측에는 무게추가 설치된 것과; 상기 작동레버의 연결축에는 제1회전기어가 축설되고, 상기 제1회전기어는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제2회전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제2회전기어에 축설되는 연결축에 상기 연결체인의 일단이 감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하여 그 구성이 더욱 간단하고 물의 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소음이 적고 역류발생이 제한됨은 물론 좁은 욕실에서도 효율적으로 설치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세면, 양변기, 변기

Description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Toilet stool for water saving and noise reduction}
본 발명은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적은 양의 용수로 배설물을 소음 없이 용이하게 배출해냄은 물론 배출구의 막힘 등으로 배설물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가 역류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하고, 세면대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좁은 공간에서도 활용이 용이하도록 한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각종 문명발달에 따른 삶의 질 향상으로 주거환경 또한 크게 개선되고 있다.
일예로, 소변과 대변을 보고, 이를 수압에 의해 정화조로 배출해내어 악취가 없으면서도 위생적인 양변기가 제공됨으로써, 화장실이 각 가정이나 건물 등의 실내에 제공되는 등, 각종 편의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물부족 현상으로 인한 수자원 고갈의 우려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고, 이에 각 국가에서는 물의 절약을 적극적으로 권고하고 있다.
그 결과, 절수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커지게 되었고, 산업현장을 비롯한 각 가정에서도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안이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각 가정을 비롯한 각종 건물에 구비되는 수세식 양변기나 세면기의 경우, 과다한 물 사용으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물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수세식 양변기는 대,소변과 같은 용변을 처리해야 하는 목적으로 불가피하게 한 번에 대략 8~18ℓ가량 정도의 많은 물을 사용하여 용변을 처리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물의 소비를 조금이나마 줄이고자 보통의 가정에서는 양변기의 수조 내부에 벽돌 등을 쌓아 넣는 자구책을 강구하여 적용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수조 내부에 집어넣은 벽돌의 부피만큼 물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양변기 내부로 내려가는 물의 압력이 떨어지게 되어 용변이 섞인 오수가 깨끗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 인하여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는 못하였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수세식 양변기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양변기(10)는 변기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담수하고 있다가 양변기 후방측의 수조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지면 이의 수압차이에 따른 사이펀원리에 의해 변기 내부의 배설물을 순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식으로 수세가 이루어지는 것이며, 통상적으로 변기본체(12)와 수조(30)로 구성된다.
상기 변기본체(12)에는, 상시 일정량의 용수가 담겨지도록 내부에 담수공간부(14)가 상방으로 트여지게 형성되어 있고, 담수공간부(14)의 후방측으로는 배수구(16)와 연이어 통하게 사이펀트랩(18)이 형성되어 있으며, 담수공간부(14)의 상단부 내측 둘레에 따라 세정유로(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30)에는, 변기본체(12)와 연통되면서 상시 마개(34)에 의해 폐쇄상태를 유지하는 급수공(32)이 하단면에 형성되어 있고, 이의 일측에는 부구(36)가 달린 볼탑(38)이 구비되어 수조(30)의 급수 및 그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개(34)는 연결체인(40)에 의해 수조(30)의 외부에 장착된 작동레버(42)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레버(42)의 회전조작에 의해서 급수공(32)의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양변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변기본체(12)의 담수공간부(14)에 대,소변 등의 용변을 본 후, 수조(30)의 작동레버(42)를 회전되게 조작하면, 이의 조작으로 마개(34)는 수조(30)의 급수공(32)을 개방시키게 되고, 수조(30) 내부의 물은 그 개방된 급수공(32)을 통해 급속히 변기본체(12)의 담수공간부(14)측으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담수공간부(14)의 후방측 사이펀트랩(18)에 의한 수압의 작용으로 담수공간부(14)내의 오수가 상기 사이펀트랩(18)을 통해 정화조와 연통되는 배출구(44)측으로 배출되면서 수세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수세가 이루어진 후에는 다시 변기본체(12)의 담수공간부(14)에 일정 량의 물이 담수되고, 마개(34)에 의해 수조(30)의 급수공(32)이 폐쇄되면서 볼탑(38)에 의한 수조(30) 내부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수세 과정을 반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양변기는 수조 내의 많은 물을 변기본체 측으로 급속히 흘려보내고, 이때 발생되는 수압에 의해 변기본체 내부에 담겨진 용변 섞인 오수의 수세가 이루어지는 바, 한 번 수세시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많은 