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063A - 하수도관의 방취장치 - Google Patents

하수도관의 방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063A
KR20100014063A KR1020087019623A KR20087019623A KR20100014063A KR 20100014063 A KR20100014063 A KR 20100014063A KR 1020087019623 A KR1020087019623 A KR 1020087019623A KR 20087019623 A KR20087019623 A KR 20087019623A KR 20100014063 A KR20100014063 A KR 20100014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main valve
main
pipe
se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8476B1 (ko
Inventor
사다오 사사오카
치카노리 호시나
쇼오키 타카기
히로유키 야마모토
키요시 카와구치
Original Assignee
아다치 겐세쓰고교 가부시기가이샤
도꾜도 게스이도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다치 겐세쓰고교 가부시기가이샤, 도꾜도 게스이도 서비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다치 겐세쓰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4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03F7/04Valves for preventing return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하수도관로용통(M)에 적용되는 방취장치(S)에 있어서, 통 덮개(3)에서 취기 방지에 대체(代替)하여, 효과적인 방취작용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취장치(S)는 배수구부(5)에 배치되는 입구프레임체부(10)와 부착관(6)내에 배치되는 본체부(12)로 형성되며, 본체부(12)의 원통체(25)내에 소정의 각도로 횡단적으로 격벽(26)이 배치되며, 주밸브체(27)(27A)가 격벽(26)의 개구부(26c)를 폐쇄하는 동시에, 유수(流水)의 흐르는 방향으로만 열리도록 추착(Pivotally attached)하여서 된다. 또 주밸브체(27)(27A)에는 적당한 주밸브체의 밸브닫힘방향으로 배력하는 밸브닫힘배력수단(90)이 배치된다.
하수도관로용방취장치, 입구프레임부, 본체부, 원통체, 주밸브체, 밸브닫힘배력수단.

Description

하수도관의 방취장치 {DEVICE FOR PREVENTING OFFENSIVE ODOR IN SEWER PIPE}
이 발명은 하수도관의 관로용(管路用) 설비에서의 빗물, 오수통 등의 관로용 통에 적용되는 방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로용통의 부착관에 장착되는 방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도관의 관로용통에 적용되는 방취장치로서 덮개부에 설치된 것이 공지되어 있고, 본 출원인도 이런 류의 방취장치를,
특허문헌1 : 실용신안공고 소61-23105호 공보
특허문헌2 : 실용신안공고 소61-41823호 공보
특허문헌3 : 특허공개 평11-13121호 공보
특허문헌4 : 특허공개 평11-50519호 공보
로 제안한 바가 있다.
그러나 이미 제안된 이들 방취장치는 하수도관으로부터 취기(臭氣)가 이미 통에 충만해 있어 충분한 방취작용을 얻을 수 없고, 또 상기 장치를 덮개부에 설치가공하는 수고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들 공지된 방취장치에서는 하수관내에서 발생하는 이상압(異常壓)에 대하여 대응하는 기능이 없고 동 장치의 파손원인이 되어 있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하수도관로용통에 적용되는 방취장치에 있어서 통의 덮개에서의 방취를 대신하여, 더욱 효과적인 방취작용을 얻을 수 있는 신규의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관로용통의 배수구에 부착되는 부착관에 착안하여, 상기 부착관에 역지밸브(逆止弁)로 작용하는 유수밸브(流水弁)를 구비한 장치를 설치함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한 것이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의 하수도 관로용 방취장치는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된다.
(제1발명)
본 발명의 제1은 하수도관로용통의 배수구에 접속되는 부착관에 배치되는 방취장치로서,
상기 하수도관로용통의 배수구에 걸어맞추어서 배치되는 걸어맞춤(係合)수단과,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연결부재를 거치(介在)거나, 또는 거치지 않고 연결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부착관 내에 배치되는 본체부(本體部)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는,
a. 상기 부착관의 내경에 밀접되는 외경을 가지며 기체(基體)를 이루는 원통체와,
b, 상기 원통체내에 소정의 각도로 횡단적으로 폐쇄하여, 중앙부에 아래쪽으로 향한 개구부가 형성된 격벽과,
c. 상기 격벽의 개구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유수(流水)의 흘러내리는 방향으로만 열리는 개폐가능한 주밸브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제1발명은 이하의 제2 실시형태로서 구체화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1) 주밸브체는 추착부(樞着部)(pivoting portion)를 가지고 개폐되는 것,
2) 상기 1)에 대체(代替)하여 주밸브체는 수하부(垂下部)를 가지고 개폐되는 것(도11~13참조),
3) 주밸브체에 상기 주밸브체의 개방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열리는 부밸브체(副弁體)가 부가되는 것,
4) 배수구에 결합되는 입구프레임부(inlet frame section)를 가지며, 상기 입구프레임부와 본체부가 일체화되는 것,
5) 배수구에 걸어맞춤한 입구프레임부을 가지며 이 입구프레임부와 본체부는 링크로 된 연결부재를 통하여 접속되는 것,
6) 격벽에 연설(連設)하여 도수벽(導水壁)이 설치되는 것(도18 참조),
7) 주밸브체(主弁體)에 있어, 자기중량(自重)으로 밸브열림(開弁)작용 이외에 배력(配力)(energizing)을 부여한 밸브닫힘배력(配力, energizing)수단이 채택되는 것(도20~도22참조)은 적절하게 취할 수 있는 선택적 사항이다. 또한
8) 주밸브체는 합성수지제로 되며 V홈의 힌지부를 통하여 일체로 성형되며 격벽에 맞닿아(當接) 배치되는 것 (도15참조)
9) 상기 8)의 한 양태로서 주밸브체는 폴리플로필렌수지제 인 것,
도 적절히 채택할 수 있는 선택적 사항이다.
(작용)
설치에 있어서, 본 방취장치는 부착관의 부착각도에 대응하여 그의 본체부가 상기 부착관 내에 소정의 각도로 부착되며 상시 밸브닫힘상태를 유지한다.
즉, 본체부에서 주밸브체(主弁體)는 수직상태, 또는 밸브닫힘방향으로 격벽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이 밸브닫힘작용은 주밸브체 자체의 중량에 의해 이루어지며, 헛동작(妄動)이 없다. 이 주밸브체의 밸브닫힘(閉弁)에 의해 하수도본관으로부터의 취기(臭氣)가 차단된다.
강우(降雨)시에는, 빗물이 빗물통에 흘러들어, 배수구에서 부착관을 통하여 하수도본관으로 배출된다. 유수(流水)는 수압으로 주밸브체를 용이하게 열고 흘러내린다.
또한 다음의 ⅰ,ⅱ의 작용을 발휘한다.
ⅰ) 주밸브체의 회동중심은 원통체 단면의 상위(上位)에 배치되며 밸브열림(開弁)의 유수단면이 크다. 또 주밸브체의 추착부(樞着部)(pivoting portion)가 원통체의 수심(水深)의 8할(직경비, 이론값에서는 0.813)위치가 되었을 때, 유수의 수심이 상기 값이 되었을 때 원통부 내를 흐르는 유속(流速)이 최대값을 취할 수 있는 것이어서, 효율적으로 배수된다.
ⅱ) 주밸브체의 상부에 개구(開口)(절결요부:切缺凹部)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에 주밸브체의 개방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열리는 부밸브체가 부가(付加)되었을 때, 이 부밸브체가 수직에서 경사상태로 주밸브체의 개구(절결요부)를 폐쇄하며, 이 폐쇄작용도 부밸브체의 자기중량(自重)에 의해 이루어져 헛동작은 없다. 그리고 주밸브체 및 부밸브체(副弁體)의 밸브닫힘(閉弁)에 의해 하수도본관으로부터의 취기가 차단된다.
