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916B1 - 가구의 사이펀 및 아이템 - Google Patents

가구의 사이펀 및 아이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916B1
KR101629916B1 KR1020117028755A KR20117028755A KR101629916B1 KR 101629916 B1 KR101629916 B1 KR 101629916B1 KR 1020117028755 A KR1020117028755 A KR 1020117028755A KR 20117028755 A KR20117028755 A KR 20117028755A KR 101629916 B1 KR101629916 B1 KR 10162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phon trap
furniture
liquid reservoir
siphon
fl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4693A (ko
Inventor
랄프 뮈터티스
미하엘 슈베르트
Original Assignee
헤티히 홀딩 게엠베하 운트 코. 오하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티히 홀딩 게엠베하 운트 코. 오하게 filed Critical 헤티히 홀딩 게엠베하 운트 코. 오하게
Publication of KR20120024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4Odour seals having U-shaped tra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3Combined cabinets and wash bas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신(24), 특히, 싱크대 또는 세면대에 연결되는 사이펀 트랩(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사이펀 트랩(1)은 액체 저장소(2), 상기 베이신(24)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인입구(3), 및 배수관(31)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수구(4)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저장소(2)는 당해 액체 저장소(2)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인입구(3)를 연장하며 적어도 두 개의 하프 파이프(16,17)로 이루어진 완전 파이프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가구의 사이펀 및 아이템{SIPHON AND ITEM OF FURNITURE}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베이신(basin), 특히 싱크대 또는 수조에 연결되는 사이펀 트랩(siphon trap) 및 청구항 제 10 항의 전제부에 따른 가구에 관한 것이다.
주방용 가구에 설치되는 싱크대 또는 욕실용 가구에 설치되는 세면대와 같은 베이신에 연결되는 통상의 사이펀 트랩은 상기 베이신 아래에 제공된 가구의 저장 공간중 사소한 부분으로부터도 멀어질 필요가 있다. 사이펀 파이프를 나눠써야 하는 서랍의 경우에는 특별한 대책이 특히 요구된다. 베이신과 상기 베이신에 연결된 사이펀 트랩이 가구에 또는 가구 본체의 벽체 후방에 장착되었다면, 상기 사이펀 트랩에 대한 세척은 상당량의 노동에 의해서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펀 트랩을 세척할 때, 오수가 가구 속으로 누설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가구가 손상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의 가용 공간을 덜 필요로 하며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세척될 수 있는, 베이신에 연결되는 사이펀 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가진 베이신, 특히 싱크대 또는 세면대에 연결되는 사이펀 트랩에 의해, 그리고 청구항 제 10 항의 특징을 가진 가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이펀 트랩은 적어도 두 개의 하프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액체 저장소에 배열된 완전 파이프(full pipe)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상기 사이펀 트랩의 신속하고 용이한 세척을 가능하게 한다.
일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사이펀 트랩은 액체 저장소를 포함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상에는 덮개를 덮는 플랩이 피벗가능하게 배열된다. 상기 플랩이 상방향으로 접혀진 후 사이펀 트랩의 덮개를 개방하면, 상기 액체 저장소에 담긴 액체가 가구 또는 가구 내용물을 오염시키지 않고 플랩을 거쳐 플랩 아래에 배치된 수집조로 흐를 수 있다.
