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632B1 - 역류방지용 오수받이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용 오수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632B1
KR101151632B1 KR1020120001818A KR20120001818A KR101151632B1 KR 101151632 B1 KR101151632 B1 KR 101151632B1 KR 1020120001818 A KR1020120001818 A KR 1020120001818A KR 20120001818 A KR20120001818 A KR 20120001818A KR 101151632 B1 KR101151632 B1 KR 101151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cover
backflow prevention
spring
back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희
노종근
이규행
황경호
이현수
Original Assignee
대전광역시 시설관리공단
(주)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광역시 시설관리공단, (주) 삼진정밀 filed Critical 대전광역시 시설관리공단
Priority to KR1020120001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방지용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에 설치되는 메인덮개의 이송홀을 개폐하는 보조덮개가 시트부에 지지되는 역류방지장치에 의해 개폐됨으로써, 오수의 가스(냄새)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고, 오수의 압력에 의해 보조덮개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이송홀을 개방하여 역류하는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발생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기존의 오수받이 케이스에 메인덮개 및 보조덮개와 시트부와 역류방지장치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별도로 오수받이 시공을 할 필요가 없고,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 및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역류방지용 오수받이{Flowing Prevention for Wastewater receptacle}
본 발명은 역류방지용 오수받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에 설치되는 메인덮개의 이송홀을 개폐하는 보조덮개가 시트부에 지지되는 역류방지장치에 의해 개폐됨으로써, 오수의 가스(냄새)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고, 오수의 압력에 의해 보조덮개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이송홀을 개방하여 역류하는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발생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기존의 오수받이 케이스에 메인덮개 및 보조덮개와 시트부와 역류방지장치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별도로 오수받이 시공을 할 필요가 없고,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 및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역류방지용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오수받이는 내부가 중공되고 개구되는 상부의 외측면에는 오수의 유입 유로를 형성하도록 오수유입관이 연결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부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하부의 외측면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배출 유로를 형성하도록 오수배출관이 연결되는 배출구가 돌출하여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오수유입관이 연결되도록 상기 관통공에 서로 짝을 이루어 결합되는 연결부재; 상기 본체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본체 내로 유입된 상기 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악취방지트랩; 및 상기 본체 내의 하부에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악취방지트랩을 통과한 상기 오수가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오수배출관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16464호(2006년 5월 9일 등록)에 "오수받이"가 소개되어 있다.
이렇듯, 오수받이는 오수를 받아 일시 저장하면서 이에 포함된 찌꺼기 성분을 거른 상태에서 배수관을 통해 다시 내보내거나 또는 찌꺼기를 거르지 않은 상태에서 오수를 그대로 배수관을 통해 메인관으로 다시 내보내는 중간 정화조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라 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오수받이는 설치장소와 사용목적에 따라 오수처리 용량과 크기를 결정하여 그에 맞는 각각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그런데, 종래 가정용 오수받이의 경우에는 악취 때문에 대부분 생활폐수용 오수받이와 변기용 오수받이로 나뉘어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적어도 두 개의 오수받이를 별도로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오수받이는 본체 내부에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수단이 없어, 본체 내부의 가스 압력이 높아질 경우, 악취방지트랩을 통해 가스가 역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스에 설치되는 메인덮개의 이송홀을 개폐하는 보조덮개가 시트부에 지지되는 역류방지장치에 의해 개폐됨으로써, 오수의 가스(냄새)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고, 오수의 압력에 의해 보조덮개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이송홀을 개방하여 역류하는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발생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용 오수받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기존의 오수받이 케이스에 메인덮개 및 보조덮개와 시트부와 역류방지장치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별도로 오수받이 시공을 할 필요가 없고,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 및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역류방지용 오수받이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발생처의 오수가 중공된 내부에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하측면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어 케이스의 내부를 밀폐하고, 중앙부에 상광하협 형태의 이송홀이 형성되는 메인덮개와;
상기 메인덮개의 이송홀에 설치되도록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홀을 개폐하는 보조덮개와;
상기 메인덮개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역류방지장치를 지지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어 보조덮개와 연결되고, 평상시에는 탄성력에 의해 보조덮개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이송홀을 차단함으로써 오수의 가스(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오수의 역류시, 오수의 압력에 의해 보조덮개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이송홀을 개방함으로써, 역류하는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발생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오수받이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오수받이는 케이스에 설치되는 메인덮개의 이송홀을 개폐하는 보조덮개가 시트부에 지지되는 역류방지장치에 의해 개폐됨으로써, 오수의 가스(냄새)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되고, 오수의 압력에 의해 보조덮개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이송홀을 개방하여 역류하는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발생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오수받이 케이스에 메인덮개 및 보조덮개와 시트부와 역류방지장치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별도로 오수받이 시공을 할 필요가 없고,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 및 설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오수받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오수받이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 역류시 역류방지용 오수받이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발생처의 오수가 중공된 내부에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하측면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어 케이스의 내부를 밀폐하고, 중앙부에 상광하협 형태의 이송홀이 형성되는 메인덮개와;
