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314B1 -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 - Google Patents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314B1
KR101545314B1 KR1020150010450A KR20150010450A KR101545314B1 KR 101545314 B1 KR101545314 B1 KR 101545314B1 KR 1020150010450 A KR1020150010450 A KR 1020150010450A KR 20150010450 A KR20150010450 A KR 20150010450A KR 101545314 B1 KR101545314 B1 KR 101545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pipe
sink
installation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지
서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지, 서재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지
Priority to KR102015001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에 관한 것으로, 내주에 안착턱을 형성하는 설치관과, 상기 설치관의 외주에 일체로 구성되어 설치관의 외주 하부에 끼움공간을 형성시키는 설치링으로 이루어진 설치가이드; 상기 설치가이드의 안착턱에 안착배치되어 하수구의 냄새역류를 방지하는 냄새역류방지장치; 상기 설치가이드의 끼움공간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바닥에 설치된 하수관의 내주에 끼워지는 고정패킹; 상기 설치가이드의 설치관 내주에 끼워지는 제1끼움관과, 상기 제1끼움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싱크대 하측의 배출호스에 끼워지는 제2끼움관과, 상기 제1, 2끼움관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홀을 형성하는 연결구로 이루어진 아답타;로 구성되어, 상기 싱크대의 배출호스와 하수관 사이에 밀폐되도록 연결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A slip type sink trap}
본 발명은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싱크대의 배출호스와 하수관 사이를 완벽히 밀폐함에 따라 싱크대의 배출호스는 물론 하수구에서의 악취가 실내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패킹의 외주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끼움단으로 인해 내경치수가 각기 다른 하수관에도 용이하게 밀폐설치할 수 있고, 주방기구의 배수호스를 연결설치하여 주방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수분에 의해 스프링이 녹스는 현상 없이 냄새역류방지장치를 손쉽게 설치하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주방에서 요리나 설겆이를 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넷부와, 캐비넷부의 상부에 장착되어 조리대를 구성하는 상판과, 상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설겆이를 하고 과일이나 야채 등을 세척하기 위해 공간이 마련된 개수대, 및 개수대에 설치되어 설겆이한 물이나 음식물 등을 세척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유닛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관련 기술의 배수유닛은 걸름망을 통하여 음식물을 걸름으로써, 음식물이 배수통 및 배수배관을 통하여 하수구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배관의 막힘 현상 방지 및 하수구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걸름망을 통해 음식물이 걸려진 후 배수되는 물 즉, 생활하수는 개수대의 하측에 연결된 배수호스를 통해 바닥의 하수관으로 배수되는 통상의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생활하수는 대부분이 물건을 세척이나 세탁 후 버려지는 물로서, 많은 유기물이 포함되어 오염된 것이므로 부패하면서 악취가 발생하며, 이러한 악취는 하수관을 따라 실내료 유입되게 되므로 실내가 악취로 오염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3570호와 같은 배수 트랩을 포함하는 싱크대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3570호 (2009.04.06) "배수 트랩을 포함하는 싱크대" - (주)미르푸르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배수 트랩을 포함하는 싱크대는 배수통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배수트랩에 수납되는 물을 이용하여 하수관의 악취를 방지하는 구성으로, 싱크대로 역류하는 악취는 차단할 수 있었나, 싱크대의 배출호스와 하수관 사이의 공간으로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막을 수 없어 실내의 공기가 악취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싱크대의 배출호스와 하수관 사이에 연결설치함으로써 냄새의 실내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싱크대의 배출호스와 하수관 사이를 완벽히 밀폐함에 따라 싱크대의 배출호스는 물론, 하수구에서의 악취가 실내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패킹의 외주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끼움단으로 인해 내경치수가 각기 다른 하수관에도 용이하게 밀폐설치할 수 있는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답타에 형성된 연결구의 홀에 식기세척기와 같은 주방기구의 배수호스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어 주방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고, 연결구를 미사용시에는 상기 홀에 드레인마개를 끼우는 것을 통해 홀의 폐쇄를 