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9838B1 -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9838B1
KR101409838B1 KR1020130136450A KR20130136450A KR101409838B1 KR 101409838 B1 KR101409838 B1 KR 101409838B1 KR 1020130136450 A KR1020130136450 A KR 1020130136450A KR 20130136450 A KR20130136450 A KR 20130136450A KR 101409838 B1 KR101409838 B1 KR 101409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net
opening
unit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현
Original Assignee
최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현 filed Critical 최우현
Priority to KR102013013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4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with or without rinsing means therefor, e.g. dental basins, spittoons, cuspid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치과의 진료행위에 필요한 장비를 종합적으로 갖추어 각종 치과치료 및 처치에 사용되는 유닛체어에 마련되어 환자가 진료를 다 받은 후나 진료 중에 입에 고인 타액 등의 액체 이물질과 치석 등의 고체 이물질을 뱉을 수 있도록 하는 타구대와 배수구의 배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세척액의 사용을 제거하여 악취제거비용을 절감시키게 하기 위해,
다수개의 절개부를 형성한 개폐부를 마련한 탄력개폐구를 걸림구에 고정하고 걸림구의 상부에 통공을 형성한 걸림망을 마련하고 걸림망의 상부로 커버를 마련한 악취차단장치를 탈착가능케 하여,
타구대에서 타액이나 혈액 및 약품의 배출하는 배관의 상부 배수구에 연질의 탄력개폐구의 개폐부가 탄력에 의해 열림과 닫힘을 가능케 하여 타액 등의 액체가 배출 및 역류하는 악취는 차단가능케 하는 이점과, 배수구의 상부에 끼워 고정하는 걸림구와 걸림망을 일체로 탈착가능케 하여 고체의 이물질이 걸림망에 걸려지더라도 배수구에서 간단하게 분리시켜 걸림망의 내부 걸림부에 걸려진 이물질을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BAD SMELL EXCLUSION OF DENTAL UNIT CHAIR}
본 발명은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치과의 진료행위에 필요한 장비를 종합적으로 갖추어 각종 치과치료 및 처치에 사용되는 유닛체어에 마련되어 환자가 진료를 다 받은 후나 진료 중에 입에 고인 타액 등의 액체 이물질과 치석 등의 고체 이물질을 뱉을 수 있도록 하는 타구대와 배수구의 배관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함과 동시에 세척액의 사용을 제거하여 악취제거비용을 절감시키게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유닛체어(unit chair)는 치과진료를 위한 장치로서, 핸드피스 등과 같은 치과진료기구는 물론 의자와 타구대, 오토컵 등과 같은 치과진료보조기구가 함께 구비되며 이러한 치과용 유닛체어에 공급되는 물은 핸드피스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고 치아 등을 연마할 때 발생하는 가루 및 찌꺼기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며, 타구대나 오토컵에 공급되어 구강의 양치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로 물을 공급하는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34860호(2008. 04. 22일 공개) "치과용 유닛체어의 물공급 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는 환자가 진료를 다 받은 후나 진료 중에 입에 고인 타액이나 혈액 및 치과 시술시 사용되는 약품을 타구대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타구통으로 배출시킨 후 주기적으로 타구통을 분리하여 내용물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타구대의 배수구와 배관에는 타액이나 혈액 및 약품 등이 배수구를 통해 배출시 배관 내에서 이물질이 완전하게 처리되지 않고 배관 내면에 액체의 이물질은 묻고 고체의 이물질은 달라붙어 잔존하며, 그로 인한 악취와 가스, 세균이 배관에서 발생하므로 고약한 냄새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타구대의 배수구로 역류하는 고약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배관용 세척액을 타구대의 배수구로 수시로 흘러보내게 하여 오목한 타구대와 배수구의 배관의 내부면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타구대와 배관으로 세척액을 지속적으로 흘러보내 타구대와 배관의 내면에 잔존한 이물질을 제거하더라도 배관을 통해 배출된 타구통에서 발생된 악취가 배관을 통해 타구대로 역류하여 유닛체어에 앉아 치료 또는 진료를 받는 환자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타구대에서 발생된 악취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면 치과의 진료실 전체로 악취가 퍼지게 되므로 첫 방문하는 치과 환자에게 불쾌감을 느끼면서 유닛체어에 앉아 진료를 받아야 하였다.