상기 ⅱ에 대하여, 강우시에, 빗물이 빗물통에 흘러들어, 배수구에서 부착관을 통하여 하수도 본관으로 배출될 때, 부밸브체는 주밸브체의 밸브열림동작에 추종(追從)한다. 유수가 소량일 때는 주밸브체의 열림도 작고 부밸브체는 개구에 대하여 밸브닫힘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술한 방취작용이 계속된다.
하수도 본관 내의 공기압이 이상하게 높아졌을 때 방취장치의 부밸브체가 열리어 이 공기압이 빠진다. 이 작용은 배수중에도 이루어진다.
(제2발명)
본 발명의 제2는, 하수도관로용통의 배수구에 접속되는 부착관에 배치되는 방취장치로서,
상기 하수도관로용통의 배수구에 걸어맞추(係合)어서 배치되는 걸어맞춤수단과, 동 걸어맞춤수단으로 연결부재를 통하여 연결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부착관 내에 배치되는 본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는,
a. 상기 부착관의 내경(內徑)보다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는 소경(小徑)의 외경(外徑)을 가지며,기체(基體)를 이루는 원통체와,
b.상기 원통체 내에 소정의 각도로 횡단적으로 폐쇄하고 중앙부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격벽(隔璧)과,
c.상기 격벽의 개구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유수의 흘러내리는 방향으로만 열리는 개폐가능한 주밸브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제2발명은 아래의 제1실시형태에 구체화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1) 원통체의 외주(外周)는 부착관과의 간격을 폐쇄하고 또 상기 부착관과 중심위치를 유지하는 수단이 배치되는 것,
2) 원통체의 선단에 원통체의 부착관으로 삽입하기 위한 안내수단이 배치되는 것,
3) 주밸브체는 추착부(樞着部)로 개폐(開閉)되는 것,
4) 상기 3)에 대체하여, 주밸브체는 수하부(垂下部)로 개폐되는 것(도11~도13참조),
5) 주밸브체에 상기 주밸브체의 개방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열리는 부밸브체가 부가되는 것,
6) 배수구에 결합하는 입구프레임부을 가지며, 이 입구프레임부와 본체부는 링크로 된 연결부재를 통하여 접속되는 것,
7) 걸어맞춤수단과 연결부재는 배수구까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
8) 상기 7)의 한 양태로서 축방향으로 연장설치되는 암로드(腕杆)(arm rod)와 이 암로드의 일단에 직교(直交)상으로 고정되어 배수구에 걸리게 되는 걺로드(係止杆)로 되며 이 암로드의 타단을 본체부의 원통체의 외면 양측에 고정되는 부착봉으로 되는 것,
9) 격벽에 연속하여 도수벽(導水壁)이 설치될 것(도18참조)
10) 주밸브체에 있어, 자기중량 밸브닫힘작용 이외에, 배력(配力)을 부가(附加)한 밸브닫힘 배력수단이 채택되는 것(도20~도22참조),
은 적절히 채택할 수 있는 선택적 사항이다.
또,
11) 주밸브체는 합성수지제로 되며, V홈의 힌지부를 통하여 일체로 성형되며, 격벽에 맞닿아서 배치되는 것(도15참조),
12) 상기 11)의 한 양태로서 주밸브체는 폴리플로필렌수지제(製)인 것,
도 적절하게 채택할 수 있는 선택적 사항이다.
(작용)
설치에 있어서, 본 방취장치는 부착관의 부착각도에 대응하여 그 본체부가 부착관 내에 소정의 각도로 부착되며, 상시(常時), 밸브닫힘상태를 유지한다. 본체부는 링크부를 개재함으로서 부착관의 각도에 자유롭게 대응한다. 또 배수구로부터의 관계위치(關係位置)가 정해진다.
즉, 본체부에 있어서, 주밸브체는 수직상태 또는 밸브닫힘방향으로 격벽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이 밸브닫힘작용은 주밸브체의 자기중량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헛동작은 없다. 이 주밸브체의 밸브닫힘에 의해 하수도 본관에서의 취기가 차단된다.
강우시에는 빗물이 빗물통에 흘러 들어가, 배수구에서 부착관을 통하여 하수도본관으로 배출된다. 유수는 수압으로 주밸브체를 용이하게 열고 아래로 흘러내린다. 또 다음의 ⅰ~ⅳ의 작용을 발휘한다. 그리고,
ⅰ) 밀봉수단에 의해 유수의 흐름 및 취기의 저지(沮止)는 원통체의 내부를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ⅱ) 안내수단에 의해 본 방취장치의 설치작업, 즉 배수구에서 부착관 내로 삽입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ⅲ) 주밸브체의 회동중심은 원통체 단면의 상위에 배치되어 밸브열림에서의 유수단면이 크다. 또 주밸브체의 추착부가 원통체의 수심의 8할(직경비. 이론값에서는 0.813)위치가 되었을 때, 유수의 수심이 상기 값이 되었을 때 원통부내를 흘러내리는 유속이 최대값을 취할 수 있으며 효율적으로 배수된다.
ⅳ) 주밸브체의 상부에 개구(절결요부)가 형성되며, 동 개구에 주밸브체의 개방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열리는 부밸브체가 부가될 때 동 부밸브체가 수직에서 경사상태로 주밸브체의 개구(절결요부)를 폐쇄하며, 이 밸브닫힘작용도 부밸브체의 자기중량에 의해 이루어져 헛동작이 없다. 그리고 주밸브체 및 부밸브체의 밸브닫힘에 의해 하수도관에서의 취기는 차단된다.
상기 ⅳ에 대해서 강우시에 빗물이 빗물통으로 흘러들어 배수구에서 부착관을 통하여 하수도본관으로 배출될 때, 부밸브체는 주밸브체의 밸브열림동작에 추종한다. 유수가 소량일 때 주밸브체의 열림도 작고 부밸브체는 개구에 대하여 밸브닫힘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술한 방취작용은 계속된다.
하수도 본관내의 공기압이 이상하게 높아졌을 때, 본 방취장치에서 부밸브체가 열리어 이 공기압이 빠진다. 이 작용은 배수중에도 이루어진다.
(제3발명)
본 발명의 제3은 하수도관로용통의 배수구에 접속되는 부착관에 배치되는 방취장치로서,
하수도관로용통의 배수구에 접속되는 부착관에 배치되는 방취장치로서, 상기 하수도관로용통의 배수구에 걸어맞추어서 배치되는 걸어맞춤수단과, 동 걸어맞춤수단에 연결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부착관 내에 배치되는 본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는
a. 상기 부착관의 내경보다도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는 작은 외경을 가지며, 기본체를 이루는 원통체와,
b. 상기 원통체 내에 소정의 각도로 횡단적으로 폐쇄하고, 중앙부에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격벽과,
c. 상기 격벽의 개구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유수의 흘러내리는 방향으로만 열리는 개폐가능한 주밸브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후단의 양측면에서 상기 본체부와 동일 곡률(曲率)을 유지하여 연장설치된 암부(腕部)와, 상기 암부의 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걺통(係止筒)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제3발명은 아래의 제3실시형태에 구체화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1) 암부는 본체부의 축심(軸心)에서 경사지는 것,
2) 주밸브체는 합성수지제로 되며 V홈의 힌지를 통하여 일체로 성형되며, 격벽에 맞닿아서 배치되는 것,
3) 상기 2)의 한 양태로서 주밸브체는 폴리플로필렌수지제 인것,
4) 원통체의 외주는 부착관의 간격을 폐쇄하고, 또한 상기 부착관과 중심위치를 유지하는 수단이 배치되는 것,
5) 주밸브체에서 자기중량 밸브닫힘작용 이외에 배력을 부가한 밸브닫힘배력수단이 취해지는 것(도20~도22참조),
은 적절히 취할 수 있는 선택적 사항이다.