손쉽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드레인마개를 아탑타에 연결설치하는 것을 통해 드레인마개의 미사용에 따른 분실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냄새역류방지장치에 구성된 승강작동부를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삽입한 후, 밀폐캡으로 개구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분에 의해 스프링이 녹스는 현상 없이 손쉬운 설치를 이룰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오랜 사용에도 배수작용이 원활하게 유지되는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주에 안착턱을 형성하는 설치관과, 상기 설치관의 외주에 일체로 구성되어 설치관의 외주 하부에 끼움공간을 형성시키는 설치링으로 이루어진 설치가이드; 상기 설치가이드의 안착턱에 안착배치되어 하수구의 냄새역류를 방지하는 냄새역류방지장치; 상기 설치가이드의 끼움공간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바닥에 설치된 하수관의 내주에 끼워지는 고정패킹; 상기 설치가이드의 설치관 내주에 끼워지는 제1끼움관과, 상기 제1끼움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싱크대 하측의 배출호스에 끼워지는 제2끼움관과, 상기 제1, 2끼움관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홀을 형성하는 연결구로 이루어진 아답타;로 구성되어, 상기 싱크대의 배출호스와 하수관 사이에 밀폐되도록 연결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을 이용하면, 싱크대의 배출호스와 하수관 사이를 완벽히 밀폐함에 따라 싱크대의 배출호스는 물론, 하수구에서의 악취가 실내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패킹의 외주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끼움단으로 인해 내경치수가 각기 다른 하수관에도 용이하게 밀폐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답타에 형성된 연결구의 홀에 식기세척기와 같은 주방기구의 배수호스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어 주방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고, 연결구를 미사용시에는 상기 홀에 드레인마개를 끼우는 것을 통해 홀의 폐쇄를 손쉽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드레인마개를 아탑타에 연결설치하는 것을 통해 드레인마개의 미사용에 따른 분실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한 사용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냄새역류방지장치에 구성된 승강작동부를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삽입한 후, 밀폐캡으로 개구를 밀폐할 수 있으므로 수분에 의해 스프링이 녹스는 현상 없이 손쉬운 설치를 이룰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오랜 사용에도 배수작용이 원활하게 유지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이 설치된 싱크대의 배출호스와 하수관 사이에 연결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이 싱크대의 배출호스와 하수관 사이에 끼워지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구의 홀에 주방기구의 배수호스가 설치되고, 내경이 작게 형성된 하수관에 고정패킹의 끼움단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결구의 홀에 드레인마개가 설치되고, 내경이 크게 형성된 하수관에 고정패킹의 끼움단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냄새역류방징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5)의 하부에 구성되어 물을 배출하는 배출호스(3)와, 하수구에 연결되어 바닥의 상부로 돌출형성된 하수관(1) 사이에 연결설치됨으로써 하수구의 냄새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100)에 관한 것으로, 설치가이드(10)와, 냄새역류방지장치(20)와, 고정패킹(30)과, 아답타(40)로 구성되어, 상기 싱크대(5)의 배출호스(3)와 하수관(1) 사이에 밀폐되도록 연결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설치가이드(10)는 본 발명의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100)을 싱크대(5)의 배출호스(3)와 하수관(1) 사이에 연결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배출호스(3)의 연결설치를 위한 설치관(12)과, 설치관(12)의 외주에 형성되는 설치링(1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관(12)의 내주에는 냄새역류방지장치(20)가 안착되는 안착턱(11)을 형성하며, 상기 설치관(12)의 외주 하부에는 설치링(14)에 의해 고정패킹(30)이 끼워지는 끼움공간(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냄새역류방지장치(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가이드(10)의 안착턱(11)에 안착배치되어 하수구의 냄새역류를 방지하는 장치로서, 하우징(23)과, 승강작동부(26)와, 기밀링(28)과, 밀폐캡(29)으로 구성되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23)은 상기 냄새역류방지장치(20)를 설치가이드(10)에 내부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으로, 끼움돌부(21)와, 상기 끼움돌부(21)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어 설치가이드(10)의 안착턱(11)에 안착되는 안착돌기(22b)를 외주에 형성한 설치캡(2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3)에 구성된 끼움돌부(21)에는 승강작동부(26)의 설치를 위한 개구(21a)가 상측에 형성되며, 끼움돌부(21)의 하측에는 승강작동부(26)의 스프링(25)이 안착되는 단턱(21b)이 형성된다.