또한, 타구대와 배관으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고가의 세척액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금전적인 손실과 배관의 내면을 부식을 초래하게 되어 타구대용 배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며, 이러한 세척액을 하수로 흘러보내어 지면 환경적인 면에서도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타구대의 배수구와 연결된 배관으로 타액이나 혈액 및 약품의 배출시 액체와 고체의 이물질이 완전하게 처리되지 않고 잔존하여 배관에서 역류하는 악취와 가스로 인한 고약한 냄새로 인해 유닛체어에 앉아 치료 또는 진료를 받는 환자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하부에 다수개의 개폐부를 형성한 연질의 탄력개폐구를 걸림구 하부에 끼워 고정하고 상기 걸림구의 상부에는 통공을 형성한 경사대를 형성한 걸림망을 마련하고 걸림망의 상부에는 커버를 마련하는 악취차단장치를
타구대에서 타액이나 혈액 및 약품의 배출하는 배관의 상부 배수구에 걸어 고정하여 이물질 등의 고체는 걸림망에 걸려지게 함과 동시에 타액 등의 액체는 걸림망의 통공을 통해 탄력개폐구의 배출공간으로 이동하며 서로 밀착된 하부 절개부가 하중에 의해 절개부는 탄력에 의해 열리게 되면서 배관을 통해 배출하게 함과 동시에 배출이 완료되면 다시 탄력에 의해 절개부를 다시 서로 밀착되면서 닫히게 하여 배관을 통해 악취가 역류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배수구에서 간단하게 고체 이물질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악취차단장치를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절개부(23)를 서로 밀착시킨 개폐구(24)를 하부에 형성하고 상부에는 걸턱(21)을 내주연에 형성하고 배출공간(22)을 마련한 연질의 탄력개폐구(20)와, 상기 탄력개폐구(20)의 걸턱(21)에 삽입 고정하는 걸홈(32)을 외주연에 형성하고 내부에는 수용부(33)를 마련하고 상부에는 걸림턱(31)을 형성한 걸림구(30)와 상기 걸림구(30)의 걸림턱(31)에 걸려지는 자리면(41)을 상부에 형성하고 하부에는 다수개의 통공(43)을 형성하고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대(42)를 형성하여 내부에는 걸림부(44)를 마련한 걸림망(40)을 마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에 마련하는 악취차단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걸림망(40)의 상부에는 간격유지구(45)를 돌출 형성하되 간격유지구(45)의 상부면에 커버(50)를 마련가능케 걸림부(44)의 내면에 끼움 결합하는 안내구(51)를 하부에 다수개 돌출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구(30)와 걸림망(40)의 경계부에는 결속구(60)로 걸림구(30)와 걸림망(40)을 탈착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결속구(60)는 원형의 밴딩(64)으로 형성하되 내주연에는 상기 걸림구(30)와 걸림망(40)의 외주연에 형성한 자리면(41)과 걸림턱(31)을 수용하는 결합공(65)을 형성하고 외주연은 외부로 연장시켜 타구대(1)의 내면에 밀착 고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결속구(60)는 상기 걸림망(40)의 자리면(41) 하부에는 걸림구(30)의 수용부(33)의 내면에 압착되어 걸림구(30)와 끼움 고정한 탄성끼움구(61)를 다수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끼움구(61)의 하부 끝단은 상기 걸림구(30)의 수용부(33)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고 탄성끼움구(61)의 상부는 걸림구(30)의 수용부(33)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결속구(60)는 상기 걸림구(30)의 수용부(33) 상부면에 나사공(63)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공(63)과 결속하는 나사(62)를 걸림망(40)의 경사대(42) 상부 외주연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절개부를 형성한 개폐부를 마련한 탄력개폐구를 걸림구에 고정하고 걸림구의 상부에 통공을 형성한 걸림망을 마련하고 걸림망의 상부로 커버를 마련한 악취차단장치를 탈착가능케 하여,
타구대에서 타액이나 혈액 및 약품의 배출하는 배관의 상부 배수구에 연질의 탄력개폐구의 개폐부가 탄력에 의해 열림과 닫힘을 가능케 하여 타액 등의 액체가 배출 및 역류하는 악취는 차단가능케 하는 이점과,
