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255B1 - 배수관용 피 트랩 - Google Patents
배수관용 피 트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4255B1 KR102194255B1 KR1020200067279A KR20200067279A KR102194255B1 KR 102194255 B1 KR102194255 B1 KR 102194255B1 KR 1020200067279 A KR1020200067279 A KR 1020200067279A KR 20200067279 A KR20200067279 A KR 20200067279A KR 102194255 B1 KR102194255 B1 KR 1021942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eiving
- sewage
- pipe
- drainage
- dra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용 피 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배수관용 피 트랩은 하수를 유입하는 입수유로가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며, 입수유로를 통해 하수를 내부로 도입하는 입수부, 입수부를 통해 내부로 도입된 하수의 일부는 배출시키고, 남은 하수의 일부는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 하수가 배출되는 배수유로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며, 수용부를 거쳐 배출된 하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부, 및 수용부의 하단을 밀폐시키도록 체결되며, 아래로 오목한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적어도 일정량의 하수를 봉수로 저장하는 밀폐 캡(180)을 포함하고, 입수부는, 입수유로와 연통하여 수용부의 내부까지 출구가 연장된 내부돌출배관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수관용 피 트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의 싱크대나 화장실, 욕조, 세면기 등에서 배수할 때에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배관에 피 트랩(P TRAP)을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피 트랩은 배수관의 일부를 'P'자 모양으로 한 관 트랩을 말한다. 피 트랩은 자기 사이펀 작용을 할 수 없도록 관을 구부려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피 트랩은 하수관 내부의 유해가스, 악취 또는 해충이 배수관을 통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피 트랩은 욕실이나 베란다 등의 슬리브와 연결된 수직 관과 수직 관으로 유입되는 하수를 수평 관으로 유동시켜 배수시킨다.
이를 위해, 종래의 피 트랩은 상부에서 연결된 수직 관을 통해 하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입수 유로와, 측면을 통해 연결된 수평 관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하수를 배출시키는 배수 유로가 구비된다.
그리고 피 트랩의 내부에는 입수 유로와 배수 유로 간의 경계 부위를 세로 벽 형상으로 구획하여 분리시켜 하수의 유동을 차단하는 막음 판이 구비된다.
그리고 피 트랩의 하부에는 밀폐 캡이 결합되며, 밀폐 캡으로 밀봉된 피 트랩의 하측 내부수용공간을 통해 하수의 적어도 일부가 남게 되는데, 이를 '봉수'라 한다. 특히, 상하로 길게 연장된 막음 판의 하단이 봉수에 잠기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평 관 측으로부터 각종 유해가스, 악취, 및 해충 등이 피 트랩의 내부를 통해 수직 관까지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수평 관 측의 유해가스, 악취, 및 해충 등의 실내 유입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피 트랩은 입수 유로의 유동단면이 배수 유로의 유동 단면보다 작게 형성되어, 하수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수직 관을 통해 아래로 낙하하는 하수가 피 트랩의 밀폐 캡과 충돌하여 소음,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피 트랩의 경우 밀폐 캡의 바닥 면이 평탄하게 이루어져 봉수의 저장량이 충분하지 않아, 하수의 유입이 없는 상태로 시간이 흐를 경우 봉수의 증발로 인해 유해가스, 악취, 및 해충 등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8302호(2013.08.08. 공개일)은 하수관용 P-트랩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종래의 피 트랩은 밀폐 캡의 형상을 아래로 오목한 반구 형상으로 변경한 것과, 입수 유로 측과 연통되어 하수가 유입되는 이너파이프를 배수 유로의 저점보다 낮게 위치시킨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종래의 피 트랩은 단순히 밀폐 캡과 이너파이프 연장 구조를 통해 봉수의 양을 증가시키고, 봉수의 증발 시에도 악취, 해충 등의 유입을 막을 수 있을 뿐, 밀폐 캡에 침전 및 누적된 오염물의 배출에 필요한 수압을 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봉수의 양을 증가시켜, 봉수의 증발 시에도 유해가스, 악취, 및 해충의 실내 유입을 막을 수 있는 배수관용 피 트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악취, 해충 등의 유입을 막을 뿐 아니라, 일정량의 하수가 항시 수용된 밀폐 캡의 내부공간에 침전된 오염물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입수되는 하수의 수압을 높일 수 있는 배수관용 피 트랩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하수를 유입하는 입수유로가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입수유로를 통해 하수를 내부로 도입하는 입수부; 상기 입수부를 통해 내부로 도입된 하수의 일부는 배출시키고, 남은 하수의 일부는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 하수가 배출되는 배수유로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를 거쳐 배출된 하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단을 밀폐시키도록 체결되며, 아래로 오목한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적어도 일정량의 하수를 봉수로 저장하는 밀폐 캡(180);을 포함하고, 상기 입수부는, 상기 입수유로와 연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부까지 출구가 연장된 내부돌출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돌출배관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벽면에 근접한 위치에서는 수직의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내부 폭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플레이트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입수부의 적어도 일부,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배수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형성되는 코팅부;를 더 포함한다. 