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6532B1 - 타구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타구대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16532B1 KR102516532B1 KR1020210092700A KR20210092700A KR102516532B1 KR 102516532 B1 KR102516532 B1 KR 102516532B1 KR 1020210092700 A KR1020210092700 A KR 1020210092700A KR 20210092700 A KR20210092700 A KR 20210092700A KR 102516532 B1 KR102516532 B1 KR 1025165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uspidor
- liquid
- suction
- liquid stor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4—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with or without rinsing means therefor, e.g. dental basins, spittoons, cuspid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65—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processing the collected matter, e.g. for separating solids or 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Aspiration nozz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서 높이 방향을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지지 유닛; 상기 지지 유닛에 설치되어 치아 치료 과정에서 발생되는 액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타구대 유닛; 및 상기 타구대 유닛의 하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타구대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와, 일단이 상기 액체 저장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타구대 유닛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체로 형성되어 상기 타단에 흡입 수단이 결합되어 흡입 동작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액체 저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액체를 상기 흡입 수단으로 이동시키는 흡입관을 구비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타구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타구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유닛체어(Unit Chair)는 치과 진료를 위한 장치로서, 핸드피스 등과 같은 치과 진료기구는 물론 의자와 타구대, 오토컵 등과 같은 치과 진료 보조기구가 함께 구비된다.
이러한 치과용 유닛체어에 공급되는 물은 핸드피스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고 치아 등을 연마할 때 발생하는 가루 및 찌꺼기 등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타구대나 오토컵에 공급되어 구강의 양치에 사용된다.
이때,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는 환자가 진료를 다 받은 후나 진료 중에 입에 고인 혈액, 체액 및 각종 분비물 등이 포함된 세척수를 타구대와 연결된 배관을 통해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 타구대 어셈블리(1000')는 도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및 동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기존 타구대 어셈블리(1000')는 지지 프레임(100')이 오토컵(300') 및 타구대(500')를 지지하고, 지지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을 통해 타구대(500')와 연통되는 배관(700')이 설치되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기존 타구대 어셈블리(1000')는 치과 치료 과정에서 발생되는 침, 체액, 세척수와 같은 액체들이 타구대(500')에 수집된다. 여기서 액체는 단순히 액상 성분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 이물질(F)이 포함된 액상 성분 전체를 지칭할 수 있다.
이렇게 타구대(500')에 액체가 수용되면, 해당 액체는 타구대(500')와 연결된 배관(700')을 따라 이동하여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배출 수단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체의 배출 동작을 실시하기 위한 배관(700')은 지지 프레임(100') 내부를 따라 타구대(50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배관(70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지지 프레임(100')을 따라 설치되고, 그 내부 공간을 통해 액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배관(700')을 따라 액체가 이동되는 경우, 액체 자체 및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F)이 배관(700') 내부 벽에 달라붙는 상황이 발생된다. 배관(700')은 타구대(500')와 연결되고 지지 프레임(100')을 따라 연장되는 구조이므로 개별 환자의 치료 시 마다 배관(700')을 청소하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다수의 환자의 치료 시 마다 생성되는 액체는 배관(700') 내부에 누적되고 해당 액체에 의해 수많은 종류의 세균들이 번식되는 것이다. 이러한 세균 번식은 악취(S)를 발생시킬 뿐 아니라, 위생적으로 상당히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단일 구조로 설치된 배관(700')을 교체하거나, 이에 대한 전체적인 소독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를 이용해야하는 상당한 시간 및 비용을 들여야하는 경제적인 문제도 발생된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삭제
본 발명은 타구대의 배관 설치 구조에 따른 위생성 저하 문제와 유지 보수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타구대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구대 어셈블리는, 지면에서 높이 방향을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지지 유닛; 상기 지지 유닛에 설치되어 치아 치료 과정에서 발생되는 액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타구대 유닛; 및 상기 타구대 유닛의 하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타구대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와, 일단이 상기 액체 저장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타구대 유닛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체로 형성되어 상기 타단에 흡입 수단이 결합되어 흡입 동작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액체 저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액체를 상기 흡입 수단으로 이동시키는 흡입관을 구비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구대 유닛은,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타구대 배수홀과, 상기 타구대 배수홀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부가 개방된 제1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액체 수용부; 및 상기 타구대 배수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 유닛에 설치되어 상부로 상기 타구대 유닛을 지지하고 하부로 상기 액체 저장부와 결합되어 상기 타구대 유닛 및 상기 액체 저장부를 서로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제2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연결 본체; 상기 연결 