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890B1 - 배수트랩 - Google Patents

배수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890B1
KR101058890B1 KR1020090073415A KR20090073415A KR101058890B1 KR 101058890 B1 KR101058890 B1 KR 101058890B1 KR 1020090073415 A KR1020090073415 A KR 1020090073415A KR 20090073415 A KR20090073415 A KR 20090073415A KR 101058890 B1 KR101058890 B1 KR 101058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drain trap
hollow
blocking plat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5952A (ko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박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수 filed Critical 박명수
Priority to KR1020090073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8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8Odour seals consisting only of non-return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8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bell siph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7House plumbing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1000)은 몸체부(100)의 지지부(103)의 개방부(1058)를 막는 막음통체(115)를 가지며 상기 막음통체(115)의 하부에는 수압유출부(150)가 설치된다.
배수트랩, 연결, 확장

Description

배수트랩{Drain trap}
본 발명은 배수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효율적으로 방취 및 방충이 가능하고, 다양한 크기의 배수파이프에 장착이 가능하며, 또한 연결파이프 또는 호스 등과 쉽게 연결이 가능한 배수트랩에 관한 것이다.
배수트랩은 배수구 또는 하수공 등에 장착되어 물의 역류를 막고 악취를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배수트랩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존재하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것 중에서 악취를 완전히 막을 수 있는 것은 없다. 이것은 배수트랩에서 현실적으로 틈이 존재하며 이를 통하여 악취가 올라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악취를 막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도 완전히 악취를 막지는 못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가적인 다양한 방법으로 악취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한편으로, 하수공 등의 경우 이를 통하여 모기 등의 해충이 올라오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서 이들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틈을 막고 다양한 방법으로 악취를 차단하면서 동시에 방충 이 가능하다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 한편으로 배수구, 하수공 등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크기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나아가서, 연결파이프 또는 호스 등과 쉽게 연결이 가능하다면 그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증대되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효율적으로 틈을 막으며 동시에 방취 및 방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트랩을 다양한 크기의 배수파이프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연결파이프 또는 호스 등과 쉽게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각각 상면개방부와 하면개방부를 형성하고, 이들 상면개방부 및 하면개방부가 연통된 중공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의 주위를 둘러 주변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위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공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중공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물의 압력이 통과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개방부를 막는 막음판이 형성된 막음판부재와; 상기 막음판부재가 상기 지지부의 개방부를 막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 개방부를 통하여 유입된 수압이 상기 막음판부재를 가압하면 상기 막음판부재가 하방으로 이동하 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지지부와 상기 막음판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실링부재와; 상기 몸체부 주위를 둘러 장착되는 외부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내부실링부재 및 외부실링부재는 링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내부실링부재는 상기 막음판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환형의 홈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내부실링은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막음판부재는 상면이 폐쇄되고 하면은 개방되며 내부는 공동인 통체형상의 막음통체이며; 상기 막음통체의 상면의 내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막음통체의 하부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주변의 주변부로서 상기 몸체부의 하면개방부를 막는 주변막음부를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인입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는 수압이 유출되는 수압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면에는 상기 수압유출구와 연통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수압유출부가 설치되고; 이때 상기 수압유출부의 상기 돌출부의 주위를 둘러 상기 막음통체의 측면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장착되는 스프링부재 또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호간에 척력을 일으키도록 배치되는 자석부재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의 지지부의 상측에는 방취필터와 방충망이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의 지지부 상측에는 방취필터 받침대가 놓치고 그 상면에는 방취필터가 놓이고 그 상면에는 방충망이 놓인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중공부로부터 외부와 연통하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각각 상면개방부와 하면개방부를 형성하고, 이들 상면개방부 및 하면개방부가 연통된 중공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의 주위를 둘러 주변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위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공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중공부의 중앙을 향하여 균일한 곡률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물의 압력이 통과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개방부를 막는 것으로서 그 상면은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고 실링재질로 이루어지는 막음판부재와; 상기 막음판부재가 상기 지지부의 개방부를 막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 개방부를 통하여 유입된 수압이 상기 막음판부재를 가압하면 상기 막음판부재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몸체부 주위를 둘러 장착되는 외부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장착되는 스프링부재 또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호간에 척력을 일으키도록 배치되는 자석부재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의 지지부의 상측에는 방취필터와 방충망이 놓이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의 지지부 상측에는 방취필터 받침대가 놓치고 그 상면에는 방취필터가 놓이고 그 상면에는 방충망이 놓인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중공부로부터 외부와 연통하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나아가서,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이들이 연통된 중공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중공부에 배수트랩이 놓이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의 주위를 둘러 주변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위부와; 상기 몸체부 주위를 둘러 장착되는 외부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의 배수구 확장 어댑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실링부재는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중공부로부터 외부와 연통하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 홀은 몸체부의 주위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더욱 나아가서, 배수트랩의 상부중공내면의 나사부와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하부는 개방된 하부몸체부와; 상기 하부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호스 또는 파이프의 내경이 그 외주를 덮도록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돌출부의 상면은 개방되어 상기 하부몸체부의 하부개방부와 연통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의 연결캡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하부몸체부의 상기 돌출부의 주위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배수트랩의 상부중공내면의 나사부와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하부는 개방된 하부몸체부와; 상기 하부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그 외주를 둘러 나사부가 형성된 돌출부와; 이때 상기 돌출부의 상방은 개방되어 상기 하부몸체부의 하부개방부와 연통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며, 호스 또는 파이프가 상기 돌출부의 상면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중공부로 인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주나사부에 결합되는 나사부가 내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호스 또는 파이프가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된 밀폐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의 연결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중공부에는 실링 개스킷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의 중공부의 상측내면에는 연결캡의 외부나사부와 결합하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효율적으로 틈을 막으며 동시에 방취 및 방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트랩 확장어댑터를 제공하여 배수트랩을 다양한 크기의 배수파이프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연결캡을 제공하여 배수트랩을 연결파이프 또는 호스 등과 쉽게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1000)을 보인다.