배수구의 상부에 끼워 고정하는 걸림구와 걸림망을 일체로 탈착가능케 하여 고체의 이물질이 걸림망에 걸려지더라도 배수구에서 간단하게 분리시켜 걸림망의 내부 걸림부에 걸려진 이물질을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절개부(23)를 서로 밀착시킨 개폐구(24)를 하부에 형성하고 상부에는 걸턱(21)을 내주연에 형성하고 배출공간(22)을 마련한 연질의 탄력개폐구(20)와, 상기 탄력개폐구(20)의 걸턱(21)에 삽입 고정하는 걸홈(32)을 외주연에 형성하고 내부에는 수용부(33)를 마련하고 상부에는 걸림턱(31)을 형성한 걸림구(30)와 상기 걸림구(30)의 걸림턱(31)에 걸려지는 자리면(41)을 상부에 형성하고 하부에는 다수개의 통공(43)을 형성하고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대(42)를 형성하여 내부에는 걸림부(44)를 마련한 걸림망(40)을 마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에 마련하는 악취차단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걸림망(40)의 상부에는 간격유지구(45)를 돌출 형성하되 간격유지구(45)의 상부면에 커버(50)를 마련가능케 걸림부(44)의 내면에 끼움 결합하는 안내구(51)를 하부에 다수개 돌출형성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걸림구(30)와 걸림망(40)의 경계부에는 결속구(60)로 걸림구(30)와 걸림망(40)을 탈착가능케 하여 필요에 따라 걸림구(30)와 걸림망(40)을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속구(60)의 실시예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의 밴딩(64)으로 형성하되 내주연에는 상기 걸림구(30)와 걸림망(40)의 외주연에 형성한 자리면(41)과 걸림턱(31)을 수용하는 결합공(65)을 형성하고 외주연은 외부로 연장시켜 타구대(1)의 내면에 밀착 고정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결속구(60)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망(40)의 자리면(41) 하부에는 걸림구(30)의 수용부(33)의 내면에 압착되어 걸림구(30)와 끼움 고정한 탄성끼움구(61)를 다수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끼움구(61)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탄성끼움구(61)의 하부 끝단은 상기 걸림구(30)의 수용부(33)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고 탄성끼움구(61)의 상부는 걸림구(30)의 수용부(33)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여 탄성끼움구(61)를 걸림구(30)의 수용부(33)에 끼움 결합시 수용부(33)의 내부면에 의해 탄성끼움구(61)가 경사지게 압착되어 걸림구(30)의 수용부(33)를 탄성끼움구(61)에 고정시키게 하는 것이다.
상기 결속구(60)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구(30)의 수용부(33) 상부면에 나사공(63)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공(63)과 결속하는 나사(62)를 걸림망(40)의 경사대(42) 상부 외주연에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개폐구(24)의 절개부(23)는 다수개로 형성하되 도 3,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개부(23)를 경사지게 서로 밀착되도록 형성하여 절개부(23)의 상부에 경사진 배출공간(22)을 마련하도록 하고 상기 경사진 배출공간(22)에 액체가 차면서 생긴 하중에 의해 절개부(23)가 하향으로 벌어지게 되면서 액체를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과용 유닛체어의 일측에 마련한 타구대(1)의 배수구(2)에 악취차단장치(10)를 탈착가능케 마련하여 배관에 잔존하는 이물질에 의해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타구대(1)의 배수구 상부에 악취차단장치(10)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탄력개폐구(20)의 상부 내주연에 형성된 걸턱(21)을 걸림구(30)의 걸홈(32)에 끼워 탄력개폐구(20)와 걸림구(30)를 고정시켜 배수구(2)의 상부에 마련하면 상기 걸림구(30)의 걸림턱(31)이 배수구(2)의 외부와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걸림구(30)의 걸림턱(31)이 배수구(2)의 외부에 걸려지게 되면 걸림구(30)의 수용부(33)로 걸림망(40)의 경사대(42)를 투입하면 상기 걸림망(40)의 자리면(41)이 걸림턱(31)의 상부면과 밀착하면서 걸림구(30)의 상부에 걸림망(40)을 마련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망(40)의 걸림부(44) 내주연으로 상부로 커버(50)의 안내구(51)를 마련하게 되면 배수구(2)의 상부로 걸림구(30)와 걸림망(40)에 걸려진 이물질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타구대(1)의 배수구(2)에 악취차단장치(10)를 마련하고 환자가 진료나 치료시 타구대로 타액이나 혈액 및 약품을 투입하면 타구대(1)의 오목한 내면을 따라 흘러가면서 배수구(2)와 밀착된 걸림구(30)와 걸림망(40)의 상부 걸림부(44)로 흘러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걸림망(40)의 걸림부(44)로 투입하게 되면서 고체의 이물질은 걸림망(40)에 걸려지게 되면서 액체의 이물질은 걸림망(40)의 통공(43)을 통해 하부로 낙하하면 걸림구(30)의 수용부(33)를 거쳐 탄력개폐구(20)의 배출공간(22)에 마련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액체의 이물질이 배출공간(22)에 어느정도 차게 되면 하중에 의해 탄력개폐구(20)의 서로 밀착된 절개부(23)가 벌어지면서 액체의 이물질이 배관을 통해 배출하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배출공간(22)으로 투입된 액체의 이물질이 배관(3)을 통해 완전하게 배출되면 다시 벌어진 절개부(23)가 탄성에 의해 다시 원복하여 서로 밀착시켜 배관(3)과 차단가능케 하는 것이다.