상기 플랩을 통한 상기 액체 저장소에 저장된 액체의 고의적인 배출을 촉진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선회축과 반대로 위치된 상기 플랩의 에지에 함몰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액체 저장소와 대면하고 있는 상기 덮개의 측면에 제 1 하프 파이프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프 파이프는 상기 액체 저장소에 형성된 제 2 하프 파이프와 함께 인입구에 인접한 완전 파이프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펀 트랩의 영역에서 배수관을 분할함으로써, 하나의 파이프 섹션에서 폐수를 더 확실하게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 섹션은 단순히 덮개를 제거함으로써 신속하고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다. 이는 인입구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폐색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약품 또는 다른 기계적 세척 기기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어떠한 공구도 사용하지 않고 폐색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하프 파이프 상의 단부 조인트와 분할 조인트는 밀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덮개는 원형으로 배열되며, 바람직하게는 바이요넷 캐치(bayonet catch)에 의해 상기 액체 저장소로 폐쇄된다. 상기 덮개와 하우징의 임의의 바람직한 성형이 가능하다. 이는 원형일 필요는 없다. 잠금 장치도 바이요넷 캐치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나사형 캡과 같은 다른 잠금 수단도 가능하다. 이는 공구 없이 사이펀 트랩의 단순한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액체 저장소는 침지 원리에 따라 워터 트랩으로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사이펀 트랩이 설치된 가구에서, 세면대 또는 싱크대 바로 아래에 사이펀 트랩을 더 이상 배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가구의 가구 본체에 별도로 배열된 서랍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또는 가구의 커버에 제거부(removed part)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사이펀 트랩은 가구 본체의 수직 직립 벽체중 하나에 고정된다. 특히, 이는 상기 가구 본체의 수직 직립 벽체의 리세스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펀 트랩은 특히 콤팩트하게 가구 본체에 배열되고, 이는 저장 공간을 절약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된 사이펀 트랩은 경량 가구 및/또는 이동식 주택, 캐러밴 또는 볼트(bolts), 즉 저장소 또는 가용 공간이 작고 가장 효율적인 저장 공간의 사용이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사이펀 트랩을 욕실 벽체 아래 또는 내부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가구의 일 변형예에 따르면, 폐쇄된 상태에서 사이펀 트랩의 플랩은 가용 공간과 대면하고 있는 가구 본체의 수직 직립 벽체의 일 측면과 특별히 콤팩트한 방식으로 동일 평면에 놓인다. 이 경우에서, 사출 요소에 의한 개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개방 장치는 폐쇄 방향으로 플랩을 가압함으로써 작동되며, 상기 플랩은 사용자가 손으로 완전히 개방하기 위해 그 뒷편을 편리하게 잡을 수 있는 방식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세척 과정에서 상기 플랩의 후방 영역으로부터 악취가 방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사이펀 트랩의 액체 저장소, 인입구 및 하나 이상의 배수구는 가구 본체의 수직 벽체 중 하나의 가용 공간을 외면하고 있는(face away)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되지 않는 사이펀 트랩의 배수 섹션은 플러그로 밀봉될 것이다. 또한, 배송시 배수구를 모두 밀봉하고, 밀봉 요소를 파손하여 필요한 배수구를 각각 밀봉해제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랩은 액체 저장소의 프레임에 선회용 핀(swivel pin)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플랩을 위한 다양한 다른 고정 수단도 가능하다.
다른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상기 사이펀 트랩의 액체 저장소, 인입구 및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는 가구 본체의 수직 벽체중 하나의 가용 공간으로부터 멀리 대면하고 있는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열된다. 이는 상기 사이펀 트랩이 2개의 인접하여 배치된 가구들 사이 또는 가구의 후방 벽체 뒤에 배열될 수 있도록 보장함으로써, 가구의 가용 공간 또는 저장 공간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펀 트랩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플랩이 폐쇄되거나, 부분 개방되거나, 완전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예 따른 사이펀 트랩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덮개가 제거된 사이펀 트랩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가구 벽체 속으로 들어간 도 1에 따른 사이펀 트랩의 실시예를 위에서 보고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수집조가 플랩 아래에 배치된 도 7의 사이펀 트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제거된 플랩 및 덮개와 함께 사이펀 트랩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정면으로부터 제거된 덮개와 함께 또는 제거된 덮개가 없는 사이펀 트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두 개의 가구 벽체들 사이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제 2 트랩을 가진 가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가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인입관 및 배수관이 연결된 사이펀 트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 하, 좌, 우, 전, 후 등과 같은 용어는 하기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사이펀 트랩 및 다른 부품의 위치와 각 도면에서 선택된 예시적 실시예와 배타적으로 관련된다. 이 용어들은 여느 한정적인 방식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이 참조 번호들은 다양한 작동 위치 또는 경면 대칭적 구성 등으로 인해 변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펀 트랩(1)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이펀 트랩(1)은 직접 또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연결 파이프 섹션(26)을 통해 베이신(24)에 연결될 수 있는 인입구(3)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신(24)은 주방용 가구에 설치되는 싱크대 또는 욕실용 가구에 설치되는 세면대로서 특별히 마련되었다. 상기 베이신(24)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패널 또는 조리대(25)에 완벽하게 내려앉을 수 있는 방식으로 특별히 마련되었다.
상기 인입구(3)는 사이펀 트랩(1)의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액체 저장소(2) 내에 개방되며, 상기 액체 저장소에는 인입구(3)를 통해 사이펀 트랩(1)에 도달한 미리 결정된 양의 액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양의 액체 저장소는 종래의 사이펀 트랩에서와 같이 워터 트랩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액체 저장소(2)로부터 하나 이상의 배수구(4)가 연장되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배수관(31)에 연결될 수 있는 두 개의 배수구(4,5)가 연장되어 있다. 각각 사용되지 않는 상기 배수구(4 또는 5)는 플러그(36)로 밀봉된다(도 10 참조).