또한,
6) 원통체의 선단에 원통체의 부착관으로 삽입하기 위한 안내수단이 배치되는 것,
7) 주밸브체는 추착부로 개폐되는 것,
8) 상기 7)에 대체하여, 주밸브체는 수하부(垂下部)로 개폐되는 것(도11~도13참조),
9) 주밸브체에 동 주밸브체의 개방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열리는 부밸브체가 부가(附加)되는 것,
10) 격벽에 연결설치하여 도수벽(導水壁)이 설치되는 것(도18참조),
도 적절히 취할 수 있는 선택적 사항이다.
(작용)
설치에 있어서, 본 방취장치는 부착관의 부착각도에 대응하여 그 본체부가 상기 부착관 내에 소정의 각도로 부착되며, 상시 밸브닫힘상태를 유지한다.
즉, 본체부에 있어서, 주밸브체는 수직상태 또는 밸브닫힘방향으로 격벽(隔璧)의 개구부를 폐쇄한다. 이 밸브닫힘작용은 주밸브체의 자기중량에 의해 이루어지며 헛동작은 없다. 이 주밸브체의 밸브닫힘에 의해 하수도(下水道)본관(本管)에서의 취기(臭氣)가 차단된다.
강우(降雨)시에 빗물이 빗물 통으로 흘러들어, 배수구에서 부착관을 통하여 하수도 본관으로 배출된다. 유수(流水)는 수압으로 주밸브체를 용이하게 열고, 흘러내린다.
그리고, 다음의 ⅰ~ⅱ 의 작용을 발휘한다.
ⅰ) 밀봉수단에 의해 유수의 흐름 및 취기의 저지는 원통체의 내부를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ⅱ) 주밸브체의 회동중심은 원통체 단면의 상위(上位)에 배치되어 밸브열림(開弁)시 유수단면(流水斷面)이 크다. 또 주밸브체의 추착부가 원통체의 수심의 8할(직경비, 이론값으로는 0.813) 위치가 되었을 때, 유수의 수심이 상기 값이 되었을 때 원통부 내를 흘러내리는 유속이 최대값을 취할 수 있는 것이며, 효율적으로 배수된다.
(발명의 효과)
본 제1발명. 제2발명. 제3발명의 방취장치에 의하면, 하수도 본관에서의 취기는 부착관에서 저지(沮止)되어 하수도관로용통에 침입하지 못하여, 방취효과가 크다. 상시 방취작용과 동시에 강우시에는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큰 편익(便益)을 얻는다.
본 방취장치의 부착은 걸어맞춤수단(係合手段)에 의해 배수구에 고정되며, 상기 걸어맞춤수단으로 연동하는 본체부도 확실하게 고정되어 부착관에서 이탈. 발출(拔出)도 없으며, 상시 관리가 용이하며, 분리시에도 지장이 없다.
또 부밸브체를 가진 방취장치에서는 역풍압작용에 대하여도 확실하게 대처(對處)할 수 있어 동 방취장치의 파손이 없다.
주밸브체에 대한 밸브닫힘방향으로 배력수단이 부가될 때, 급각도(急角度)의 부착관의 장착에서도 주밸브체의 수직으로 쳐지는 것이 생기지 않고 밸브시트(弁座)의 가압 밀봉성이 유지되어 상시 유효하게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제2발명의 방취장치에 의하면, 걸어맞춤수단 및 연결수단의 길이조절 기능에 의해 임의의 부착관의 각도에 자유롭게 대응할 수 있어 큰 적용성을 발휘한다.
제3발명의 방취장치에 의하면, 걸어맞춤수단이 간단화 되어 제작이 용이하며 제작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그 주밸브체가 V홈의 힌지에 의하면 개폐구조가 간략화되어 내구성ㆍ강도에 있어서도 우수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제1실시형태)의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가 적용되는 하수도관로용통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의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도2의 3방향 화살표 예시도
도4는 도3의 확대상세도(도5의 4방향 화살표 예시도)
도5는 도4의 5-5선 단면도
도6은 도5의 6방향 화살표 예시도
도7은 안내환(環) 및 스페이서환(環)의 측면도
도8은 도7의 8방향 화살표 예시도
도9는 링크부의 측면도
도10은 주밸브체의 다른 배설(配設)상태를 나타낸 도3과 같은 정면도
도11은 주밸브체의 수하(垂下)양태의 한 예시도
도12는 도11의 12-12선 확대단면도
도13은 주밸브체의 수하(垂下)양태의 또 다른 예시도
도14는 입구프레임부와 링크부의 다른 양태를 나타내며,
(a)도는 측면도, (b)도는 일부 생략평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제3실시형태)의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16은 그의 중앙 종단면도
도17은 도15, 도16의 17방향 화살표 예시도
도18은 도수벽을 설치한 본체부의 단면도
도19는 부밸브체의 다른 실시양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0은 제3실시양태의 주밸브체에의 밸브닫힘배력(配力, energizing)수단의 개요구성을 나타낸다.
도21은 스프링체의 종단면도
도22는 스프링체의 평면도
(부호설명)
S,S2 :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M : 하수도관로용통, 5 : 배수구부,
6 : 부착관, 10 : 입구프레임부, 12 : 본체부,14 : 링크부,16 : 부착봉,
25 : 원통부, 26 : 격벽 27,27A : 주밸브체, 27a : 부착부 27b : 밸브본체부
27c : V홈 28 : 부밸브체 30 : 안내환 31 : 스페이서환 80 : 도수벽부(導水壁部) 90 : 밸브닫힘배력수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하수도관료용 방취장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1은 본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를 포함하는 하수도관로용통(M)의 전체구성을 나타낸다.
도2 ~ 도14는 그 한 실시형태(제1실시형태)의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를 나타낸다.
즉, 도2는 본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S)의 전체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며, 도3~9는 그의 각부 구성을 나타내며, 도10~도14는 본 실시형태에 포함되는 다른 양태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서 유수의 흘러내리는 방향을 보아 하류를 전방으로 하고 상류를 후방으로 한다.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하수도관로용통(M)은 측벽체(1)와 밑판(2)에 의해 상방으로 개구(開口)된 용기부(容器部)로서의 본체부가 구성되며, 상기 개구에 취수공(3a)을 가진 덮개체(3)가 재치된다. 측벽체(1)의 상연(上緣) 및 덮개체(3)는 도로면(H)에 같은면으로 되며, 도로면(H)에서 빗물, 오수(汚水)가 취수공(3a)을 거쳐 상기 통(M)의 본체부 내로 도입한다.
본 통(M)의 본체부의 밑판(2)은 지반(Ⅰ)을 굴삭한 홈 바닥에 부설(敷設)된 자갈(J)을 균일하게 한 콘크리트(K) 위에 재치(載置)된다.
본 통(M)의 측벽체(1)에는 밑판(2)에 접하여, 또는 약간의 높이를 두고 배수구(5)가 개설(開設)되며, 상기 배수구(5)에 부착관(6)이 부착되어 하수도본관(P)으로 유도된다.
본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S)는 상기 부착관(6)의 배수구(5)에 임(臨)하며, 또 상기 부착관(6)내에 부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관(6)은 적당한 하향각도 α를 가지며, 다시 깊은 위치에 있는 하수도본관(P)에 접속되는 것이나, 본 하수도관용 방 취장치(S)는 이 각도 α에 대응하여 설치될 것을 상정(想定)하여 설명한다. 도예에서는 α가 20°전후를 취하나, 특정된 각도는 아니며 α는 0°~45°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S) (도2~도14 참조)
본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이하, 방취장치라 함)(S)는 하수도관로용통의 배수구에 배치되는 걸어맞춤(係合)수단으로서의 입구프레임부(10)와, 부착관(6) 내에 배치된 본체부(12)와, 상기 입구프레임부(10)와 본체부(12)를 연계하는 링크부(14)를 포함한다.
