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8836A -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 - Google Patents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8836A
KR20200128836A KR1020190052861A KR20190052861A KR20200128836A KR 20200128836 A KR20200128836 A KR 20200128836A KR 1020190052861 A KR1020190052861 A KR 1020190052861A KR 20190052861 A KR20190052861 A KR 20190052861A KR 20200128836 A KR20200128836 A KR 20200128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lower plate
odor blocking
sewag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곽
이연묵
Original Assignee
이연곽
이연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곽, 이연묵 filed Critical 이연곽
Priority to KR1020190052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8836A/ko
Publication of KR20200128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88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8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bell siph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플레이트(31)의 상부접착면(P1)과 하부플레이트(330)의 하부단부(P4)의 사이에 형성되는 측면개구부(53);를 구비하는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으로서, 막힘 또는 역류 현상없이 하수를 원활하게 배출이 가능한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 { A stink trap for drain }
본 발명은 막힘 또는 역류 현상없이 하수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 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구로부터 역류하는 악취 및 벌레 등을 효율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및 빌라 등의 다가구 주택에 적용되는 배수설비는 수직으로 구비되는 배수관을 기준으로 보조 배수관들이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배수공을 통해 악취가 올라오는 현상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수관을 사용하게 되면, 누적된 오수의 잔여물 등의 부패가 심화되어 악취의 역류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이나 일반 개인 주택에서는 배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 및 벌레 등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관 측에 악취방지구를 설치함은 주지된 사실이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에 설치되는 악취방지구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0028호(2002. 06. 27.)에는 하수관의 내부로 탈착가능하게 끼움 고정할수 있도록 한 배수용 관체를 구비하고, 상기 관체의 내부에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류되게 하였다가 배출하는 저류통과 관체의 상부로부터 상기 저류통의 내부로 연장 설치된 안내판으로 이루어진 악취 방지구를 설치하여, 보수 및 교체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또한 하수관으로부터 역류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관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5325호(2009. 08. 07.)에는 건물 내부의 배수관 입구에 삽입되는 관체와; 상기 관체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직으로 단차를 두고 삽입되면서 입구 내지는 통로와 출구로 구획하기 위한 제1 격리판 및 제2 격리판과; 상기 제1 격리판의 상단에서 입구의 타측으로 비스듬하게 형성하여 상기 배관의 통로를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안내판과; 상기 관체의 입구와 통로의 하단부를 차단하여 상기 일정량의 물이 담겨지도록 하여 관체의 통로를 차단하는 차단판과; 상기 관체의 외주연과 상기 배수관의 내주연에 밀착하여 누설을 방지하는 패킹으로 구성되는 배수관용 악취 차단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악취방지구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곤란하며, 아울러 제조단가가 높아서 현실적으로 적용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악취방지구는 단순히 배수관의 폐쇄를 통해서만 악취를 차단함으로써 개폐를 반복하면서 악취 차단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악취방지구의 경우에는 배수시 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 대비 상기 하수가 배수되는 배수구(점선 부분 참조)의 크기가 작아서 막힘이나 역류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상기 하수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악취와 벌레 등의 유입 차단 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배수관(200)에 적용이 가능한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은, 내부에 공간부(S)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부(30); 상기 몸체부(30)의 상부에 형성되어, 하수가 유입되는 상부개구부(50); 상기 몸체부(30)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렌지(5); 상기 몸체부(30)의 내주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3);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31)의 상부접착면(P1)과 하부플레이트(330)의 하부단부(P4)의 사이에 형성되는 측면개구부(53); 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30)는 원기둥 형상 또는 사각기둥 형상이며,, 상기 플렌지(5)는 배수관(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바닥면(220)에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31)는 하부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플레이트(33)는 상부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3)는 상기 몸체부(30)의 내주면(35)에 밀착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은 하수를 배수관(200)으로 배출하되, 내부의 공간부(S)에 물이 저수됨으로써 역류하는 악취의 유입을 원활하게 차단하며, 또한 하수로부터 모기나 바퀴벌레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그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과 배수관(200)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며, 상기 배수관(200)의 상부에 끼워 설치함으로써,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는 하수의 막힘이나 역류 현상없이 다량의 하수를 원활하게 배출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배수관용 