우선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1000)은 몸체부(100)를 가진다. 상기 몸체부(10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각각 상면개방부(181)와 하면개방부(184)를 형성하고 이들이 연통되어 중공부(188)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상부에서 그 주위를 둘러 주변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위부(103)를 가진다. 상기 주위부(103)는 배수구, 하수공 또는 파이프 등에 장착될 때 배수트랩(1000)을 이들의 상면에 걸쳐져 놓이게 한다.
상기 몸체부(100)의 중공부에는 지지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05)는 상기 몸체부(100)의 중공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중공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그 중앙에는 개방부(1058)가 형성되어 수압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지지부(105)의 아래에는 막음판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05)의 개방부(1058)를 막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막음판부재는 상면이 폐쇄되고 하면은 개방되며 내부는 공동인 통체형상의 막음통체(115)가 제공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막음판부재인 막음통체(115)가 상기 지지부(105)의 개방부(1058)를 막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부재(109)가 제공되고, 또한 상기 몸체부(100)의 상면 개방부(1058)를 통하여 유입된 수압이 상기 막음통체(115)를 가압하면 상기 막음통체(115)를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재(116)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막음통체(115)의 상면의 내면의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재(116)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상기 막음통체(115)의 하부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58)와 상기 돌출부 주변의 주변부로서 상기 몸체부(100)의 하면개방부(184)를 막는 주변막음부(153)를 가지는 수압유출부(15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수압유출부(150)는 상기 주변막음부(153)의 주위를 둘러 상부로 연장된 측면부(154)를 더욱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158)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16)가 인입되는 관통부(159)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58)의 측면에는 수압이 유출되는 수압유출구(156)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58)의 하면에는 상기 수압유출구(156)와 연통된 개방부(1568)가 형성된다. 상기 수압유출구(156)는 네모, 원형, 세모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막음통체(115)는 그 측면부가 상기 수압유출부(150)의 돌출부(158)를 가운데 두어, 그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가압부재(109)는 스프링부재로서 상기 막음통체(115)와 상기 수압유출부의 돌출부(158)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부재(116)에 장착된다.
다른 경우, 상기 가압부재는 두 개의 대향되는 자석(미도시)으로서 상호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막음통체(115)와 상기 수압유출부의 돌출부(158)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부재(116)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109)는 상기 막음판부재인 막음통체(115)를 상부로 밀어 상기 막음통체(115)의 상면이 상기 지지부(105)의 개방부(1058)를 막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가압부재(109)는 반드시 상기 막음통체(115)와 상기 수압유출부(150)의 사이에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막음통체(115)를 상부로 밀수 있도록 배치되면 족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지지부(105)와 상기 막음판부재인 막음통체(115)의 사이에는 내부실링부재(3)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109)가 상기 막음통체(115)를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막음통체(115)의 상면이 상기 지지부(105)의 개방부(1058)를 견고하게 막는 상황에서 그 사이에 실링부재(3)가 배치되어 지지부(105)와 막음통체(115)사이의 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이에 따라 하부에서 올라오는 악취가 상부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내부실링부재(3)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연성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지지부(105)와 상기 막음통체(115)의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틈을 차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실링부재(3)는 링 형태의 것이 제공되고 상기 막음통체(115)의 상면에 환형으로 형성된 홈(1153)에 장착된다.
다른 경우, 상기 내부실링부재(3)는 전술한 연성재질로 이루어진 판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100)의 주위를 둘러 외부실링부재(30)가 장 착된다.