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연결 배수홀; 및 상기 연결 본체의 바닥면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입관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연결 배수홀과 상기 액체 저장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 본체의 하부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액체 저장부와 결합되는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체 저장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 액체 용기; 및 상기 연결 결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개구로 형성된 일단에 형성되는 용기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관은, 상기 가이드봉 및 가이드홀을 따라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관체; 상기 액체 저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끝단에 개구로 형성되는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액체 수용부의 바닥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입 수단과 결합되는 석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체 저장부는,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상기 액체 용기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관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관 체결부를 통해 상기 액체 저장부의 내부 공간에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관의 하강에 따라 상기 타구대 배수홀을 덮도록 형성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타구대 배수홀과 이격되도록 상기 액체 수용부에 위치하는 상기 흡입관에 결합되는 개폐 마개; 및 상기 액체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 용기에 위치하는 상기 흡입관을 압박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하강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강 유도부는, 상기 액체 용기의 바닥면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흡입관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관 고정체; 및 상기 관 고정체의 내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수용되는 상기 흡입관을 압박하도록 형성되는 압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강 유도부는, 상기 관 고정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 고정체의내부 공간과 상기 액체 용기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개방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타구대 어셈블리에 의하면 기존의 배관 구조를 배제한 액체 배출 구조를 적용하여 치과 치료 중 발생한 액체를 저장 및 제거할 수 있어 장치 청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가 타구대와 개별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타 구성과의 결합 구조가 불필요해짐에 따라 설치, 교체, 보수 등의 장치의 운용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액체 저장부의 분리 또는 흡입 수단을 통해 저장된 액체의 제거가 선택적으로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액체 저장부의 측면을 통해 흡입관의 연통이 가능하게 구성함으써 액체 저장부의 분리 시 흡입관에 의해 발생되는 액체의 누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를 통해 액체 저장부의 분리 시 자동으로 타구대의 배수홀을 밀폐시킴으로써, 장치 분리 시 발생되는 액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잇다.
도 1은 기존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활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전체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개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개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부(710)에 구비되는 관 체결부(715)의 구조 및 이의 활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750)의 구조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활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전체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개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개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부(710)에 구비되는 관 체결부(715)의 구조 및 이의 활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750)의 구조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타구대 어셈블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활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구대 어셈블리(1000)는 지지 유닛(100)에 연결된 연결 유닛(500)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타구대 유닛(300) 및 배수 유닛(700)을 서로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구대 유닛(300)은, 근접하게 설치되는 오토컵(400)에서 배출되는 액체 또는 치과 치료 과정에서 발생되는 액체를 수용하고, 수용된 액체는 연결 유닛(500)을 통해 하부에 설치되는 액체 저장부(710)로 이동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액체 저장부(710)에서 타구대 유닛(300)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흡입관(73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타구대 어셈블리(1000)에 의하면, 치과 치료 과정 중에 발생되는 액체는 타구대 유닛(300)에 수용되어 이와 연통된 액체 저장부(710)에 저장된다. 액체 저장부(710)는 연결 유닛(500)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교체 또는 세척이 필요한 경우 이를 분리하여 저장된 액체를 비우고 이에 대한 세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저장부(710)에서 타구대 유닛(300) 방향으로 연장되는 흡입관(730)이 설치되어 있어, 의사나 간호사와 같은 관리자(P)는 석션 시린지(Suction Syringe)와 같은 흡입 수단(800)을 타구대 유닛(300) 상으로 노출된 흡입관(730)에 결합하고 석션을 실시하여 액체 저장부(710)에 저장된 액체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타구대 어셈블리(1000)는 기존 타구대 어셈블리(도 1, 1000')에 일반적으로 구비되는 배관 구조를 배제시키고, 탈착 가능한 액체 저장부(710)와 흡입 가능한 흡입관(730)을 타구대 유닛(300)에 결합 및 배치시킴에 따라 치과 치료 중 발생된 액체의 제거 방식을 기존과 상이하게, 또한 보다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 배관 구조에 의해 발생되는 위생상의 문제점 및 유지/보수의 곤란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은,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활용 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였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각 구성 및 이들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전체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개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개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구대 