액체 저장소가 S자형 파이프 섹션으로 배열되는 종래의 사이펀 트랩과는 달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사이펀 트랩(1)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가구 본체(30)의 수직 측벽(22)에 콤팩트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또한, 상기 액체 저장소(2)는 가능한 가장 간단한 방식으로 세척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액체 저정소(2)는 탈착가능한 덮개(1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도 11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10)는 원통형 액체 저장소(2)의 원형 전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치수로 되어 있다. 상기 덮개(10)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사이펀 트랩(1)의 프레임(6)과 상기 덮개(10)의 내부에는 스트립(18,19)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로써 상기 덮개(10)는 사이펀 트랩(1)의 프레임(6)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덮개(10)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덮개(10)는 덮개 표면의 원심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축을 중심으로 트위스트하게 되며, 그 후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사이펀 트랩(1)의 프레임(6)으로부터 들어올려지게 된다. 상기 액체 저장소(2)로부터 외면하고 있는(face away) 덮개(10)의 측면은 덮개(10)를 안정화하고 사용자에 의한 덮개(10)의 회전운동 수행이 용이하게 되도록 교차 부재(14)에 의해 보강된다.
도 6 및 도 9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0)의 내부에 하프 파이프(17)가 배열되며, 상기 하프 파이프(17)는 액체 저장소(2)에 형성된 제 2 하프 파이프(16)와 함께 인입구(3)에 인접한 완전 파이프를 형성한다. 이는 인입구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폐색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화학약품 또는 다른 기계적 세척 기기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상기 폐색물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펀 트랩(1)의 프레임(6)은 사각형이며, 바람직하게는, 프레임(6)의 외측 에지로부터 내측으로 약간 오프셋된 마운트(7)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17)는 가구 본체(30)의 측벽(22)의 리세스에 사이펀 트랩(1)을 상호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리세스는 마운트(7)의 치수에 대응한다. 한편, 상기 마운트(7)의 내부에 플랩(9)이 피벗가능하게 배열되며, 상기 플랩은 접힌 상태에서 덮개(10)를 덮는다. 상기 플랩(9)이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으로 연장하는 프레임(6)의 바닥면에 대해 평행한 영역으로 연장하도록 선회축이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랩(9)의 측벽들은 각각 회전 니플(15)에 의해 관통되며, 이로써 상기 플랩(9)은 마운트(7)에 피벗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마운트(7)에 플랩(9)을 록킹하기 위해, 상부 수평 에지에 가까운 플랩(9)의 측벽에 래칭(latching) 수단(12)이 제공되며, 상기 래칭 수단은 마운트(7)의 내부의 각 돌기(35)와 함께 래칭될 수 있다.
상기 플랩(9)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플랩(9)의 제 1 실시예에서, 플랩(9)의 선회축과 반대로 위치된 플랩(9)의 에지에 함몰부(11)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걸어 플랩(9)을 하방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함몰부는 사이펀 트랩(1)의 세척 프로세스에서 상기 플랩을 통한 폐수의 흐름을 안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세척 프로세스에서, 개방된 플랩(9) 아래의 가구 본체(30)의 플로어(21)에 수집조(2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집조는 덮개(10)가 개방되었을 때 액체 저장소(2)로부터 흘러나온 폐수를 수집하게 된다. 따라서, 가구의 내부 공간의 오염이 방지된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플랩(9')을 개방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코너 영역의 마운트(7) 내부에 탄발 기구(resilient ejection aids)(13)가 배열되며, 상기 탄발 기구는 플랩(9')이 폐쇄된 상태에서 플랩(9')의 내측에 안착되며, 플랩(9')의 외측면을 사용자가 압축하면 사이펀 트랩(1)의 프레임(6)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플랩(9')을 외측으로 외부 가압하게 된다. 사용자는 플랩(9')의 뒷면을 잡고 플랩(9')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플랩(9')은 하우징을 완전히 밀봉함으로써, 악취에 대한 시일을 형성한다. 악취는 이 영역의 지난 세척 프로세스의 잔여물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도 7, 도 8,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펀 트랩(1)은 가구 본체(30)의 수직 벽체(22) 중 하나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은 사이펀 트랩(1)의 프레임(6)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의 주위에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8)가 제공되며, 이로써 사이펀 트랩은 예를 들어 나사로 가구 본체(23)의 벽체(22)에 고정될 수 있다.