이것은 하수공, 파이프, 배수구 등에 놓였을 때 이들 하수공, 파이프, 배수구 등의 내면과의 사이의 틈을 통하여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실링부재(30)는 링 형태의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100)의 주위를 둘러 형성되는 홈(38)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100)의 지지부(105)의 상측에는 방취필터(13)와 방충망(14)이 놓이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몸체부(100)의 지지부(105)의 상측에는 그 중공부의 내면을 둘러 단부(102)가 형성되고 여기에 방취필터 받침대(12)가 놓이며, 그 상부에 방취필터(13)가 놓이고 다시 그 상부에 방충망(14)이 놓인다.
상기 방취필터(13)는 하부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인데, 카본필터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방취필터(13)는 수압이 들어오는 경우 하부로 쳐질 수 있어 상기 방취필터받침대(12)를 두어 쳐지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100)에는 그 중공부(188)로부터 외부와 연통하는 드레인 홀(101)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배수트랩(1000)이 하수공, 배수구, 파이프 등에 놓였을 때 이들 하수공, 배수구, 파이프 등으로 인입되어 내부로 흐르는 물이 상기 드레인 홀(101)을 통하여 배수트랩(1000)의 중공부(188)로 유입되어, 하부로 흘러갈 수 있다.
도 2의 (a)와 (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수공, 배수구 또는 파이프 등에 장 착된 상기 배수트랩(1000)에 대하여 상부개방부(181)를 통하여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상기 지지부(105)의 개방부(1058)를 막는 막음통체(115)를 하부로 밀어내며, 이에 따라, 상기 수압이 상기 개방부(1058)를 통과하여 하부로 유출된다.
이렇게 유출되는 수압은 우선적으로 상기 수압유출부(150)의 돌출부(158)의 주변부로 유입되어 차오르다, 그 높이가 상기 돌출부(158)의 수압유출구(156)에 이르면 이를 통과하여 상기 돌출부(158) 하부의 개방부를 통하여 유출된다.
이 경우, 상기 막음통체(115)의 측면부와 수압유출부(150)의 돌출부(158)는 일종의 U자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악취를 또한 효과적으로 방취하게 된다.
이후 수압의 유입이 멈추면 상기 가압부재(109)는 상기 막음통체(115)를 다시 상부로 밀어 상기 지지부(105)의 개방부(1058)를 막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지지부(105)와 막음통체(115)의 사이에 내부실링부재(3)를 배치하고, 상기 막음통체(115)는 가압부재(109)에 의하여 상부로 가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막음통체(115)가 상기 지지부(105)의 개방부(1058)를 견고하게 막으면서, 지지부(105)와 막음통체(115)의 사이의 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악취가 올라오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막음통체(115)와 상기 수압유출부(150)는 일종의 U자관 역할을 하게 되어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몸체부(100)의 외부를 둘러 외부실링부재(30)를 장착하여 하수공, 파이프, 배수구 등의 내면과의 사이의 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이를 통하여 악취가 올라 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몸체부(100)의 상기 주위부(103)의 하부에 드레인 홀(101)을 형성하여 하수공, 파이프, 배수구의 내면으로 흘러드는 물을 상기 배수트랩(1000)의 내부로 유도하여 이후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서, 방취필터(13)를 제공하여 잔여 악취를 제거하며 또한 방충망(14)을 설치하여 모기 등의 해충이 올라오는 것을 막는다. 이때, 방취필터받침대(12)를 제공하고 그 상면에 방취필터(13)를 적층하여 방취필터(13)가 쳐지지 않고 제 자리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방취필터받침대(12), 방취필터(13) 및 방충망(14)은 그 중앙에 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호스 등이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2000)을 보인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200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각각 상면개방부(281)와 하면개방부(284)를 형성하고 이들이 연통되어 중공부(288)가 형성되는 몸체부(200)를 가진다.
상기 몸체부(200)는 상부에서 그 주위를 둘러 주변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위부(203)를 가져 배수구, 하수공 또는 파이프 등에 장착될 때 배수트랩(2000)을 이들의 상면에 걸쳐져 놓이게 한다.
상기 몸체부(200)의 중공부에는 상기 몸체부(200)의 중공부(288)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중공부(288)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205)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205)는 바퀴형상으로서 중앙에 관통부(2056)가 형성 되고 있으며, 이러한 바퀴형상의 지지부(205)의 살부(2051)의 사이에는 수압이 통과하는 개방부(2058)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지지부(205)의 아래에는 막음판부재(215)가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205)의 개방부(2058)를 막는다.