또한, 승강작동부(2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21a)를 통해 끼움돌부(21)의 내주에 삽입설치되는 구성으로, 싱크대(5)에서 사용된 물의 배수 및 배출호스(3)를 통한 냄새의 역류를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작동부(26)는 승강축(24)과 스프링(25)으로 구성되어 작용되는 물의 하중에 따라 승강 작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승강축(24)은 개구(21a)를 통해 끼움돌부(21)의 내주에 삽입되되 하부에는 끼움돌부(21)의 하부로 돌출되어 냄새차단볼(27)이 체결되는 체결부(24a)를 구성하고 상부에는 머리부(24b)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승강작동부(26)의 스프링(25)은 상기 끼움돌부(21)의 내측 하단에 형성된 단턱(21b)에 안착되어 승강축(24)의 머리부(24b)를 탄성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축(24)을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작용을 한다.
또한, 기밀링(28)은 일측이 상기 하우징(23)에 구성된 설치캡(22)의 하부에 결합설치되고, 타측이 냄새차단볼(27)에 밀착되어 기밀을 이루는 통상의 구성으로, 탄성이 강한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을 것이며,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작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밀폐캡(29)은 상기 끼움돌부(21)의 외측 상부에 결합되어 상측 개구(21a)를 밀폐하는 구성으로, 개구(21a)를 통해 끼움돌부(21)의 내주에 삽입설치된 승강작동부(26) 특히, 스프링(25)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유지보수 시 냄새역류방지장치(20)를 손으로 용이하게 잡아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의 역할을 한다.
셋째, 고정패킹(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가이드(10)의 끼움공간(13)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끼움홀(32)과, 바닥에 설치된 하수관(1)의 내주에 끼워지는 끼움단(31)으로 구성되어, 상기 끼움공간(13)에 단순히 끼워 넣는 것으로 손쉬운 설치가 가능하며, 보다 견고한 설치를 위해 상기 고정패킹(30)을 끼움공간(13)에 접착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하수관(1)은 정해진 규격으로 형성되어 내주의 직경이 작은 것과 큰 것으로 구분되어 지는데, 종래에는 상기 하수관(1) 내주의 직경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것에 의해 상기 하수관(1)에 싱크대(5)의 배출호스(3)를 단순히 끼워 넣기만 하였으며, 이로 인해, 상기 하수관(1)과 배출호스(3) 사이의 공간으로 하수구의 냄새가 역류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수관(1)에 끼워지는 고정패킹(30)의 외주에 하수관(1)의 내주가 끼워지는 끼움단(31)을 다단으로 형성하는 구성이 더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하수관(1)과 배출호스(3)의 사이의 공간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정패킹(30)의 외주에 다단으로 형성되는 끼움단(31)에는, 고정패킹(30)을 하수관(1)의 내주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끼움돌기(31a)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끼움돌기(31a)는 끼움단(31)의 외주 중간 부분에 홈부(31b)를 형성하는 것을 통해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끼움돌부(31a)에 의하면 이중으로 하수관(1)의 밀폐가 이중으로 이루어지므로 밀폐성이 더욱 높아지는 부수적인 작용효과도 있다.