상기 메인덮개의 이송홀에 설치되도록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홀을 개폐하는 보조덮개와;
상기 메인덮개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역류방지장치를 지지하는 시트부와;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어 보조덮개와 연결되고, 평상시에는 탄성력에 의해 보조덮개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이송홀을 차단함으로써 오수의 가스(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오수의 역류시, 오수의 압력에 의해 보조덮개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이송홀을 개방함으로써, 역류하는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발생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오수받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오수받이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수 역류시 역류방지용 오수받이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역류방지용 오수받이(60)는 지중에 매설되어 가정집, 식당 등의 발생지에서 발생되는 오수가 정화조에 이송되기전 중간기착점 역할을 하도록 케이스(10)와, 메인덮개(20)와, 보조덮개(30)와, 시트부(40)와, 역류방지장치(5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중에 매설되어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상부 내부면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메인덮개(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다단과 메인덮개(20) 사이에 밀폐를 위한 오링(미도시)이 다수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는 직사각형 통, 정사각형 통,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어 개방된 상부와 연결되어 내부가 중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면에는 발생지에서 오수가 이송되는 관과 연통되는 유입구(11)가 일단면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오수가 중공된 내부에서 임시저장된 뒤, 정화조 또는 오수처리장으로 이송되는 관과 연통되도록 타단면에 배출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도 1에서처럼, 유입구(11)와 배출구(12) 사이를 연결하여 오수가 유입구(11)에서 배출구(12)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이송유로(13)가 더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입구(11)의 일측 즉,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된 유입구(11)의 일측에는 도 1에서처럼, 배출구(12) 측으로 이송되는 오수가 역류시, 다시 유입구(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역류방지덮개(14)가 더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덮개(14)는 덮개가 힌지 결합되어 일측으로 미는 힘에는 열리고, 반대측에서 미는 힘에는 닫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메인덮개(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개방된 상부의 내부면에 형성된 다단에 구비되어 볼트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케이스(1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메인덮개(20)의 중앙부에는 이송홀(21)이 형성되며, 상기 이송홀(21)은 상광하협 형태 즉, 상측으로 확관된 형태로 내주연이 단면상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보조덮개(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덮개(20)의 이송홀(21)에 설치되도록 이송홀(21)과 동일한 형태의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덮개(30)는 역류방지장치(50)에 의해 이송홀(21)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보조덮개(30)의 외주연에는 메인덮개(20)의 이송홀(21)과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패킹(31)이 둘러쳐져 있다.
상기 시트부(4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덮개(20)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역류방지장치(50)를 지지하도록 받침대(41)와, 거치대(4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41)는 직사각형 판 또는 원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10) 내의 중앙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거치대(42)와 연결됨으로써, 케이스(10) 내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것이며, 상기 받침대(41)에는 도 1에서처럼, 역류방지장치(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42)는 받침대(41)의 외부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고, 도 1에서처럼, 상기 메인덮개(20)의 하단면에 고정되어 받침대(41)를 지지하도록 "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역류방지장치(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부(40)에 설치되어 보조덮개(30)와 연결되고, 평상시에는 도 2에서처럼, 탄성력에 의해 보조덮개(3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이송홀(21)을 차단함으로써 오수의 가스(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동축(51)과, 스프링(52)과, 스프링 고정부재(53)와, 스프링 커버(5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장치(50)는 도 3에서처럼, 오수의 역류시, 오수의 압력에 의해 보조덮개(30)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이송홀(21)을 개방함으로써, 역류하는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발생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구동축(51)은 도 1 내지 도 3에서처럼, 받침대(41)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어 스프링(52)에 의해 상,하로 탄성적으로 구동되고, 일측이 상기 보조덮개(30)의 하단면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에 맞춰 보조덮개(30)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52)은 구동축(5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구동축(51)을 탄성적으로 상,하 구동시키고, 상기 스프링(52)의 일측은 받침대(41)에 지지되며, 타측은 스프링 고정부재(53)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고정부재(53)는 도 1과 도 2에서처럼, 구동축(51)의 하측 끝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52)의 일측이 지지되어 스프링(52)이 구동축(5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스프링 커버(54)는 도 1 내지 도 3에서처럼, 받침대(41)의 하부면에 고정되는데, 상기 스프링(52)이 설치된 구동축(51)의 하측을 덮어 역류되는 오수가 스프링(52)과 구동축(5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커버(54)는 도 1과 도 2에서처럼, 수직 단면상 "∩" 형태로 형성되어 우수가 유연하게 상측으로 흐를 수 있다.