상기 막음판부재(215)의 상부에는 상부로 연장된 가이드부재(216)가 설치되며, 이러한 가이드부재(216)는 상기 지지부(205)의 관통부(2056)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상부에 캡(8)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수압이 상기 지지부(205)의 개방부(2058)를 통과하여 상기 막음판부재(215)를 가압하면 상기 막음판부재(215)는 상기 가이드부재(216)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막음판부재(215)가 상기 지지부(205)의 개방부(2058)를 막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부재(209)가 제공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가압부재(209)는 스프링부재(209)로서 상기 캡(8)과 상기 막음판부재(215)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부재(216)에 장착된다.
다른 경우, 상기 가압부재는 두 개의 대향되는 자석(219a)(219b)으로서 상호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캡(8)과 상기 막음판부재(215)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부재(216)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 참조)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가압부재(209)는 상기 막음판부재(215)를 상부로 밀수 있도록 배치되면 족하다. 따라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부재(216)가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하부에는 중공부(288)의 내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수압이 유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216)가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된 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막음판부재(215)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가이드부재(216)에 가압부재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지지부(205)와 상기 막음판부재(215)의 사이에는 내부실링부재(3)가 장착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판 형태의 실링부재(33)가 장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209)가 상기 막음판부재(215)를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막음판부재(215)의 상면이 상기 지지부(205)의 개방부(2058)를 견고하게 막는 상황에서 그 사이에 실링부재(33)가 배치되어 지지부(205)와 막음판부재(215)사이의 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며, 이에 따라 하부에서 올라오는 악취가 상부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내부실링부재(33)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연성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지지부(205)와 상기 막음판부재(215)의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틈을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200)의 주위를 둘러 외부실링부재(30)가 장착되어, 하수공, 파이프, 배수구 등에 놓였을 때 이들 하수공, 파이프, 배수구 등의 내면과의 사이의 틈을 통하여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실링부재(30)는 링 형태의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100)의 주위를 둘러 형성되는 홈(38)에 장착된다.
상기 몸체부(200)의 지지부(205)의 상측에는 그 중공부의 내면을 둘러 단 부(202)가 형성되고 여기에 방취필터 받침대(12)가 놓이며, 그 상부에 방취필터(13)가 놓이고 다시 그 상부에 방충망(14)이 놓인다.
상기 방취필터(13)는 하부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인데, 카본필터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200)에는 그 중공부(288)로부터 외부와 연통하는 드레인 홀(201)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배수트랩(2000)이 하수공, 배수구, 파이프 등에 놓였을 때 이들 하수공, 배수구, 파이프 등으로 인입되어 내부로 흐르는 물이 상기 드레인 홀(201)을 통하여 배수트랩(2000)의 중공부(288)로 유입되어, 하부로 흘러갈 수 있다.
도 4의 (a)와 (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수공, 배수구 또는 파이프 등에 장착된 상기 배수트랩(2000)에 대하여 상부개방부(281)를 통하여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상기 지지부(205)의 개방부(2058)를 막는 막음판부재(215)를 하부로 밀어내며, 이에 따라, 상기 수압이 상기 개방부(2058)를 통과하여 하부로 유출되며 이후 몸체부(200)의 하면개방부(284)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어진다.
이후 수압의 유입이 멈추면 상기 가압부재(209)는 상기 막음판부재(215)를 다시 상부로 밀어 상기 지지부(205)의 개방부(2058)를 막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지지부(205)와 막음판부재(215)의 사이에 판형태의 내부실링부재(33)를 배치하고, 상기 막음판부재(215)는 가압부재(209)에 의하여 상부로 가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막음판부 재(215)가 상기 지지부(205)의 개방부(2058)를 견고하게 막으면서, 지지부(205)와 막음판부재(215) 사이의 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악취가 올라오지 않도록 한다.
또한 몸체부(200)의 외부를 둘러 외부실링부재(30)를 장착하여 하수공, 파이프, 배수구 등의 내면과의 사이의 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이를 통하여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몸체부(200)의 상기 주위부(203)의 하부에 드레인 홀(201)을 형성하여 하수공, 파이프, 배수구의 내면으로 흘러드는 물을 상기 배수트랩(2000)의 내부로 유도하여 이후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서, 방취필터(13)를 제공하여 잔여 악취를 제거하며 또한 방충망(14)을 설치하여 모기 등의 해충이 올라오는 것을 막는다. 이때, 방취필터받침대(12)를 제공하고 그 상면에 방취필터(13)를 적층하여 방취필터(13)가 쳐지지 않고 제 자리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방취필터받침대(12), 방취필터(13) 및 방충망(14)은 그 중앙에 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호스 등이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3000)을 보인다.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3000)은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각각 상면개방부(381)와 하면개방부(384)를 형성하고 이들이 연통되어 중공부(388)가 형성되는 몸체부(300)를 가진다.
