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5749B1 -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5749B1
KR100695749B1 KR1020060040611A KR20060040611A KR100695749B1 KR 100695749 B1 KR100695749 B1 KR 100695749B1 KR 1020060040611 A KR1020060040611 A KR 1020060040611A KR 20060040611 A KR20060040611 A KR 20060040611A KR 100695749 B1 KR100695749 B1 KR 100695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main body
pipe
outlet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Original Assignee
김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희 filed Critical 김진희
Priority to KR1020060040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5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5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5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오수의 유입 유로를 형성하는 오수유입관을 본체와 용이하게 연결하고, 본체 내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며, 본체 내로 유입된 오수 중에 섞여 있는 다량의 슬러지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오수받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는 상부의 외측면에 오수유입관이 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하부의 외측면에 오수배출관이 연결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를 구비한다. 본체의 관통공에는 다양한 외경을 갖는 오수유입관이 연결되도록 연결부재가 결합된다. 본체 내에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악취방지트랩이 연결부재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본체의 하부에는 배출구 방향으로 오수와 슬러지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오수받이는 다양한 외경을 갖는 오수유입관을 본체와 용이하게 연결하고, 본체 내로 유입된 오수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오수유입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오수 중에 다량의 슬러지가 섞여 있는 경우에도 슬러지가 본체 내에 쌓이는 것이 방지하여 오수와 슬러지를 배출구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오수받이, 연결부재, 악취방지트랩, 안내부재

Description

오수받이{A DRAIN SEWAG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받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내부를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결합상태 평단면도, 그리고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2A,12B : 측면
14 : 뚜껑 20 : 연결부재
22 : 보조관 24 : 연결관
30 : 악취방지트랩 32 : 굴곡부
34 : 악취방지판 40 ; 안내부재
42 : 안내경사면 44 : 안내홈
본 발명은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수받이의 구조를 개 선하여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오수의 유입 유로를 형성하도록 다양한 외경을 갖는 오수유입관을 본체와 용이하게 연결하고, 오수유입관을 통하여 본체 내로 유입되어 배출되는 오수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며, 본체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오수 중에 다량의 슬러지가 섞여 있는 경우에 오수와 슬러지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수받이는 지중에 매설되어 가정 내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외부의 집수조로 보내기 전에 중간 정화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형이나 사각함체로 형성되는 본체에 주방 또는 화장실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유입하기 위한 오수유입관과 본체 내로 유입된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수배출관이 각각 연결되어 구성된다.
특히, 상기한 오수받이는 가정 내에서 발생되는 오수를 본체 내로 유입하기 위하여 본체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오수유입관이 끼움되도록 연결되는데,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은 그 내경이 정해진 규격에 따라 일정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외경이 큰 오수유입관을 본체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관통공의 내경을 넓혀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오수유입관은 별도의 연결부재가 없는 상태에서 관통공에 끼움되어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본체와 오수유입관의 연결구조가 취약하여 지반침하에 따른 토압에 의해 오수유입관이 본체의 관통공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수받이는 오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 성분이 오수유입관 및 오수배출관의 내부에 쌓이게 되면 필연적으로 악취가 발생되므로 이를 차단하기 위해 악취차단장치가 구비되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수압이 작용하면 개방되고 수압이 제거되면 자중 또는 스프링의 힘에 의해 자동으로 오수유입관을 차단하는 구조의 개폐문이 설치된 개폐형 악취차단장치와, 오수유입관의 단부를 물속에 잠기게 하여 악취를 차단하는 봉수트랩형 악취차단장치가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한 봉수트랩형 악취차단장치는 악취차단을 위해 오수유입관의 단부가 물에 잠기는 구조이므로 자연스럽게 오수유입관이 하방으로 절곡 구성되는 것이어서 유입되는 오수 중에 많은 슬러지 성분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중력에 의해 원활히 유출시킬 수 있는 것인데 반해, 개폐형 악취차단장치는 오수유입관이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단부에 수압과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개폐문을 갖는 것이므로 유입되는 오수 중에 많은 