어셈블리(1000)는 지지 유닛(100), 타구대 유닛(300), 연결 유닛(500) 및 배수 유닛(70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유닛(100)은, 후술하는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면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지지 유닛(100)은 메인 지지대(110)와 서브 지지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지지대(110)는, 지면에서 높이 방향, 즉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브 지지대(130)는, 메인 지지대(11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서브 지지대(130)는, 지지대 결합홀(131)과, 타구대 받침대(133), 받침대홀(135)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 결합홀(131)은, 타구대 유닛(300) 및 배수 유닛(70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유닛(500)을 수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메인 지지대(110)의 반대측에 위치한 서브 지지대(130)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홀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타구대 받침대(133)는, 상부로 타구대 유닛(300)의 액체 수용부(310)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지대 결합홀(131)의 둘레를 따라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액체 수용부(310)에 형성에 대응되는 오목한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받침대홀(135)은, 액체 수용부(310)의 타구대 배수홀(311)과 연통되도록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타구대 유닛(300)은, 치아 치료 과정이나, 근접하게 설치되는 오토컵(400) 등을 통해 발생되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액체 수용부(310) 및 필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수용부(310)는, 1차적으로 발생되는 액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릇 용기와 같은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된 제1 내부 공간을 가지며 타구대 받침대(133)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액체 수용부(310)의 제1 내부 공간은 중심부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관통홀인 타구대 배수홀(311)이 형성되어 수용되는 액체를 해당 타구대 배수홀(311)로 자동 배출시킬 수 있다. 타구대 배수홀(311)은 상술한 받침대홀(135)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330)는, 액체 수용부(310)에서 하부로 배출되는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필터 본체(331), 필터 배수홀(333) 및 가이드봉(335)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본체(331)는, 필터부(330)의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 구조로 개방된 상부를 갖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해당 필터 본체(331)는 타구대 배수홀(311)을 통해 삽입 및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어 삽입 시 타구대 배수홀(311) 하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필터 배수홀(333)은, 타구대 배수홀(311)을 통해 배출되는 액체를 하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홀 구조로 필터 본체(331)의 측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봉(335)은, 흡입관(730)을 삽입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필터 본체(331)의 중심부에서 관체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관(730)은 가이드봉(335)에 삽입되어 필터부(330)를 중심을 관통하여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연결 유닛(500)은, 지지 유닛(100)에 설치되어 상부로 타구대 유닛(300)을 지지하고 하부로 액체 저장부(710)와 결합되어 타구대 유닛(300) 및 액체 저장부(710)를 서로 연통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연결 유닛(500)은 연결 본체(510), 연결 배수홀(530), 가이드홀(550), 및 연결 결합부(57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본체(510)는, 연결 유닛(500)의 골격을 구성하는 구조로 지지 유닛(100)에 형성되는 지지대 결합홀(13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지대 결합홀(131)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 본체(510)는 상부가 개방된 제2 내부 공간을 구비하여 개방된 상부를 통해 필터 배수홀(333)로부터 배출되는 액체를 수용할 수 있다.
연결 배수홀(530)은,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액체를 하부, 구체적으로는 액체 저장부(710)로 이동시키기 위한 관통홀 구조로 연결 본체(510)의 바닥면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홀(550)은, 가이드봉(335)을 통해 삽입되는 흡입관(730)을 액체 저장부(710)로 가이드하기 위한 관통홀로 연결 본체(510)의 바닥면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홀(550)은 가이드봉(335)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 결합부(570)는, 연결 배수홀(530)과 액체 저장부(710)가 연통되도록 연결 본체(510)의 하부면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 결합부(570)는 연결 배수홀(530)의 하부에서 그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원통형 구조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액체 저장부(710)와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 유닛(700)은, 타구대 유닛(300)을 통해 제공되는 액체를 저장 및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액체 저장부(710) 및 흡입관(730)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710)는, 타구대 유닛(300)으로부터 제공되는 액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액체 용기(711) 및 용기 결합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용기(711)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구비한 용기 구조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일단은 개구로 형성되어 해당 개구를 통해 액체를 수용하여 내부 공간에 이를 저장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호리병과 같은 형상으로 제시되었으나, 형상은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용기 결합부(713)는, 연결 결합부(570)에 결합되기 위한 수단으로 개구로 형성된 액체 용기(711)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용기 결합부(713)는, 연결 결합부(570)에 대응되는 나사산을 갖도록 구성되어 연결 결합부(570)에 대해 회전 결합하여 액체 용기(711)를 연결 유닛(5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흡입관(730)은, 액체 저장부(710)에 저장되는 액체를 흡입 수단(800)과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관체(731), 흡입구(733) 및 석션 결합부(735)를 포함할 수 있다.