이하에 각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입구프레임부(10)(도2참조)
입구프레임부(inlet frame portion)(10)는 원환상(圓環狀)의 프레임(frame)체(20)와 브래킷 (bracket)(21)으로 되며, 부착관(6)의 입구부에 끼워맞춤(嵌合)으로 결합된다. 프레임(20)은 플랜지(flange)부(22)와, 감입부(23)로 부터 단면이 L형으로 구성되며, 통(M)의 배수구(5), 다시 말하면 부착관(6)의 입구부의 형상과 일치하여 감합한다. 브래킷(21)은 프레임체(20)의 감입부(23)의 양측의 중간위치에 본체부(12)측에 돌출설치된다. 브래킷(21)은 링크부(14)에 연동한다.
본체부(12)(도2~도8참조)
본체부(12)는 입구프레임부(10)와 링크부(14)를 개재하여 서로 떨어져, 부착관(6) 내에 배치되며, 방취기능을 맡는 것이며, 원통체를 기체(基體)로 하는 동시 에 상기 원통체 내에 소정의 밸브체, 즉, 주(主),부(副), 2개의 밸브체가 배치된다.
즉, 상기 본체부(12)는 기체를 이루는 원통체(25)와, 상기 원통체(25)내에 소정의 각도 β를 가지고 횡단적으로 배치된 격벽(26)과, 상기 격벽(26)에 장비되는 주밸브체(27) 및 부밸브체(28)와, 또한 원통체(25)의 전부(前部)에 부착되는 안내환(30)과, 상기 원통체(25)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페이서환(31)을 포함한다. 또 원통체(25)의 후부는 링크부(14)에 연결된다. 본 양태에서 상기 β는 α에 합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일치될 필요는 없다.
이하에 다시 본체부(12)내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원통체 25)
원통체(25)는 소정 두께의 직원통체를 기본적 구성으로 하여, 외경이 부착관(6)의 내경보다 여유를 두고 배치된 소경(小徑)이 된다. 상기 원통체(25)의 후부는 링크부(14)의 부착부가 된다.
(격벽 26)
격벽(26)은 원통체(25)내의 양측 및 상면에 소정의 각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β)를 가지고 횡단적으로 배치되며 주밸브체(27)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격벽(26)은 소정 두께를 가지며, 양측부(26a)와 상방부(26b)에 의해 문(門)형을 이루며, 상기 문형 내에 장방형꼴의 개구(26c)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26c)의 바닥부는 원통체(25)의 내면이 되며, 곡면형상이 된다.
그리하여 이 개구(26c)에 주밸브체(27)가 정위치에서 밀폐상태를 유지하며 또 핀을 통하여 회동적으로 폐쇄(밸브닫힘;閉弁)한다. 이 때문에 격벽(26)의 전부(前部) 상방위치에 제1핀 유지체(33)가 서로 대치하여 돌출되게 설치되고 또 주밸브체(27) 전부의 상부에 이들에 대응하여 제2핀 유지체(34)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들 간에 걸쳐서 핀(35)이 추착(樞着)(Pivoting)되어 있다.
(주밸브체 27)(도4, 도5 참조)
주밸브체(27)는 밸브닫힘(閉弁)위치에서 격벽(26)의 개구(26c)를 폐쇄하고 핀(35)을 중심으로 전방을 향하여 열리어 밸브열림(開弁)상태를 취한다. 주밸브체(27)의 하단은 원호(圓弧)를 이루며, 원통체(25)의 전단면(25a)에 착좌(着座)한다. 이로 인해 주밸브체(27)의 정지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주밸브체(27)의 하단은 원통체(25)의 전단면(25a)보다 돌출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주밸브체(27)의 하단은 원통체(25)내에 착좌되어도 좋다.
이 주밸브체(27)의 전부(前部)의 양측 연부를 따라 격벽(26)에 장출(張出)된 스토퍼(stopper)(37)가 부착되며, 밸브닫힘상태에서 격벽(26)의 전면에 착좌(着座)한다. 따라서 주밸브체(27)의 정지(停止)는, 선단의 원통체(25)의 전단면(25a)과 맞닿는것, 및 상기 스토퍼(37)의 격벽(26)과 맞닿는 것으로 결정된다.
상기 주밸브체(22)의 상연부에는 장방형꼴의 절결요부(切缺凹部)(38)가 형성된다. 또 창(窓)형태라도 무방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주밸브체(27)의 핀(35)의 위치는 본장치(S)가 부착관(6)내에 설치되었을 때 부착관(6)의 수심 8할 위치, 소위 8할 수심위치를 취한다. 또 부착관(6)과 원통체(25)의 간격이 무시될 수 있는 경우에는 원통체(25)의 관거(管渠) 의 8할이 된다.
(부밸브체 28)(도4~도6 참조)
부밸브체(28)는 주밸브체(27)의 상부의 절결요부(38)를 상기 주밸브체(27)의 후면으로부터 폐쇄하도록 배치되며, 주밸브체(27)의 밸브열림방향으로 추종하여 밸브가 닫히나, 하수도관으로부터 과대(過大)한 풍압에 대하여 밸브가 열려진다.
상세하게는, 주밸브체(27)의 후면 상부에 요부(38)에 임하여 제3핀 유지체(39)가 돌출설치되며 또 부밸브체(28)의 상부에 이들에 대응하여 제4핀 유지체(40)가 돌출설치되고 이들 사이에 걸쳐서 핀(41)이 추착된다. 이것으로 인해 부밸브체(28)는 핀(41)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또한 주밸브체(27)의 후면에, 요부(38)에 임하여 프레임체부(42)가 돌출설치된다. 이 프레임체부(42)는 요부(38)에 임(臨)한 하면의 하판부(42a)와 요부(38)에 임한 측면의 측벽부(42b)로 이루어진다. 하판부(42a)는 그 단면(端面)(42c)에서 부밸브체(28)의 하단내면이 맞닿고 상기 부밸브체(28)의 스토퍼가 된다. 다시 말하면, 부밸브체(28)의 밸브닫힘위치를 결정한다. 측벽부(42b)는 삼각형상을 이루며, 부밸브체(28)의 밸브닫힘상태에서 부밸브체(28)의 측면방향을 폐쇄한다.
상기 부밸브체(28)는 바람직하기는 경질의 소재로 작성되며 자기중량으로 프레임부(42)를 닫으며, 약한 풍압에서는 움직이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부밸브체(28)의 밸브닫힘각도 γ(주밸브체27의 경사각)은 2β을 취한다 즉, α=20°일때, β=20°, γ=40°가 된다.
따라서 α= 20°를 취할 때 주밸브체(27)의 정방향으로 20°로 밸브닫힘상 태를 취하며, 부밸브체(28)는 역방향의 20°로 밸브닫힘상태를 취한다. 이것으로 인하여 상기 부밸브체(28)는 주밸브체(27)가 20°의 밸브닫힘상태를 취하기 까지 밸브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γ가 β~2β(20°~40°)이면 0~β(0°~20°)의 밸브닫힘상태를 유지한다.
부밸브체(28)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음의 양태를 취할 수 있다.
1. 주밸브체(27)의 상부에 장방형꼴의 창부(窓部)를 형성하고 동 창부에 대응하여 상술한 부밸브체(28)의 각 구성부재(39)(40)(41)(42)를 설치한다.
2. 격벽(26)에 상기 1의 창부를 설치하고 부밸브체(28)로 한다. 이 양태에서는 부밸브체(28)는 수직상태에서 밀봉작용이 얻어지면 된다.
3. 격벽(26)을 상방부(26b)를 설치하지 않고 양측부(26a)만으로 하여 주밸브체(27)를 적절한 위치(예컨대 8할 수심위치)에 추착하며 상기 주밸브체(27)의 상부가 부밸브체(28)를 겸한다.
4. 부밸브체(28)에 역배력(逆配力)을 부여하는 추(錘)를 부가(附加)하여 주밸브체(27)의 밸브열림방향에 추종(追從)하여 밸브가 닫혀지게 되지만, 하수도관에서의 과대한 풍압에 대하여 밸브가 열려지게(開弁)한다.