벌어진 절개부(23)가 다시 밀착되어 배수구(2)와 배관(3)을 차단시키면 액체의 이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동안에 발생하는 악취는 역류하더라도 탄성개폐구(24)에 의해 악취를 배수구로 통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고체의 이물질이 걸림부(44)에 걸려지면 커버(50)를 열어 걸림망(40)을 분리시켜 걸림망(40)의 내부 걸림부(44)에 걸려진 고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걸림망(40)과 걸림구(30)를 결속구(60)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고체의 이물질 뿐만 아니라 걸림망(40)과 걸림구(30)를 동시에 분리시켜 걸림망(40)의 내부 걸림부(44)에 걸려진 고체의 이물질은 분리시킨 후 결속구(60)로 결속된 걸림망(40)과 걸림구(30)의 결속구(60)를 분리시켜 걸림망(40)과 걸림구(30)를 별도로 세척가능케 하여 잔존하는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인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걸림망(40)과 걸림구(30)를 밴딩으로 결속한 경우에는 밴딩(64)의 저면이 타구대(1)의 오목형상과 밀착되어 타구대(1)로 투입되는 고체 및 액체의 이물질이 자연스럽게 걸림망(40)의 걸림부(44)로 투입되는 것을 유도하게 하는 것이다.
1 : 타구대 2 : 배수구
3 : 배관 10 : 악취차단장치
20 : 탄력개폐구 21 : 걸턱
22 : 배출공간 23 : 절개부
24 : 개폐구 30 : 걸림구
31 : 걸림턱 32 : 걸홈
33 : 수용부 40 : 걸림망
41 : 자리면 42 : 경사대
43 : 통공 44 : 걸림부
45 : 간격유지구 50 : 커버
51 : 안내구 60 : 결속구
61 : 탄성끼움구 62 : 나사
63 : 나사공 64 : 밴딩
65 : 결합공

Claims (8)

  1. 다수개의 절개부(23)를 서로 밀착시킨 개폐구(24)를 하부에 형성하고 상부에는 걸턱(21)을 내주연에 형성하고 배출공간(22)을 마련한 연질의 탄력개폐구(20)와, 상기 탄력개폐구(20)의 걸턱(21)에 삽입 고정하는 걸홈(32)을 외주연에 형성하고 내부에는 수용부(33)를 마련하고 상부에는 걸림턱(31)을 형성한 걸림구(30)와 상기 걸림구(30)의 걸림턱(31)에 걸려지는 자리면(41)을 상부에 형성하고 하부에는 다수개의 통공(43)을 형성하고 경사지게 형성한 경사대(42)를 형성하여 내부에는 걸림부(44)를 마련한 걸림망(40)을 마련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에 마련하는 악취차단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걸림망(40)의 상부에는 간격유지구(45)를 돌출 형성하되 간격유지구(45)의 상부면에 커버(50)를 마련가능케 걸림부(44)의 내면에 끼움 결합하는 안내구(51)를 하부에 다수개 돌출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구(30)와 걸림망(40)의 경계부에는 결속구(60)로 걸림구(30)와 걸림망(40)을 탈착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60)는 원형의 밴딩(64)으로 형성하되 내주연에는 상기 걸림구(30)와 걸림망(40)의 외주연에 형성한 자리면(41)과 걸림턱(31)을 수용하는 결합공(65)을 형성하고 외주연은 외부로 연장시켜 타구대(1)의 내면에 밀착 고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60)는 상기 걸림망(40)의 자리면(41) 하부에는 걸림구(30)의 수용부(33)의 내면에 압착되어 걸림구(30)와 끼움 고정한 탄성끼움구(61)를 다수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끼움구(61)의 하부 끝단은 상기 걸림구(30)의 수용부(33)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고 탄성끼움구(61)의 상부는 걸림구(30)의 수용부(33)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구(60)는 상기 걸림구(30)의 수용부(33) 상부면에 나사공(63)을 형성하고 상기 나사공(63)과 결속하는 나사(62)를 걸림망(40)의 경사대(42) 상부 외주연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30136450A 2013-11-11 2013-11-11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 KR101409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450A KR101409838B1 (ko) 2013-11-11 2013-11-11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450A KR101409838B1 (ko) 2013-11-11 2013-11-11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838B1 true KR101409838B1 (ko) 2014-06-20

Family

ID=5113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450A KR101409838B1 (ko) 2013-11-11 2013-11-11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8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888B1 (ko) 2014-10-01 2015-03-16 최우현 치과 유닛체어의 타구대용 방향제 고정장치