가구 본체(30)의 측벽(22)중 하나에 가장 콤팩트하게 사이펀 트랩(1)을 부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펀 트랩(1)은 가구 본체(30)의 수직 벽체(22) 중 하나의 리세스 내에 도입된다. 상기 보어(8)를 통한 나사 결합과 아울러, 상기 프레임(6)에 배열되어 프레임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 마운트(7)에 의해 상기 사이펀 트랩이 고정되며, 이때, 상기 마운트(7)의 외측 에지는 가구 벽체(22)의 리세스의 내측 에지에 가깝게 위치된다.
상기 사이펀 트랩의 플랩(9)이 덮개(10)를 해제하기 위해 이와 같이 편리하게 가구 본체의 가용 공간(32) 속으로 접힐 수 있으며, 상기 덮개(10)가 사이펀 트랩(1)의 세척을 위해 트위스트되어 개방된다는 것은 또 다른 구조상의 장점이다. 플랩(9)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플랩(9)은 가용 공간과 대면하고 있는 가구 본체(30)의 수직 벽체(22)의 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놓인다. 따라서, 상기 사이펀 트랩(1)은 물건들의 저장에 필요한 가구 본체(30)의 가용 공간(32)을 전혀 이용하지 않는다.
도 9는 하프 파이프(17)의 실링 그루브(37,38)를 특별히 도시하고 있다. 상기 실링 그루브(37,38) 내에 시일(미도시)이 삽입된다. 시일로 인하여, 두 개의 하프 파이프(16,17)로 이루어진 완전 파이프가 기밀 및 액밀 방식으로 밀봉된다. 실링 그루브(37)에 위치된 시일은 하프 파이프(16)의 실링면(39)을 밀봉한다. 덮개(10)의 실링 콘(cone)(40)은 덮개(10)의 실링면(41) 및 액체 저장소(2)의 실링면(42)과 함께 액체 저장소(2)를 밀봉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사이펀 트랩은 서로 나란하게 인접하거나 앞뒤에 배치되어 별도의 가용 공간(29,32)을 구비한 가구 본체(30)의 일부인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수직 벽체(22,34) 사이의 중간 공간(33)에 배열된다. 사이펀 트랩(1)의 액체 저장소(2), 인입구(3) 및 하나 이상의 배수구(4)가 가구 본체(30)의 두 개의 가용 공간(29,32) 사이에 배열됨으로써, 가구의 가치 있는 가용 공간을 전혀 이용하지 않는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펀 트랩의 인입구(3)에 연결된 인입관(26)은 수개의 소오스로부터의 폐수가 사이펀 트랩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입관(26)은 식기세척기 또는 세탁기가 연결될 수 있는 다른 연결구(27,28)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들의 폐수가 상기 연결구(27,28)를 통해 사이펀 트랩으로 도입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2는 또한 베이신(24)으로부터 인입관(26)을 통해 사이펀 트랩(1)으로, 그리고 사이펀 트랩으로부터 배수관(31)으로 흐르는 폐수의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 폐수가 사이펀 트랩(1)에 도달하면, 상기 폐수는 인입구(3)로부터 두 개의 하프 파이프(16,17)로 이루어진 완전 파이프를 통해 액체 저장소(2)의 바닥 영역으로 안내된다. 상기 액체 저장소(2)의 바닥 영역으로부터 폐수가 측방향으로 상부까지 차올라 폐수의 수위가 배수구(4) 또는 배수구(4,5)의 높이에 도달하면, 거기서부터 폐수는 배수관(31)으로 흐르게 된다.