상기 몸체부(300)는 상부에서 그 주위를 둘러 주변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위부(303)를 가져 배수구, 하수공 또는 파이프 등에 장착될 때 배수트랩(3000)을 이 들의 상면에 걸쳐져 놓이게 한다.
상기 몸체부(300)의 중공부에는 상기 몸체부(300)의 중공부(388)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중공부(388)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305)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지지부(305)는 상기 몸체부(300)의 중공부(388)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중공부(388)의 중앙을 향하여 균일한 곡률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물의 압력이 통과하는 개방부(3058)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305)는 바퀴형상으로서 중앙에 관통부(3056)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바퀴형상의 지지부(305)의 살부(3051)의 사이에 상기 개방부(3058)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지지부(305)의 하면에는 그 상면(3153)은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고 실링재질로 이루어지는 막음판부재(315)가 설치된다.
즉 상기 막음판부재(315)는 상기 지지부(305)의 곡률을 따른 형상을 그 상면(3153)이 가지고 있으면서, 그 재질은 실링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막음판부재(315)의 상부에는 상부로 연장된 가이드부재(316)가 설치되며, 이러한 가이드부재(316)는 상기 지지부(305)의 관통부(3056)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그 상부에 캡(8)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수압이 상기 지지부(305)의 개방부(3058)를 통과하여 상기 막음판부재(315)를 가압하면 상기 막음판부재(315)는 상기 가이드부재(316)를 따라 하방으 로 이동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막음판부재(315)가 상기 지지부(305)의 개방부(3058)를 막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부재(309)가 제공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가압부재(309)는 스프링부재(209)로서 상기 캡(8)과 상기 막음판부재(315)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부재(316)에 장착된다.
다른 경우, 상기 가압부재는 두 개의 대향되는 자석으로서 상호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캡(8)과 상기 막음판부재(315)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부재(316)에 장착될 수 있다. (미도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가압부재(309)는 상기 막음판부재(315)를 상부로 밀수 있도록 배치되면 족하다. 따라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이드부재(316)가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하부에는 중공부(388)의 내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수압이 유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316)가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된 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막음판부재(315)와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가이드부재(316)에 가압부재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309)가 상기 막음판부재(315)를 상부로 가압하여 상기 막음판부재(315)의 상면(3153)이 상기 지지부(305)의 개방부(3058)를 견고하게 막는 상황에서, 상기 막음판부재(315)는 상기 지지부(305)의 곡률을 따른 형상을 하고 또한 연성의 실링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지지부(305)의 하면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본 발명에 따라 지지부(305)를 곡률형상으로 하고, 이에 상응하여 막음판부 재(315)도 곡률형상으로 하는 경우, 연성의 실리콘 재질로 막음판부재(315)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만일 막음판부재가 판 형상 등을 가지는 경우, 만일 그 재질이 실링재질과 같은 연성재질인 경우 변형이 쉽게 발생하여 지지부와의 사이에서 틈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막음판부재(315)를 곡률로 하는 경우 전체의 곡률형상을 유지하려고 하며 이에 따라 강도가 개선되어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또한 지지부(305)의 하면에 밀착이 되어 틈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하부에서 올라오는 악취가 상부로 올라가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200)의 주위를 둘러 외부실링부재(30)가 장착되어, 하수공, 파이프, 배수구 등에 놓였을 때 이들 하수공, 파이프, 배수구 등의 내면과의 사이의 틈을 통하여 악취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실링부재(30)는 링 형태의 것으로서 상기 몸체부(300)의 주위를 둘러 형성되는 홈(38)에 장착된다.
상기 몸체부(300)의 지지부(305)의 상측에는 그 중공부의 내면을 둘러 단부(302)가 형성되고 여기에 방취필터 받침대(12)가 놓이며, 그 상부에 방취필터(13)가 놓이고 다시 그 상부에 방충망(14)이 놓인다.
상기 방취필터(13)는 하부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인데, 카본필터가 사용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몸체부(300)에는 그 중공부(388)로부터 외부와 연통하는 드레인 홀(301)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상기 배수트랩(3000)이 하수공, 배수구, 파이프 등에 놓였을 때 이들 하수공, 배수구, 파이프 등으로 인입되어 내부로 흐르는 물이 상기 드레인 홀(301)을 통하여 배수트랩(3000)의 중공부(388)로 유입되어, 하부로 흘러갈 수 있다.
도 7의 (a)와 (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수공, 배수구 또는 파이프 등에 장착된 상기 배수트랩(3000)에 대하여 상부개방부(381)를 통하여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상기 지지부(305)의 개방부(3058)를 막는 막음판부재(315)를 하부로 밀어내며, 이에 따라, 상기 수압이 상기 개방부(3058)를 통과하여 하부로 유출되며 이후 몸체부(300)의 하면개방부(384)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어진다.