(안내환 30)(도2, 도7, 도8 참조)
안내환(案內環)(30)은 원통체(25)의 전부(前部)에 부착되며, 전방(前方)에 이를수록 직경축소(縮徑)되는 테이퍼부(taper section)를 가지며, 본체부(12)의 부착관(6)으로 삽입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상세하게는, 이 안내환(30)은 원통체(20)의 전단(前端)에 감합(嵌合)되는 기 체(基體)부(44)와 이 기체부(44)의 전방에서 전방에 이를수록 직경지름이 축소되는 테이퍼부(45)와, 이 기체부(44)의 후방에서 직경확대(擴徑)되는 탄압부(彈壓部)(46)로 이루어 진다.
기체부(44)는 직원통체(直圓筒體)를 이루며 그 내경은 원통체(20)의 외경과 합치하고, 원통체(20)의 전단에 감합(嵌合)된다. 테이퍼부(45)는 기체부(44)보다 그 전주(全周)가 직경축소(縮徑)되며, 상부에서는 다시 감입부(45a)로 연장설치 된다. 또 양측의 중간부는 생략될 수 있다. 탄압부(46a)는 기체부(44)의 후방에서 직경확대(擴徑)되며, 서로 이격된 복수의 탄압편(46a)으로 된다. 탄압편(46a)의 외경은 자연상태(비가압상태)에서 부착관(6)의 내경(內徑)보다도 대경(大徑)이 된다. 이것으로 인하여 탄압편(46a)은 부착관(6)의 내면을 탄압(彈壓)하고 상기 안내환(30)을 통하여 본체부(12)의 부착관(6) 내에서 위치가 유지된다.
(스페이서환31)(도2,도7 참조)
스페이서환(31)은 소정 두께와 유연성을 유지하는 원통체로 되며, 본체부(12)의 원통체(25)의 후부에 감합장착된다. 상기 스페이서환(31)의 두께는 설치대상의 부착관(6)과의 간극을 폐쇄하기에 충분한 것이며, 부착관(6)의 내경에 의해 적절히 결정된다.
그래서 이 스페이서환(31)은 원통체(25)와 부착관(6)의 수밀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원통체(25)의 중심을 유지한다. 또한 이 스페이서환 (31)은 생략될 수 있다.
링크부(14)(도2,도9참조)
링크부14는 입구프레임부(10)와 본체부(12)의 양측에 1마디(節) 링크로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연결판(連結板)(50)이 입구프레임부(10)의 브래킷(21)과 본체부(14)의 원통체(25)의 후부 사이에 걸쳐서 배치된다. 상기 연결판(50)은 양측간의 적정간격이 서로 다른 양부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절곡(折曲)되어 양단부에서 핀(51)(52)으로 추착(樞着)된다.
소재(素材)
본 방취장치를 구성하는 부재(스페이서환 31을 제외함)의 소재에 대하여, 경질이면서 수밀(水密)소재가 사용된다. 합성수지재(材)는 이 요구를 충족시키며, 또한 경량인 점에서 추천권장(推奬)되지만, 다른 소재, 예컨대 금속 등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설치양태
본 실시양태에서는 특히 부착관(6)의 설치각도 α가 20° 전후인 것을 상정하여 구성된 것이며, 또 상기와 같이, 상기 α에 대응하여 다른 각도요소, 즉 주밸브체(27)의 밸브닫힘각도 β, 부밸브체(28)의 밸브닫힘각도 γ이 설정된다. 그러나 이들은 일의적(一義的)인 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고 적당히 결정된다.
또 도5에서 X는 수평기준선, Y는 부착관(6)의 축심(軸心),나아가서는 원통체(25)의 축심을 나타낸다.
또 상기 하수도관거용통(M)및 부착관(6)등의 양태에 따라서 본 방취장치(S)의 구성은 변경된다.
즉, 이 하수도관거(管渠)용통(M)(하수도관로용통)이 사각(四角)통일 때, 입구프레임부(10)는 상술한 곡면프레임에 대체하여 평면프레임의 형태를 취한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방취장치(S)는 다음과 같이 하여 하수도관거용통(M)에서 부착관(6)에 대하여 부착되고, 또 소기의 기능으로서 배수 및 방취기능을 발휘한다.
실시예 있어서, 본 방취장치(S)는 입구프레임부(10)와 링크부(14)와 본체부(12)가 일체로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장착(裝着)(도2참조)
하수도관거용통(M)에 있어서, 본 방취장치(S)의 본체부(12)를 부착관(6)의 배수구(5)에 위치시켜 상기 본체부(12)를 선두로 하여 상기 부착관(6) 내에 삽입하고 적당한 조작기구를 통하거나 혹은 통하지 않고 수작업(手作業)으로 본체부(12)를 밀어 넣는다.부착관(6)은 소정의 각도 α에 아래쪽으로 경사진 것이며, 또 이 부착관(6)은 소경(小徑)이고 상기 본체부(12)의 전단(前端)에 장착된 안내환(30)은 이 삽입조작을 원활하게 한다. 즉, 안내환(30)의 테이퍼부(45)의 감입부(45a)는 부착관(6)의 배수구(5)로의 삽입에 임하여 배수구(5)로의 걸침과, 또 부착관(6)의 내벽에서의 걸침을 방지하여 삽입이 원활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체부(12)의 밀어넣음에 있어, 그 탄압부(46)의 부착관(6)의 내벽으로의 탄압작용에 의해 부착관(6)의 중심이 유지된다.
본체부(12)를 더욱 밀어 넣고, 상기 본체부(12)는 링크부(14)를 통하여 입구 프레임부(10)를 끌어 드린다.
입구프레임부(10)가 배수구(5)에 근접하여 그 프레임체(20)와 감입부(23)를 배수구(5) 내에 감입한다. 또 프레임체(20)의 플랜지부(22)는 배수구(25)에 걸어맞춰진다. 이로 인하여, 입구프레임부(10)는 소정 위치에 부착된다.
본체부(12)는 입구프레임부(10)와 링크부(14)를 통하여 굴요(屈橈)가능하게 연결되며, 본체부(12)는 부착관(6)의 경사(傾斜)에 대응하여 자유로운 상태로 부착관(6) 내에 설치된다.
밸브닫힘작용 ㆍ 방취작용
본 방취장치(S)는 부착관(6) 내에 소정의 상태로 부착되며, 상시 밸브닫힘상태를 유지한다.
즉, 본체부(12)에서 주밸브체(27)는 수직상태로 격벽(26)의 개구(26c)를 폐쇄한다. 이 밸브닫힘작용은 주밸브체(27)의 자기중량(自重)에 의해, 헛동작(妄動)이 없다.
또 부밸브체(28)는 수직에서 경사상태로 주밸브체(27)의 개구, 즉 절결요부(38)를 폐쇄한다. 이 밸브닫힘작용도 부밸브체(28)의 자기중량에 의해, 헛동작이 없다. 부착관(6)과 본체부(12)의 간극은 스페이서환(31)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이 주밸브체(27) 및 부밸브체(28)의 밸브닫힘(閉弁)에 의해 하수도본관(P)의 취기(臭氣)는 차단된다.
배수작용
본 방취장치(S)는 상기한 상태로 부착관(6)내에 부착되며, 유수의 유입시에 배수작용을 한다.
지금, 비가 온 경우, 빗물은 빗물통(M)으로 흘러들어, 배수구(5)에 채워지고 부착관(6)에서 하수도본관(P)으로 배출된다.
유수는 수압으로 주밸브체(27)를 용이하게 열고 흘러내린다. 부밸브체(28)는 주밸브체(27)의 밸브열림작동에 추종한다. 유수가 소량일 때, 주밸브체(27)의 열림도 작아, 부밸브체(28)는 개구(38)에 대하여 밸브닫힘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술한 방취작용은 계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밸브체(27)의 추착부는 실질적으로 부착관(6)의 직경의 8할 수심(水深)을 점(占)하며, 대량의 유수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배수된다.