악취방지구의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상부플레이트(31) 및 하부플레이트(3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이 배수관(200)에 장착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이 배수관(200)에 장착된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상부플레이트(31) 및 하부플레이트(3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이 배수관(200)에 장착된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이 배수관(200)에 장착된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은, 내부에 공간부(S)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부(30); 상기 몸체부(30)의 상부에 형성되어, 하수가 유입되는 상부개구부(50); 상기 몸체부(30)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렌지(5); 상기 몸체부(30)의 내주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3);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31)의 상부접착면(P1)과 하부플레이트(33)의 하부단부(P4)의 사이에 형성되는 측면개구부(5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200)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렌지(5)가 상기 배수관(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바닥면(220)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플랜지(5)의 하부에는 패킹부재(10)가 구비되어, 상기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과 배수공(210) 사이의 공간이 상기 패킹부재(10)에 의해 밀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은 상부개구부(50)와 하부플레이트(33)의 사이에 공간부(S)가 형성되는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30)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렌지(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상단부에는 플렌지(5)가 상기 몸체부(30)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30)는 상부가 개구되어 상부개구부(50)를 형성하며, 원 기둥 또는 사각 기둥 등의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30)의 형상은 배수관(200)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부(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플레이트(31)의 상부접착면(P1)과 하부플레이트(33)의 하부단부(P4)의 사이에 측면개구부(5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개구부(53)는 상부개구부(50)를 통해 유입된 하수가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3)를 거쳐 배수되기 위하여 상기 몸체부(30)의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관(20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을 배수관(200)에 장착시 상기 배수관(200)의 내부로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30)와 배수관(20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30)의 직경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30)와 배수관(20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측면개구부(53)를 통해 배수되는 하수가 상기 공간을 통해 배수관(200)의 하부로 배출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30)가 배수관(200)에 삽입된 후, 상기 몸체부(30)의 상부에 형성되는 플렌지(5)가 배수관(200)의 바닥면(220)에 안착되어 상기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30)가 배수관(200)에 안착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상부에 거름망(15)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설치 이후에는 상기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상부개구부(50)를 통해 유입된 하수가 상부플레이트(31)를 타고 하부플레이트(33) 측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플레이트(33)로 유입된 하수가 점차로 증가하게 되면, 상기 하수의 수면이 점차로 상승하면서 측면개구부(53)를 통해 배수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측면개구부(55)로 배출된 하수는 배수관(200)을 통해 최종 배출되게 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몸체부(30)의 내부에는 상부플레이트(31) 및 하부플레이트(33)가 상하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부플레이트(31) 및 하부플레이트(33)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의 내주면(35)에 부착되는 상부접착면(P1) 보다 상부단부(P3)가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향으로 굴곡됨으로써, 상기 상부단부(P3)의 위치가 상기 상부접착면(P1) 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플레이트(31)는 하향으로 굴곡되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31)의 상부접착면(P1)은 하부플레이트(33)의 하부접착면(P2)과 서로 반대측면에서 대향되게 형성된다.
즉, 상부플레이트(31)는 하향으로 굴곡되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접착면(P1) 보다 상부단부(P3)가 하부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상부플레이트(31)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양측부(311, 31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양측부(311, 312)는 상기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몸체부(30)의 내주면(35)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상기 상부양측부(311, 312)가 상기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몸체부(30)의 내주면(35)에 밀착되어 누수되지 않도록 결합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몸체부(30)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플레이트(31)의 상부양측부(311, 312)가 원 기둥 형상의 몸체부(30)의 내주면(35)에 밀착되어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31)의 상부접착면(P1) 또한 원기둥 형상의 몸체부(30)의 내주면(35)에 밀착되어 구비함으로써 상기 상부플레이트(31)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b)는 하부플레이트(33)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플레이트(33)는 몸체부(30)의 내주면(35)에 결합되며, 상향으로 만곡되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플레이트(33)는 