이후 수압의 유입이 멈추면 상기 가압부재(309)는 상기 막음판부재(315)를 다시 상부로 밀어 상기 지지부(305)의 개방부(3058)를 막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지지부(305)를 곡률로 하고 이에 대응하여 막음판부재(315)의 상면을 동일한 곡률로 하며, 또한 상기 막음판부재(315)의 재질을 실링재질로 하고, 이러한 막음판부재(315)를 가압부재(309)에 의하여 상부로 가압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막음판부재(315)가 상기 지지부(305)의 하부와 견고하게 밀착되어 상기 개방부(3058)를 견고하게 막으면서, 지지부(305)와 막음판부재(315) 사이의 틈을 발생시키지 않아 악취가 올라오지 않도록 한다.
또한 몸체부(300)의 외부를 둘러 외부실링부재(30)를 장착하여 하수공, 파이프, 배수구 등의 내면과의 사이의 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이를 통하여 악취가 올라 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몸체부(300)의 상기 주위부(303)의 하부에 드레인 홀(301)을 형성하여 하수공, 파이프, 배수구의 내면으로 흘러드는 물을 상기 배수트랩(3000)의 내부로 유도하여 이후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서, 방취필터(13)를 제공하여 잔여 악취를 제거하며 또한 방충망(14)을 설치하여 모기 등의 해충이 올라오는 것을 막는다. 이때, 방취필터받침대(12)를 제공하고 그 상면에 방취필터(13)를 적층하여 방취필터(13)가 쳐지지 않고 제 자리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방취필터받침대(12), 방취필터(13) 및 방충망(14)은 그 중앙에 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호스 등이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전술한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의 변형으로서 지지부(315')와 막음판부재(315')의 곡률이 전술한 경우와 반대방향으로 형성되고 있다.
도 9 및 도 10은 배수트랩의 연결캡(400)을 보인다. 즉 하수공, 파이프, 배수관 등과 같은 곳(P)에 설치된 배수트랩(2000)에 대하여, 이와 연결되어 배관, 호스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캡(400)을 보이는 것이다.
이 경우,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2000)이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는데, 다른 종류의 것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배수트랩(2000)은 그 상부중공부의 내면에는 나사부(207)가 형성되는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캡(400)의 하부몸체부(430)의 주위부에도 나사부(437)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몸체부(430)의 상방에는 돌출부(460)가 형성되어 호스 또는 파이프의 내경이 그 외주를 덮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460)의 상면은 개방되어 상기 하부몸체부(430)의 하부개방부(438)와 연통되어 중공부(488)를 형성하게 된다. 도시부호 401은 실링개스킷을 가리킨다.
이러한 경우, 도 10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상기 하부몸체부(430)의 상기 돌출부(460)의 주위에는 상기 하면개방부(438)와 연통되는 배수구(438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배수트랩(2000)은 예를 들어 세탁기가 놓인 세탁실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에 설치되고, 이러한 배수트랩(2000)에 전술한 연결캡(400)을 설치한다. 세탁기의 배수호스를 상기 돌출부(460)에 끼워 넣어 세탁기의 물을 배수하도록 하며, 이외의 곳에서 버려지는 물은 상기 연결캡(400)의 배수구(4388)를 통과하여 배수트랩(2000)으로 유입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의 확장어댑터(5000)를 보인다. 이것은 배수트랩이 설치되는 하수공, 배수관, 배수구 등의 크기가 배수트랩의 것보다 클 경우, 그 중간에 설치되어 배수트랩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수트랩의 확장어댑터(500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이들이 연통된 중공부(5800)가 형성되는 몸체부(500)를 가진다.
상기 몸체부(500)의 중공부(5800)에는 배수트랩이 놓이는 단차부(550)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500)의 상부의 주위를 둘러 주변으로 연장되어 주위부(53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 주위를 둘러 외부실링부재(30)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500)의 주위를 둘러 홈(5038)이 형성되고 여기에 링형태의 외부실링부재(30)가 장착되고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500)에는 상기 중공부(5800)로부터 외부와 연통하는 드레인 홀(53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 홀(5301)은 몸체부의 주위부(5300)에 형성된다.
도 12는 상기 확장어댑터(5000)가 배수관(P)에 설치된 것을 보이는데, 그 주위부(5300)가 상기 배수관(P)의 상면에 걸쳐지고, 그 단차부(550)에 배수트랩(2000)이 얹혀지고 있다. 이 경우,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2000)이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는데, 다른 종류의 것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의 연결캡(700)을 보인다. 즉 하수공, 파이프, 배수관 등과 같은 곳(P)에 설치된 배수트랩(2000)에 대하여, 이와 연결되어 배관, 호스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캡(700)을 보이는 것이다. 이 경우,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2000)이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는데, 다른 종류의 것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배수트랩(2000)은 그 상부중공부의 내면에는 나사부(207)가 형성되는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캡(700)의 하부몸체부(750)의 주위부에도 나사부(757)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하부몸체부(750)의 하부는 개방되어 하부개방부(7588)를 형성한다.