관체(731)는, 일단과 타단이 서로 연통되도록 연장되는 빨대(Straw)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해당 관체(731)는 액체 수용부(310)의 타구대 배수홀(311)을 따라 가이드봉(335), 가이드홀(55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액체 저장부(710) 내부 공간의 바닥면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삽입되는 관체(731)는, 삽입 완료 시 일단은 액체 저장부(7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타단은 타구대 유닛(300)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타구대 배수홀(311)로부터 이격되도록 노출될 수 있다.
흡입구(733)는, 관체(731)의 개구된 일단으로 액체 저장부(7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액체가 최초 흡입되는 통로 기능을 할 수 있다. 흡입구(733)의 형상은 한정된 것은 아니나, 개구 둘레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는 흡입구 돌출부가 형성되어 액체 저장부(710)의 바닥면에 접촉하여 기립되는 경우, 개구와 바닥면이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석션 결합부(735)는, 흡입구(733)의 반대측에서 석션 시린지와 같은 흡입 수단(800)과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석션 결합부(735)에 흡입 수단(800)이 결합되어 흡입 구동을 실시하는 경우, 흡입구(733)로부터 액체를 빨아드려 관체(731)를 통해 석션 시린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관체(731)의 둘레에는 흡입관(73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은 관체(731) 외부 둘레를 따라 둘출 형성되고, 연결 유닛(500)의 돌출 구조에 걸림되어 흡입관(730)의 하강 높이가 제한될 수 있다.
뿐만아니라, 흡입관(730)은 석션 결합부(735)가 위치하는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흡입 마개를 더 포함하여 치료 상황에 따라 흡입관(730)을 선택적으로 폐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흡입관(730)은 타구대 유닛(300) 및 연결 유닛(500) 등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치료 상황이나, 액체 저장부(710)의 저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삽입 및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동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 유닛(500)에 대하여 액체 저장부(710)가 결합되면 관리자는 치과 치료를 실시하고 치과 치료 시 발생되는 액체는 액체 수용부(310)에 수용될 수 있다.
액체 수용부(310)에 수용된 액체는 경사진 구조에 따라 타구대 배수홀(311)로 자동 이동되고, 타구대 배수홀(311)에 삽입되어 있는 필터부(330)를 통해 이물질 등이 여과되며 여과된 액체는 연결 유닛(500)으로 이동된다.
연결 유닛(500)으로 이동된 액체는 연결 배수홀(530)을 통해 하부에 위치하는 액체 저장부(710)로 이동되어 저장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액체 저장부(710)에 저장된 액체가 기준 수위에 도달하거나, 모든 치과 치료가 완료된 상황이 발생하면, 관리자는 2가지 방식을 통해 액체 저장부(710)에 저장된 액체를 제거할 수 있다.
첫번째 방식으로는, 액체 저장부(710)를 연결 유닛(50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액체를 쏟아내고 내부를 세척 및 소독하는 세정 방식을 실시할 수 있다.
두번째 방식으로는, 타구대 배수홀(311) 및 가이드봉(335)을 향해 흡입관(730)을 삽입하여 흡입관(730)이 액체 저장부(710)에 위치되도록 배치한 후, 석션 시린지와 같은 흡입 수단(800)을 석션 결합부(735)에 연결하여 액체 저장부(710)에 저장된 액체를 흡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타구대 어셈블리(1000)에 의하면, 기존 배관 구조를 배제시켜 배관 구조에 의한 다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간단한 구조를 통해 치과 치료 시 발생된 액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액체 저장부(710)의 탈착 및 흡입관(730) 배치를 통해 액체 제거 방식을 관리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이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은 타구대 어셈블리(1000)의 세부적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6에서는 액체 저장부(710)에 설치되는 관 체결부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 저장부(710)에 구비되는 관 체결부(715)의 구조 및 이의 활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액체 저장부(710)는 관 체결부(715) 및 마개(717)를 포함할 수 있다.
