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264Y1 - 배수구 장착구 - Google Patents

배수구 장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264Y1
KR200262264Y1 KR2020010031638U KR20010031638U KR200262264Y1 KR 200262264 Y1 KR200262264 Y1 KR 200262264Y1 KR 2020010031638 U KR2020010031638 U KR 2020010031638U KR 20010031638 U KR20010031638 U KR 20010031638U KR 200262264 Y1 KR200262264 Y1 KR 200262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locking
rubber
drainage outlet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1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식
Original Assignee
정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식 filed Critical 정원식
Priority to KR2020010031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264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실, 씽크대, 베란다 등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구 장착구에 관한 것이며, 배수구를 통한 해충과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 장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 부재와, 상기 여과 부재를 통과한 상기 배출수를 유도하기 위한 원통형의 제1 가이드와, 상기 제1 가이드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며, 적어도 그 상주면이 상기 중심부로 갈수록 낮게 경사진 지지부재와, 상기 중심부에 위치한 상기 지지 부재의 단부에 제공되는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에 그 중심부가 체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의 하부를 차폐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배수구 장착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수구 장착구{Attached apparatus for draining hole}
본 고안은 화장실, 씽크대, 베란다 등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구 장착구에 관한 것이다.
하수도 속에는 바퀴벌레, 모기, 쥐 등의 해충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해충들이 하수 파이프를 통해 화장실, 씽크대, 베란다 등으로 침투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하수 파이프를 통해 역류하는 하수구의 악취는 앞에서 언급한 해충들과 함께 쾌적한 주거 환경을 해치는 주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배수구의 설계시 이러한 해충과 악취가 하구 파이프를 통해 집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포함시키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수구 장착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배수구 장착구는 배출수를 하수 파이프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본체)(10)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여과판(11)과, 연결핀(13)을 통해 여과판(11)에 체결되며 해충과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12)을 구비한다. 가이드(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요(凹)부가 형성되어 있다.
일단, 배출수가 여과판(11)을 통해 유입되면 가이드(10)의 요(凹)부를 통해 하수 파이프로 유도되는데, 배출수의 유입이 종료되면 가이드(10)의 요(凹)부에는 일정 높이로 잔류수(A)가 잔류하게 된다. 한편, 차단막(12)의 단부가 잔류수(A)의 표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하수 파이프와 여과판(11) 사이에는 잔류수(A)가 존재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해충과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수구 장착구는 잔류수(A)의 일부가 증발하게 되면, 하수 파이프와 여과판(11) 사이에 채널이 형성되어 해충과 악취가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무의 위치회복력(탄성)을 이용한 제품이 제안된 바 있다.
도 2는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배수구 장착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배수구 장착구는 배출수를 하수 파이프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본체)(20)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여과판(11)과, 가이드(20)의 내부를 가로질러 마주보는 양 내주면에 장착되는 바(bar) 형태의 고무고정 브래키트(bracket)(23)와, 고무고정 브래키트(23)의 중심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연결바(23a)와, 연결핀(24)을 통해 연결바(23a)에 고정되며 해충과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 고무(22)를 구비한다. 차단 고무(22)와 가이드(20)의 내주면이 접속하는 부분에는 고무걸림을 위해 가이드(20)로부터 돌출된 돌기부가 배치된다.
우선, 배출수가 여과판(21)을 통해 유입되면 가이드(20)의 차단 고무(22)의 가장자리 부분이 가이드(20)의 돌기부 아래로 내려앉아 배출수가 하수 파이프로 유도된다.
한편, 배출수가 하수 파이프로 모두 배출되고 나면 차단 고무(22)의 위치회복력(탄성)에 의해 차단 고무(22)의 가장자리 부분이 가이드(20)의 돌기부와 다시 접촉하게 되어 가이드(20) 내부와 하수 파이프 사이의 채널을 막아버림으로써 해충과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배수구 장착구는 차단 고무(22)의 고정을 위한 고무 고정 브래키트(23)가 가이드(20) 내부를 가로지르는 바 형태를 띄기 때문에 여과판(21)에서 걸러지지 않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B)이 고무고정 브래키트(23)에 걸리게 된다. 이 경우, 이물질(B)이 가이드(20)의 돌기부와 차단 고무(22) 사이에 끼어 공간이 뜨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나타나고 있어 해충과 악취가 역류하는채널을 형성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배수구를 통한 해충과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 장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수구 장착구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배수구 장착구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장착구의 구성도.