슬러지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그 유입압력이 낮을 경우 슬러지 성분이 개폐문에 의해 막히면서 그 앞쪽에 쌓임에 따라 개폐문이 완전히 닫히지 못하게 되어 오수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역류하여 가정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개폐형 악취차단장치는 오수유입관의 단부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오수유입관과 개폐문 사이가 긴밀하게 밀착되지 않을 경우 악취 발생을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오수받이는 본체 내로 유입된 오수가 배출구를 통해 오수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본체의 하부에 배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안내부재가 구비되어 본체 내로 오수가 유입되면 오수배출관으로 안내하여 배출함으로써 오수에 섞여 있는 각종 슬러지가 본체 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안내부재는 배출구 방향으로 오수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단순히 하향 경사지는 구조이므로 오수 중에 다량의 슬러지가 섞여 있을 경우에 본체 내의 배출구 양측에 슬러지가 쌓이게 되어 오수와 슬러지의 원활한 배출이 방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지반침하에 따른 토압에 의해 본체와 연결된 오수유입관이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양한 외경을 갖는 오수유입관을 본체와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오수의 유입 유로를 형성하는 오수유입관을 통하여 본체에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오수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고, 본체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오수 중에 다량의 슬러지가 섞여 있는 경우에도 오수와 슬러지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되고 개구되는 상부의 외측면에는 오수의 유입 유로를 형성하도록 오수유입관이 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하부의 외측면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도록 오수배출관이 연결되는 배출구가 돌출하여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뚜껑; 상기 본체와 상기 오수유입관이 연결되도록 상기 관통공에 서로 짝을 이루어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 내로 유입된 상기 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악취방지트랩; 및 상기 본체 내의 하부에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악취방지트랩을 통과한 상기 오수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오수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악취방지트랩은 상기 오수가 유입되는 입구 방향과 오수가 배출되는 출구 방향이 둔각을 이루어 일정량의 오수가 항시 담수되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의 내부 상면에는 담수된 오수의 수면과 접하도록 악취방지판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 내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입구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받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받이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내부를 나타낸 결합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의 결합상태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받이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10), 본체(10)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뚜껑(14), 가정 내에서 발생되는 오수의 유입 유로를 형성하는 오수유입관(50)이 본체(1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연결부재(20), 본체(10) 내에 설치되어 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악취방지트랩(30), 및 악취방지트랩(30)을 통과한 오수가 본체(10)의 배출구(10B)를 통하여 오수배출관(52)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40)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10)는 내부가 중공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경사져서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사각함체로 형성된다. 상부의 외측면 에는 가정 내에서 발생되는 오수의 유입 유로를 형성하는 오수유입관(50)이 연결되도록 관통공(10A)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부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하부 외측면에는 본체(10) 내로 유입된 오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도록 오수배출관(52)이 연결되는 배출구(10B)가 수직한 본체(10)에 대하여 소정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돌출하여 형성된다.
본체(10)의 관통공(10A)과 배출구(10B)가 형성되는 양 측면(12A,12B)은 외측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돌출되도록 “〈 〉”형으로 각각 형성된다.
즉, 본체(10)의 양 측면(12A,12B)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은 본체(10)가 지중에 매설되는 경우에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양 측면에 가해지는 토압을 분산시켜서 토압에 의해 본체(10)의 양 측면(12A,12B)이 내측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체(10)의 개구되는 상부에는 수밀이 유지되도록 뚜껑(14)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연결부재(20)는 가정 내에서 발생되는 오수의 유입 유로를 형성하는 오수유입관(50)을 본체(10)와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재(20)는 서로 짝을 이루어 본체(10)의 내부에서 관통공(10A)에 끼움되는 보조관(22) 및 본체(10)의 외부에서 관통공(10A)을 통해 보조관(22)에 끼움되고 고정수단을 통해 보조관(22)과 결합되는 연결관(24)을 포함한다.