몸체부(30)의 내주면(35)에 부착되는 하부접착면(P2)이 상부플레이트(31)의 상부접착면(P1)과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부플레이트(33)는 상향으로 만곡되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저수공간을 형성하여 유입되는 하수를 배수한 후 그 일부를 저수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플레이트(33)에는 하부양측부(331, 33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양측부(331, 332)는 몸체부(30)의 내주면(35)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부양측부(331, 332)가 상기 몸체부(30)의 내주면(35)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30)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하부플레이트(33)의 하부양측부(331, 332)가 상기 원기둥 형상의 몸체부(30)의 내주면(35)에 밀착되어 누수가 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플레이트(33)의 하부접착면(P2) 또한 원기둥 형상의 몸체부(30)의 내주면(35)에 밀착되어 구비함으로써 상기 하부플레이트(33)를 통한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31) 및 하부플레이트(33)는 몸체부(30)의 내부의 공간부(S)에서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33)는 상부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유입되는 하수를 배수한 후 남은 일정량의 하수를 저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30)의 상부개구부(50)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부플레이트(31)를 따라 하부플레이트(33)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플레이트(33)의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저수공간에 배수되고 남은 하수가 저수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하부플레이트(33)의 저장공간에 물이 저수됨으로써, 도 3과 같이 하수관으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및 벌레 등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3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상부플레이트(31)의 상부접착면(P1)과 하부플레이트(33)의 하부단부(P4)의 사이에 측면개구부(5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플레이트(31)의 상부접착면(P1)과 하부플레이트(33)의 하부단부(P4)의 사이에 측면개구부(53)가 형성됨으로써, 유입되는 하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진행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악취방지구는 하수 등이 유입되는 유입구 대비 상기 유입된 하수가 배수되는 배수구(점선 부분 참조)의 크기가 작아서 유입되는 하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아니하여 하수의 막힘이나 역류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몸체부(30)의 일측 즉, 상부플레이트(31)의 상부접착면(P1)과 하부플레이트(33)의 하부단부(P4)의 사이에 유입되는 하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측면개구부(53)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되는 하수를 원활하게 배수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0)의 일측 내주면으로부터 상부플레이트(31)의 상부단부(P3)까지의 거리 즉, l 과, 상기 상부단부(P3)로부터 반대측 내주면까지의 거리 즉, m 의 비율이 1 : 1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 : m 을 1 : 1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 측면개구부(53)의 크기가 몸체부(30)에서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또한 하부플레이트(33)를 거쳐 측면개구부(53)로 유입되는 하수의 양이 최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으로 유입되는 하수의 배수가 가장 원활하게 된다.
즉, 도 1과 같이 종래의 악취방지구에 측면개구부(53)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하수 등이 유입되는 유입구 대비 배수구(점선 부분 참조)의 크기가 작아서 유입되는 하수의 배수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몸체부(30)의 일측 내주면으로부터 상부플레이트(31)의 상부단부(P3)까지의 거리(l)과, 상기 상부단부(P3)로부터 반대측 내주면까지의 거리(m)의 비율 즉, l : m을 1 : 1 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측면개구부(53)를 통해 유출되는 하수의 배수양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부개구부(50)를 통해 유입된 하수가 상부플레이트(31)를 통해 몸체부(30)의 내부로 유입된 후, 하부플레이트(33)를 거쳐 배수관(200)으로 배수될 때 상기 측면개구부(53)에 의한 하수의 막힘이나 역류 현상없이 하수를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하수의 배출속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은 주철, 연강, 또는 구조용 철강재와 같은 금속재, 콘크리트 구조물 및 합성 고분자 수지 등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은 상기 상향으로 만곡형성된 하부플레이트(33)에 의해 저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저수공간에 유입된 하수의 일부가 저수됨으로써 하수관으로부터 역류하는 악취와 벌레 등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부(30'); 상기 몸체부(30')에 형성되는 상부개구부(50')와 측면개구부(53'); 상기 몸체부(30')의 내주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상부플레이트(31') 및 하부플레이트(33'); 그리고 상기 몸체부(30')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렌지(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30')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하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다. 