상기 하부몸체부(750)의 상방에는 그 외주를 둘러 나사부(787)가 형성된 돌출 부(780)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780)의 상방은 개방되어 상부개방부(7808)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몸체부(750)의 하부개방부(7588)와 연통되어 중공부(7580)를 형성하는데, 호스 또는 파이프 등이 상기 돌출부(780)의 상면개방부(7808)를 통하여 상기 중공부(7580)로 인입되어 배치된다.
상기 돌출부(780)의 외주나사부(787)에는 나사부(877)가 내면에 형성된 너트부재(870)가 결합되는데, 상기 너트부재(870)는 상기 호스 또는 파이프가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중공부(7580)에는 실링 개스킷(707)이 설치되어 하부로부터 올라올 수 있는 악취를 방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링 개스킷(707)은 또한 상기 호스, 파이프 등을 중공부(7580)내부에서 자리를 잡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링 개스킷(707)의 상부에는 스프링 개스킷(70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부호 704는 실링 개스킷을 가리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효율적으로 틈을 막으며 동시에 방취 및 방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수트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트랩 확장어댑터를 제공하여 배수트랩을 다양한 크기의 배수파이프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연결캡을 제공하여 배수트랩을 연결파이프 또는 호스 등과 쉽게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이는 도면;
도 3에서 5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이는 도면;
도 6에서 도 8은 본 발명의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배수트랩을 보이는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캡을 보이는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트랩 확장어댑터를 보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연결캡을 보이는 도면.

Claims (22)

  1. (a)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각각 상면개방부와 하면개방부를 형성하고, 이들 상면개방부 및 하면개방부가 연통된 중공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b) 상기 몸체부의 상부의 주위를 둘러 주변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위부와;
    (c) 상기 몸체부의 중공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중공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물의 압력이 통과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지지부와;
    (d) 상기 지지부의 개방부를 막는 막음판이 형성된 막음판부재와;
    (e) 상기 막음판부재가 상기 지지부의 개방부를 막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부재와;
    (f) 상기 몸체부의 상면 개방부를 통하여 유입된 수압이 상기 막음판부재를 가압하면 상기 막음판부재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g) 상기 지지부와 상기 막음판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실링부재와;
    (h) 상기 몸체부 주위를 둘러 장착되는 외부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실링부재 및 외부실링부재는 링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내부실링부재는 상기 막음판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환형의 홈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실링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4. 제1항부터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부재는 상면이 폐쇄되고 하면은 개방되며 내부는 공동인 통체형상의 막음통체이며; 상기 막음통체의 상면의 내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막음통체의 하부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주변의 주변부로서 상기 몸체부의 하면개방부를 막는 주변막음부를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인입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는 수압이 유출되는 수압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하면에는 상기 수압유출구와 연통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수압유출부가 설치되고; 이때 상기 수압유출부의 상기 돌출부의 주위를 둘러 상기 막음통체의 측면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장착되는 스프링부재 또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호간에 척력을 일으키도록 배치되는 자석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6. 제1항부터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지지부의 상측에는 방취필터와 방충망이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지지부 상측에는 방취필터 받침대가 놓이고 그 상면에는 방취필터가 놓이고 그 상면에는 방충망이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중공부로부터 외부와 연통하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9. (a)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각각 상면개방부와 하면개방부를 형성하고, 이들 상면개방부 및 하면개방부가 연통된 중공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b) 상기 몸체부의 상부의 주위를 둘러 주변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위부와;
    (c) 상기 몸체부의 중공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중공부의 중앙을 향하여 균일한 곡률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물의 압력이 통과하는 개방부가 형성된 지지부와;
    (d) 상기 지지부의 개방부를 막는 것으로서 그 상면은 상기 지지부의 하면에 대응한 형상을 가지고 실링재질로 이루어지는 막음판부재와;
    (e) 상기 막음판부재가 상기 지지부의 개방부를 막도록 힘을 가하는 가압부재와;
    (f) 상기 몸체부의 상면 개방부를 통하여 유입된 수압이 상기 막음판부재를 가압하면 상기 막음판부재가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와;
    (g) 상기 몸체부 주위를 둘러 장착되는 외부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장착되는 스프링부재 또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호간에 척력을 일으키도록 배치되는 자석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지지부의 상측에는 방취필터와 방충망이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지지부 상측에는 방취필터 받침대가 놓치고 그 상면에는 방취필터가 놓이고 그 상면에는 방충망이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중공부로부터 외부와 연통하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14. (a)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이들이 연통된 중공부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중공부에 배수트랩이 놓이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b) 상기 몸체부의 상부의 주위를 둘러 주변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주위부와;
    (c) 상기 몸체부 주위를 둘러 장착되는 외부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의 배수구 확장 어댑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실링부재는 링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의 배수구 화장 어댑터.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중공부로부터 외부와 연통하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의 배수구 확장 어댑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홀은 몸체부의 주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의 배수구 확장 어댑터.