도 4는 제2 가이드(34) 및 그 부속물의 투시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제1 가이드 31 : 여과판
32 : 차단막 33, 37 : 연결핀
34 : 제2 가이드 35 : 차단 고무
36 : 고무고정 브래키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 부재와, 상기 여과 부재를 통과한 상기 배출수를 유도하기 위한 원통형의 제1 가이드와, 상기 제1 가이드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며, 적어도 그 상주면이 상기 중심부로 갈수록 낮게 경사진 지지 부재와, 상기 중심부에 위치한 상기 지지 부재의 단부에 제공되는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에 그 중심부가 체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의 하부를 차폐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배수구 장착구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배수구 장착구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요(凹)부를 구비하며, 상기 여과 부재를 통과한 상기 배출수를 그 내부에 인입된 상기 제1 가이드로 유도하기 위한 제2 가이드와, 상기 여과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수를 상기 제2 가이드의 요(凹)부로 유도하며, 그 가장자리가 상기 제2 가이드의 요(凹)부의 최상단부보다 낮게 배치된 차단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장착구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장착구는 배출수를 하수 파이프로 유도하기 위한 제1 가이드(외통)(30)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여과판(31)과, 연결핀(33)을 통해 여과판(31)에 체결되며 해충과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32)를 구비하며, 제1 가이드(30)의 내주면에 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2 가이드(내통)(34)와, 제2 가이드(34)의 내주면으로부터 제2 가이드(34)의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제공되며 적어도 그 상주면이 중심부로 갈수록 낮게 경사진 고무고정 브래키트(36)와, 제2 가이드(34)의 중심부에 위치한 고무고정 브래키트(36)의 단부에 체결된 연결핀(37)과, 연결핀(37)을 통해 고무고정 브래키트(36)에 고정되며 해충과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 고무(실리콘 고무)(35)를 구비한다.
한편, 제1 가이드(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요(凹)부가 형성되어 있어 잔류수(A)가 고이게 되며, 차단 고무(35)는 연결핀(37)이 고정된 그 중심부가 제2 가이드(34)의 하단부와 접촉하는 가장자리에 비해 높게 융기되어 있다.
도 4는 제2 가이드(34) 및 그 부속물의 투시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제2 가이드(34), 차단 고무(35), 고무고정 브래키트(36), 연결핀(37) 등의 결합 상태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 장착구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배출수가 여과판(31)을 통과하여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제1 가이드(30) 내부로 유입되면 제1 가이드(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凹)부를 거쳐 제2 가이드(34) 내부로 유도된다.
이어서, 제2 가이드(34)와 접촉된 차단 고무(35)의 가장자리 부분이 수압(또는 배출수의 무게)에 의해 쳐지면서 발생한 틈을 통해 배출수가 하수 파이프로 빠져 나가게 된다.