1: 사이펀 트랩
2: 액체 저장소
3: 인입구
4,5: 배수구
6: 프레임
7: 마운트
8: 보어
9,9': 플랩
10: 덮개
11: 함몰부
12: 래칭 수단
13: 탄발 기구
14: 교차 부재
15: 회전 니플
16,17: 하프 파이프
18,19: 스트립
20: 수집조
21: 플로어
22: 벽체
23: 가구 본체
24: 베이신
25: 조리대
26: 인입관
27,28: 연결구
29,32: 가용 공간
30: 가구 본체
31: 배수관
33: 중간 공간
34: 벽체
35: 돌기
36: 플러그
37,38: 실링 그루브
39,41,42: 실링면
40: 실링 콘

Claims (17)

  1. 베이신(basin,24)에 연결되는 사이펀 트랩(siphon trap)(1)으로서,
    액체 저장소(2);
    상기 베이신(24)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인입구(3); 및
    배수관(31)에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배수구(drain,4)를 포함하는 사이펀 트랩(1)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소(2)는, 당해 액체 저장소(2) 내에 배열되고 상기 인입구(3)를 연장하며 두 개 이상의 하프 파이프(16,17)로 이루어진 완전(full) 파이프에 대해 접근이 가능한 방식으로, 개방가능하게 배열되며,
    상기 액체 저장소(2)가 탈착가능한 덮개(lid,10)에 의해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액체 저장소(2)와 대면하고 있는 상기 덮개(10)의 측면상에 제 1 하프 파이프(17)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하프 파이프는 상기 액체 저장소(2)에 형성된 제 2 하프 파이프(16)와 함께 상기 인입구(3)에 연결되는 완전 파이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펀 트랩.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소(2)가 프레임(6)에 의해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펀 트랩.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를 덮는 플랩(9)이 상기 프레임(6)에 피벗가능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펀 트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9)의 선회축(swivel axis)은, 상기 사이펀 트랩(1)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6)의 바닥 수평면에 평행한 영역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펀 트랩.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축에 대향하는 상기 플랩(9)의 에지에 함몰부(depression,11)가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펀 트랩.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는 원형(circular) 구조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펀 트랩.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0)와 상기 액체 저장소(2)는 바이요넷 캐치(bayonet catch)(18,19)에 의해 서로 록킹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펀 트랩.
  10. 베이신이 위 또는 내부에 배열된 가구 본체(30)를 포함하는 가구에 있어서,
    상기 베이신(24)에 연결될 수 있는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사이펀 트랩(1)이 상기 가구 본체(30)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 트랩(1)이 상기 가구 본체(30)의 수직 벽체(22) 중 하나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 트랩(1)이 상기 가구 본체(30)의 수직 벽체(22) 중 하나의 리세스(recess) 내에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 트랩(1)의 플랩(9)이 상기 가구 본체(30)의 베이스 패널(21) 방향에 있어서 상방향으로(upwardly)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 트랩(1)의 플랩(9)이 폐쇄된 상태에서 가용 공간(useful space)과 대면하고 있는 상기 가구 본체(30)의 수직 벽체(22)의 측면과 동일 평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 트랩(1)의 상기 액체 저장소(2), 상기 인입구(3)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배수구(4)는 상기 가구 본체(30)의 수직 벽체(22) 중 하나의 가용 공간(32)을 외면하고 있는(face away) 측면(33)으로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 본체(30)는, 서로 분리된 가용 공간(29,32)의 두 개 이상의 서로 이격된 수직 벽체(22,34)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벽체(22,34)는 서로 나란하게 또는 앞뒤로 배치되며,
    상기 사이펀 트랩(1)의 상기 액체 저장소(2), 상기 인입구(3)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4)는 상기 가구 본체(30)의 두 개의 가용 공간(29,32) 사이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신(24)는 싱크대 또는 세면대(wash bas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펀 트랩.
KR1020117028755A 2009-04-30 2010-04-14 가구의 사이펀 및 아이템 KR101629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9004764U DE202009004764U1 (de) 2009-04-30 2009-04-30 Siphon und Möbel
DE202009004764.4 2009-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693A KR20120024693A (ko) 2012-03-14
KR101629916B1 true KR101629916B1 (ko) 2016-06-13

Family

ID=4229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755A KR101629916B1 (ko) 2009-04-30 2010-04-14 가구의 사이펀 및 아이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425064B1 (ko)
