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255B1 - 배수관용 피 트랩 - Google Patents
배수관용 피 트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4255B1 KR102194255B1 KR1020200067279A KR20200067279A KR102194255B1 KR 102194255 B1 KR102194255 B1 KR 102194255B1 KR 1020200067279 A KR1020200067279 A KR 1020200067279A KR 20200067279 A KR20200067279 A KR 20200067279A KR 102194255 B1 KR102194255 B1 KR 1021942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eiving
- pipe
- sewage
- drainage
- dra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에서 밀폐 캡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에서 밀폐 캡을 분리한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내부 유동을 보여주는 하수 흐름도.
101: 입수유로
103: 출수유로
110: 입수부
111: 입수 확관몸체
112: 제1 체결나사
113: 직선연결관
114: 곡면형상부
115: 제1 두께증가부
116: 내부돌출배관
1161: D형단면관
1162: 상단연결부
1163: 원형관부
1164: 플레이트형관부
117: 입수 입구유로
118: 입수 출구유로
1191: 제1 유로벽면
1192: 제2 유로벽면
1193: D형출구
130: 배수부
131: 배수 확관몸체
132: 제2 체결나사
133: 곡선연결관
134: 교차연결부
135: 제2 두께증가부
137: 배수 입구유로
138: 배수 출구유로
1391: 제4 유로벽면
1392: 제3 유로벽면
150: 수용부
151: 수용몸체
152: 제3 체결나사
153: 홈
180: 밀폐 캡
181: 링형몸체
182: 암나사부
183: 오목형수용조
1831: 수용조바닥면
1832: 수용조바닥면의 내부중심지점
184: 상향돌기
189: 씰링부재
200: 침전물
300: 코팅부
Claims (15)
- 하수를 유입하는 입수유로가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입수유로를 통해 하수를 내부로 도입하는 입수부;
상기 입수부를 통해 내부로 도입된 하수의 일부는 배출시키고, 남은 하수의 일부는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
하수가 배출되는 배수유로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를 거쳐 배출된 하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단을 밀폐시키도록 체결되며, 아래로 오목한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적어도 일정량의 하수를 봉수로 저장하는 밀폐 캡;을 포함하고,
상기 입수부는, 상기 입수유로와 연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부까지 출구가 연장된 내부돌출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돌출배관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벽면에 근접한 위치에서는 수직의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내부 폭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플레이트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는 제3 체결 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제3 체결나사는 상기 밀폐 캡의 상단에 구비된 링형몸체의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3 체결 나사에서 내측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 캡은 상기 홈의 가장자리에 마주하여 소정 길이로 상향 돌출된 상향돌기를 구비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의 적어도 일부,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배수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형성되는 코팅부;
를 더 포함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의 상단에는 제1 체결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체결나사는 상기 입수부의 상부로 연결되는 수직 관의 적어도 일부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배수부의 상단에는 제2 체결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체결나사는 상기 배수부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수평 관의 적어도 일부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입수부와 상기 배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아래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용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캡은,
상기 상향돌기의 외측에 위치 고정된 씰링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밀폐 캡의 결합 시 상기 홈과 상기 상향돌기가 마주하는 위치에서 압착되어 상기 밀폐 캡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는,
상기 제1 체결나사가 외부 면을 따라 형성되는 입수 확관몸체; 및
상기 입수 확관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직선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입수 확관몸체와 상기 직선연결관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제1 두께증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는
상기 직선연결관에 마주하여 형성되며, 입수 입구유로로부터 입수 출구유로를 향할수록 상기 수용부의 내부 폭 중앙을 향하여 상기 직선연결관의 내부유동단면을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도록 형성된 곡면형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돌출배관은,
출구의 일단부는 원형 단면이고, 출구의 타단부는 플레이트형상의 단면인 D형출구를 구비하는 D형단면관을 포함하고,