관 체결부(715)는, 액체 용기(711)의 내부 공간을 흡입관(730)과 연통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액체 용기(711)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관 체결부(715)는 일단 및 타단이 연통되는 관체 구조로 형성되어 액체 용기(711)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 체결부(715)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는 흡입관(730)에 형성되는 제2 나사산에 대응되는 제1 나사산(715a)이 형성되어 각 나사산의 결합을 통해 흡입관(73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마개(717)는, 관 체결부(715)의 개구를 덮기 위한 구성으로, 외부로 노출된 관 체결부(715)의 개구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관 체결부(715)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부에 개폐막이 설치될 수 있다. 개폐막은, 관 체결부(715)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막 구조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막은, 평상 시 관 체결부(715)의 내부 공간을 폐쇄시키다가 개구를 통해 삽입되는 흡입관(730)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흡입관(730)의 해당 충격 외력에 의해 흡입관(730)의 삽입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 체결부(715)는 개구가 액체 용기(711)의 측면에서 높이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 체결부(715)는, 액체 용기(711)의 외면에 비스듬하게 노출된 상태로 흡입관(730)이 삽입될 수 있다.
관 체결부(715)는 통해 삽입되는 흡입관(730)은 액체 용기(71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석션 시린지과 같은 흡입 수단(800)을 통해 액체 용기(711) 내의 액체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처럼, 액체 저장부(710)는 용기 결합부(713)에 위치한 개구 및 흡입관(730)을 통해 저장된 액체를 제거할 수 있을뿐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처럼 측면에 형성되는 관 체결부(715)를 통해서도 액체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관 체결부(715)를 통해 액체를 제거하는 경우, 기존보다 더 낮은 높이에서 액체 제거 자세를 취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흡입관(730)이 측면에서 삽입되므로 기존 상부에 흡입관(730)이 위치하는 경우 액체 용기(711) 분리 시 흡입관(730)에서 발생되는 액체의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은, 관 체결부(715)를 구비하는 액체 저장부(71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7 및 도 8에서는 개폐부를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750)의 구조 및 이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타구대 어셈블리(1000)는 배수 유닛(도 3, 700 이하생략)에 개폐부(7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폐부(750)는, 흡입관(730)의 하강에 따라 액체 수용부(310)의 타구대 배수홀(311)을 덮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개폐부(750)는, 개폐 마개(751) 및 하강 유도부(753)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마개(751)는, 하강 시 타구대 배수홀(311)을 덮기 위한 마개로, 타구대 배수홀(311)과 이격되도록 액체 수용부(310)에 위치하는 흡입관(730)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말해, 개폐 마개(751)는 액체 수용부(310)에 노출되는 석션 결합부(735)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도록 결합되어 흡입관(730)이 삽입되어 고정된 경우, 타구대 배수홀(311)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개폐 마개(751)는, 중심부에서 둘레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타구대 배수홀(311)의 직경과 같거나 더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개폐 마개(751)는, 흡입관(7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예컨데 석션 결합부(735)의 둘레에 나사산이 결합되고 중심부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해당 나사산에 회전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타구대 배수홀(311)을 향하는 개폐 마개(751)의 하부면에는 흡착부가 구비되어 개폐 마개(751)의 하강 시, 액체 수용부(310)의 바닥면 또는 필터 본체(3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흡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뿐만아니라, 개폐 마개(751)는 둘레에 실링부를 구비하여 하강 시 해당 실링부가 액체 수용부(310)에 접촉될 수 있다.
하강 유도부(753)는, 액체 용기(711)에서 흡입관(730)을 압박 및 고정하여 액체 용기(711)의 분리 시 흡입관(730)을 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관 고정체(753a), 압박 돌기(753b) 및 개방구(753c)를 포함할 수 있다.
관 고정체(753a)는, 액체 용기(711)의 바닥면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액체 용기(711) 내부 공간에서 흡입관(730)을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 고정체(753a)는 액체 용기(711)의 바닥면 중심부에서 원통형 구조로 설치되어 관통된 중심부를 통해 흡입구(733)가 위치한 흡입관(730)을 수용할 수 있다.
