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729B1 -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1729B1 KR101171729B1 KR1020120054457A KR20120054457A KR101171729B1 KR 101171729 B1 KR101171729 B1 KR 101171729B1 KR 1020120054457 A KR1020120054457 A KR 1020120054457A KR 20120054457 A KR20120054457 A KR 20120054457A KR 101171729 B1 KR101171729 B1 KR 1011717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ntal
- container
- lid
- opening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0—Separation devices for use in medical, pharmaceutical or laboratory applications, e.g. separating amalgam from dental treatment residu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진료 중에 환자로부터 발생되는 금, 은, 백금 등과 같은 고가의 금속을 수거하기 위한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를 덮고, 표면에 개구가 형성된 뚜껑;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뚜껑의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연결관;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뚜껑의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연결관과 이격된 제2 연결관; 상기 개구를 덮는 탈착식의 개구 마개; 상기 제1 연결관의 상부에 유체 연통되도록 연결된 호스; 상기 호스와 유체 연통되도록 연결된 단부 노즐; 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환자가 치료를 받는 유니트 체어에 인접하여 금속 수거 용기를 배치하고 금속 수거 용기 내에 금가루가 침전되도록 함으로써 치과 진료 중에 환자로부터 발생되는 금, 은, 백금 등과 같은 금속을 대부분 수거할 수 있어 자원 재활용에 기여할 수 있는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환자가 치료를 받는 유니트 체어에 인접하여 금속 수거 용기를 배치하고 금속 수거 용기 내에 금가루가 침전되도록 함으로써 치과 진료 중에 환자로부터 발생되는 금, 은, 백금 등과 같은 금속을 대부분 수거할 수 있어 자원 재활용에 기여할 수 있는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 진료 중에 환자로부터 발생되는 금, 은, 백금 등과 같은 고가의 금속을 수거하기 위한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병원에서 손상된 치아를 치료하기 위해 치아 외면에 예를 들어, 금니와 같은 보철물을 새로 씌워 시술하거나 이미 시술된 금니를 여러 가지 이유로 절삭하거나 절단하는 시술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시술 과정에서 미량의 금가루가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금가루는 시술 과정에서 타액이나 치아 절삭물과 함께 석션콤프레셔와 연결된 흡입수단을 통해 배출되거나, 환자가 직접 유니트 체어 일측에 설치된 타구대에 이물질을 뱉는 과정에서 금가루와 함께 배출된다. 배출된 적출물은 배수관을 통해 정화조로 집수되고, 정화조에 집수된 적출물은 정화처리된 다음 외부로 배출되며, 이러한 배출과정에서 금가루도 함께 배출되어 버려지게 된다.
하나의 치과병원에서 버려지는 금가루는 미량일 수 있으나, 일정한 지역 또는 전국의 여러 치과병원에서 버려지는 금가루를 수집하여 모으면 상당한 양이 된다.
이와 같이, 치과병원에서 버려지는 금가루를 수거하여 고가의 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한 금가루 수거 장치가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09-0002108호로 출원된 바 있다.
상기 출원에서는, 치과병원에 설치된 유니트 체어와 석션콤프레셔를 흡입관으로 연결하고, 상기 석션콤프레셔의 배출구쪽에 배출관이 연결되게 함으로서, 진료 중에 발생하는 타액이나 각종 절삭물 등이 석션콤프레셔의 배출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정화 처리되게 한다. 상기 석션콤프레셔의 배출구쪽에 연결된 배출관에 수집통을 설치하여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적출물이 수집통을 경유한 다음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상기 과정에서 물보다 비중이 높은 물질이 수집통의 바닥에 침전되게 하고, 침전조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로부터 금가루를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수집통에 의해 고가의 자원을 수거 및 재활용할 수 있으나, 침전물의 수거를 위한 수집통을 석션콤프레셔 실내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복잡한 장치들 때문에 수집통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여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환자의 타액에 포함된 금가루는 유니트 체어의 배관을 통과하는 중에 대부분 소실되므로, 이러한 수집통을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금가루의 수거율은 5% 미만이 되어 금가루의 수거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치과 진료 중에 환자로부터 발생되는 금, 은, 백금 등과 같은 금속을 대부분 수거할 수 있어 자원 재활용에 기여할 수 있는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치과 환자로부터 발생되는 금속을 수거하기 위한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를 덮고, 표면에 개구가 형성된 뚜껑;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뚜껑의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연결관;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뚜껑의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연결관과 이격된 제2 연결관; 상기 개구를 덮는 탈착식의 개구 마개; 상기 제1 연결관의 상부에 유체 연통되도록 연결된 호스; 상기 호스와 유체 연통되도록 연결된 단부 노즐; 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단부 노즐은, 상기 호스와 연결된 제1 노즐본체; 상기 제1 