코팅부는 피 트랩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하고, 입수부, 수용부, 배수부의 외장 표면을 둘러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표면의 스크래치 및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입수부의 상단에는 제1 체결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체결나사는 상기 입수부의 상부로 연결되는 수직 관의 적어도 일부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배수부의 상단에는 제2 체결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체결나사는 상기 배수부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수평 관의 적어도 일부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입수부와 상기 배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아래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용기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는 제3 체결 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제3 체결나사는 상기 밀폐 캡의 상단에 구비된 링형몸체의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3 체결 나사에서 내측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 캡은 상기 홈의 가장자리에 마주하여 소정 길이로 상향 돌출된 상향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밀폐 캡은, 상기 상향돌기의 외측에 위치 고정된 씰링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밀폐 캡의 결합 시 상기 홈과 상기 상향돌기가 마주하는 위치에서 압착되어 상기 밀폐 캡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수부는, 상기 제1 체결나사가 외부 면을 따라 형성되는 입수 확관몸체; 및 상기 입수 확관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직선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입수 확관몸체와 상기 직선연결관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제1 두께증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수부는 상기 직선연결관에 마주하여 형성되며, 상기 입수 입구유로로부터 상기 입수 출구유로를 향할수록 상기 수용부의 내부 폭 중앙을 향하여 상기 직선연결관의 내부유동단면을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도록 설정 곡률반경을 가지며 곡면을 이루어 형성된 곡면형상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내부돌출배관은, 출구의 일단부는 원형 단면이고, 출구의 타단부는 플레이트형상의 단면인 D형출구를 구비하는 D형단면관을 포함하고, 상기 D형단면관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부의 상단과 상기 직선연결관이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직선연결관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형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D형단면관의 타측에는, 상기 곡면형상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원형관부와 동일한 길이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밀폐 캡의 내부중심에 마주하여 형성되는 플레이트형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형관부는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반원 형상의 제1 유로벽면을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형관부는 상기 곡면형상부를 거쳐 상기 제1 유로벽면보다 유속이 증가된 하수를 상기 밀폐 캡의 내부중앙으로 유동시키는 제2 유로벽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로벽면에서 상기 제2 유로벽면 쪽으로 향할수록 하수의 수압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밀폐 캡의 링형몸체의 하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교체 사용이 가능한 오목형수용조가 구비되고, 상기 오목형수용조는, 상기 밀폐 캡을 통해 적어도 일정량의 하수가 항시 저장됨에 따라,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조바닥면의 내부중심지점를 중심으로 침전물이 누적 가능하며, 상기 제2 유로벽면이 출구 부위가 상기 수용조바닥면의 내부중심지점에 대응하여 위치하여, 상기 침전물의 누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2 체결나사가 외부 면을 따라 형성되는 배수 확관몸체; 상기 수용부의 일측과 상기 배수 확관몸체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배수 확관몸체를 향하여 위로 구부러진 형상의 곡선연결관; 및 상기 곡선연결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 확관몸체와 상기 수용부 사이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교차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확관몸체와 상기 곡선연결관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제2 두께증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플레이트형관부의 외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부 사이에서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하수의 일부를 배출시키는 배수 입구유로와, 상기 곡선연결관과 상기 교차연결부 사이에서 상기 배수 입구유로를 통해 도입된 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출구유로를 구비한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 입구유로와 상기 배수 출구유로 사이의 공간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형관부와 상기 곡면형상부 각각의 외부 면을 통해 라운드 진 형상의 제3 유로벽면과, 상기 배수 입구유로와 상기 배수 출구유로 사이의 공간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와 상기 교차연결부의 내부 면을 통해 유로를 90도로 변경하는 제4 유로벽면을 구비한다.