압박 돌기(753b)는, 관 고정체(753a)의 내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수용되는 흡입관(730)을 압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압박 돌기(753b)는 소정 외력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는 재질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 고정체(753a)의 직경은 흡입관(7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압박 돌기(753b)의 직경은 흡입관(730)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관(730)이 삽입되어 소정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압박 돌기(753b) 사이에 흡입관(730)이 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흡입관(730)이 압박 돌기(753b)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도 소정 외력이 작용해야한다.
개방구(753c)는, 관 고정체(753a)의 내부 공간과 액체 용기(711)의 내부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관 고정체(753a)에 관통되는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구(753c)는 주로 관 고정체(753a)의 하부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액체가 흡입구(733)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개폐부(75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에서처럼 관리자는 흡입관(730)을 관 고정체(753a)에 삽입시킬 수 있다. 이때, 압박 돌기(753b)가 존재함에 따라 관 고정체(753a)의 삽입 시 소정 외력이 요구되며 삽입 시 압박 돌기(753b)에 의해 흡입관(730)의 외면이 압박되어 자세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흡입관(730)이 압박 돌기(753b)에 고정된 상태에서 개폐 마개(751)는 석션 결합부(735)측에 결합되어 타구대 배수홀(311)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평상 시 자세에서 치과 치료가 실시되어 액체가 액체 수용부(310)로 유입되면, 개폐 마개(751)와 타구대 배수홀(311)의 이격 공간을 통해 액체는 하부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개폐 마개(751)와 타구대 배수홀(311)의 이격 높이보다 큰 이물질은 이들 간의 결합 구조에 의해 자동으로 여과될 수 있다.
이렇게 타구대 배수홀(311)을 통해 액체 용기(711)로 액체가 유입되면, 해당 액체는 관 고정체(753a)의 하부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되는 개방구(753c)를 통해 흡입구(733)로 전달된다.
이러한 액체의 유입이 지속되어 해당 액체의 제거가 요구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앞선 실시예에서 상술한 흡입 수단(도 2, 800)을 흡입관(730)에 결합시켜 제거하거나, 액체 용기(711)를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도 8에서처럼 액체 용기(711)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 관리자는 액체 용기(711)를 연결 유닛(500)에서 분리하기 위해 하강 시킬 수 있다. 이때, 흡입관(730)은 압박 돌기(753b)에 의해 압박 및 고정된 상태이고, 별도의 고정 수단이 없는 상황이므로 액체 용기(711)의 하강에 따라 같이 하강될 수 있다.
액체 용기(711)가 소정 높이만큼 하강하면 흡입관(730)에 설치된 개폐 마개(751)가 같이 하강되어 하부의 타구대 배수홀(311)을 덮는다. 이때, 개폐 마개(751)의 폐쇄 동작에 의해 흡입관(730)은 상부 방향을 향해 외력이 작용되고 해당 외력에 의해 압박 돌기(753b)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체 용기(711)를 분리하는 단일 동작을 통해 개폐 마개(751)가 자동으로 타구대 배수홀(311)을 덮어 하부에 위치하는 배수 통로를 밀폐시킴에 따라 액체 용기(711)가 분리된 상황에서 액체 수용부(310)에 존재하는 액체가 하부로 누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개폐부(750)의 통해 흡입관(730)의 고정 및 액체 용기(711) 분리 시 누유 방지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타구대 어셈블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00': 기존 타구대 어셈블리 700: 배수 유닛
1000: 타구대 어셈블리 710: 액체 저장부
100: 지지 유닛 711: 액체 용기
110: 메인 지지대 713: 용기 결합부
130: 서브 지지대 715: 관 체결부
131: 지지대 결합홀 717: 마개
133: 타구대 받침대 730: 흡입관
135: 받침대홀 731: 관체
300: 타구대 유닛 733: 흡입구
310: 액체 수용부 735: 석션 결합부
330: 필터부 750: 개폐부
331: 필터 본체 751: 개폐 마개
333: 필터 배수홀 753: 하강 유도부
335: 가이드봉 753a: 관 고정체
400: 오토컵 753b: 압박 돌기
500: 연결 유닛 753c: 개방구
510: 연결 본체 800: 흡입 수단
530: 연결 배수홀 S: 악취
550: 가이드홀 F: 이물질
570: 연결 결합부 P: 관리자
1000: 타구대 어셈블리 710: 액체 저장부
100: 지지 유닛 711: 액체 용기
110: 메인 지지대 713: 용기 결합부
130: 서브 지지대 715: 관 체결부
131: 지지대 결합홀 717: 마개
133: 타구대 받침대 730: 흡입관
135: 받침대홀 731: 관체
300: 타구대 유닛 733: 흡입구
310: 액체 수용부 735: 석션 결합부
330: 필터부 750: 개폐부
331: 필터 본체 751: 개폐 마개
333: 필터 배수홀 753: 하강 유도부
335: 가이드봉 753a: 관 고정체
400: 오토컵 753b: 압박 돌기
500: 연결 유닛 753c: 개방구
510: 연결 본체 800: 흡입 수단
530: 연결 배수홀 S: 악취
550: 가이드홀 F: 이물질
570: 연결 결합부 P: 관리자
Claims (12)
