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826U -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826U
KR20220001826U KR2020210000157U KR20210000157U KR20220001826U KR 20220001826 U KR20220001826 U KR 20220001826U KR 2020210000157 U KR2020210000157 U KR 2020210000157U KR 20210000157 U KR20210000157 U KR 20210000157U KR 20220001826 U KR20220001826 U KR 202200018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ewage
space
drainage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이상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윤 filed Critical 이상윤
Priority to KR2020210000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1826U/ko
Publication of KR202200018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8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mory System Of A Hierarch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배수트랩의 하수 배출 구조를 개선하여 장기간 집을 비워 실내 바닥에 물을 버리지 않아도 배수트랩 내부에 잔류 오수가 증발되지 않으며 배수관의 악취 및 해충이 실내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에 의하면; 바닥에 매립 설치되며 상부면은 배수를 안내하도록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배수트랩 본체(110)와; 배수트랩 본체(110)의 중앙부에서 아래측으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진 대경부(121)와, 대경부(121)의 하단에서 단차턱(122)을 이루면서 직경이 축소된 원통 형상의 소경부(123)로 이루어져 배수관(300)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되, 소경부(123)는 내부공간이 구획벽(124)을 통해 밑면이 막힌 하수 잔류공간(125)과 밑면이 개방된 하수 배출공간(126)으로 좌우 구획된 배수통(120)과; 배수통(120) 소경부(123)의 하수 배출공간(127) 직상부공간과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대경부(121)의 개방된 상부공간 일부를 덮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반원판 형상의 덮개부(131)와, 덮개부(131)의 일측에서 아래측으로 연장되면서 끝단이 배수통(120) 소경부(123)의 하수 잔류공간(125) 중앙부위에 수용되어 하수 잔류공간(125)을 좌우로 나누는 배수구획부(132)로 이루어져, 하수 잔류공간(125)으로 유입되는 하수가 배수구획부(132)를 돌아나가면서 배수통(120)의 소경부(123) 구획벽(124)을 넘어 하수 배출공간(126)으로 빠져나가도록 안내하는 배수유도부재(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A DRAINING TRAP}
본 고안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배수관으로 물을 빠져나가게 안내하면서 배수관 악취는 유입되지 않게 하는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세대 주택, 아파트 등 공동주택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는 배출되는 각종 하수를 집수 처리할 수 있도록 집수조가 설치되며, 각 가정의 욕실 또는 베란다 등의 바닥과 집수조는 배수관(배수 파이프)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관에는 생활 주변의 화장실, 욕조 등과 같이 많은 양의 물과 오물이 함께 내려감으로써 냄새(악취)가 역류할 수 있는데, 냄새(악취)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화장실(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이 배수트랩이다.
종래 배수트랩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P)의 직상부에 설치되며 중앙에 통결합구(2)가 천공된 배수트랩 본체(1)와, 이 배수트랩 본체(1)의 통결합구(2)에 하부로 연장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저부에 일정높이의 물이 채워져 잔류하는 배수잔류통(3)과, 배수트랩 본체(1)의 통결합구(2)에 하부로 연장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부는 배수잔류통(3) 내부공간에 이격되게 수용되는 배수유도통(4)과, 배수트랩 본체(1)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전역에 걸쳐 배수홀(5a)이 천공된 거름커버(5)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물은 거름커버(5)의 배수홀(5a)들을 통해 배수트랩 본체(1) 중앙부로 모이면서 배수유도통(4)을 경유하며, 계속하여 배수잔류통(3)의 벽면에 천공된 배수창(3a)을 통해 배수관(P)으로 빠져나간다(도 1의 화살표 방향 참조). 배수 과정에서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은 거름커버(5)에서 1차로 걸러지고 배수유도통(4)과 배수잔류통(3) 내부에서도 걸러진다. 그리고 배수잔류통(3) 바닥에는 일정높이의 물이 채워져 배수유도통(4) 하단이 항상 잠긴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배수관(P)으로부터의 냄새(악취) 역류가 방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배수트랩 구조에서는 배수잔류통(3) 내부공간 대부분이 배수창(3a)들을 통해 배수관(P)과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배수잔류통(3)에 잔류하던 오수가 용이하게 증발될 수 있으며, 잔류 오수가 증발하면 배수관(P) 냄새가 실내로 유입된다. 