넷째, 아답타(40)는 일측과 타측이 설치가이드와 배출호스에 각각 끼워져 싱크대에서 사용한 물을 하수관으로 이동시키는 연결수단으로서, 상기 설치가이드(10)의 설치관(12) 내주에 끼워지는 제1끼움관(41)과, 상기 제1끼움관(41)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싱크대(5) 하측의 배출호스(3)에 끼워지는 제2끼움관(42)을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아탑타에는 상기 제1, 2끼움관(41, 42)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홀(43)을 형성하는 연결구(44)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44)의 홀(43)에는 식기세척기나 정수기와 같은 주방기구의 배수호스(7)를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방기구의 배수호스(7)를 싱크대의 수납공간 내부에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홀(43)이 형성된 연결구(44)는 한 개가 아닌 여러 개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주방기구의 배수호스를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아답타(40)에는 연결구(44)의 홀(43)을 개폐하는 드레인마개(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식기세척기와 같은 주방기구가 없을 경우, 연결구(44)의 홀(43)을 폐쇄시켜 보관함으로써 배출호스(3)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연결구(44)의 홀(43)을 통해 외부로 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마개(50)는 통상의 이음줄(53)을 통해 아답타(40)에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드레인마개(50)의 미사용시에도 상기 드레인마개(5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레인마게(50)는 통상의 이음줄(53)을 아탑타(40)의 연결구(44)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통해 분리가 불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 외에도, 상기 아탑타(40)에 구성된 제2끼움관(42)의 외주에 끼워지는 끼움링(51)과, 상기 연결구(44)의 홀(43)에 끼워지는 마개(52)와, 상기 끼움링(51)과 마개(52)를 연결하는 이음줄(53)로 이룸으로써 분실방지는 물론, 아답타(40)와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아답타(40)의 제작이 용이하여 비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설치가이드(10)에 구성된 안착턱(11)에 냄새역류방지장치(20)의 안착돌기(22b)를 안착시켜 냄새역류방지장치(20)를 설치가이드(10)의 내주에 설치한 다음, 상기 설치가이드(10)의 설치관(12) 내주에 아답타(40)의 제1끼움관(41)을 끼워 설치가이드(10)와 아답타(40)의 결합을 완료하고, 설치가이드(10)의 끼움공간(13)에 고정패킹(30)을 끼워넣어 본 발명의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100)의 조립을 완성한다.
그 후에는, 싱크대(5)의 하부에 연결설치된 배출호스(3)의 내주가 아답타(40)의 제2끼움관(42) 외주에 꽉 끼워지도록 배출호스(3)의 밀폐결합을 이룬 다음, 하수관(1)의 내주에 고정패킹(30)의 끼움단(31)을 밀폐결합하는 것을 통해 본 발명의 설치를 완료하는데, 이때, 상기 끼움단(31)은 고정패킹(30)의 외주에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수관(1)이 설치되는 위치 및 환경에 따라 상기 하수관(1)의 내주 직경이 각기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고정패킹(30)을 하수관(1)의 내주에 견고하게 밀폐결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하수관(1)의 냄새가 실내로 곧바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10)을 싱크대(5)의 배출호스(3)와 하수관(1) 사이에 연결설치한 다음에는, 아탑타(40)에 구성된 연결구(44)의 홀(43)에 식기세척기와 같은 주방기구의 배수호스(7)를 연결하거나, 드레인마개(50)로 연결구(44)의 홀(3)을 폐쇄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설치를 완료한 후, 싱크대(5)를 통해 배출호스(3)로 물이 유입되면, 상기 배출호스(3)로 유입된 물은 아답타(40)와 냄새역류방지장치(20)를 거쳐 하수관(1)으로 흐르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배출호스(3)를 통해 냄새역류방지장치(20)로 유입된 물은 냄새차단볼(27)의 상부로 모이게 되어 상기 냄새차단볼(27)에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냄새차단볼(27)에 하중이 작용하면, 승강작동부(26)에는 하강하는 힘이 작동하여 상기 승강작동부(26) 및 냄새차단볼(27)의 하강작동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기밀링(28)과 냄새차단볼(27) 사이의 공간이 개방되어 물이 하수관(1)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물의 배수가 완료된 후에는, 냄새차단볼(20)의 상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이 사라지게 되므로, 승강작동부(26)에 구성된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냄새차단볼(27)이 상승작동하게 되어 기밀링(28)과 냄새차단볼(27) 사이의 공간이 폐쇄되어 지며, 이로 인해, 하수관(1)의 냄새가 배출호스(3)를 통해 역류하는 현상이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100)을 이용하면, 배출호스(3)를 통해 하수구(1)의 냄새가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수관(1)과 배출호스(3)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수구(1)의 냄새가 역류하는 현상까지 완벽히 차단할 수 있어 실내의 공기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게 된다.