- 지면에서 높이 방향을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지지 유닛;
상기 지지 유닛에 설치되어 치아 치료 과정에서 발생되는 액체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타구대 유닛; 및
상기 타구대 유닛의 하부에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타구대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와, 일단이 상기 액체 저장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타구대 유닛의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체로 형성되어 상기 타단에 흡입 수단이 결합되어 흡입 동작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액체 저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액체를 상기 흡입 수단으로 이동시키는 흡입관을 구비하는 배수 유닛;을 포함하는, 타구대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구대 유닛은,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타구대 배수홀과, 상기 타구대 배수홀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부가 개방된 제1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액체 수용부; 및
상기 타구대 배수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액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타구대 어셈블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에 설치되어 상부로 상기 타구대 유닛을 지지하고 하부로 상기 액체 저장부와 결합되어 상기 타구대 유닛 및 상기 액체 저장부를 서로 연통시키도록 형성되는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하는, 타구대 어셈블리.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부가 개방된 제2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연결 본체;
상기 연결 본체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연결 배수홀; 및
상기 연결 본체의 바닥면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입관이 삽입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타구대 어셈블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연결 배수홀과 상기 액체 저장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 본체의 하부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액체 저장부와 결합되는 연결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타구대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는,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 액체 용기; 및
상기 연결 결합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개구로 형성된 일단에 형성되는 용기 결합부;를 포함하는, 타구대 어셈블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개방된 상부를 갖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타구대 배수홀을 통해 삽입 및 분리 가능하게 배치되는 필터 본체;
상기 필터 본체의 측면 및 바닥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복수의 홀로 형성되는 필터 배수홀; 및
상기 필터 본체의 중심부에서 관체로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홀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가이드봉 및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관체;
상기 액체 저장부에 위치하는 상기 관체의 끝단에 개구로 형성되는 흡입구; 및
상기 흡입구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액체 수용부의 바닥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입 수단과 결합되는 석션 결합부;를 포함하는, 타구대 어셈블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부는,
내부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상기 액체 용기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관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관은,
상기 관 체결부를 통해 상기 액체 저장부의 내부 공간에 연통되는, 타구대 어셈블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의 하강에 따라 상기 타구대 배수홀을 덮도록 형성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타구대 어셈블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타구대 배수홀과 이격되도록 상기 액체 수용부에 위치하는 상기 흡입관에 결합되는 개폐 마개; 및
상기 액체 용기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 용기에 위치하는 상기 흡입관을 압박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하강 유도부;를 포함하는, 타구대 어셈블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유도부는,
상기 액체 용기의 바닥면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흡입관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관 고정체; 및
상기 관 고정체의 내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수용되는 상기 흡입관을 압박하도록 형성되는 압박 돌기;를 포함하는, 타구대 어셈블리.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유도부는,