KR20160093362A (ko) 2015-01-29 2016-08-08 박병활 타구대의 일회용 커버
KR20160098852A (ko) 2015-02-11 2016-08-19 최형남 악취차단과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1706279B1 (ko) * 2015-08-10 2017-02-13 (주)포인트닉스 배출관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이용한 살균 세척 기능을 구비한 타구대
CN115281995A (zh) * 2022-08-19 2022-11-04 连云港市东方医院 一种牙医用自清洁工作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3108U (ko) * 1989-09-04 1991-04-23
KR200447850Y1 (ko) 2009-05-08 2010-02-24 이진기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JP2010115377A (ja) 2008-11-13 2010-05-27 Takara Belmont Co Ltd 排水処理装置
KR101031707B1 (ko) 2010-03-29 2011-04-29 최문환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3108U (ko) * 1989-09-04 1991-04-23
JP2010115377A (ja) 2008-11-13 2010-05-27 Takara Belmont Co Ltd 排水処理装置
KR200447850Y1 (ko) 2009-05-08 2010-02-24 이진기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KR101031707B1 (ko) 2010-03-29 2011-04-29 최문환 악취방지기능을 강화한 이중 배수트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888B1 (ko) 2014-10-01 2015-03-16 최우현 치과 유닛체어의 타구대용 방향제 고정장치
KR20160093362A (ko) 2015-01-29 2016-08-08 박병활 타구대의 일회용 커버
KR20160098852A (ko) 2015-02-11 2016-08-19 최형남 악취차단과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1706279B1 (ko) * 2015-08-10 2017-02-13 (주)포인트닉스 배출관으로 공급되는 스팀을 이용한 살균 세척 기능을 구비한 타구대
CN115281995A (zh) * 2022-08-19 2022-11-04 连云港市东方医院 一种牙医用自清洁工作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838B1 (ko)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
RU2506934C2 (ru) Стомный мешок
US20100297577A1 (en) Strainer/filter unit for an aspirating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80071420A1 (en) Mouth guard cleaning and storage device and related methods
CN108324576A (zh) 一种消化科用呕吐物收集器
CN110236789A (zh) 一种防溢流耳道冲洗装置
JP5553424B1 (ja) 歯科治療排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金属回収方法
KR101722098B1 (ko) 위생 변기 시트
US6709409B2 (en) Collection device
KR101502888B1 (ko) 치과 유닛체어의 타구대용 방향제 고정장치
US9820618B1 (en) Article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nd encouraging proper disposal of cooking oils
US11654227B1 (en) Wet seal suction device
CN214208499U (zh) 一种整形美容科用医疗器械收纳装置
KR200481718Y1 (ko) 역류방지와 이중 밀폐구조를 갖는 휴대용 소변기
JP2018515316A (ja) 排便処理装置
US20030098044A1 (en) Toilet bowl brush cleaning system
KR20170002950U (ko) 위생구토기
KR102516532B1 (ko) 타구대 어셈블리
CN212972832U (zh) 一次性公厕应对粪便的新冠病毒交叉感染隔离纸件
US20080097410A1 (en) Medical fluid aspirator
US11986361B2 (en) Stent retriever cleaning devices and methods
KR100963244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세정제 용기 결착구
KR20130130596A (ko)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KR200444979Y1 (ko) 환자용 변기
EP1337141B1 (en) Adjustable perineal harness and urine coll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