역풍압작용
하수도본관(P)내의 공기압이 이상하게 높아진 경우, 본 방취장치(S)에 있어, 부밸브체(28)가 열리어 이 공기압이 빠진다. 이 작용은 주밸브체(27)의 배수중에도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의 방취장치(S)에 의하면, 부착관(6)에 장착(裝着)작업에 있어 삽입조작이 용이하고, 작업효과가 향상하며, 또한 부착관(6)의 각도에 용이하게 대응되고, 상기 부착관(6)의 각도에 맞추어 그 때마다 제작할 필요가 없어, 제작상의 제약에서 해방된다. 또 부착 후에는 상시 밸브닫힘상태를 하고 있어, 방취작용을 하는 동시에 유수의 유입 및 역풍압작용에 대하여도 확실하게 대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 1)
상술한 실시형태의 방취장치(S)에 있어서, 도10에 표시된 바와 같이, 격벽(26)은 양측부(26a)만으로 하고 주밸브체(27)는 닫힘(閉)위치에서 개구(26c)을 전폐(全閉)하며, 주밸브체(27)를 적당한 위치(예컨대 8할 수심위치)에서 핀(35)에 의하여 추착하여 된다. 상기 주밸브체(27)의 상부는 부밸브체(28)를 겸한다. 또 스토퍼(37)에 의해 주밸브체(27)의 하단은 원통체(25)의 내벽면에 착좌(着座)한다.
(다른 실시양태 2)
상술한 실시형태의 방취장치(S)에 있어서, 도11, 도12에 표시된 바와 같이, 격벽(26)은 양측부(26a)만으로 하고 주밸브체(27)는 닫힘위치에서 개구(26c)를 전폐하는 것이나, 상기 주밸브체(27)을 수하양태(垂下樣態)(늘어트린 양태)를 취한다.
즉, 원통체(25)의 내부 상부에서 축주(軸柱)(55)를 적당한 고정구(固定具)(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시나사를 취한다)로 수하설치(垂下設置)하고 상기 축주(55)의 하단에 축체(軸體)(57)를 수평으로 유지한다. 한편 주밸브체(27)에는 수하금구(58)가 적당한 고정구(나사)로 고정되며, 이 수하금구(58)의 개구부(58a)에 축체(軸體)(57)를 감삽한다.
(다른 실시양태 3)
도13은 주밸브체(27)의 수하(垂下)양태의 또 다른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13(a)는 U보울트(61)를 원통체(25)의 상부에 삽통(揷通)하여 너트(62)에 의해 고정설치하고, 주밸브체(27)에 천설된 부착공(63)으로 관통시킨다. 주밸브체(27)는 보울트(61)에 안내되어 원활하게 개폐동작을 한다. 또 U보울트(61)는 수 직축이 대칭으로 배치된다.
도13(b)는 수하(垂下)와이어(65)를 사용한 양태를 나타낸다. 상기 수하와이어(65)는 원통체(25) 및 주밸브체(27)에 삽통되며 삽통단부를 절곡하여 리벳(66)으로 고정된다.
도13(c)은 수하(垂下)와이어(65)의 상하단부에 원판체(67)를 고착하고 고정한다.
(다른 실시양태 4)
상술한 실시양태의 방취장치(S)에 있어서, 도1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입구프레임부(10)와 링크부(14)를 일체로 한 다른 양태를 나타낸다.
본 양태의 부착봉(16)은 평단면상의 긴 부재로 되는 암로드(70)와 이 암로드(70)의 일단에 직교상태로 고정된 걺로드(係止杆)(71)로 이루어지고, 본체부(12)의 원통체(25)의 외면 양측에 분리가능하게 배치되며, 2개 1 쌍으로 사용된다. 암로드(70)(arm rod)의 타단부에는 복수의 핀공(72)이 나란히 개설(開設)된다. 한편, 원통부(25)에는 핀공(72)에 대응하여 동위상(同位相)으로 복수의 핀공(73)이 개설되며, 핀공(72),(73)에는 고정핀(74)이 장착된다. 그리고 고정핀(74)의 위치를 적당히 선택함에 따라 부착봉(16), 즉, 암로드(70)의 길이가 조절된다. 다시 말하면, 하수도관거용통(M)의 배수구(5)에서 본체부(12)까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핀(74)은 착탈식이라도 좋고 또 이탈불능형이라도 좋다. 요는 상기 고정핀(74)을 중심으로 요동한다. 걺로드(71)는 원주상, 또는 원통상을 이루(본 실시양태에는 원통상)지만, 다른 형상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며, 하수도관거용통의 배수구(5)에 걸 어맞추게 한다. 또 핀공(72)은 단수, 핀공(73)은 복수로 해도 좋고, 그 반대형태라 해도 좋다. 또 핀공(72),( 73)을 대신하여 장공(長孔)으로 해도 좋고, 이 경우, 고정핀(74)은 체결가능한 것이 적용되며, 길이의 조절이 더욱 자유롭다. 또 암로드(70)는 원통체(25)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에 있어서 본 부착봉(16)은 각각의 길이가 조절되므로 어떤 배수구의 위치 및 형상에도 대응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상술한 실시형태의 방취장치(S)에서는 본체부(12)의 원통체(25)에 대해, 부착관(6)의 내경보다 소경으로 되어 있으나 부착관(6)의 내경과 거의 밀접하는 외경을 채택하는 것은 다른 실시형태(제2실시형태)를 구성한다. 이것으로 인해 안내환(30) 및 스페이서환(31)은 생략된다.
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또한 링크부(14)가 생략되어도 된다. 다시 말하면, 입구프레임부(10)와 본체부(12)가 직접적으로 연결설치된다. 이것으로 인하여, 입구프레임부(10)의 프레임체(20)과 본체부(12)의 원통체(25)는 일체화된다.
기타의 구성은 앞의 제1실시형태에 준한다. 즉 입구프레임부(10)의 플랜지부, 본체부(12)의 격벽(26), 주밸브체(27), 부밸브체(28)등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의 방취장치(S1)(부호뿐, 도시하지 않음)에 있어서도 주밸브체(27)은 원통체(25)의 수심(水深)의 8할 위치에서 추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밸브체(28)는 적당히 생략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양태 1, 2, 3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형태의 방취장치(S)에 의하면 부착관(6)의 설치각도 α가 작은 경우에 용이하게 부착되는 장치로서 편리하다.
(제3실시형태)
도15 ~ 도17은 본 발명의 방취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 제3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앞의 제1ㆍ제2실시형태과 같은 부재에 대하여서는 동일 부호가 붙여져 있다.
본 방취장치(S2)에서는 원통체(25A)는 제1실시형태에 준하여 소경체(小徑體)을 취하나, 상기 원통체(25A)의 후단에서 암부(75)가 후방으로 일체로 연장설치되며, 또 상기 암부(75)의 단부 양측에는 걺통(76)이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다. 걺통(76)은 앞의 각 실시형태의 걸어맞춤수단과 같은 양태이다. 상기 암부(75)는 원통체(25A)와 동심(同心)이면서 동일 반경(곡률)을 취한다. 상기 암부(7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직투영면에 있어, 원통체(25A)의 관축(管軸)에서 아래쪽으로 일정한 경사각 θ로 경사지지만, 관축(管軸)과 동일해도 좋다. 걺통(76)의 직경거리는 장착되는 부착관(6)의 배수구(5)의 경(徑)보다 크게 되어 배수구(5)의 둘레에 걸리게(係止)된다.