양의 물이 소비(대략 8~18ℓ)됨으로써, 결국 물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양변기는 용변이 섞인 오수가 굴곡을 이루는 사이펀트랩을 수압에 의해 급속히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수세에 따른 소음발생이 크고, 상기 사이펀트랩이 종종 오물 등(휴지 등)에 의해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었으며, 이의 경우 그 기능이 저하되어 양변기의 사용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거나 또는 사이펀트랩을 통해 배출되는 오물이 소정량 역류하여 담수공간부에 깨끗하지 않은(용변이 섞인) 용수가 담겨지게 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의 경우, 재차 수세를 시행하게 됨으로써, 결국 더 많은 양의 물을 소비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물의 낭비가 증폭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변기본체의 내부에 사이펀트랩 형성을 위하여 복잡한 금형을 제작하고, 이 금형에 맞추어서 사기 등의 재질로 변기본체를 제작하여야 하는 바, 그 제작이 어렵고 또한 그에 따른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원발명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적은 양의 용수로 용변이 섞인 오수를 소음 없이 용이하게 배출해냄은 물론 배출구의 막힘으로 배설물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거나 또는 일부가 역류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하고, 또한 변기본체의 외형 및 그 내부구조를 간단히 함으로써, 그 제작이 간편함은 물론 이에 따른 제작비용이 저감되는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를 선출원하여 등록(특허등록 제749959호)받은 바 있다.
상기 특허등록 제749959호의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량의 물이 상시 담기게 되는 담수공간부(112)를 갖는 변기본체(110)와, 이 변기본체로 용수를 공급하는 수조(30)로 이루어진 양변기(100)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110)의 담수공간부(112) 배수구(114)와 연결되는 연결관(124)과; 상기 연결관이 내부로 연통되며,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저면 일측에 배출공(126)이 형성된 본체(122)와; 상기 수조(30)의 작동레버(42)와 연결체인(150)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작동레버(42)의 조작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본체(122)의 배출공(126)을 개폐하는 마개(132)로 구성된 배수 구조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제749959호(명칭 :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를 개량한 발명으로서, 더욱 적은 양(대략 2ℓ)의 용수로 용변이 포함된 오수를 소음 없이 용이하게 배출해내고, 그 구성을 더욱 간단히 하여 제작단가를 낮춘 반영구적인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변이 섞인 오수를 배출해낼 때, 어떠한 저해요소도 없도록 구성함으로써, 오수가 보다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함은 물론, 오수의 역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한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를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변이 섞인 오수를 배출해내고자 사용자가 수조의 일측에 설치된 작동레버를 조작하게 될 때, 상기 작동레버를 간단한 터치만으로도 수조 내의 용수가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로 공급되도록 하고, 동시에 담수공간부의 오수가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를 제공하는데에도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변기에서 수조의 상부에 세면대를 일체로 구성하되, 이 세면대에서 사용된 물을 양변기의 용수로 재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의 사용을 더욱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좁은 욕실의 활용도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를 제공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는, 일정량의 물이 항상 담기게 되는 담수공간부를 갖는 변기본체와, 상기 변기본체로 용수를 공급하는 수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 배수구와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이 내부로 연통되며, 그 저면 일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수조의 작동레버와 연결체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연결관의 선단측 연통로를 개폐하는 마개로 구성된 배수 구조체를 포함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힌지축의 일측에는 무게추가 설치된 것과; 상기 작동레버의 연결축에는 제1회전기어가 축설되고, 상기 제1회전기어는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제2회전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제2회전기어에 축설되는 연결축에 상기 연결체인의 일단이 감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의 상부에는 세면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세면대에서 사용된 물은 수조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세면대에서 사용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가 별도로 구비되고, 수조 내의 용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이 수조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에 