  18. 배수트랩의 상부중공내면의 나사부와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하부는 개방된 하부몸체부와;
    상기 하부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호스 또는 파이프의 내경이 그 외주를 덮도록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돌출부의 상면은 개방되어 상기 하부몸체부의 하부개방부와 연통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의 연결캡.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부의 상기 돌출부의 주위에는 상기 중공부와 연통되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캡.
  20. 배수트랩의 상부중공내면의 나사부와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하부는 개방된 하부몸체부와;
    상기 하부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것으로서 그 외주를 둘러 나사부가 형성된 돌출부와; 이때 상기 돌출부의 상방은 개방되어 상기 하부몸체부의 하부개방부와 연통되어 중공부를 형성하며, 호스 또는 파이프가 상기 돌출부의 상면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중공부로 인입되어 배치되며;
    상기 돌출부의 외주나사부에 결합되는 나사부가 내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호스 또는 파이프가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된 밀폐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의 연결캡.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에는 실링 개스킷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의 연결캡.
  22.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중공부의 상측내면에는 연결캡의 외부나사부와 결합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트랩.
KR1020090073415A 2009-08-10 2009-08-10 배수트랩 KR101058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415A KR101058890B1 (ko) 2009-08-10 2009-08-10 배수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415A KR101058890B1 (ko) 2009-08-10 2009-08-10 배수트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952A KR20110015952A (ko) 2011-02-17
KR101058890B1 true KR101058890B1 (ko) 2011-08-23

Family

ID=4377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415A KR101058890B1 (ko) 2009-08-10 2009-08-10 배수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8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319B1 (ko) * 1998-08-24 2005-12-16 니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1860794B1 (ko) * 2018-01-31 2018-05-25 탑원이앤씨(주) 응축수의 배수용 밸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62344B (zh) * 2016-12-29 2023-11-21 台州万康流体科技有限公司 一种地漏芯子的密封件
CN109654234B (zh) * 2019-01-29 2023-08-11 吕家杰 具有球形阀瓣的下水机构
NL2022631B1 (nl) * 2019-02-25 2020-09-01 Easy Sanitary Solutions Bv Stankafsluiter met flexibele flap
KR102544352B1 (ko) * 2022-01-11 2023-06-1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소가스용 체크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46Y1 (ko) 2001-07-10 2001-12-24 양재호 이중차단 기능의 배수트랩
KR200308485Y1 (ko) 2002-12-23 2003-03-26 이은하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146Y1 (ko) 2001-07-10 2001-12-24 양재호 이중차단 기능의 배수트랩
KR200308485Y1 (ko) 2002-12-23 2003-03-26 이은하 배수트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319B1 (ko) * 1998-08-24 2005-12-16 니폰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난연제 조성물 및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1860794B1 (ko) * 2018-01-31 2018-05-25 탑원이앤씨(주) 응축수의 배수용 밸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952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890B1 (ko) 배수트랩
KR101415336B1 (ko) 배수트랩
US20080193308A1 (en) Water Pressurized Manual Lavatory De-Blocking Manual Pump
JP3109892U (ja) 膜片式排水口装置
US5249398A (en) Cesspool
KR101699850B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200472604Y1 (ko) 하수구 보수용 역류방지 장치
KR200475135Y1 (ko) 역류방지장치
KR101545314B1 (ko) 싱크대 하부 슬립형 트랩
KR101354072B1 (ko) 배수 트랩
KR200462476Y1 (ko) 하수구용 냄새역류방지장치
KR20080089804A (ko) 배수구 장치
KR101354687B1 (ko) 세면기 설치용 배수파이프 기구
KR20030012778A (ko) 배수트랩
KR101944377B1 (ko) 세면대용 배수 밸브
KR101757418B1 (ko) 냄새 역류방지 기능을 갖는 배수관
KR101384662B1 (ko) 조립식 오수받이
KR101711733B1 (ko) 맨홀의 악취 차단 장치
KR102090044B1 (ko) 배관 구조물
KR101912041B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구조
KR20110007997U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200257140Y1 (ko) 배수트랩
KR101705484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JP5106897B2 (ja) 排水トラップにおける目皿
KR20030004650A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