상기 수용부 내에서, 봉수 높이는 적어도 50cm 일 수 있다. 봉수는 상기 입수부를 통해 상기 수용부 내부로 도입된 하수 중 상기 배수부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지 않고 상기 수용부에 잔존하는 것을 말한다. 만일 봉수 높이가 50cm 미만일 경우, 유량이 충분하게 확보되지 못하여, 증발 등에 의한 유량감소 영향의 큰 단점이 있다. 따라서, 봉수 높이는 적어도 50cm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용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하수, 즉 봉수의 양을 증가시켜 장시간 경과 후 봉수의 증발 시에도 유해가스, 악취, 및 해충의 실내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량의 봉수가 항시 수용된 밀폐 캡의 오목형수용조의 내부중심으로 유동하는 하수의 입수 수압을 주변부에 비해 대폭 향상시켜줌으로써, 수용조바닥면에 누적된 침전물을 배수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 결과, 밀폐 캡 하부에 누적되는 침전물의 양을 줄이고, 장시간 누적된 침전물로 인해 밀폐 캡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키고, 악취 및 유해가스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에서 밀폐 캡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에서 밀폐 캡을 분리한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내부 유동을 보여주는 하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에서 밀폐 캡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에서 밀폐 캡을 분리한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내부 유동을 보여주는 하수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에서 밀폐 캡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에서 밀폐 캡을 분리한 저면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100)은 입수부(110), 배수부(130), 수용부(150), 및 밀폐 캡(180)을 포함한다.
입수부(110)는 하수를 실내로부터 유입하는 입수유로(101)가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입수부(110)는 입수유로(101)를 통해 하수를 수용부(150)의 내부로 도입한다.
수용부(150)는 입수부(110)를 통해 내부로 도입된 하수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수용부(150)의 내부로 도입된 하수는 전부가 배수부(130)를 통해 배출되지 않으며, 하수의 일부는 수용부(150)의 내부에 남아 잔존하게 된다. 이렇게 잔존하는 하수를 봉수라 한다.
이와 같이 수용부(150)는 입수부(110)를 통해 도입된 하수를 배수부(130)로 배출함은 물론, 하수의 일부를 남겨 내부공간에 수용함으로써 봉수를 형성하기도 한다.
밀폐 캡(180)은 수용부(150)의 하단을 밀폐시키도록 체결된다. 구체적으로는, 밀폐 캡(180)은 아래로 오목한 내부공간을 가지는데, 이러한 오목한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적어도 일정량의 하수를 봉수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수부(110)는 내부돌출배관(116)을 더 포함한다.
내부돌출배관(116)은 입수유로(101)와 연통하여 수용부(150)의 내부까지 출구가 연장하여 형성된 배관 형태의 부재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내부돌출배관(116)은 수용부(150)의 내부벽면에 근접한 위치에서는 수직의 원형 단면, 더 구체적으로는 "c"자 형상의 반원형 단면을 가지며, 이와 함께 수용부(150)의 내부 중앙 폭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일자 형태의 플레이트형상 단면을 가진다. 다시 말해, 내부돌출배관(116)은 D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도 7 참조).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배수관용 피 트랩(100)의 외장 면에는 코팅부(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코팅부(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부(110)의 적어도 일부, 수용부(150)의 적어도 일부, 및 배수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형성될 수 있다.
코팅부(300)는 피 트랩(10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더하여, 코팅부(300)는 입수부(110), 수용부(150), 배수부(13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설정두께를 갖도록 외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 중 피 트랩(100)의 표면 스크래치 및 균열을 방지하여 내구수명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배수관용 피 트랩(100)은 제1, 2 체결나사(112, 132)를 구비한다.