의하면, 더욱 적은 양의 용수로 용변이 포함된 오수가 소음 없이 용이하게 배출되고,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제작단가가 낮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변이 섞인 오수가 배출될 때, 어떠한 저해요소도 없게 됨으로써, 오수가 보다 신속하게 배출됨은 물론, 오수의 역류가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재차에 걸친 수세를 하지 않아도 되어 물의 소비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 만족도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변이 섞인 오수를 배출해내고자 사용자가 수조의 일측에 설치된 작동레버를 조작하게 될 때, 상기 작동레버를 간단한 터치만으로도 수조 내의 용수가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로 공급되고, 동시에 담수공간부의 오수가 정화조로 배출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변기에서 수조의 상부에 세면대가 일체로 구성되되, 이 세면대에서 사용된 물이 양변기의 용수로 재활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물의 사용을 더욱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좁은 욕실의 활용도도 증대될 수 있는 효과도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 변기에 적용되는 배수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에 적용되는 작동레버와 연결체인을 연결하는 기어부들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에 있어서와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200) 또한 변기본체(220)와 수조(210)로 구성되며, 본 발명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제749959호와 같이 변기본체의 사이펀트랩을 대신하여 별도의 배수 구조체(3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변기본체(220)에는, 상시 일정량의 용수가 담겨지도록 내부에 담수공간부(222)가 상방으로 트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담수공간부(222)의 후방측으로는 배수구(224)와 연통되는 배수 구조체(300)가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담수공간부(222)의 상단부 내측 둘레를 따라 세정유로(21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 구조체(30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의 밀폐공간부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본체(302)의 일측에는 담수공간부(222)의 배수구(224)와 본체(302) 내부를 연통시키는 연결관(312)이 수평방향으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담수공간부(222)의 배수구(224)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인 바, 상기 연결관(312)의 외형은 상기 배수구(224)의 내형과 일치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하여 고정하면 그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체(302)의 저면 일측에는 정화조로 연결되는 배출구(230)와 연통되기 위한 배출공(3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배출공(314)과 배출구(230)는 연결관(330) 및 연결캡(340)에 의해 결합되어 연통되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수 구조체(300)의 본체(302) 내면 모서리는 라운드 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각종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314)이 형성되는 저부는 이 배출공(314)으로 흐름이 원활하도록 깔대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배수 구조체(300)의 본체(302)에서 연결관(312)의 선단측 연통로를 차폐하기 위한 마개(32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마개(320)는 본체(302)의 상부 일측에 관통설치된 힌지축(32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30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힌지축(322)의 일측단에는 무게추(324)가 설치되어 있는 바,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마개(30)가 무게추(324)의 자중에 의해 아래로 처지게 되어 도 3a에서와 같이 연결관(312)의 선단측 연통로를 차폐시킨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3b에서와 같이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마개(320)를 상기 힌지축(322)에 의해 회전시켜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더라도 상기 무게추(324)의 자중에 의해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어 연결관(312)의 선단측 연통로를 차폐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의 배수 구조체(300)는 그 마개(320)가 본체(302)의 연결관(312) 선단측 연통로를 수평방향으로 차폐시키게 됨으로써, 평상시에는 본체(302) 내부에 용수가 차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제749959호에 따른 배수 구조체는 본체의 저부에 형성된 배출공을 마개가 차폐시키게 됨으로써, 본체에는 담수공간부와 동일 높이의 용수가 항상 차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의 배수 구조체(300)는 그 마개(320)가 본체(302)의 연결관(312) 선단측 연통로를 수평방향으로 차폐시키게 됨으로써, 본체(302) 내부에는 용수가 차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담수공간부(222)의 오수를 배출시킬 때, 보다 적은 양의 오수가 배출됨으로써, 선등록 특허에 따른 양변기보다 용수를 더욱 더 줄일 수 있게 되는 잇점을 갖게 된다.