상기 D형단면관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부의 상단과 상기 직선연결관이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직선연결관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형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D형단면관의 타측에는, 상기 곡면형상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원형관부와 동일한 길이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밀폐 캡의 내부중심에 마주하여 형성되는 플레이트형관부가 구비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관부은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반원 형상의 제1 유로벽면을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형관부는 상기 곡면형상부를 거쳐 상기 제1 유로벽면보다 유속이 증가된 하수를 상기 밀폐 캡의 내부중앙으로 유동시키는 제2 유로벽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캡의 링형몸체의 하부에는 오목형수용조가 구비되고,
상기 오목형수용조는,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조바닥면의 내부중심지점를 중심으로 침전물이 누적 가능하며,
상기 제2 유로벽면이 출구 부위가 상기 수용조바닥면의 내부중심지점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2 체결나사가 외부 면을 따라 형성되는 배수 확관몸체;
상기 수용부의 일측과 상기 배수 확관몸체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배수 확관몸체를 향하여 위로 구부러진 형상의 곡선연결관; 및
상기 곡선연결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 확관몸체와 상기 수용부 사이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교차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확관몸체와 상기 곡선연결관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제2 두께증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플레이트형관부의 외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부 사이에서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하수의 일부를 배출시키는 배수 입구유로와,
상기 곡선연결관과 상기 교차연결부 사이에서 상기 배수 입구유로를 통해 도입된 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출구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 입구유로와 상기 배수 출구유로 사이의 공간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형관부와 상기 곡면형상부 각각의 외부 면을 통해 라운드 진 형상의 제3 유로벽면과,
상기 배수 입구유로와 상기 배수 출구유로 사이의 공간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와 상기 교차연결부의 내부 면을 통해 유로를 90도로 변경하는 제4 유로벽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에서,
봉수 높이(H)는, 적어도 50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7279A KR102194255B1 (ko) | 2020-06-03 | 2020-06-03 | 배수관용 피 트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7279A KR102194255B1 (ko) | 2020-06-03 | 2020-06-03 | 배수관용 피 트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4255B1 true KR102194255B1 (ko) | 2020-12-22 |
Family
ID=7408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7279A Active KR102194255B1 (ko) | 2020-06-03 | 2020-06-03 | 배수관용 피 트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425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8925Y1 (ko) * | 2002-09-18 | 2002-12-31 | 설남수 | 배수트랩 |
KR20130088302A (ko) | 2012-01-31 | 2013-08-08 | 이종태 | 하수관용 p-트랩 |
-
2020
- 2020-06-03 KR KR1020200067279A patent/KR10219425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8925Y1 (ko) * | 2002-09-18 | 2002-12-31 | 설남수 | 배수트랩 |
KR20130088302A (ko) | 2012-01-31 | 2013-08-08 | 이종태 | 하수관용 p-트랩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927450B2 (ja) | 排水システム | |
JP2010007358A (ja) |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 |
JP5245364B2 (ja) | 浴室排水装置 | |
RU2383690C2 (ru) | Водяной затвор для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 |
KR20140040440A (ko) | 배수 안정성 향상과 배수소음 최소화를 갖춘 통합 배수트랩 장치 | |
KR102194255B1 (ko) | 배수관용 피 트랩 | |
JP7349049B2 (ja) | 階間病原体伝播遮断構造型排水トラップ | |
JP4842021B2 (ja) | 排水トラップ | |
KR102108421B1 (ko) | 공동주택 발코니용 조립식 배수시설 | |
KR200427026Y1 (ko) |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 |
KR100562898B1 (ko) |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 |
JP7160322B2 (ja) | 排水構造及びサイホン排水システム | |
JP4441616B2 (ja) | 排水トラップ | |
KR100954145B1 (ko) | 점검구 전환이 가능한 오수받이 | |
JP2019214912A (ja) | 排水口部材、及び排水配管構造 | |
KR20170003867U (ko) |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 |
KR100654309B1 (ko) | 하수관로의 물받이 배수트랩 | |
KR20200128836A (ko) |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 | |
KR101348450B1 (ko) | 용수공급부가 구비된 배수트랩 및 이를 이용한 층상 배수 시스템 | |
JP7160323B2 (ja) | 排水構造 | |
KR100451895B1 (ko) | 배수트랩에 있어서 이물질 걸림방지구조 | |
JP2000080695A (ja) | 排水トラップ | |
KR100695749B1 (ko) | 오수받이 | |
KR102681524B1 (ko) | 통기 트랩 | |
JP7577034B2 (ja) | 排水トラ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6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