제1 체결나사(112)는 입수부(110)의 상단에 구비된다. 제1 체결나사(112)는 입수부(110)의 상부로 연결되는 수직 관(미도시)의 적어도 일부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2 체결나사(132)는 배수부(130)의 상단에 구비된다. 제2 체결나사(132)는 배수부(130)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수평 관(미도시)의 적어도 일부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배수관용 피 트랩(100)에서, 수용부(150)는 입수부(110)와 배수부(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150)는 아래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용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반드시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형상으로 수용부(150)의 형상을 변경해도 무방하다.
또한, 수용부(150)의 하단에는 제3 체결 나사(152)가 구비된다. 제3 체결나사(152)는 밀폐 캡(180)의 상단에 구비된 링형몸체(181)의 암나사부(182)와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수용부(150)의 하단에는 제3 체결 나사(152)에서 내측 방향으로 홈(153)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밀폐 캡(180)은 홈(153)의 가장자리에 마주하여 소정 길이로 상향 돌출된 상향돌기(184)를 구비할 수 있다.
밀폐 캡(180)은 상향돌기(184)의 외측에 위치 고정된 씰링부재(189)를 더 구비한다. 이때, 씰링부재(189)는 밀폐 캡(180)의 결합 시 홈(153)과 상향돌기(184)가 마주하는 위치에서 압착되어 밀폐 캡(180)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킨다. 이때, 밀폐 캡(18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씰링부재(189)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배수관용 피 트랩(100)에서 입수부(110)는 입수 확관몸체(111), 및 직선연결관(113)을 포함한다.
입수 확관몸체(1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나사(112)가 외부 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직 관(미도시)을 연결하는 배관연결부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직선연결관(113)은 입수 확관몸체(111)의 하단으로부터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직선연결관(113)을 통해 입수부(110)의 내부로 하수가 도입되어 수용부(150)의 내부공간으로 하수의 유입이 이루어진다.
이때, 입수 확관몸체(111)와 직선연결관(113)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제1 두께증가부(115)를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두께증가부(115)는 직경이 큰 입수 확관몸체(111)와 직경이 작은 직선연결관(113) 사이의 단차 형상 부위를 두껍게 보강하는 구성으로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연결부위를 보강한다.
한편, 입수부(110)는 곡면형상부(114)를 더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곡면형상부(114)는 직선연결관(113)에 마주하여 형성된다.
곡면형상부(114)는 입수 입구유로(117)로부터 입수 출구유로(118)를 향할수록 수용부(150)의 내부 폭 중앙을 향하여 직선연결관(113)의 내부유동단면을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도록 설정 곡률반경을 가지며 곡면을 이루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곡면형상부(114)의 전체적인 입체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곡면형상부(114)는 수용부(150)의 내부 폭 중앙을 향하여 유동하는 입수 측 하수의 유동속도를 증가시키고 수압을 향상시켜주는 역할을 하는데,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곡면을 형성한다.
내부돌출배관(116)은 출구의 일단부는 원형 단면이고, 출구의 타단부는 플레이트형상의 단면인 D형출구(1193)를 구비하는 D형단면관(116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D형단면관(1161)의 일측에는 수용부(150)의 상단과 직선연결관(113)이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직선연결관(113)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형관부(1163)가 구비된다.
또한, D형단면관(1161)의 타측에는 곡면형상부(114)의 하단으로부터 원형관부(1161)와 동일한 길이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단부가 밀폐 캡(180)의 내부중심에 마주하여 형성되는 플레이트형관부(116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원형관부(1163)은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반원 형상의 제1 유로벽면(1191)을 구비한다. 그리고 플레이트형관부(1164)는 곡면형상부(114)를 거쳐 제1 유로벽면(1191)보다 유속이 증가된 하수를 밀폐 캡(180)의 내부중앙으로 유동시키는 제2 유로벽면(1192)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1 유로벽면(1191)에서 제2 유로벽면(1192) 쪽으로 향할수록 밀폐 캡(180)을 향하여 입수되는 하수의 수압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밀폐 캡(180)의 내부 폭 중앙으로 향하는 수압이 최대이며, 그 주변부로 갈수록 수압이 약해지는 하수의 유동 형태가 나타날 수 있다.
이때, 밀폐 캡(180)의 링형몸체(181)의 하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교체 사용이 가능한 오목형수용조(183)가 구비된다.
