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376Y1 -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 - Google Patents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376Y1
KR200405376Y1 KR2020050028607U KR20050028607U KR200405376Y1 KR 200405376 Y1 KR200405376 Y1 KR 200405376Y1 KR 2020050028607 U KR2020050028607 U KR 2020050028607U KR 20050028607 U KR20050028607 U KR 20050028607U KR 200405376 Y1 KR200405376 Y1 KR 200405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ipe
sewage
sewer pipe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86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주식회사 프라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주식회사 프라코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Priority to KR20200500286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3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3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스프링과 같은 개폐수단 없이 개폐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동안정성이 뛰어난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에 관한 것인바, 본 고안은 하수역류방취구에 있어서, 옥외하수관의 토출측에 일측단이 끼워지되 하방은 옥외하수관의 하부와 수평을 형성하고 상단으로는 단차를 형성하며 상단 외부에는 연결공을 구비한 힌지연결부가 일체로 구비된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개구부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연결공에 삽입되어 걸리어지는 걸림턱부와 상측부에 무게추가 내설된 덮개판이 요철과 요홈이 연속 반복되어 형성된 자바라 형상을 갖는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된 덮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Deodorizing apparatus of lid type using the weight center}
도 1 및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프링 덮개형 방취구의 구조 및 작동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방취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수역류방취구 110 : 옥외하수관
120 : 연결파이프 130 : 토출구
140 : 연결공 150 : 힌지연결부
200 : 덮개수단 200a : 덮개판
200c : 무게추 210 : 연결수단
250 : 걸림턱부
본 고안은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스프링과 같은 개폐수단 없이 개폐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동안정성이 뛰어난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생활하수 처리시스템은 각 가정에서 발생된 하수를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 메인 하수도관을 통해 집수하여 하수처리장으로 이송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가정과 메인하수도관은 옥외하수관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옥외하수관은 유입구가 가정내의 화장실 바닥이나 부엌 싱크대 등으로 통해 있으며, 배출구가 메인하수도관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메인하수도관은 옥외하수관보다 낮은 위치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평상시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하수는 옥외하수관을 통해 흘러내려 메인하수도관으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메인하수도관은 각 가정으로 통하는 옥외하수관뿐만 아니라, 노면에 흐르는 우수 등의 처리를 위해 노면과도 하수맨홀을 통해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폭우 등의 원인으로 하수맨홀을 통해 과도한 양의 우수가 메인하수관으로 유입될 경우, 메인하수도관내의 수압이 높아짐으로써 메인하수도관을 통해 흐르는 하수가 옥외하수관을 통해 각 가정으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곤 하였고, 하수가 역류할 경우 가정 내의 가재도구나 시설 등이 침수됨으로 인하여 큰 피해가 유발되었다. 뿐만 아니라, 여름철 등에는 옥외하수관을 통해 메인하수도관 내에서 발생한 유해가스 및 해충이 가정으로 유입됨으로써 위생상의 문제점 및 불쾌감을 유발하기도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수의 역류방지를 위한 것으로, 도 1 및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프링덮개(spring lid)형 역류방취구가 있다.
상기 스프링덮개형 역류방취구(30)는, 소정길이의 연결파이프(32)와, 상기 연결파이프(32)의 일측상단에 힌지연결된 덮개(34) 및, 상기 덮개(34)와 연결파이프(32)에 양 선단이 연결됨으로써, 덮개(34)에 대해 연결파이프(32) 측으로 탄성적인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스프링(36)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옥외하수관(20)의 투출측 선단에 상기 연결파이프(32)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스프링덮개형 역류방취구에 의하면, 옥외하수관(20)을 통해 정상적으로 유동되는 하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인장스프링(36)이 탄성적으로 연장되면서 덮개(34)가 회전 개방되기 때문에 하수가 메인하수도관으로 배출되며, 하수가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인장스프링(36)의 인장력에 의해 덮개(34)가 당겨져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메인하수도관으로부터 옥외하수관(20)측으로 하수가 역류하거나 악취가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역류방취구는, 덮개(34)의 밀폐상태를 인장스프링(36)에 의해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기간이 오래되어 인장스프링(36)의 탄성력이 저하되거나, 인장스프링(36)이 끊어질 경우,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며, 또한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인장스프링(36)에 끼는 경우에도 탄성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작동안정성이 낮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옥외하 수관(20)을 통해 유동되는 하수에 포함된 고형물질이 미처 배출되지 않고 연결파이(32)의 토출측에 선단에 침전되기도 하는데, 종래기술에 의하면 이러한 고형물질의 침전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침전된 고형물질에 의해 하수의 유동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하수역류방취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개폐작동을 위한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자체구조상 개폐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작동안정성이 향상되는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 본 고안은 하수역류방취구에 있어서, 옥외하수관의 토출측에 일측단이 끼워지되 하방은 옥외하수관의 하부와 수평을 형성하고 상단으로는 단차를 형성하며 상단 외부에는 연결공을 구비한 힌지연결부가 일체로 구비된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개구부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연결공에 삽입되어 걸리어지는 걸림턱부와 상측부에 무게추가 내설되어 덮개판이 요철과 요홈이 연속 반복되어 형성된 자바라 형상을 갖는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된 덮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인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크게 옥외하수관(110)의 토출측에 부착되는 소정길이를 가지는 연결파이프(120)와 상기 연결파이프에 연결되어 토출구(130)를 개방/밀폐하는 탄성소재로 된 덮개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소재는 비중이 높고 탄성복원력이 우수한 고밀도의 투명 합성수지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120)는 상기 옥외하수관(110)과의 연결부의 타측선단의 상단에 원형 또는 직사각형 연결공(140)이 형성된 힌지연결부(1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옥외하수관의 부착부에 대해 타측단의 토출구가 상대적으로 좁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하방은 옥외하수관의 하부와 수평을 형성하고 상단으로는 단차를 형성한다. 그 이유는 오수의 배출시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기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덮개수단(200)은 연결파이프(120)의 개구부를 개방 및 밀폐하도록 연결공(140)에 삽입되어 걸리어지는 걸림턱부(250)와 상측부에 무게추(200c) 가 내설되어 형성된 덮개판(200a)이 요철과 요홈이 연속 반복되어 형성된 자바라 형상을 갖는 연결수단(21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덮개판(200a)에 내설된 무게추(200c)는 덮개수단을 이루는 소재 대비 밀도가 높은 소재로 된 것은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금속성 소재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면에서 좋다.