1 : 하수관 3 : 배출호스 5 : 싱크대
10 : 설치가이드 11 : 안착턱 12 : 설치관 13 : 끼움공간 14 : 설치링
20 : 냄새역류방지장치 21 : 끼움돌부 21a : 개구 21b : 단턱 22 : 설치캡 22a : 거름판 22b : 안착돌기 23 : 하우징 24 : 승강축 24a : 체결부 24b : 머리부 25 : 스프링 26 : 승강작동부 27 : 냄새차단볼 28 : 기밀링 29 : 밀폐캡
30 : 고정패킹 31 : 끼움단 32 : 끼움홀
40 : 아답타 41, 42 : 제1, 2끼움관 43 : 홀 44 : 연결구
50 : 드레인마개 51 4 끼움링 52 : 마개 53 : 이음줄
100 :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

Claims (5)

  1. 내주에 안착턱(11)을 형성하는 설치관(12)과, 상기 설치관(12)의 외주에 일체로 구성되어 설치관(12)의 외주 하부에 끼움공간(13)을 형성시키는 설치링(14)으로 이루어진 설치가이드(10);
    상기 설치가이드(10)의 안착턱(11)에 안착되는 안착돌기(22b)가 형성되면서 하수구의 냄새역류를 방지하는 냄새역류방지장치(20);
    상기 설치가이드(10)의 끼움공간(13)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끼움홀(32)과, 바닥에 설치된 하수관(1)의 내주에 끼워지는 다단으로 이루어진 끼움단(31)과, 상기 끼움단(31)의 외주 중간부분에 끼움돌기(31a)와 홈부(31b)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패킹(30);
    상기 설치가이드(10)의 설치관(12) 내주에 끼워지는 제1끼움관(41)과, 상기 제1끼움관(41)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싱크대(5) 하측의 배출호스(3)에 끼워지는 제2끼움관(42)과, 상기 제1, 2끼움관(41, 42) 중 어느 하나에 구성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홀(43)을 형성하는 연결구(44)로 이루어진 아답타(40);로 구성되어,
    상기 싱크대(5)의 배출호스(3)와 하수관(1) 사이에 밀폐되도록 연결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역류방지장치(20)는,
    상측에 개구(21a)를 형성하고 내측 하단에는 단턱(21b)을 형성한 끼움돌부(21)와, 거름판(22a)을 통해 상기 끼움돌부(21)의 외주에 일체로 형성되며 설치가이드(10)의 안착턱(11)에 안착되는 안착돌기(22b)를 외주에 형성한 설치캡(22)으로 구성된 하우징(23);
    상기 개구(21a)를 통해 끼움돌부(21)의 내주에 삽입되되 하부에는 끼움돌부(21)의 하부로 돌출되어 냄새차단볼(27)이 체결되는 체결부(24a)를 구성하고 상부에는 머리부(24b)를 구성한 승강축(24)과, 상기 끼움돌부(21)의 내측 하단에 형성된 단턱(21b)에 안착되어 승강축(24)의 머리부(24b)를 지지하는 스프링(25)으로 구성되어 하중에 따라 승강 작동하는 승강작동부(26);
    일측이 상기 하우징(23)에 구성된 설치캡(22)의 하부에 결합설치되고, 타측이 냄새차단볼(27)에 밀착되어 기밀을 이루는 기밀링(28);
    상기 끼움돌부(21)의 외측 상부에 결합되어 상측 개구(21a)를 밀폐하는 밀폐캡(29);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답타(40)에는 연결구(44)의 홀(43)을 개폐하는 드레인마개(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마개(50)는 아탑타(40)에 구성된 제2끼움관(42)의 외주에 끼워지는 끼움링(51)과, 상기 연결구(44)의 홀(43)에 끼워지는 마개(52)와, 상기 끼움링(51)과 마개(52)를 연결하는 이음줄(53)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
KR1020150010450A 2015-01-22 2015-01-22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 KR101545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450A KR101545314B1 (ko) 2015-01-22 2015-01-22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450A KR101545314B1 (ko) 2015-01-22 2015-01-22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314B1 true KR101545314B1 (ko) 2015-08-21