오목형수용조(183)는 밀폐 캡(180)을 통해 적어도 일정량의 하수가 항시 저장됨에 따라,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조바닥면(1831)의 내부중심지점(1832)을 중심으로 침전물(200, 도 8 참조)이 최대 누적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유로벽면(1192)이 출구 부위가 수용조바닥면(1831)의 내부중심지점(1832)에 대응하여 위치함으로써(도 2 참조), 침전물(200)의 누적을 방지하고 침전물(200)의 원활한 배출을 도모할 수 있다(도 8 참조).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배수관용 피 트랩(100)에서 배수부(130)는 배수 확관몸체(131), 곡선연결관(133), 교차연결부(134)를 포함한다.
배수 확관몸체(1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나사(132)가 외부 면을 따라 형성되는 수평 관(미도시)을 연결하는 배관연결부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곡선연결관(133)은 수용부(150)의 일측과 배수 확관몸체(131) 사이에 연결되며, 배수 확관몸체(131)를 향하여 위로 구부러진 형상의 배관을 말한다.
곡선연결관(133)을 통해 수용부(15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하수는 위로 유동한 후 다시 배수 확관몸체(131)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교차연결부(134)는 곡선연결관(133)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배수 확관몸체(131)와 수용부(150) 사이의 연결부위에 형성된다.
이때, 배수 확관몸체(131)와 곡선연결관(133)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제2 두께증가부(135)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두께증가부(135)는 직경이 큰 배수 확관몸체(131)와 직경이 작은 곡선연결관(133)의 출구 사이의 단차 형상 부위를 두껍게 보강하는 구성으로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연결부위를 보강한다.
한편, 배수부130)는 배수 입구유로137)와, 배수 출구유로138)를 포함한다.
배수 입구유로137)는 플레이트형관부1164)의 외부와 수용부150)의 내부 사이에서 수용부150)의 내부에 수용된 하수의 일부를 배출시키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배수 출구유로138)는 곡선연결관133)과 교차연결부134) 사이에서 배수 입구유로137)를 통해 도입된 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된다(도 2 참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배수부130)는 배수 입구유로137)와 배수 출구유로138) 사이의 공간 일측에 형성되는 제3 유로벽면1392)을 구비한다. 제3 유로벽면1392)은 플레이트형관부1164)와 곡면형상부114)의 외부 면을 통해 라운드 진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제2 유로벽면1192)의 반대 쪽 면을 통해 형성되어 위로 갈수록 배수 방향을 향해 일측으로 구부러진 곡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배수부130)는 배수 입구유로137)와 배수 출구유로138) 사이의 공간 타측에 형성되는 제4 유로벽면1391)을 구비한다. 제4 유로벽면1391)은 수용부150)의 내부 면과 교차연결부134)의 내부 면을 연결하여 하수의 유동방향인 유로를 90도로 변경하여 배수 방향으로 하수를 배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3 유로벽면1392)의 하부는 플레이트형관부1164)의 외부 면을 통해 수직 면1393)의 형태로 하향 연장되며, 밀폐 캡180)에 누적된 침전물을 입수 측의 반대편인 배수 측으로 배출시키기에 용이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제3 유로벽면(1392)과 그 하단에 연결된 수직 면(1393)의 입체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의 내부에서의 하수의 유동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용 피 트랩(100)은 입수유로(101)를 통해 실내 측 수직 관으로부터 하수가 입수되고, 입수부(110)를 통과하여 하수가 하향 유동한다. 한편, 입수부(110)를 통과하여 하향 유동한 하수는 수용부(150)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며, 반대편 배수부(130)를 통과하여 하수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입수 출구유로(118)는 입수 입구유로(117)에 비해 유동단면적이 축소되어 하수는 아래로 유동할수록 전체적이 유속이 증가하고, 수압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경우, 밀폐 캡(180)의 내부중심 방향으로 갈수록 하수의 유속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면서 수압도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해, 입수 출구유로(118)에서, 밀폐 캡(180)을 향하여 유동하는 하수의 유속은 제1 유로벽면(1191)에서 제2 유로벽면(1192)로 갈수록 증가한다(W1의 유속>W2의 유속>W3의 유속). 그 결과, 하수의 수압도 제1 유로벽면(1191)에서 제2 유로벽면(1192)로 갈수록 증가한다(W1의 수압>W2의 수압>W3의 수압).