또 상기 암부(75)가 원통체(25A)의 관축(管軸)에서 아래쪽으로 경사짐으로서 걺통(76)의 배수구(5)에 대한 걸림은 여유가 생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각 θ는 15°전후를 취한다. 도면에서 76a는 걺통(76)의 내공(內孔)이다. 도예에서는 내공(76a)은 관통공으로 되어 있으나 맹공(盲孔) 또는 구멍이 없어도 된다.
원통체(25A)의 외측부에는 고리모양의 돌조환(77)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원통체(25A)의 외주에 감합(嵌合)ㆍ고정설치되는 스페이서환(31)의 위치를 결정한다. 스페이서환(31)의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으나, 다시 말하면, 이 스페이서환(31)이 경도(硬度)를 색(色)별로 구별하고, 부착관(6)의 도기(陶器)관, 염화비닐관에 대응한다. 즉, 도기관은 염화비닐관에 비하여 미끄럼이 없고 스페이서환(31)은 연질(軟質)의 것이 사용된다. 원통체(25A)내에 있어서는 앞의 실시형태의 구성에 준하나, 서로 다른 점은 그 주밸브체(27A)가 격벽(26)의 전면에 덮여진 양태로 배치된다. 즉, 주밸브체(27A)는 상부의 부착부(27a), 하부의 밸브본체부(27b), 상기 부착부(27a)와 상기 밸브본체부(27b) 간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V홈(27c)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부착부(27a)는 격벽판(26)의 상방부(26b)에 맞닿으며, 적당한 고정구(보울트, 너트78)로 고정된다. 밸브본체부(27b)는 격벽(26)의 측부(26a)에 맞닿아 V홈(27c)을 통하여 개폐동작을 한다.
주밸브체(27A)는 적당한 경도와 탄성을 가진 합성수지재로 되며, V홈(27c)은 힌지로서 기능하고, 특히 폴리플로필렌수지에서는 힌지효과(당해 부분에 열처리됨)가 기대된다. 또 원통체(25) 및 격벽판(26)의 소재는 ABS수지가 바람직한 것으로 채택된다.
(각 실시형태에서의 설계변경적 사항)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즉, 다음의 양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내에 포함된다.
1) 본체부(12)의 원통체(25)내에 설치되는 격벽(26)은 원통체(25)내에 돌출 설치하는 것이며, 유수의 저항이 된다. 이것은 부착관(6)의 경사각 α가 완경사(緩傾斜)의 경우에 현저하다.
이 때문에 도18에 표시된 바와 같이, 격벽(26)의 상류측, 다시 말하면, 격벽(26)의 후부에 도수벽부(8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양태이다. 도면은 중앙단면부분에 대하여 표시하며, 도수벽부(80)가 상하로 연장 설치된다. 80A는 개구(26c)의 중도(中途)까지 형성된 도수벽부이며, 80B는 개구(26c)의 바로 앞까지 형성된 도수벽부이다. 이 도수벽부(80)의 표면(80a)은 도면예에서는 평면으로 되나, 곡면형상으로 되어도 좋다.
도면에서 주밸브체(27)가 열리고 Z방향으로 흐르는 유수는 도수벽부(80)의 표면(80a)을 따라 개구(26c)로 원활하게 흐른다.
또 도18에 쇄선(鎖線)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격벽(26)의 하류측, 다시 말하면, 격벽(26)의 전부(前部)에 도수벽부(81)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2) 부밸브체(28)는 앞의 실시형태의 구성 이외에 다음의 양태를 취할 수 있다.
a. 주밸브체(27)의 상부에 장방형꼴의 창(窓)부를 형성하고 상기 창부에 대응하여 상술한 부밸브체(28)의 각 구성부재(39)(40)(41)(42)를 설치한다.
b. 격벽(26)에 상기 a의 창부를 설치하고 부밸브체(28)로 한다. 이 양태에서는 부밸브체(28)는 수직상태에서 밀봉작용을 얻을 수 있으면 된다.
c. 부밸브체(28)에 역배력(逆配力)를 부여하는 추(錘)를 부가하고 주밸브 체(27)의 밸브열림방향으로 추종하여 밸브닫힘 작용을 부여한다. 도19는 그 한 예시의 양태를 나타낸다. 38은 주밸브체(27)에 형성된 개구, 즉, 부밸브체용 밸브공이며, 39는 주밸브체(27)에 돌출 설치된 핀 유지체이다. 부밸브체(28)는 핀 유지체(39)에 유지된 핀(85)의 주위를 회동하며, 단부(端部)의 추(86)에 의해 밸브닫힘방향으로 항상 배력(配力, energizing)되어 있다.
3)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부착관(6)의 각도α와 주밸브체(27)의 설계상의 부착각도 β와 대응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α≤β),주밸브체(27)가 상시 밸브닫힘을 유지하는 상태를 정상으로 하고 있으나, 부착관(6)의 각도 α가 급경사로 설계상의 부착각도 β를 상회한 경우가 있을 때,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주밸브체(27)는 격벽(26)의 개구(26c), 즉 밸브시트(Valve Seat)에서 떨어져 틈이 생기며, 소기(所期)의 밸브닫힘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소기의 작용(방취작용)을 이룰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3실시형태에서 다시 도20~2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주밸브체(27a)에 대하여 배력(配力)작용을 부여하는 스프링체(90)를 부가하는 밸브닫힘배력수단의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즉, 본 밸브닫힘배력수단의 스프링체(90)는 스프링부(90a)와 부착용 기부(基部)(90b)로 되며, 이 부착용 기부(90b)의 보울트삽통공(90c)을 통하여 적당한 부착구(보울트체, 접착제 등)로 주밸브체(27A)의 상부(27a)에 부착된다. 스프링부(90a)는 기능부를 이루며, 주 밸브체(27A)의 V홈(27C)에 걸쳐서 배치되고, 단면형상에서 원호상을 이루며, 그 두께는 선단에 이를수록 저감(低減)된다. 즉, 부착용 기 부(90b)의 두께를 h, 스프링부(90a)의 기부에 근접한 두께를 i, 선단에 근접한 두께를 j로 하였을 때 h>i>j를 취한다. 스프링부(90a)의 원호부의 선단은 부착용 기부(90b)의 연장선 보다도 돌출한다.
상기 스프링체(90)는 평면형상으로 사다리꼴을 하고있다. (도22). 그러나 이 양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프링체(90)의 두께 및 폭의 변화는 탄성력의 조정에 기여한다.
또 상기 스프링체(90)의 소재는 특성(가공성, 경제성, 부식성 등)의 관계로 인하여 폴리염화비닐수지(연질), ABS 수지가 채용되나 특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스프링특성을 자긴 소재이면 다른 합성수지, 금속 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스프링체(90)는 자연상태, 즉 무부하 상태에서는 원호부의 선단은 부착용 기부(90b)의 연장선보다 돌출되나, 밸브닫힘을 유지하는 상태에서는 굽어짐, 즉 탄성으로 주밸브체(27A)의 밸브본체부(27b)의 상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체(90)는 상시 유수(流水)가 없는 때는 주밸브체(27A)를 밀어눌러 배력(配力)하여 밸브닫힘상태를 유지한다.