즉, 배수잔류통(3) 아래 대부분이 배수관(P)과 직접 연통되기 때문에 장기간 집을 비워 화장실 바닥에 물을 버리지 않으면 배수잔류통(3) 바닥의 잔류 오수가 손쉽게 증발하게 되며, 오수가 증발된 배수잔류통(3)은 배수관(P)과 실내를 직접 연통시켜 에어 통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P)의 역한 냄새(악취)가 배수잔류통(3)과 배수유도통(4)을 통해 실내로 역류하며(도 2의 화살표 방향 참조), 이를 통해 냄새 이외에도 해충이 들어오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트랩의 하수 배출 구조를 개선하여 장기간 집을 비워 실내 바닥에 물을 버리지 않아도 배수트랩 내부에 잔류 오수가 증발되지 않으며 배수관의 악취 및 해충이 실내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수트랩의 하수 배출 구조를 콤팩트하게 개선하여 이의 조립 생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분해 조립이 용이하여 청소 역시 손쉽게 할 수 있는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면서 중앙부가 배수관과 연결되고 전역에 걸쳐 배수홀이 천공된 거름판이 상부를 덮는 역류 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이; 바닥에 매립 설치되며 상부면은 배수를 안내하도록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배수트랩 본체와; 상기 배수트랩 본체의 중앙부에서 아래측으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진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의 하단에서 단차턱을 이루면서 직경이 축소된 원통 형상의 소경부로 이루어져 상기 배수관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소경부는 내부공간이 구획벽을 통해 밑면이 막힌 하수 잔류공간과 밑면이 개방된 하수 배출공간으로 좌우 구획된 배수통과; 상기 배수통 소경부의 하수 배출공간 직상부공간과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대경부의 개방된 상부공간 일부를 덮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반원판 형상의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일측에서 아래측으로 연장되면서 끝단이 상기 배수통 소경부의 하수 잔류공간 중앙부위에 수용되어 상기 하수 잔류공간을 좌우로 나누는 배수구획부로 이루어져, 상기 하수 잔류공간으로 유입되는 하수가 상기 배수구획부를 돌아나가면서 상기 배수통의 소경부 구획벽을 넘어 상기 하수 배출공간으로 빠져나가도록 안내하는 배수유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배수통의 소경부 벽면에 상기 배수유도부재의 배수구획부 양측단이 상부에서 아래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대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배수유도부재의 덮개부에 상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에 의하면;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으로 버려진 하수가 배수통의 하수 잔류공간으로 유입된 후 배수구획부를 돌아나가고, 계속하여 배수통의 소경부 구획벽을 넘어 하수 배출공간을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된다. 즉, 하수는 배수통과 배수유도부재에 의해 형성된 '∪'형과 '∩'형이 연속된 배수라인을 따라 배출되며, 하수 잔류공간에 채워진 잔류 하수에 배수유도부재의 배수구획부 하단이 잠긴 상태로 유지되어 실내측과 하수관과의 연통이 차단된다. 따라서 하수관은 하수가 잔류하는 하수 잔류공간과 '∩' 형의 배수라인을 통해 연계됨으로써, 잔류 오수의 증발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장기간 실내 바닥에 물을 버리지 않아도 배수통의 하수 잔류공간에 하수가 잔류하여 배수관의 악취 및 해충이 실내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에 의하면; 대경부와 소경부로 이루어진 배수통이 배수트랩 본체에 일체로 이루어지며, 배수유도부재가 배수통의 상부에서 아래로 끼워져 결합되어 배수라인을 형성하는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의 조립 생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수유도부재의 분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용이하여 배수트랩의 내부 청소 역시 손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에 의하면; 손잡이부를 잡고서 배수유도부재를 손쉽게 분해/조립할 수 있어, 배수트랩의 내부 청소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배수트랩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배수트랩에서 배수관 내부 악취가 실내로 역류하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 - Ⅳ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내부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 본체와 배수유도부재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 - 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유도부재의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을 통한 하수 배출과정을 보인 것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구성 설명>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100)은 배수관(300)이 설치된 욕실(화장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배수를 안내하면서 냄새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매립 설치되며, 이의 상부에는 거름판(200)이 덮고 있다.