이로써, 밀폐 캡(180)의 내부 공간, 더 구체적으로는 수용조바닥면(1831)의 주변부에 비해 수용조바닥면(1831)의 내부중심지점(1832)을 향해 도입되는 하수의 유속 및 수압이 최대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폐 캡(180)의 오목형수용조의 내부중심지점(1832)에 집중적으로 두껍게 침전된 침전물(200)을 향해 큰 수압이 작용하여 장시간 침적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았던 침전물(200)까지 손쉽게 분리되어 하수에 섞일 수 있으며, 이후 침전물(200)은 하수와 함께 배수부(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부(150)에 저장된 하수, 즉 봉수의 저장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밀폐 캡(180)의 하단을 아래로 오목한 형상(예: 반구 형상 등)으로 변경할 경우, 하수에 포함된 침전물(200)의 지속적인 누적 현상과, 두껍게 쌓인 침전물(200)이 쉽게 배출되지 않아 배관의 막힘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침전물(200)과 함께 배출되는 하수는 배수부(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 입구유로(137)는 입수 출구유로(118)의 반대 측에 위치하며, 수용부(150)의 하부에서 상부로 하수가 유동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달리, 배수 출구유로(138)은 수용부(150)의 일측으로부터 수평으로 하수가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배수부(130)는 수용부(150)의 하부에서 상부로 하수가 유동하다가 일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하수가 배출되는 꺾임 형상의 유로를 갖는다.
이때, 침전물과 하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밀폐 캡(180)의 내부중심에 가까운 제3 유로벽면(1392)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곡률반경을 갖는 라운드 진 형상을 가짐으로써, 안정적인 하수 및 침전물의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3 유로벽면(1192)에 근접할수록 배출되는 하수의 유속은 증가할 수 있다(W4의 유속이 W5, W6의 유속에 비해 증가됨). 이와 같이, 입수부(130), 수용부(150), 배수부(13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하수의 흐름이 침전물(200)의 누적 위치에 따라 위치 별로 유속과 수압의 강도가 다르게 형성되어, 침전물(200)이 지나치게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침전물(200)의 원활한 배출을 도모할 수 있어, 하수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배관 막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배수관용 피 트랩(100)의 경우, 수용부(150) 내에서, 봉수 높이(H)는 적어도 50cm 일 수 있다(도 2 참조).
봉수는 입수부(110)를 통해 수용부(150) 내부로 입수된 하수 중 배수부(130)를 통해 외부로 배수되지 않고 수용부(150)의 내부에 잔존하는 것을 말한다.
만일, 봉수 높이(H, 도 2 참조)가 50cm 미만일 경우, 유량이 충분하게 확보되지 못하여, 증발 등에 의한 유량감소 영향의 큰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봉수 높이(H, 도 2 참조)를 적어도 50cm 이상으로 형성하여, 필요한 유량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수용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하수, 즉 봉수의 양을 증가시켜 장시간 경과 후 봉수의 증발 시에도 유해가스, 악취, 및 해충의 실내 유입을 막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량의 봉수가 항시 수용된 밀폐 캡의 오목형수용조의 내부중심으로 유동하는 하수의 입수 수압을 주변부에 비해 대폭 향상시켜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조바닥면에 누적된 침전물을 배수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 캡 하부에 누적되는 침전물의 양을 줄이고, 장시간 누적된 침전물로 인해 밀폐 캡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키고, 악취 및 유해가스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배수관용 피 트랩
101: 입수유로
103: 출수유로
110: 입수부
111: 입수 확관몸체
112: 제1 체결나사
113: 직선연결관
114: 곡면형상부
115: 제1 두께증가부
116: 내부돌출배관
1161: D형단면관
1162: 상단연결부
1163: 원형관부
1164: 플레이트형관부
117: 입수 입구유로
118: 입수 출구유로
1191: 제1 유로벽면
1192: 제2 유로벽면
1193: D형출구
130: 배수부
131: 배수 확관몸체
132: 제2 체결나사
133: 곡선연결관
134: 교차연결부
135: 제2 두께증가부
137: 배수 입구유로
138: 배수 출구유로
1391: 제4 유로벽면
1392: 제3 유로벽면
150: 수용부
151: 수용몸체
152: 제3 체결나사
153: 홈
180: 밀폐 캡
181: 링형몸체
182: 암나사부
183: 오목형수용조
1831: 수용조바닥면
1832: 수용조바닥면의 내부중심지점
184: 상향돌기
189: 씰링부재
200: 침전물
300: 코팅부
101: 입수유로
103: 출수유로
110: 입수부
111: 입수 확관몸체
112: 제1 체결나사
113: 직선연결관
114: 곡면형상부
115: 제1 두께증가부
116: 내부돌출배관
1161: D형단면관
1162: 상단연결부
1163: 원형관부
1164: 플레이트형관부
117: 입수 입구유로
118: 입수 출구유로
1191: 제1 유로벽면
1192: 제2 유로벽면
1193: D형출구
130: 배수부
131: 배수 확관몸체
132: 제2 체결나사