노즐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평 유로 및 상기 수평 유로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 개구를 갖는 제2 노즐본체; 상기 수직 개구에 삽입되고, 상기 수평 유로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수평 개구를 갖는 삽입체; 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체는 상기 삽입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돌출 연장부를 가져서, 상기 삽입체가 상기 수직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 연장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평 유로와 상기 수평 개구의 연통 또는 불연통에 의해 상기 수평 유로의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삽입체가 상기 수직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 연장부는 상기 제2 노즐본체와 접촉하고 상기 수평 유로가 완전히 폐쇄된 제1 위치와, 상기 제2 노즐본체와 접촉하고 상기 수평 유로가 완전히 개방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연결관의 하부 외측에 유체 연통되도록 끼워지는 제1 보조관; 상기 제1 보조관의 내측에 유체 연통되도록 끼워지고 단부가 굴곡된 제1 하부관; 상기 제2 연결관의 상부 외측에 유체 연통되도록 끼워지는 제2 상부 보조관; 상기 제2 상부 보조관의 내측에 유체 연통되도록 끼워지고 단부가 굴곡된 제2 상부관; 상기 제2 연결관의 하부 외측에 유체 연통되도록 끼워지는 제2 하부 보조관; 상기 제2 하부 보조관의 내측에 유체 연통되도록 끼워지고 단부가 굴곡된 제2 하부관; 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하부관, 상기 제2 상부관 또는 상기 제2 하부관에는 연성을 갖는 철심이 매립되어 관의 굴곡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는, 내측에 상기 용기본체의 중앙으로 모아지는 형태의 유선형 벽면을 갖고, 상기 유선형 벽면에는 다수의 관통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선형 벽면이 모아지는 하단 중앙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치과용 유니트 체어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각종 배관이 위치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환자가 타액을 뱉기 위한 타구대;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핸드피스들이 거치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거치되고, 환자 입속의 타액 등을 흡입하기 위한 석션핸드피스; 용기본체, 뚜껑, 상기 뚜껑에 설치된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을 갖고, 상기 제1 연결관은 호스를 통해 상기 석션핸드피스와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관은 호스를 통해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금속 수거 용기; 를 포함하고, 상기 석션핸드피스에 의해 흡입된 환자의 타액 등은 상기 제1 연결관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에 들어온 후, 상기 제2 연결관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본체 내의 배관을 통해 배수되는 구조를 갖는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치과 진료 중에 환자로부터 발생하는 금속을 수거하기 위한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은,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 거치된 석션핸드피스에 1회용 팁을 장착하여 환자의 입속에 넣는 단계; 상기 석션핸드피스를 작동하여 환자의 타액 등을 흡입하는 단계; 흡입된 타액 등이 상기 석션핸드피스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 상기 유니트 체어와 인접하게 배치된 용기에 들어가게 하는 단계; 상기 용기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타액 등이 상기 유니트 체어의 본체에 설치된 배관 내로 유입되게 하는 단계; 상기 본체 내의 배관을 통해 타액 등을 배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용기는 용기본체, 뚜껑, 상기 뚜껑에 설치된 제1 연결관과 제2 연결관을 구비하여, 상기 제1 연결관을 통해 타액 등이 유입되고, 상기 제2 연결관을 통해 타액 등이 유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치료를 받는 유니트 체어에 인접하여 금속 수거 용기를 배치하고 금속 수거 용기 내에 금가루가 침전되도록 함으로써 치과 진료 중에 환자로부터 발생되는 금, 은, 백금 등과 같은 금속을 대부분 수거할 수 있어 자원 재활용에 기여할 수 있는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의 뚜껑 부분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의 단부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부 노즐에서 삽입체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단부 노즐에서 삽입체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의 용기본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의 뚜껑 부분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의 단부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부 노즐에서 삽입체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단부 노즐에서 삽입체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의 용기본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의 뚜껑 부분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의 단부 노즐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부 노즐에서 삽입체가 제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단부 노즐에서 삽입체가 제2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과용 유니트 체어(또는 유니트 체어)(100)는 치과 병원에 오는 환자들을 치료할 때 사용하는 치과진료용 전문 의자로서, 환자가 누울 수 있는 체어(110)를 포함하여 각종 기기들이 집약적으로 배치된다.