거름판(200)은 배수트랩(100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전역에 걸쳐서 배수홀(210)들이 천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흘려진 물은 거름판(200)의 배수홀(210)들을 통해 배수트랩(100)측으로 유입되며, 유입과정에서 머리카락과 같은 오물이 일차로 걸러지게 된다. 이러한 거름판(200)은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스틸 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이루어지며, 배수트랩(100) 상면의 단차에 걸려 배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100)은 대략 사각 형태로 이루어져 외형을 이루며 바닥에 매립 설치되는 배수트랩 본체(110)와, 배수트랩 본체(110)의 중앙부에서 아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배수관(300)에 수용되는 배수통(120)과, 배수통(120)의 상부에서 아래측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형과 '∩'형이 연속된 배수라인을 형성하는 배수유도부재(130)를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배수트랩 본체(110)는 배수관(300)이 설치된 욕실(화장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매립되어 배수관(300)과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이 용이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의 가장자리는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커버(140)로 덮여 있다. 또한, 배수트랩 본체(100)의 상면은 배수가 용이하도록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이루어져 있다.
배수통(120)은 배수트랩 본체(110)의 중앙부에 일체로 이루어지며 배수관(300)에 수용되는 것으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트랩 본체(110)의 중앙부에서 아래측으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진 대경부(121)와, 이 대경부(121)의 하단에서 단차턱(122)을 이루면서 직경이 축소된 원통 형상의 소경부(123)로 정의된다. 배수통(120)의 소경부(123)는 내부공간이 구획벽(124)을 통해 밑면이 막힌 하수 잔류공간(125)과 밑면이 개방된 하수 배출공간(126)으로 좌우 구획되어져 있다. 또한, 배수통(120)의 소경부(123) 벽면에는 후술하는 배수유도부재(130)의 배수구획부(132) 양측단이 상부에서 아래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홈(127)이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유도부재(13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통(120) 소경부(123)의 하수 배출공간(126) 직상부공간과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대경부(121)의 개방된 상부공간 일부를 덮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반원판 형상의 덮개부(131)와, 덮개부(131)의 일측(안쪽)에서 아래측으로 수직 연장되면서 끝단이 배수통(120) 소경부(123)의 하수 잔류공간(125) 중앙부위에 수용되어 하수 잔류공간(125)을 좌우로 나누는 판 형상의 배수구획부(132)로 이루어져 있다. 덮개부(131)는 원활한 배수를 위해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를 이루면서 하향 경사져 있다. 배수유도부재(130)의 배수구획부(132)는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단이 결합홈(127)을 따라 상부에서 아래측으로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하수 잔류공간(125)으로 유입되는 하수는 배수구획부(132)를 '∪'형태로 돌아나가게 되며, 계속하여 배수통(120)의 소경부(123) 구획벽(124)을 '∩'형태로 넘어 하수 배출공간(126)으로 빠져나가게 된다(도 8의 화살표 방향 참조). 또한, 배수유도부재(130)의 덮개부(131)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133)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부(133)를 손으로 잡고서 배수유도부재(130)를 배수통(120)에 손쉽게 조립하거나 분해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욕실이나 베란다 등에서 바닥에 물을 버리면, 배수되는 하수는 거름판(200)의 배수홀(21))들을 통해 배수트랩 본체(110) 중앙으로 모이면서 배수통(120)으로 빠져나간다. 배수통(120)의 대경부(121)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는 소경부(123)의 하수 잔류공간(125)에 가득 채워지면서 배수유도부재(130)의 배수구획부(132)를 '∪' 형태로 돌아나가며, 계속하여 배수통(120)의 소경부(123) 구획벽(124)을 '∩' 형태로 넘어 하수 배출공간(126)을 통해 배수관(300)으로 빠져나간다(도 9의 화살표 방향 참조).
그리고 배수가 완료되더라도 배수통(120) 소경부(123)의 하수 잔류공간(125)에는 하수가 가득 채워진다. 이때, 배수유도부재(130)의 배수구획부(132) 하단은 항상 하수 잔류공간(125)에 채워진 잔류 하수에 잠긴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하수관(300)과 실내측과의 직접적인 연통이 차단된다.