133: 곡선연결관
134: 교차연결부
135: 제2 두께증가부
137: 배수 입구유로
138: 배수 출구유로
1391: 제4 유로벽면
1392: 제3 유로벽면
150: 수용부
151: 수용몸체
152: 제3 체결나사
153: 홈
180: 밀폐 캡
181: 링형몸체
182: 암나사부
183: 오목형수용조
1831: 수용조바닥면
1832: 수용조바닥면의 내부중심지점
184: 상향돌기
189: 씰링부재
200: 침전물
300: 코팅부
Claims (15)
- 하수를 유입하는 입수유로가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입수유로를 통해 하수를 내부로 도입하는 입수부;
상기 입수부를 통해 내부로 도입된 하수의 일부는 배출시키고, 남은 하수의 일부는 내부에 수용하는 수용부;
하수가 배출되는 배수유로가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수용부를 거쳐 배출된 하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부; 및
상기 수용부의 하단을 밀폐시키도록 체결되며, 아래로 오목한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적어도 일정량의 하수를 봉수로 저장하는 밀폐 캡;을 포함하고,
상기 입수부는, 상기 입수유로와 연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내부까지 출구가 연장된 내부돌출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돌출배관은, 상기 수용부의 내부벽면에 근접한 위치에서는 수직의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내부 폭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플레이트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는 제3 체결 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제3 체결나사는 상기 밀폐 캡의 상단에 구비된 링형몸체의 암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수용부의 하단에는 상기 제3 체결 나사에서 내측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 캡은 상기 홈의 가장자리에 마주하여 소정 길이로 상향 돌출된 상향돌기를 구비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의 적어도 일부, 상기 수용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배수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 형성되는 코팅부;
를 더 포함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의 상단에는 제1 체결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체결나사는 상기 입수부의 상부로 연결되는 수직 관의 적어도 일부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배수부의 상단에는 제2 체결나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체결나사는 상기 배수부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수평 관의 적어도 일부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입수부와 상기 배수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아래로 갈수록 내부공간이 점진적으로 확장되는 용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캡은,
상기 상향돌기의 외측에 위치 고정된 씰링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밀폐 캡의 결합 시 상기 홈과 상기 상향돌기가 마주하는 위치에서 압착되어 상기 밀폐 캡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는,
상기 제1 체결나사가 외부 면을 따라 형성되는 입수 확관몸체; 및
상기 입수 확관몸체의 하단으로부터 수직하게 하방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직선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입수 확관몸체와 상기 직선연결관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제1 두께증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는
상기 직선연결관에 마주하여 형성되며, 입수 입구유로로부터 입수 출구유로를 향할수록 상기 수용부의 내부 폭 중앙을 향하여 상기 직선연결관의 내부유동단면을 점진적으로 축소시키도록 형성된 곡면형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돌출배관은,
출구의 일단부는 원형 단면이고, 출구의 타단부는 플레이트형상의 단면인 D형출구를 구비하는 D형단면관을 포함하고,
상기 D형단면관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부의 상단과 상기 직선연결관이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직선연결관의 하단에서 수직으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원형관부가 구비되고,
상기 D형단면관의 타측에는, 상기 곡면형상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원형관부와 동일한 길이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며, 하단부가 상기 밀폐 캡의 내부중심에 마주하여 형성되는 플레이트형관부가 구비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관부은 높이 방향으로 일정한 반원 형상의 제1 유로벽면을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형관부는 상기 곡면형상부를 거쳐 상기 제1 유로벽면보다 유속이 증가된 하수를 상기 밀폐 캡의 내부중앙으로 유동시키는 제2 유로벽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캡의 링형몸체의 하부에는 오목형수용조가 구비되고,