한편, 배출수가 하수 파이프로 모두 배출되고 나면 차단 고무(35)의 위치회복력(탄성)에 의해 차단 고무(35)의 가장자리 부분이 제2 가이드(34)와 다시 접촉하게 되어 제2 가이드(34) 내부와 하수 파이프 사이의 채널을 막아버림으로써 해충과 악취의 역류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제1 가이드(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凹)부에는 일정 높이의 잔류수(A)가 고이게 되어 차단막(32)과 잔류수(A)에 의한 2차적인 차폐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고무고정 브래키트(36)가 제2 가이드(34)의 내주면을 가로질러 배치되지 않고 내주면 일측으로부터 중심부까지만 배치되어 있고, 그 상주면이 중심부로 갈수록 낮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 여과판(31)에서 걸러지지 않은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고무고정 브래키트(36)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이물질에 의한 제2 가이드(34)와 차단 고무(35) 사이의 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이드(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凹)부에 고인 잔류수(A)가 증발하여 차단막(32)과 잔류수(A)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경우에도 차단 고무(35)에 의한 이중 차단 효과에 의해 해충 및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제2 가이드(34)와 그 부속물(35, 36, 37)에 직접 여과판을 결합시킨 구조로 배수구 장착구를 구현하는 것이다. 즉, 이 경우에는 제1 가이드(30), 차단막(32), 연결핀(33) 등은 없어도 되며, 제2 가이드(34)의 상부 구성을 상기 도 2의 가이드(20)의 상부와 같이 구성하여 여과판을 직접 결합시키면 된다.
이 경우에도,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고무고정 브래키트(36)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컨대, 전술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된 차단 고무는 실리콘 고무가 아닌 다른 탄성 재료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가이드, 여과판, 차단막, 고무고정 브래키트 등의 구성품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은 배수구를 통한 해충과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확보하고, 해충에 의한 전염병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2)

  1. 배출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 부재와,
    상기 여과 부재를 통과한 상기 배출수를 유도하기 위한 원통형의 제1 가이드와,
    상기 제1 가이드의 내주면으로부터 중심부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며, 적어도 그 상주면이 상기 중심부로 갈수록 낮게 경사진 지지 부재와,
    상기 중심부에 위치한 상기 지지 부재의 단부에 제공되는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에 그 중심부가 체결되며, 상기 제1 가이드의 하부를 차폐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배수구 장착구.
  2. 제1항에 있어서,
    그 가장자리를 따라 요(凹)부를 구비하며, 상기 여과 부재를 통과한 상기 배출수를 그 내부에 인입된 상기 제1 가이드로 유도하기 위한 제2 가이드와,
    상기 여과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수를 상기 제2 가이드의 요(凹)부로 유도하며, 그 가장자리가 상기 제2 가이드의 요(凹)부의 최상단부보다 낮게 배치된 차단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장착구.
KR2020010031638U 2001-10-16 2001-10-16 배수구 장착구 KR200262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638U KR200262264Y1 (ko) 2001-10-16 2001-10-16 배수구 장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1638U KR200262264Y1 (ko) 2001-10-16 2001-10-16 배수구 장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264Y1 true KR200262264Y1 (ko) 2002-03-18

Family

ID=73110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1638U KR200262264Y1 (ko) 2001-10-16 2001-10-16 배수구 장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2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24B1 (ko) * 2013-01-29 2015-06-04 정명호 싱크대용 냄새차단 및 세균억제형 배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24B1 (ko) * 2013-01-29 2015-06-04 정명호 싱크대용 냄새차단 및 세균억제형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5950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
KR100454465B1 (ko) 배수트랩
KR20190089667A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200262264Y1 (ko) 배수구 장착구
KR20080081572A (ko) 악취 방지용 배수트랩
KR200458962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102045116B1 (ko) 노출형 세면기 배수트랩
KR20080084223A (ko) 하수용 배수트랩
KR200388695Y1 (ko) 악취 방지 하수구 덮개
EP1666676A2 (en) Odour trap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JP3460056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367296Y1 (ko) 세면대용 배수트랩
KR930004463Y1 (ko) 배수용 트랩
KR20150143028A (ko) 세면기용 배수 트랩 어셈블리
KR200230642Y1 (ko) 하수구 덮개
JP2665122B2 (ja) 浴室用排水トラップ
KR102452876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세면기용 배수트랩
KR200218233Y1 (ko) 하수구 맨홀용 냄새방지장치
KR200257162Y1 (ko) 배수트랩
KR200200818Y1 (ko) 바닥 배수용 배수구
KR200352206Y1 (ko) 배수트랩
KR102245460B1 (ko) 유체 배출구의 트랩
KR200175969Y1 (ko) 오수처리 반자동 기구
KR930004979Y1 (ko) 배수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