10 : 케이스 11 : 유입구
12 : 배출구 13 : 이송유로
14 : 역류방지덮개 20 : 메인덮개
21 : 이송홀 30 : 보조덮개
31 : 패킹 40 : 시트부
41 : 받침대 42 : 거치대
50 : 역류방지장치 51 : 구동축
52 : 스프링 53 : 스프링 고정부재
54 : 스프링 커버 60 : 오수받이

Claims (3)

  1. 발생처의 오수가 중공된 내부에 유입되어 배출되도록 하측면에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상부에 설치되어 케이스(10)의 내부를 밀폐하고, 중앙부에는 내주연이 경사지게 형성된 이송홀(21)이 형성되는 메인덮개(20)와;
    상기 메인덮개(20)의 이송홀(21)에 설치되도록 외주연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이송홀(21)을 개폐하는 보조덮개(30)와;
    상기 메인덮개(20)의 하단면에 설치되어 역류방지장치(50)를 지지하는 시트부(40)와;
    상기 시트부(40)에 설치되어 보조덮개(30)와 연결되고, 평상시에는 탄성력에 의해 보조덮개(3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이송홀(21)을 차단함으로써 오수의 가스(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오수의 역류시, 오수의 압력에 의해 보조덮개(30)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이송홀(21)을 개방함으로써, 역류하는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발생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장치(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오수받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40)는,
    상기 역류방지장치(50)가 설치되도록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받침대(41)와;
    상기 받침대(41)의 외부면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돌출 형성되어 메인덮개(20)의 하단면에 고정되는 거치대(4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오수받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장치(50)는,
    상기 받침대(41)에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어 상,하 구동되고, 일측이 상기 보조덮개(30)의 하단면에 고정되어 상,하 구동에 맞춰 보조덮개(30)를 구동시키는 구동축(51)과;
    상기 구동축(51)을 탄성적으로 상,하 구동시키도록 구동축(5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스프링(52)과;
    상기 구동축(51)의 하측 끝단부에 고정되어 스프링(52)의 일측이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52)이 구동축(5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 고정부재(53)와;
    상기 받침대(41)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스프링(52)이 설치된 구동축(51)의 하측을 덮어 역류되는 오수가 스프링(5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 커버(5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오수받이.
KR1020120001818A 2012-01-06 2012-01-06 역류방지용 오수받이 KR101151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818A KR101151632B1 (ko) 2012-01-06 2012-01-06 역류방지용 오수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818A KR101151632B1 (ko) 2012-01-06 2012-01-06 역류방지용 오수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632B1 true KR101151632B1 (ko) 2012-06-08

Family

ID=46688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818A KR101151632B1 (ko) 2012-01-06 2012-01-06 역류방지용 오수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6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930B1 (ko) * 2019-09-23 2020-04-27 주식회사 서진정보기술 지하시설물의 정보제공과 관리를 위한 스마트 정보 마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930B1 (ko) * 2019-09-23 2020-04-27 주식회사 서진정보기술 지하시설물의 정보제공과 관리를 위한 스마트 정보 마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799B1 (ko) 유수분리 기능을 갖는 맨홀
KR20170084574A (ko) 오수받이 겸 맨홀
KR100562898B1 (ko) 막힘 방지기능을 겸비한 방취 배수트랩
KR100684174B1 (ko) 악취 차단 오수받이
KR101151632B1 (ko) 역류방지용 오수받이
JP4849664B2 (ja) 排水トラップ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KR20100115312A (ko) 맨홀용 악취차단장치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100756933B1 (ko) 배수구의 냄새 차단 장치
KR100811125B1 (ko) 오수받이
KR101729274B1 (ko) 착탈형 트랩부재를 구비하는 오수받이
KR102376779B1 (ko) 우수 및 오폐수 받이장치
KR200437874Y1 (ko) 배수점검구
KR101296212B1 (ko) 역류방지구를 구비한 유로 분리형 오수받이
KR20050080171A (ko) 악취차단 기능을 갖는 맨홀
KR101114822B1 (ko) 오수받이
KR20120080276A (ko) 배출관에 역류방지기능이 구비된 오수받이
KR100538411B1 (ko) 오수받이장치
KR200429801Y1 (ko) 하수구용 맨홀의 악취 차단장치
KR100695749B1 (ko) 오수받이
KR200416464Y1 (ko) 오수받이
KR200360444Y1 (ko) 오수받이장치
KR100619180B1 (ko) 배수트랩
KR102524742B1 (ko) 오수받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