또한, 선등록 특허에 따른 배수 구조체는 마개가 본체에 차 있는 용수에 잠겨져 있음으로, 오수 배출 후 다시 배출공을 차폐시키게 될 때, 본체 내부의 오수가 완전하게 배출되지 못한 상태에서 배출공을 차폐시킬 수도 있으며 이의 경우, 본체 및 담수공간부에 오수가 떠다닐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배수 구조체(300)는 본체(302)에 용수가 차 있지 않는 바, 오수 배출 후 연결관(312) 선단측 연통로를 차폐시키게 되면, 오수가 담수공간부(222)로 역류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절대 발생될 수 없게 된다.
즉, 용변이 섞인 오수가 배출될 때, 마개(320)가 전혀 걸림돌이 되지 않음으로써, 오수 내의 용변 찌꺼기가 존재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소음도 더욱 현격하게 줄어들게 되는 잇점을 가지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배수 구조체(300)의 마개(3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수 속에 잠긴 상태가 아닌 바, 선등록 특허에서의 마개와 같이 닫힘을 위한 별도 의 구성인 저울부가 전혀 필요치 않음으로써,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제작단가가 낮아지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무게추(324)의 일측에는 연결체인(360)의 일단이 결합되어 있고, 이 연결체인(360)의 타단은 수조(210)의 작동레버(35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작동레버(350)의 연결축(352)은 그 단면형상이 각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연결축(352)의 일측에는 각각 제1기어부(354)가 축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기어부(354)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2기어부(356)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제2기어부(356)는 상기 제1기어부(354)에 비하여 그 지름이 작은 것이 적용되며, 이 제2기어부(356)와 연동되는 축(358)에 상기 마개(320)와 연결시키는 연결체인(360)의 일단이 감합되어 있다.(도 5 참조)
따라서, 상기 작동레버(350)를 일정각도만큼 회전되게 조작하게 되면, 작동레버(350)의 연결축(352)과 축설된 제1기어부(354)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 제1기어부(354)와 치합된 제2기어부(356)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상기 제2기어부(356)의 축(358)에 그 일단이 감합된 연결체인(360)이 감기게 되면서 무게추(324)를 들어올리게 되는 바, 상기 무게추(324)와 힌지축(322)으로 연결된 마개(320)가 들어올려짐으로써, 담수공간부(222)와 배수 구조체(300)의 본체(302)와 연통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레버(350)의 연결축(352)에 지름이 큰 제1기어부(354)가 축설되고, 이 제1기어부(354)는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제2기어부(356)가 치합되며, 이 제2기어부(356)에 축설된 축(358)에 연결체인(360)이 감합되어 있는 바, 작 동레버(350)를 조금만 회전시키게 되더라도 제 2기어부(356)는 많이 회전하게 되어 무게추(324)와 연결시키는 연결체인(360)은 많이 감기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작동레버(360)를 살짝 건들기만 하더라도 배수 구조체(300)의 마개(320) 및 수조(210)의 마개(214)가 동시에 쉽게 열리게 된다.