JP (1) JP5597845B2 (ko)
KR (1) KR101629916B1 (ko)
CN (1) CN102414375B (ko)
AU (1) AU2010243797B2 (ko)
DE (1) DE202009004764U1 (ko)
RU (1) RU2532030C2 (ko)
WO (1) WO20101249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0607B1 (de) 2016-06-21 2020-01-29 Geberit International AG Siphon
CN111954742A (zh) * 2018-03-29 2020-11-17 吉博力国际股份公司 虹吸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424A (ja) * 1999-09-02 2001-03-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キャビネット内におけるシンク用の排水管の配設構造
KR200305387Y1 (ko) * 2002-12-07 2003-02-25 장충삼 배수용 트랩
AT410812B (de) 2001-10-16 2003-08-25 Bartosek Edward Anordnung zur aufnahme von anschluss- und ableitungselemente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1266U (ja) * 1982-01-26 1983-07-29 永大産業株式会社 水槽付キヤビネツト
DE3434713A1 (de) * 1984-09-21 1986-04-03 Dahn, Eckard Sanitaere installationsvorrichtung
DE3931226A1 (de) * 1989-09-19 1991-03-28 Plekat Martin Waschtisch-konsole fuer wasch- oder spuelbecken
FR2791371A1 (fr) * 1999-03-23 2000-09-29 Apageo Segelm Sa Dispositif obturateur gonflable perfectionne pour forage
FR2791372B1 (fr) * 1999-03-26 2001-05-25 Wirquin Plastiques Sa Bonde siphoide
DE29910426U1 (de) * 1999-06-15 1999-08-05 Franz Viegener Ii Gmbh & Co Kg Geruchverschluß für Haushaltsgeräte
JP4027663B2 (ja) * 1999-10-04 2007-12-26 ネクター セラピューティックス エイエル,コーポレイション ポリマー安定化神経ペプチド
RU2219314C2 (ru) * 2002-02-08 2003-12-20 Соколов Виктор Алексеевич Сифон сантехнический
US7107834B2 (en) * 2004-11-12 2006-09-19 Mks Instruments, Inc. Thermal mass flow rate sensor including bypass passageways and a sensor passageway having similar entrance effects
US7107634B1 (en) * 2005-12-08 2006-09-19 Shamrock Research & Developmen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 conduit
CN201099894Y (zh) * 2007-08-28 2008-08-13 曾贵贤 自闭式防虹吸存水弯
RU77302U1 (ru) * 2008-02-28 2008-10-20 Андр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Васенин Раковина лагуна
CN201217829Y (zh) * 2008-06-16 2009-04-08 田渝生 虹吸式存水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3424A (ja) * 1999-09-02 2001-03-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キャビネット内におけるシンク用の排水管の配設構造
AT410812B (de) 2001-10-16 2003-08-25 Bartosek Edward Anordnung zur aufnahme von anschluss- und ableitungselementen
KR200305387Y1 (ko) * 2002-12-07 2003-02-25 장충삼 배수용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532030C2 (ru) 2014-10-27
AU2010243797A1 (en) 2011-10-27
DE202009004764U1 (de) 2010-09-16
CN102414375B (zh) 2015-05-13
CN102414375A (zh) 2012-04-11
JP2012525515A (ja) 2012-10-22
JP5597845B2 (ja) 2014-10-01
AU2010243797B2 (en) 2015-12-10
RU2011148291A (ru) 2013-06-10
EP2425064A1 (de) 2012-03-07
KR20120024693A (ko) 2012-03-14
WO2010124931A1 (de) 2010-11-04
EP2425064B1 (de)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3100C (en) Dishwasher and a water tank adapted for a dishwasher
KR102288029B1 (ko) 세면대 하부장
US20140366263A1 (en) Sinks with concealable internals and spaces using the same
KR101629916B1 (ko) 가구의 사이펀 및 아이템
KR100550853B1 (ko) 식기세척기용 다기능 세척수 공급 패널
KR101545314B1 (ko)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
KR20120034454A (ko) 싱크대 배수구 마개와 거름망
KR100714302B1 (ko) 배수통 세척기
KR101162029B1 (ko) 머리카락 수거용 필터를 구비한 배수장치
JP2003301491A (ja) 排水配管
KR101422804B1 (ko) 배수 트랩
KR20090033570A (ko) 배수 트랩을 포함하는 싱크대
JP3558186B2 (ja) 洗濯機の給排水設備を備えたキャビネット
KR200187708Y1 (ko) 폐식용유 수거함
KR200368152Y1 (ko) 씽크대용 걸름통장치
JP2006312114A (ja) ドラフトチャンバにおけるシンク装置
JPH08158443A (ja) 流し台
JPH11107341A (ja) 洗面化粧台の排水構造
NL1021226C2 (nl) Geïntegreerd zeefsysteem.
JP2892310B2 (ja) エルボ付溜め桝
RU2698791C1 (ru) Моечная машина корытного типа
KR200371721Y1 (ko) 씽크대용 배수장치
KR101701371B1 (ko) 화장실의 공간활용과 세척물이 없이 소변의 배수 및 악취가 방지되는 가정용 소변기
KR20100012236A (ko) 배수구 개폐장치
KR200479218Y1 (ko) 걸레받이를 갖춘 청소도구 세척통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