상기 덮개판(200a)에 내설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판(200a)에 요홈을 형성시켜 요홈에 끼워 설치하는 착탈식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의 작동상태를 보면,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수단(200)과 일체로 구성되는 연결수단(210)이 연결파이프(1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연결부(150)의 연결공(140)에 삽입되어 연결 고정되고, 덮개수단(200)의 상측부에 내설된 무게추(200c)의 무게와 덮개수단(200)의 연결부(210)의 탄성력에 의해 외력의 작용이 없이 덮개판(200a)이 토출구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 하수가 배출되지 않을 때에는 덮개수단(200)이 연결파이프(120)의 토출구의 선단에 밀착되어 토출구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외부 하수관으로부터 옥외하수관(110)으로의 하수가 역류하거나, 유해가스 등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옥외하수관(110)으로부터 하수가 배출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의 수압에 의해 덮개수단(200)이 상방으로 개방되어 하수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며, 하수의 배출이 완료되게 되면 덮개수단(2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상태로 복원되어 토출구에 밀착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는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덮개의 작동이 별도의 기구 없이 자체의 구조특성상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기간에 따른 기능저하 없이 그 작동안정성이 오랫동안 유지됨으로써 하수역류 등으로 인한 피해를 장기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수역류방취구에 있어서,
    옥외하수관의 토출측에 일측단이 끼워지되 하방은 옥외하수관의 하부와 수평을 형성하고 상단으로는 단차를 형성하며 상단 외부에는 연결공을 구비한 힌지연결부가 일체로 구비된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의 개구부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연결공에 삽입되어 걸리어지는 걸림턱부와 상측부에 무게추가 내설된 덮개판이 요철과 요홈이 연속 반복되어 형성된 자바라 형상을 갖는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구성된 덮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에 요홈을 형성시키고 요홈에 무게추를 끼워 설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
KR2020050028607U 2005-10-07 2005-10-07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 KR200405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607U KR200405376Y1 (ko) 2005-10-07 2005-10-07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8607U KR200405376Y1 (ko) 2005-10-07 2005-10-07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376Y1 true KR200405376Y1 (ko) 2006-01-10

Family

ID=41757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8607U KR200405376Y1 (ko) 2005-10-07 2005-10-07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3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067B1 (ko) * 2012-02-21 2014-05-30 하철상 배수구에서 발생되는 층간의 소음 및 악취 방지용 슬리브
KR101498476B1 (ko) * 2007-03-19 2015-03-04 아다치 겐세쓰고교 가부시기가이샤 하수도관의 방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476B1 (ko) * 2007-03-19 2015-03-04 아다치 겐세쓰고교 가부시기가이샤 하수도관의 방취장치
KR101392067B1 (ko) * 2012-02-21 2014-05-30 하철상 배수구에서 발생되는 층간의 소음 및 악취 방지용 슬리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612B1 (ko)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KR200396193Y1 (ko) 덮개형 하수역류방지구
KR100846664B1 (ko) 하수역류방지구
KR20120132024A (ko) 배수 트랩
KR200405376Y1 (ko) 무게중심을 이용한 덮개형 방취구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JP3286267B2 (ja) 排水溝用自洗装置
KR20170064307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가지는 실내용 배수트랩
KR20090009119U (ko) 하수구 악취방지용 덮개
KR200249076Y1 (ko) 방취용 배수트랩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JP2003003548A (ja) 排水弁
KR200338772Y1 (ko)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KR20180106024A (ko) 배수트랩 구조체
TWI691634B (zh) 多功能地板排水器
JP2005139760A (ja) 雨水ます用防臭装置
KR101006352B1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구
KR101301697B1 (ko)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KR200320468Y1 (ko) 우오수받이의 악취차단장치
KR200372205Y1 (ko) 악취 역류방지 장치
KR100454999B1 (ko)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KR200333411Y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KR200330363Y1 (ko) 세면대 배수관용 악취방지장치
KR200262180Y1 (ko) 하수구 공기 차단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