상기 오목형수용조는,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조바닥면의 내부중심지점를 중심으로 침전물이 누적 가능하며,
상기 제2 유로벽면이 출구 부위가 상기 수용조바닥면의 내부중심지점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2 체결나사가 외부 면을 따라 형성되는 배수 확관몸체;
상기 수용부의 일측과 상기 배수 확관몸체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배수 확관몸체를 향하여 위로 구부러진 형상의 곡선연결관; 및
상기 곡선연결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배수 확관몸체와 상기 수용부 사이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교차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확관몸체와 상기 곡선연결관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제2 두께증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플레이트형관부의 외부와 상기 수용부의 내부 사이에서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하수의 일부를 배출시키는 배수 입구유로와,
상기 곡선연결관과 상기 교차연결부 사이에서 상기 배수 입구유로를 통해 도입된 하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출구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 입구유로와 상기 배수 출구유로 사이의 공간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형관부와 상기 곡면형상부 각각의 외부 면을 통해 라운드 진 형상의 제3 유로벽면과,
상기 배수 입구유로와 상기 배수 출구유로 사이의 공간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와 상기 교차연결부의 내부 면을 통해 유로를 90도로 변경하는 제4 유로벽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에서,
봉수 높이(H)는, 적어도 50c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용 피 트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7279A KR102194255B1 (ko) | 2020-06-03 | 2020-06-03 | 배수관용 피 트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7279A KR102194255B1 (ko) | 2020-06-03 | 2020-06-03 | 배수관용 피 트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4255B1 true KR102194255B1 (ko) | 2020-12-22 |
Family
ID=74086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7279A KR102194255B1 (ko) | 2020-06-03 | 2020-06-03 | 배수관용 피 트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425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8925Y1 (ko) * | 2002-09-18 | 2002-12-31 | 설남수 | 배수트랩 |
KR20130088302A (ko) | 2012-01-31 | 2013-08-08 | 이종태 | 하수관용 p-트랩 |
-
2020
- 2020-06-03 KR KR1020200067279A patent/KR10219425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98925Y1 (ko) * | 2002-09-18 | 2002-12-31 | 설남수 | 배수트랩 |
KR20130088302A (ko) | 2012-01-31 | 2013-08-08 | 이종태 | 하수관용 p-트랩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83690C2 (ru) | Водяной затвор для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 |
JP4927450B2 (ja) | 排水システム | |
JP2010007358A (ja) | 排水機器の排水配管、及び排水トラップ | |
KR100562898B1 (ko) |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 |
KR102194255B1 (ko) | 배수관용 피 트랩 | |
KR102108421B1 (ko) | 공동주택 발코니용 조립식 배수시설 | |
JP2010077667A (ja) | 排水配管 | |
JP4842021B2 (ja) | 排水トラップ | |
KR200427026Y1 (ko) | 진공식 저류조 세척장치 | |
KR102139343B1 (ko) | 오수받이 | |
KR20170003867U (ko) | 트랩형 멀티연결기구 | |
JP2020084632A (ja) | 排水トラップ | |
CN212561743U (zh) | 汇流排水装置 | |
JP2010126894A (ja) | 自封トラップ | |
JP7160322B2 (ja) | 排水構造及びサイホン排水システム | |
KR20200128836A (ko) |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 | |
JP2005232936A (ja) | 排水トラップ | |
CN209162998U (zh) | 一种侧排地漏 | |
KR20110045600A (ko) | 배수트랩 | |
KR101348450B1 (ko) | 용수공급부가 구비된 배수트랩 및 이를 이용한 층상 배수 시스템 | |
KR100654309B1 (ko) | 하수관로의 물받이 배수트랩 | |
JP2020029710A (ja) | 排水構造 | |
KR100473604B1 (ko) | 오수 및 하수용 합성수지맨홀 | |
JP2000080695A (ja) | 排水トラップ | |
JP7349049B2 (ja) | 階間病原体伝播遮断構造型排水トラ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