유니트 체어(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각종 배관들이 위치하는 본체(160), 상기 본체(160)와 연결되고 환자가 타액을 뱉을 수 있는 타구대(170), 상기 본체(160)와 연결된 프레임(120), 상기 프레임(120)과 연결된 조명구(130), 디스플레이(140), 거치대(150)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150)에는 진료 행위를 할 때 사용하는 핸드피스(151)들이 거치된다.
또한, 본체(160) 측에도 프레임(120)과 연결된 거치대(180)가 위치하고, 이러한 거치대(180)에도 진료 행위에 사용하는 핸드피스(181)들이 거치된다.
치과 진료 시에는 환자에게 이미 시술된 금니를 절삭하거나 절단하는 시술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미량의 금가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금가루는 환자 입속의 타액 등을 석션콤프레셔와 연결된 석션핸드피스로 흡입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배출되고, 일부는 환자의 입속에 남아 있다가 환자가 타액을 뱉는 과정에서 배출된다.
일부 종래기술에서는 유니트 체어의 석션콤프레셔의 배출관 측에 수집통을 설치하여 환자로부터 발생되는 금가루를 수집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 환자로부터 발생된 금가루는 유니트 체어의 본체에 배치된 배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대부분 소실되고 수집통에 수집되는 금가루는 환자로부터 발생한 금가루 대비 5% 정도밖에 안 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치과 환자로부터 발생되는 금가루 등의 고가의 금속을 대부분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니트 체어(100)에는 본체(160)와 석션핸드피스(또는 단부 노즐)(260) 사이에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이하, 금속 수거 용기 또는 용기)(200)를 배치하여, 환자의 입속을 석션핸드피스(260)로 흡입할 때 흡입된 타액 등이 금속 수거 용기(200)를 거친 후, 호스(161)를 통해 본체(160) 내의 배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환자의 입속과 가장 근거리에 금속 수거 용기(200)를 배치하여, 환자로부터 발생된 금가루가 본체(160) 내의 배관을 통과하는 동안에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대부분 금속 수거 용기(200)에서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환자로부터 발생된 금가루의 회수율은 95% 수준에 이르게 된다.
금속 수거 용기(200)는 용기본체(210), 뚜껑(220), 상기 뚜껑(220)과 연결된 제1 연결관(230)과 제2 연결관(240)을 갖는다. 제1 연결관(230)은 호스(250)를 통해 석션핸드피스(260)와 연결된다. 제2 연결관(240)은 호스(161)를 통해 본체(160)와 연결된다. 석션핸드피스(260)에 의해 흡입된 환자의 타액 등은 제1 연결관(230)을 통해 용기본체(210)에 들어온 후, 금가루는 용기본체(210)의 바닥에 침전되고 나머지 타액 등은 제2 연결관(240)을 통해 배출되어 본체(160) 내의 배관을 통해 배수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을 참조하여, 치과 진료 중에 환자로부터 발생하는 금속을 수거하기 위한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니트 체어(100)에 거치된 석션핸드피스(260)에 1회용 팁(도시안됨)을 장착하여 환자의 입속에 넣는다. 여기서, 1회용 팁은 석션핸드피스(260)의 단부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1회용 팁은 환자의 입속에 직접 들어가는 부분으로 한번 쓰고 버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소독하여 여러 번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석션핸드피스(260)를 작동하여 환자 입속의 타액 등을 흡입한다. 이때, 환자의 입속에는 금니와 같은 보철물의 절삭에 의해 발생된 금가루가 타액 중에 포함된 상태가 된다. 석션핸드피스(260)의 작동은 석션핸드피스(260)에 위치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에, 흡입된 타액 등이 석션핸드피스(260)와 연결된 호스(250)를 통해 유니트 체어(100)와 인접하게 배치된 용기(200)에 들어가게 한다. 용기(200)는 용기본체(210), 뚜껑(220), 이러한 뚜껑에 설치된 제1 연결관(230)과 제2 연결관(240)을 구비한다. 제1 연결관(230)을 통해서는 타액 등이 유입되고, 제2 연결관(240)을 통해서는 타액 등이 유출된다.
다음에, 용기(200)의 제2 연결관(240)에 연결된 호스(161)를 통해 타액 등이 유니트 체어(100)의 본체(160)에 설치된 배관 내로 유입되게 한다. 이때, 타액 중에 포함된 금가루는 용기(200)에 남게 되고, 금가루를 제외한 타액만 제2 연결관(240)을 통해 배출된다.