보조관(22)은 내부가 중공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본체(10)의 내측면에 부합되는 환형의 고정부(23)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관(22)은 본체(10)의 내측면 에 고정부(23)가 밀착되도록 그 일부가 관통공(10A)에 끼움된다.
연결관(24)은 중공되는 내부에 단을 형성하여 서로 다른 내경이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본체(10)의 외측면에 부합되는 환형의 고정부(25)가 형성된다. 이때, 연결관(24)에는 서로 다른 내경을 통해 다양한 외경을 갖는 오수유입관(5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관(24)은 본체(10)의 외측면에 고정부(25)가 밀착되도록 연결관(24)의 일부가 관통공(10A)을 통해 보조관(22)에 끼움되고, 고정수단을 통해 본체(10)에 고정되도록 보조관(22)과 수밀이 유지되게 결합된다.
여기에서, 본체(10)에 보조관(22)과 연결관(24)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은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의 고정수단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악취방지트랩(30)은 본체(10) 내로 유입된 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 악취방지트랩(30)은 대략 “Z”형으로 형성되되, 오수가 유입되는 입구(30A) 방향과 오수가 배출되는 출구(30B) 방향이 둔각을 이루어 일정량의 오수가 항시 담수되는 굴곡부(32)가 형성된다. 이때, 입구(30A) 방향과 출구(30B) 방향이 둔각을 이루어 형성된 굴곡부(32)의 각도는 대략 100°∼110°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굴곡부(32)의 각도는 입구(30A) 방향과 출구(30B) 방향을 통해 오수와 슬러지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104°로 형성된다.
즉, 굴곡부(32)의 각도가 100°미만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오수유입관(50)을 통해 입구(30A) 방향으로 유입되는 오수의 유속이 출구 방향(30B)의 급한 경사면에 의해 감속되어 슬러지가 굴곡부(32)의 바닥면에 고일 수 있으며, 굴곡부(32)의 각도가 110°이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입,출구(30A,30B) 방향의 완만한 경사면에 의해 오수 중에 섞여 있는 다량의 슬러지를 출구(30B) 방향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키지 못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굴곡부(32)의 내부 상면에는 굴곡부(32)에 항시 담수된 오수의 수면과 접하도록 반구형상의 악취방지판(34)이 구비된다. 이러한 악취방지판(34)은 악취방지트랩(30)의 굴곡부(32)에 항시 담수된 오수의 수면과 악취방지판(34)의 끝단이 접촉되어 본체(10) 내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출구(30B)를 통해 입구(30A)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악취방지트랩(30)은 본체(10) 내에 위치하도록 연결부재(20)의 보조관(22)에 끼움되어 연결된다.
한편, 안내부재(40)는 악취방지트랩(30)을 통과한 오수가 본체(10)의 배출 구(10B)로 배출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안내부재(40)는 본체(10) 내의 하부에 위치되어 배출구(10B)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안내부재(40)의 상면에는 오수를 본체(10)의 배출구(10B)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내경사면(42)이 형성된다. 안내경사면(42)과 배출구(10B)의 근접부위에는 본체(10) 내의 배출구(10B) 양측에 오수 중에 섞여 있는 슬러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10B)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안내홈(44)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44)은 배출구(10B) 근처에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되어 안내경사면(42)을 따라 배출구(10B) 방향으로 흐르는 오수 중에 섞여 있는 다량의 슬러지가 안내홈(44)에 안내되어 배출구(10B)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된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수받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오수받이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관통공(10A)에 보조관(22)과 연결관(24)이 서로 짝을 이루어 결합되는 연결부재(20)에 가정 내에서 발생되는 오수의 유입 유로를 형성하는 오수유입관(50)이 연결되고, 배출구(10B)에는 본체(10) 내로 유입된 오수가 배출구(10B)를 통해 배출되어 집수조로 집수되도록 오수배출관(52)이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된다. 