결국, 하수관(300)은 하수가 잔류하는 하수 잔류공간(125)과 '∩' 형의 배수라인을 통해 연계됨으로써 잔류 오수의 증발이 용이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장기간 실내 바닥에 물을 버리지 않아도 배수통(120)의 하수 잔류공간(125)에 하수가 잔류하여 배수관(300)의 악취 및 해충이 실내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수트랩(100)은 대경부(121)와 소경부(123)로 이루어진 배수통(120)이 배수트랩 본체(110)에 일체로 이루어지며, 배수유도부재(130)가 배수통(120) 상부에서 아래로 끼워져 결합되어 배수라인을 형성하는 콤팩트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의 조립 생산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손잡이부(133)와 결합홈(127)을 통해 배수유도부재(130)의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배수트랩의 내부 청소 역시 손쉽게 할 수 있다.
100..배수트랩 110..배수트랩 본체 120..배수통
121..대경부 122..단차턱 123..소경부
124..구획벽 125..하수 잔류공간 126..하수 배출공간
127..결합홈 130..배수유도부재 131..덮개부
132..배수구획부 133..손잡이부 140..스테인리스 커버
200..거름판 210..배수홀 300..하수관

Claims (3)

  1.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면서 중앙부가 배수관(300)과 연결되고 전역에 걸쳐 배수홀(210)이 천공된 거름판(200)이 상부를 덮는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100)에 있어서;
    상기 배수트랩(100)은;
    바닥에 매립 설치되며 상부면은 배수를 안내하도록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배수트랩 본체(110)와;
    상기 배수트랩 본체(110)의 중앙부에서 아래측으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진 대경부(121)와, 상기 대경부(121)의 하단에서 단차턱(122)을 이루면서 직경이 축소된 원통 형상의 소경부(123)로 이루어져 상기 배수관(300)에 수용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소경부(123)는 내부공간이 구획벽(124)을 통해 밑면이 막힌 하수 잔류공간(125)과 밑면이 개방된 하수 배출공간(126)으로 좌우 구획된 배수통(120)과;
    상기 배수통(120) 소경부(123)의 하수 배출공간(127) 직상부공간과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면서 상기 대경부(121)의 개방된 상부공간 일부를 덮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반원판 형상의 덮개부(131)와, 상기 덮개부(131)의 일측에서 아래측으로 연장되면서 끝단이 상기 배수통(120) 소경부(123)의 하수 잔류공간(125) 중앙부위에 수용되어 상기 하수 잔류공간(125)을 좌우로 나누는 배수구획부(132)로 이루어져, 상기 하수 잔류공간(125)으로 유입되는 하수가 상기 배수구획부(132)를 돌아나가면서 상기 배수통(120)의 소경부(123) 구획벽(124)을 넘어 상기 하수 배출공간(126)으로 빠져나가도록 안내하는 배수유도부재(1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통(120)의 소경부(123) 벽면에는 상기 배수유도부재(130)의 배수구획부(132) 양측단이 상부에서 아래측으로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홈(127)이 대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도부재(130)의 덮개부(131)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133)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20210000157U 2021-01-18 2021-01-18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2200018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157U KR20220001826U (ko) 2021-01-18 2021-01-18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157U KR20220001826U (ko) 2021-01-18 2021-01-18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26U true KR20220001826U (ko) 2022-07-26

Family

ID=8260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157U KR20220001826U (ko) 2021-01-18 2021-01-18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182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651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090036931A (ko) 배수트랩
KR20048289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048252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220001826U (ko)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20220002682U (ko)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CN213836958U (zh) 一种防堵塞防臭地漏
KR200233488Y1 (ko) 배수구의 냄새차단장치
KR20180106024A (ko) 배수트랩 구조체
KR200286057Y1 (ko) 배수트랩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KR200490200Y1 (ko) 거름부재를 갖춘 배수트랩
KR100451895B1 (ko) 배수트랩에 있어서 이물질 걸림방지구조
KR200308485Y1 (ko) 배수트랩
KR200265933Y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100740525B1 (ko) 오수받이 장치
KR20170003207U (ko)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0698773B1 (ko)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20070008842A (ko) 배수트랩
KR200311398Y1 (ko) 일체형 배수트랩
KR100662712B1 (ko) 악취발산 방지용 맨홀
KR100580865B1 (ko) 건축용 개량맨홀
KR100951028B1 (ko) 배수구용 악취 차단구
KR200317103Y1 (ko) 하수구 냄새 차단장치
KR102309830B1 (ko)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는 배수 트랩
KR200218248Y1 (ko) 집수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