다만 몸체부(30')의 형상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써 상이하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30')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3')의 형상만이 상이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몸체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30')가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200') 또한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30')의 내부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3')는 사각 기둥 형상의 몸체부(3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3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몸체부(30') 가 삽입되는 배수관(2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수관(200')의 내부로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하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30')가 배수관(200')에 삽입된 후, 상기 몸체부(30')의 상부에 거름망(15')이 안착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제 1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플랜지(5')의 하부에는 패킹부재(미도시)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이 설치된 후에는 상기 몸체부(30')의 상부개구부(50')를 통해 하수가 유입되고, 상기와 같이 유입된 하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1')를 타고 흘러서 하부플레이트(33')에 형성되는 저수공간으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플레이트(33')의 저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은 이후에 상기 하부플레이트(33')를 거쳐 상기 측면개구부(53')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하부플레이트(33')의 저수공간에는 일정량의 물이 저수됨으로써 악취 및 벌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의 측면개구부(53')로 배출된 물은 상기 배수관(200')을 거쳐 하수관(미도시)를 통해 최종 배출되게 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은 기존에 설치된 배수관(200)에 삽입하여 상기 배수관(200)의 바닥면(220)에 안착시키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됨으로써, 기존의 배수관(200)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설치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은 몸체부(30)의 내부에서 하부플레이트(33)에 의해 저수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저수공간에 저수된 하수를 통해 역류하는 악취 뿐만 아니라 벌레 등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은 상부플레이트(31) 및 하부플레이트(33)의 양측부가 몸체부(30)의 내주면(35)에 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수용부재 없이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은 몸체부(30)의 일측 내주면으로부터 상부플레이트(31)의 상부단부(P3)까지의 거리(l)과, 상기 상부단부(P3)로부터 반대측 내주면까지의 거리(m)의 비율 즉, l : m을 1 : 1 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측면개구부(53)를 통해 유출되는 하수의 배수양을 최대화하여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
50 : 상부개구부
55 : 하부개구부
53 : 측면개구부
5 : 플랜지
31 : 상부플레이트
33 : 하부플레이트

Claims (5)

  1. 내부에 공간부(S)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부(30)
    상기 몸체부(30)의 상부에 형성되어, 하수가 유입되는 상부개구부(50);
    상기 몸체부(30)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렌지(5);
    상기 몸체부(30)의 내주면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3);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31)의 상부접착면(P1)과 하부플레이트(33)의 하부단부(P4)의 사이에 형성되는 측면개구부(5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는 원기둥 형상 또는 사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렌지(5)는 배수관(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바닥면(220)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31)는 하부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플레이트(33)는 상부로 만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31)와 하부플레이트(33)는 상기 몸체부(30)의 내주면(35)에 밀착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100).

KR1020190052861A 2019-05-07 2019-05-07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 KR20200128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61A KR20200128836A (ko) 2019-05-07 2019-05-07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2861A KR20200128836A (ko) 2019-05-07 2019-05-07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8836A true KR20200128836A (ko) 2020-11-17

Family

ID=7364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2861A KR20200128836A (ko) 2019-05-07 2019-05-07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88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310U (ko) 2021-12-20 2023-06-27 배정중 배수 유도관 및 이 배수 유도관을 구비한 배수 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310U (ko) 2021-12-20 2023-06-27 배정중 배수 유도관 및 이 배수 유도관을 구비한 배수 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3690C2 (ru) Водяной затвор для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CA3086197C (en) Storm drainage detention assembly and system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20200128836A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
KR20140040440A (ko) 배수 안정성 향상과 배수소음 최소화를 갖춘 통합 배수트랩 장치
KR100655740B1 (ko) 역류 및 악취방지맨홀
KR100658160B1 (ko) 공동주택 베란다의 배수구조
JP2562115B2 (ja) 排水管用臭気止めトラップ
KR101955227B1 (ko) 배수트랩 구조체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200327344Y1 (ko) 착탈식 배수트랩
KR100882439B1 (ko)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 트렌치
KR100952989B1 (ko) 배수 트랩 구조물
KR100654309B1 (ko) 하수관로의 물받이 배수트랩
JP3569842B2 (ja) 排水トラップ及び排水トラップを用いた浴室構造
JP3460056B2 (ja) 排水トラップ
JP6688541B2 (ja) 排水トラップ、排水トラップ付き阻集器
JP6035471B2 (ja) 排水配管
CN213448722U (zh) 卫生间脸盆水池小便池防臭下水器
KR100580865B1 (ko) 건축용 개량맨홀
KR20120007819U (ko) 이물질 배출 기능이 구비된 배수 홈통
KR102194255B1 (ko) 배수관용 피 트랩
KR102370423B1 (ko) 사이펀식 바닥배수장치
RU202786U1 (ru) Сифон для кондиционе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