이때, 연결부재(20)의 연결관(24)은 중공되는 내부에 단을 형성하여 서로 다른 내경이 구비되어 있어 다양한 외경을 갖는 오수유입관(50)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계속해서 지중에 매설된 본체(10)는 관통공(10A)과 배출구(10B)가 형성된 양 측면(12A,12B)이 외측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돌출되도록 “〈 〉”형으로 각각 형성 되기 때문에 양 측면(12A,12B)에 가해지는 토압에 의해 본체(10)의 양 측면(12A,12B)이 본체(10)의 내측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본체(10)의 양 측면(12A,12B)은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가지며, 이에 의해 본체(10)가 지중에 매설되는 경우 토압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므로 본체(10)의 양 측면(12A,12B)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통해서 양 측면(12A,12B)에 가해지는 토압을 돌출된 정점의 양측으로 분산시켜서 본체(10)의 양 측면(12A,12B)이 내측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의 양 측면(12A,12B)이 외측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돌출되는 구조를 통해 본체(10)가 지중에 매설되는 경우 토압에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부에는 수밀이 유지되도록 뚜껑(14)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뚜껑(14)은 수밀을 통해 우수 또는 그 밖의 모든 액체가 본체(10)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지중에 매설된 본체(10) 내로 가정 내에서 발생되는 오수가 유입되는 경우, 오수유입관(50)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는 연결부재(20)와 연결된 악취방지트랩(30)의 입구(30A)를 통해 출구(30B)로 배출된다. 이때, 악취방지트랩(30)의 입구(30A)로 유입되는 오수는 입구(30A) 방향과 출구(30B) 방향이 둔각을 이루어 형성되므로 입구(30A) 방향으로 유입되는 오수의 유속이 배가되고, 이에 의해 오수 중에 섞여 있는 슬러지가 굴곡부(32) 내에 고이는 현상이 방지되어 출구(30B)를 통해 배출되며, 출구(30B)로 배출된 오수는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안내부재(40)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구(10B)를 통해 오수배출관(52)으로 배출된다.
즉, 안내부재(40)의 상면에는 배출구(10B) 방향으로 오수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안내경사면(42)이 형성되고 안내경사면(42)과 배출구(10B)의 근접부위에는 배출구(10B)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안내홈(44)이 형성되기 때문에 안내경사면(42)을 따라 배출구(10B) 방향으로 흐르는 오수 중에 다량의 슬러지가 섞여 있는 경우에 슬러지가 본체(10) 내의 배출구(10B) 양측에 쌓이는 것이 방지되면서 안내홈(44)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구(10B)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삭제
계속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 내에서 더 이상 오수가 발생되지 않아 오수유입관(50)을 통해 본체(10) 내로 오수의 유입이 중지되는 경우, 악취방지트랩(30)의 출구(30B)를 통해 본체(10) 내로 유입된 오수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악취방지트랩(30)의 출구(30B)를 통해 입구(30A)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악취방지트랩(30)의 입구(30A)와 출구(30B) 사이에는 입,출구(30A,30B)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의 굴곡부(32)가 형성되어 출구(30B)로 배출되지 못한 일정량의 오수가 굴곡부(32)에 항시 담수되고, 굴곡부(32)의 내부 상면에는 굴곡부(32)에 담수된 오수의 수면과 접하도록 반구형상의 악취방지판(34)이 구비되기 때문에 악취방치트랩(30)에 형성되는 오수의 유로가 악취방지판(34)과 굴곡부(32)에 담수된 오수에 의해 차단되어 본체(10) 내에서 발생되는 오수의 악취가 출구(30B)를 통해 입구(30A)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수받이는 오수의 유입 유로를 형성하도록 오수유입관이 연결되는 본체의 관통공에 서로 다른 내경을 갖는 연결부 재가 결합되고 본체 내에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악취방지트랩이 구비되며 본체의 하부에 본체의 배출구로 오수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가 형성되는 구조로써, 다양한 외경을 갖는 오수유입관을 본체와 용이하게 연결하고, 본체 내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오수유입관으로 역류하여 가정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오수 중에 다량의 슬러지가 섞여 있는 경우에도 본체 내의 배출구 양측에 슬러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배출구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내부가 중공되고 개구되는 상부의 외측면에는 오수의 유입 유로를 형성하도록 오수유입관이 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하부의 외측면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도록 오수배출관이 연결되는 배출구가 돌출하여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뚜껑; 상기 본체와 상기 오수유입관이 연결되도록 상기 관통공에 서로 짝을 이루어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 내로 유입된 상기 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악취방지트랩; 및 상기 본체 내의 하부에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악취방지트랩을 통과한 상기 오수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오수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악취방지트랩은 상기 오수가 유입되는 입구 방향과 오수가 배출되는 출구 방향이 둔각을 이루어 일정량의 오수가 항시 담수되는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부의 내부 상면에는 담수된 오수의 수면과 접하도록 악취방지판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 내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상기 출구를 통해 상기 입구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내부가 중공되고, 외주면에는 환형의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관통공에 끼움되는 보조관; 및