다음에, 본체(160) 내의 배관으로 유입된 타액 등은 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에 따르면, 환자와 유니트 체어 사이에 금속 수거 용기(200)를 배치하여 환자의 입속에서 흡입된 타액 등은 금속 수거 용기(200)를 거친 후 본체(160)의 배관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환자의 입속에서 흡입된 타액 중에 포함된 금가루 등은 대부분 금속 수거 용기(200)로 들어가 침전되고, 금가루 등을 제외한 나머지 타액만 본체(160)를 통해 배출할 수 있어서, 금가루의 수거율이 종래의 방법과 비교할 때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이는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의 실정에서 간단한 설치와 방법으로 버려지는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금속 수거 용기의 상세한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금속 수거 용기(200)는 용기본체(210), 뚜껑(220), 제1 연결관(230), 제2 연결관(240), 개구 마개(215), 호스(250), 단부 노즐(260)을 포함한다.
용기본체(210)는 예를 들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용기본체(210)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는, 용기본체(210)는 연성을 갖는 폴리머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뚜껑(220)은 용기본체(210)를 덮고 표면에 개구(221)가 형성된다. 뚜껑(220)은 용기본체(210)에 돌려서 끼우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개구(221)에는 개구 마개(215)가 장착된다. 개구 마개(215)는 개구(221)를 덮고, 탈착식으로 설치되어 개구(221)를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금속 수거 용기(200)에서 타액 등이 원활하게 유출되지 않을 때는, 용기본체(210)에서 뚜껑(220)을 분리하지 않고도 개구 마개(215)를 열고 개구(221)를 통해 물 등을 주입하는 등의 간단히 조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제1 연결관(230)은 뚜껑(220)을 관통하여 뚜껑(220)의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된다. 제2 연결관(240)은 뚜껑(220)을 관통하여 뚜껑(220)의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고 제1 연결관(230)과는 이격된다.
제1 연결관(230) 및 제2 연결관(240)이 뚜껑(220)의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는 길이는 뚜껑(220)에 인접한 부분까지이다. 제1 연결관(230) 및 제2 연결관(240)은 뚜껑(2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관(230)의 상부에는 유체 연통되도록 호스(250)가 연결된다. 호스(250)에는 유체 연통되도록 단부 노즐(260)이 연결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연결관(230)의 하부 외측에는 제1 보조관(231)이 유체 연통되도록 끼워진다. 제1 보조관(231)의 내측에는 제1 하부관(232)이 유체 연통되도록 끼워진다. 제1 하부관(232)은 단부가 굴곡되어 금속 수거 용기(200) 내로 유입되는 타액 등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하부관(232)에는 연성을 갖는 철심(232')이 매립되어 철심(232')을 구부림으로써 관의 굴곡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연결관(240)의 상부 외측에는 유체 연통되도록 제2 상부 보조관(241)이 끼워진다. 제2 상부 보조관(241)의 내측에는 유체 연통되도록 제2 상부관(242)이 끼워진다. 제2 상부관(242)은 단부가 굴곡되어 금속 수거 용기(200)로부터 유출되는 타액 등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상부관(242)에는 연성을 갖는 철심(242')이 매립되어 철심(242')을 구부림으로써 관의 굴곡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연결관(240)의 하부 외측에는 유체 연통되도록 제2 하부 보조관(243)이 끼워진다. 제2 하부 보조관(243)의 내측에는 제2 하부관(244)이 유체 연통되도록 끼워진다. 제2 하부관(244)은 단부가 굴곡되어 단부에 인접하는 부분의 타액 등을 금속 수거 용기(200)로부터 유출되도록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하부관(244)에는 연성을 갖는 철심(244')이 매립되어 철심(244')을 구부림으로써 관의 굴곡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뚜껑(220)의 외측 둘레에는 복수의 단턱부(222)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단턱부(222)와 뚜껑(220)의 테두리 사이에는 고무링(223)이 끼워져서, 뚜껑(220)은 용기본체(210)에 유밀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뚜껑(220)의 밑면에서 제1 연결관(230)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다른 부분보다 약간 함몰된 원형의 홈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뚜껑(220)의 밑면에서 제2 연결관(240)에 인접하는 부분에도 다른 부분보다 약간 함몰된 원형의 홈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뚜껑(220)의 밑면에는 개구(221)를 횡방향으로 지나는 횡방향 돌출부(226)가 형성될 수 있다. 횡방향 돌출부(226)는 뚜껑(220)의 다른 부분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가늘고 긴 형태를 갖는다. 또한, 개구(221)로부터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돌출부(22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종방향 돌출부(227)의 단부에 인접하여 이러한 종방향 돌출부(227)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2 횡방향 돌출부(22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횡방향 돌출부(226), 종방향 돌출부(227), 제2 횡방향 돌출부(228)는 개구(221)에 인접하는 부분의 강성을 증가시켜, 개구 마개(215)를 열고 닫을 때 개구(221) 주위 부분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단부 노즐(26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부 노즐(260)은 제1 노즐본체(261), 제2 노즐본체(265), 삽입체(270)를 포함한다.