4) 제3실시형태에서 주밸브체(27A)의 구성은 상기 3)의 사항도 포함하며, 제1및 제2 실시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실시형태의 후부의 구성은 제2 실시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하수도관로용통의 배수구에 접속되는 부착관에 배치되는 방취장치로서,
    상기 하수도관거용통의 배수구에 걸어맞추(係合)어서 배치되는 걸어맞춤수단(係合手段)과,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연결부재를 통하거나 또는 통하지 않고 연결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부착관 내에 배치되는 본체부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a. 상기 부착관의 내경에 밀접하는 외경을 가지며 기체를 이루는 원통체와,
    b. 상기 원통체 내에 소정의 각도로 횡단적으로 폐쇄하며 중앙부에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부가 형성되는 격벽과,
    c. 상기 격벽의 개구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유수(流水)의 흘러내리는 방향으로만 열리는 개폐가능한 주밸브체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주밸브체는 추착부(Pivoting Portion)나 또는 수하(垂下)로 개폐되는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주밸브체에, 상기 주밸브체의 개방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열리는 부밸브체가 부가되는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4. 제1항내지 제3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배수구에 걸어맞춰 결합되는 입구프레임부를 가지며, 상기 입구프레임부와 본체부가 일체로 된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배수구에 계합(係合)되는 입구프레임부를 가지며, 상기 입구프레임부와, 본체부와, 링크로 된 연결부재를 통하여 접속되는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6. 하수도관로용통의 배수구에 접속되는 부착관에 배치되는 방취장치로서
    상기 하수도관로용통의 배수구에 걸어맞추어서 배치되는 걸어맞춤수단과,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연결부재를 통하여 연결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부착관 내에 배치되는 본체부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a. 상기 부착관의 내경(內徑)보다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는 소경(小徑)의 외경(外徑)을 가지며, 기체(基體)를 이루는 원통체와,
    b. 상기 원통체내에 소정의 각도로 횡단적으로 폐쇄하며, 중앙부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부(開口部)가 형성되는 격벽과,
    c. 상기 격벽의 개구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유수(流水)의 흘러내리는 방향으로만 열리는 개폐가능한 주밸브체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원통체의 외주(外周)는 부착관과의 간격을 폐쇄하고, 상기 부착관과의 중심위치를 유지하는 수단이 배치된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원통체의 선단에 원통체의 부착관으로 삽입하기 위한 안내수단이 배치된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밸브체는 추착부(Pivoting portion) 또는 수하부(垂下部)로 개폐되는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10. 제6항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밸브체에, 상기 주밸브체의 개방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열리는 부밸브체가 부가(附加)되는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11. 제6항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수구에 계합되는 입구프레임부를가지며, 상기 입구프레임부와 본체부는 링크로 된 연결부재를 통하여 접속되는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12. 하수도관로용통의 배수구에 접속되는 부착관에 배치되는 방취장치로서
    상기 하수도관로용통의 배수구에 걸어맞추어서 배치되는 걸어맞춤수단과, 상기 걸어맞춤수단에 연결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부착관내에 배치되는 본체부로 형성 되며,
    상기 본체부는,
    a. 상기 부착관의 내경보다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는 소경의 외경을 가지며, 기체(基體)를 이루는 원통체와,
    b. 상기 원통체내에 소정의 각도로 횡단적으로 폐쇄하며, 중앙부에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부가 형성된 격벽과,
    c. 상기 격벽의 개구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유수(流水)의 흘러내리는 방향으로만 열리는 개폐가능한 주밸브체로 형성되며,
    상기 걸어맞춤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후단의 양측면에서 상기 본체부와 동일 곡률을 유지하여 연장설치되는 암부(腕部)와, 상기 암부의 단부에서 측방으로 돌출 설치되는 걺통(係止筒)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암부는 본체부의 축심(軸心)에서 경사지는,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주밸브체는 합성수지제로 되며, V홈의 힌지부를 통하여 일체로 성형된 격벽에 맞닿게(當接) 배치된 하수도관거용 방취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주밸브체는 밸브닫힘방향으로 배력(energizing)을 부여하 는 밸브닫힘배력수단이 배치된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16. 제12항 내지 제15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원통체의 외주는 부착관의 간격을 폐쇄하고, 상기 부착관과의 중심위치를 유지하는 수단이 배치된 하수도관로용 방취장치.
KR1020087019623A 2007-03-19 2007-03-19 하수도관의 방취장치 KR101498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6139 WO2008114460A1 (ja) 2007-03-19 2007-03-19 下水道管の防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063A true KR20100014063A (ko) 2010-02-10
KR101498476B1 KR101498476B1 (ko) 2015-03-04

Family

ID=39765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623A KR101498476B1 (ko) 2007-03-19 2007-03-19 하수도관의 방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16665B2 (ko)
KR (1) KR101498476B1 (ko)
WO (1) WO200811446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291B1 (ko) 2023-03-08 2023-05-26 주식회사 지티지메디칼 한손 작동이 가능한 피부 약물 투입장치
KR102537711B1 (ko) 2023-03-08 2023-05-30 주식회사 지티지메디칼 한손 작동이 가능한 범용 피부 약물 투입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78214B2 (ja) * 2019-03-22 2023-11-13 前澤化成工業株式会社 逆流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0283U (ja) * 1983-11-17 1985-11-29 日本ベンチヤ−ビジネスキヤピタル株式会社 フツク
JPS6184786A (ja) * 1984-10-03 1986-04-30 Hitachi Ltd オンライン手書き文字認識方式
JPS6184786U (ko) * 1984-11-05 1986-06-04
JPS61180283A (ja) * 1985-02-06 1986-08-12 横河電機株式会社 ワ−ドプロセツサ
JPS61180283U (ko) * 1985-04-30 1986-11-10
JPH0352871Y2 (ko) * 1987-08-15 1991-11-18
JPS6453283A (en) * 1987-08-24 1989-03-01 Hitachi Ltd Handwritten character input device
KR900014706A (ko) * 1989-03-08 1990-10-24 디. 헌트 로랜드 개방 가능한 덮개 및 이와 결합되는 구조물
KR950029489A (ko) * 1994-04-07 1995-11-22 정지일 좌변기의 배수구 개폐장치
KR200164180Y1 (ko) * 1999-07-16 2000-02-15 신우워토스주식회사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405376Y1 (ko) * 2005-10-07 2006-01-10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291B1 (ko) 2023-03-08 2023-05-26 주식회사 지티지메디칼 한손 작동이 가능한 피부 약물 투입장치
KR102537711B1 (ko) 2023-03-08 2023-05-30 주식회사 지티지메디칼 한손 작동이 가능한 범용 피부 약물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476B1 (ko) 2015-03-04
WO2008114460A1 (ja) 2008-09-25
JPWO2008114460A1 (ja) 2010-07-01
JP5016665B2 (ja) 2012-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4929B1 (en) Drain
KR20100014063A (ko) 하수도관의 방취장치
CA2678710C (en) Sewer overflow relief device
US20140319038A1 (en) Catch basin trap and mounting system
JP4658831B2 (ja) 下水道管渠用防臭装置
JP2023525876A (ja) 下水溝用悪臭遮断装置
KR102007220B1 (ko) 기밀성 및 내구성을 높인 배수유입관의 구조와 탈 부착형 악취차단 구조를 갖는 배수조
KR101129398B1 (ko) 악취 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맨홀
KR20170082238A (ko)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1722450B1 (ko) 맨홀 내부 설치용 방취, 방충 기능을 갖는 플랫밸브
KR101722462B1 (ko) 그레이팅 구조를 갖는 방취, 방충용 슬라이드 슬롯 트랩
KR101685359B1 (ko) 맨홀 내부 설치용 방취, 방충 기능을 갖는 플랫밸브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JP2009228812A (ja) 逆流防止弁、逆流防止弁付き管構造、逆流防止弁付き管継手、および逆流防止弁を備えたます
JP2014105719A (ja) 自封式弁部材及び継ぎ手部材
KR200356471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KR101722446B1 (ko) 간격조절 기능을 갖는 방취, 방충용 슬라이드 슬롯 트랩
US20100243546A1 (en) Back-water trap for a floor drain system
KR200211116Y1 (ko) 악취 방지 맨홀 뚜껑 덮개 판
KR200429801Y1 (ko) 하수구용 맨홀의 악취 차단장치
KR100725484B1 (ko) 오수받이의 착탈식 악취차단장치
KR101292132B1 (ko) 악취방지용 그레이팅
KR200410671Y1 (ko) 탄성 역지 밸브
AU2010100121A4 (en) Drain Inlet Assembly
KR200257162Y1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