참고로, 수조(210)의 마개(214)를 개폐시키기 위한 연결체인(216)도 작동레버(350)의 연결축(352)에 설치된 기어부들(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 : 도면부호 미부여)과 연결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작동원리는 배수 구조체(300)의 마개(320)를 개폐시키기 위한 연결체인(360)이 작동레버(350)와 상기 제1기어부(354) 및 제2기어부(356)에 의해 연결된 것과 같은 바, 반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수조(210)의 상부에는 세면대(40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세면대(400)로는 급수관(미도시됨)이 별도로 연결되며, 이 세면대(400)의 배수관(미도시됨)은 수조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세면대(400)를 이용하여 세수 또는 세안에 사용한 물은 수조로 공급되며, 이와 같이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용변이 섞인 오수를 배출시키는데 재활용하게 되면, 물의 소비를 더욱 더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세수 또는 세안에 사용된 오수는 수조로 공급되도록 하지 않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대로 오수관을 통해 배출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양변기(200)의 수조(210) 상부에 세면대(400)가 설치됨으로써, 좁은 공간에 욕실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잇점도 가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기본체(220)의 담수공간부(222)에 용변을 본 후, 수조(210) 일측에 설치된 작동레버(350)를 살짝 회전되게 조작하면, 이 작동레버(350)와 연결체인(216)으로 연결된 수조(210)의 마개(214)가 열리면서 급수공이 개방되고, 동시에 다른 연결체인(360)으로 연결된 배수 구조체(300)의 무게추(324) 또한 회전되면서 이 무게추(324)와 힌지축(322)에 의해 연결된 마개(320) 또한 회전되어 연결관(312) 선단측 연통로도 개방된다.
이때, 상기 작동레버(350)의 연결축(352)에는 지름이 큰 제1기어부(354)가 축설되고, 이 제1기어부(354)와 치합되는 지름이 작은 제2기어부(356)의 축(358)에 각각 연결체인(216,360)들의 단부가 감합되어 있는 바, 작동레버(350)의 작은 회전에도 연결체인(216,360)들이 많이 감합되어 쉽게 마개(214,320)들이 들어올려지게 된다.
상기 마개(214,320)들의 개방에 따라 수조(210) 내부의 용수는 급수공을 통해 급속히 변기본체(220)의 담수공간부(222) 측으로 유입됨과 아울러 일부는 세정유로(216)를 통해 담수공간부(222)의 내벽면을 세정하면서 담수공간부(222)로 유입되고, 이와 동시에 담수공간부(222)에 용변이 섞인 오수는 연결관(312)을 통해 배수 구조체(300)의 본체(302)내부로 유입됨과 아울러 곧바로 배출공(314)과 배출구(230)를 통해 정화조로 배출된다.
수조(210) 내의 용수가 급수공을 통해 담수공간부(222)로 공급되다가 마개(214)가 급수공을 차폐하게 되어 더 이상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담수공간부(222) 내의 오수가 배수 구조체(300)의 본체(302)를 통해 배출되면, 배수 구조체(300)의 마개(320)는 그 힌지축(322) 일단에 설치된 무게추(324)의 자중에 의해 하향 회전되면서 다시 연결관(312)의 선단측 연통로를 차폐시키게 되며, 담수공간부(222)에는 다시 수조(210)로부터 공급되는 용수가 일정수위만큼 차게 된다.
즉, 수조(210)내의 용수가 일정수위만큼 낮아지게 되면, 용수공급관과 연결된 볼탑(212)을 통해 용수가 수조(210)내로 다시 공급되는데 이때, 볼탑(212)에 일정높이만큼 수위가 차기 전에는 용수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용수가 세정유로(216)를 따라 담수공간부(222)로 공급됨으로써, 담수공간부(222) 내부에는 용수가 일정수위만큼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배수 구조체(300)를 이용하게 되면, 담수공간부(222)에만 용수를 채우면 됨으로써, 한 번의 수세시마다 대략 2ℓ의 물만 소비됨을 수차례에 걸친 실험으로 확인하였는 바, 본 발명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에 비하여 더욱 적은 양의 물로서 수세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담수공간부(222)로 용수를 급수한 수조(210)에는 다시 용수공급관과 연결된 볼탑(212)에 의해 일정수위만큼 용수가 보충되며, 수위가 일정높이만큼 차게 되면, 용수의 공급이 중단된다.