    중공되는 내부에 단을 형성하여 서로 다른 내경이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환형의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보조관에 끼움되고,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상기 보조관과 결합되는 연결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상기 오수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경사면과 상기 배출구의 근접부위에는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안내홈이 형성되며, 이에 의해 상기 안내경사면을 따라 흐르는 상기 오수 중에 섞여 있는 다량의 슬러지가 상기 본체 내의 상기 배출구 양측에 쌓이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안내홈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받이.
  4. 삭제
  5. 삭제
KR1020060040611A 2006-05-04 2006-05-04 오수받이 KR100695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611A KR100695749B1 (ko) 2006-05-04 2006-05-04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611A KR100695749B1 (ko) 2006-05-04 2006-05-04 오수받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654U Division KR200416464Y1 (ko) 2006-03-02 2006-03-02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5749B1 true KR100695749B1 (ko) 2007-03-16

Family

ID=4162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611A KR100695749B1 (ko) 2006-05-04 2006-05-04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57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960B1 (ko) 2011-03-10 2012-06-01 김진희 오수받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6966A (en) * 1977-12-22 1979-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sert socket for central cleaner
KR200333410Y1 (ko) * 2003-07-29 2003-11-14 유홍렬 빗물 오수 겸용받이
KR200333124Y1 (ko) * 2003-04-21 2003-11-14 권혁중 우·오수받이의 착탈식 인버터 장치
KR200407641Y1 (ko) * 2005-11-10 2006-02-02 김성범 오수받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86966A (en) * 1977-12-22 1979-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sert socket for central cleaner
KR200333124Y1 (ko) * 2003-04-21 2003-11-14 권혁중 우·오수받이의 착탈식 인버터 장치
KR200333410Y1 (ko) * 2003-07-29 2003-11-14 유홍렬 빗물 오수 겸용받이
KR200407641Y1 (ko) * 2005-11-10 2006-02-02 김성범 오수받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1960B1 (ko) 2011-03-10 2012-06-01 김진희 오수받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620B1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1843321B1 (ko) 세면기용 배수트랩 결합구조
KR101699850B1 (ko) 욕조용 배수트랩
KR20160081728A (ko) 배수트랩
KR100695749B1 (ko) 오수받이
KR102035964B1 (ko) 통합 오수 수집 장치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101336587B1 (ko) 오수받이
KR101384662B1 (ko) 조립식 오수받이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200416464Y1 (ko) 오수받이
KR101296212B1 (ko) 역류방지구를 구비한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KR200437874Y1 (ko) 배수점검구
KR101729274B1 (ko) 착탈형 트랩부재를 구비하는 오수받이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JP2016079661A (ja) 汚水桝の逆流防止装置
KR101722499B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KR100766508B1 (ko) 오수받이
KR20200133672A (ko) 우수 및 오폐수 받이장치
KR20180106024A (ko) 배수트랩 구조체
KR20090105045A (ko) 오수받이장치 및 이에 장착 가능한 악취차단장치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KR101008372B1 (ko) 오수 차집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151632B1 (ko) 역류방지용 오수받이
KR100538411B1 (ko) 오수받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