상기 관 고정체의 하부 둘레를 따라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관 고정체의 내부 공간과 상기 액체 용기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개방구를 더 포함하는, 타구대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2700A KR102516532B1 (ko) | 2021-07-15 | 2021-07-15 | 타구대 어셈블리 |
PCT/KR2022/000187 WO2023286958A1 (ko) | 2021-07-15 | 2022-01-05 | 타구대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2700A KR102516532B1 (ko) | 2021-07-15 | 2021-07-15 | 타구대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2211A KR20230012211A (ko) | 2023-01-26 |
KR102516532B1 true KR102516532B1 (ko) | 2023-03-31 |
Family
ID=84919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2700A KR102516532B1 (ko) | 2021-07-15 | 2021-07-15 | 타구대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516532B1 (ko) |
WO (1) | WO2023286958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1881B2 (ja) | 1998-07-31 | 2001-07-03 | ニッチク機械販売株式会社 | 燃料分子細分化装置 |
JP2018029896A (ja) | 2016-08-26 | 2018-03-01 |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 医療用診察装置、スピットンユニット、排水処理モジュールおよび排水処理モジュールの交換方法 |
KR102128619B1 (ko) | 2020-03-05 | 2020-06-30 | 문현규 | 석션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37580A (ja) * | 1997-11-10 | 1999-05-25 | Osada Res Inst Ltd | 歯科治療ユニットにおける排水ホースの洗浄装置 |
KR200362464Y1 (ko) | 2004-06-11 | 2004-09-21 | (주)윤민에이엠 | 향기나는 타구를 갖춘 치과용 의자 |
KR101023423B1 (ko) * | 2009-11-06 | 2011-03-24 | 송광소 | 유아용 이동식 양치대 |
JP3181881U (ja) * | 2012-10-22 | 2013-02-28 | 秀俊 西尾 | 歯科用非配管型給排水装置 |
KR102153797B1 (ko) * | 2018-10-24 | 2020-09-08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치과용 타구대 및 그 제어 방법 |
CN210933067U (zh) * | 2019-08-19 | 2020-07-07 | 杨婷 | 一种耳鼻喉科护理用清洗装置 |
-
2021
- 2021-07-15 KR KR1020210092700A patent/KR10251653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1-05 WO PCT/KR2022/000187 patent/WO202328695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1881B2 (ja) | 1998-07-31 | 2001-07-03 | ニッチク機械販売株式会社 | 燃料分子細分化装置 |
JP2018029896A (ja) | 2016-08-26 | 2018-03-01 |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 医療用診察装置、スピットンユニット、排水処理モジュールおよび排水処理モジュールの交換方法 |
KR102128619B1 (ko) | 2020-03-05 | 2020-06-30 | 문현규 | 석션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2211A (ko) | 2023-01-26 |
WO2023286958A1 (ko) | 2023-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85891A (en) | Dental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precious metal particles | |
KR20050031983A (ko) | 자동 소변 처리 장치 | |
ES2656291T3 (es) | Dispositivo de vaciado, conjunto, y método para vaciar bolsas de succión | |
CN108670630B (zh) | 一种呕吐病人用专用病床 | |
CN105078604B (zh) | 一种口腔护理装置 | |
JPH0528623B2 (ko) | ||
KR102516532B1 (ko) | 타구대 어셈블리 | |
CN114010868B (zh) | 神经外科防积血冲洗式手术装置 | |
KR101409838B1 (ko) | 치과용 유닛체어의 타구대 악취차단장치 | |
KR101279451B1 (ko) | 의료용 석션장치 | |
KR102363622B1 (ko) | 의료용 석션장치 | |
KR101767103B1 (ko) |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 |
CN217456884U (zh) | 一种擦拭消毒酒精盒 | |
KR101171729B1 (ko) |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 |
KR101304618B1 (ko) | 치과용 금속수거용기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 |
KR200432182Y1 (ko) | 치과용 핸드피스 거치대 | |
CN214813073U (zh) | 一种牙科清洗装置 | |
CN111103172A (zh) | 医疗废液过滤取样装置 | |
CN214434609U (zh) | 一种口腔治疗用消毒清洗装置 | |
CN216755103U (zh) | 密闭式膀胱冲洗回流液收集容器 | |
CN214859861U (zh) | 一种关节镜冲洗液收集装置 | |
CN215129044U (zh) | 一种可拆卸固液分离收集装置 | |
CN220655987U (zh) | 一种呕吐物收集装置 | |
CN219681026U (zh) | 一种普外科临床用清创装置 | |
CN211409496U (zh) | 一种口腔科拔牙辅助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