한편, 수조(210)의 상부에 형성된 세면대(400)를 이용하여 세수 및 세안을 하는데 사용된 물은 상기 수조(210)로 공급되도록 하면 되는데, 상기 수조(210)에 용수가 차 있는 경우가 대부분인 바, 별도의 저장탱크(미도시됨)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 저장탱크로부터 수조(210)에 용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세수 및 세안을 하는데 사용된 물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그대로 오수관을 통해 배수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양변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다른 양변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에 적용되는 배수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에 적용되는 작동레버와 연결체인을 연결하는 기어부들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00 : 양변기 210 : 수조
220 : 변기본체 222 : 담수공간부
300 : 배수 구조체 302 : 본체
312 : 연결관 320 : 마개
322 : 힌지축 324 : 무게추
350 : 작동레버ㅇ 352 : 연결축
354 : 제1기어부 356 : 제2기어부
358 : 축 360 : 연결체인
400 : 세면대

Claims (3)

  1. 일정량의 물이 항상 담기게 되는 담수공간부를 갖는 변기본체와, 상기 변기본체로 용수를 공급하는 수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변기본체의 담수공간부 배수구와 연결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이 내부로 연통되며, 그 저면 일측에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수조의 작동레버와 연결체인으로 연결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연결관의 선단측 연통로를 개폐하는 마개로 구성된 배수 구조체를 포함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힌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힌지축의 일측에는 무게추가 설치된 것과;
    상기 작동레버의 연결축에는 제1회전기어가 축설되고, 상기 제1회전기어는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제2회전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제2회전기어에 축설되는 연결축에 상기 연결체인의 일단이 감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상부에는 세면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세면대에서 사용된 물은 수조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에서 사용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가 별도로 구비되고, 수조 내의 용수 수위가 낮아지면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이 수조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KR1020080042899A 2008-05-08 2008-05-08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KR200901170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899A KR20090117035A (ko) 2008-05-08 2008-05-08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899A KR20090117035A (ko) 2008-05-08 2008-05-08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035A true KR20090117035A (ko) 2009-11-12

Family

ID=4160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899A KR20090117035A (ko) 2008-05-08 2008-05-08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70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644B1 (ko) * 2013-09-25 2014-10-30 정호기업 주식회사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KR20200136136A (ko) * 2019-05-27 2020-12-07 이연곽 절수 및 저소음 양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644B1 (ko) * 2013-09-25 2014-10-30 정호기업 주식회사 중간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절수형 전자식 양변기
KR20200136136A (ko) * 2019-05-27 2020-12-07 이연곽 절수 및 저소음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5487B1 (ko) 양변기용 세면 수 재활용 장치
KR200454984Y1 (ko) 양변기용 세면수 재활용 장치
KR101164091B1 (ko) 절수, 탈취 및 소음저감 양변기
KR101180097B1 (ko) 수조가 없는 초절수 및 소리저감형 양변기
KR20090117035A (ko) 세면대 일체형 절수 및 소음저감 양변기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WO2010033003A2 (ko) 세면대 일체형 절수, 탈취 및 소음저감 양변기
KR20060000059U (ko) 세면대 일체형 양변기
KR100280662B1 (ko)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KR20070037462A (ko) 세면대 일체 및 초절수형 양변기
KR200455687Y1 (ko) 여성용 수세식 변기
KR200416762Y1 (ko)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
KR100749959B1 (ko) 절수 및 소음저감형 양변기
KR200281573Y1 (ko) 수세식 변기의 재활용 절수구조
KR200389635Y1 (ko) 세면수를 이용하는 양변기
KR20120110401A (ko) 변기의 오물 배출장치
KR200246741Y1 (ko) 수세식 변기용 절수장치
KR200399352Y1 (ko) 양변기
CN215290471U (zh) 一种节水马桶
KR100223419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KR102189021B1 (ko) 절수 및 저소음 양변기
CN201933559U (zh) 卫生间节水装置
KR200417968Y1 (ko) 세면수와 생활폐수를 이용하는 양변기
KR0130567Y1 (ko) 오수를 세정수로 이용한 수세변기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