Family

ID=5406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450A KR101545314B1 (ko) 2015-01-22 2015-01-22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3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682B1 (ko) 2016-03-03 2016-05-31 주식회사 에스엠지 냄새 차단장치
KR101860794B1 (ko) * 2018-01-31 2018-05-25 탑원이앤씨(주) 응축수의 배수용 밸브장치
KR200488311Y1 (ko) 2018-06-22 2019-01-11 주식회사 에스엠지 싱크대 하부 트랩
KR102090044B1 (ko) * 2019-08-06 2020-03-17 서혜민 배관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89Y1 (ko) * 2001-08-27 2001-12-24 우제정 싱크대 배수관의 악취 방지용 패킹
KR200473414Y1 (ko) * 2014-04-02 2014-08-06 주식회사 에스엠지 냄새 역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89Y1 (ko) * 2001-08-27 2001-12-24 우제정 싱크대 배수관의 악취 방지용 패킹
KR200473414Y1 (ko) * 2014-04-02 2014-08-06 주식회사 에스엠지 냄새 역류 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682B1 (ko) 2016-03-03 2016-05-31 주식회사 에스엠지 냄새 차단장치
KR101860794B1 (ko) * 2018-01-31 2018-05-25 탑원이앤씨(주) 응축수의 배수용 밸브장치
KR200488311Y1 (ko) 2018-06-22 2019-01-11 주식회사 에스엠지 싱크대 하부 트랩
KR102090044B1 (ko) * 2019-08-06 2020-03-17 서혜민 배관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9328A (en) Hydrostatic drain plug
KR101545314B1 (ko)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
KR101415336B1 (ko) 배수트랩
KR100998167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배수트랩
KR20080032652A (ko) 물로 가압되는 수동형 화장실 막힘 제거 펌프
KR101699850B1 (ko) 욕조용 배수트랩
EP0494060B1 (en) Floor drain insert
KR20130090655A (ko) 배수 트랩
KR101281612B1 (ko) 배수 트랩
KR101757418B1 (ko)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관
KR200482529Y1 (ko) 악취 역류방지 기능을 갖춘 배수트랩
KR100643345B1 (ko) 기밀을 유지하는 배수장치
KR101384662B1 (ko) 조립식 오수받이
KR101272152B1 (ko) 봉수기능을 구비한 멀티 관 연결장치
KR101944377B1 (ko) 세면대용 배수 밸브
KR20170003867U (ko)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KR200482345Y1 (ko) 싱크대 배수호스 연결장치
KR200488311Y1 (ko) 싱크대 하부 트랩
KR20180070274A (ko) 싱크대의 누수방지 배수유닛
KR101422804B1 (ko) 배수 트랩
KR101350158B1 (ko) 배수 트랩
JP5106897B2 (ja) 排水トラップにおける目皿
KR101629916B1 (ko) 가구의 사이펀 및 아이템
KR200400712Y1 (ko) 싱크대의 급수관용 누수배출장치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