제1 노즐본체(261)는 호스(250)와 연결된다. 제1 노즐본체(261)는 내측에 유로가 형성된다. 제1 노즐본체(261)의 단부에는 내측에 O링(262)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노즐본체(265)는 제1 노즐본체(261)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노즐본체(265)는 수평 유로(266)와, 이러한 수평 유로(266)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 개구(267)를 갖는다. 수직 개구(267)의 크기는 수평 유로(266)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노즐본체(261)와 결합되는 제2 노즐본체(265)의 단부에는 단면축소부(268)가 형성되어, 단면축소부(268)를 제1 노즐본체(261)의 단부에 밀어넣음으로써 제1 노즐본체(261)와 제2 노즐본체(265)가 결합될 수 있다. 제2 노즐본체(265)의 단부 주위에는 홈(269)이 형성되어, O링(262)이 홈(269)에 안착되게 하여 제1 노즐본체(261)와 제2 노즐본체(265)는 유밀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삽입체(270)는 수직 개구(267)에 삽입된다. 삽입체(270)는 헤드부(271)와, 이러한 헤드부(271)와 일체로 형성되고 헤드부(271)보다는 단면이 줄어드는 원통형의 몸체부(272)를 포함한다. 수직 개구(267)에 삽입되는 부분은 삽입체(270)의 몸체부(272)가 된다. 몸체부(272)의 상부 및 하부에는 O링(274, 275)이 결합되어, 삽입체(270)가 수직 개구(267)에 유밀식으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몸체부(272)에는 제2 노즐본체(265)의 수평 유로(266)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수평 개구(273)가 형성된다. 헤드부(271)는 상기 헤드부(271)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향으로 연장되는 돌출 연장부(276)를 갖는다. 삽입체(270)가 제2 노즐본체(265)의 수직 개구(267)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 연장부(276)를 회전시킴으로써 수평 유로(266)와 수평 개구(273)는 유체 연통 또는 유체 불연통되어 수평 유로(266)가 개폐될 수 있다.
도 5와 도6을 참조하면, 돌출 연장부(276)가 우측으로 회전되어 제2 노즐본체(265)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돌출 연장부(276)는 수평 유로(266)와 수평 개구(273)가 불연통되어 수평 유로(266)가 완전히 폐쇄된 제1 위치에 있게 된다.
다음에 도 5와 도7을 참조하면, 돌출 연장부(276)가 좌측으로 회전되어 제2 노즐본체(265)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돌출 연장부(276)는 수평 유로(266)와 수평 개구(273)가 연통되어 수평 유로(266)가 완전히 개방된 제2 위치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삽입체(270)가 제2 노즐본체(265)의 수직 개구(267)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 연장부(276)를 제2 노즐본체(265)와 접촉하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수평 유로(266)와 수평 개구(273)가 연통 또는 불연통될 수 있다.
도 1,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환자의 입속을 흡입하기 위해 단부 노즐(또는 석션핸드피스)(260)을 거치대(180)에서 들어올리면 석션콤프레셔가 작동되어 흡입력이 작용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이때 돌출 연장부(276)는 제1 위치에 있어서 흡입력이 직접 작용하지는 않는다. 다음에, 돌출 연장부(276)를 제2 위치로 회전시키면 수평 유로(266)와 수평 개구(273)가 연통되어 흡입력이 작용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부 노즐(260)을 환자의 입속에 넣여 타액 등을 흡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의 용기본체(3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환자의 타액 등을 흡입할 때, 용기본체(310)에는 석션콤프레서의 흡입력에 의해 용기본체(310) 내의 유체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이때, 용기본체(310)에 작용하는 흡입력에 의해 용기본체(310) 내의 유체와 함께 금가루가 미량이라도 흡인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용기본체(310)의 내측에는 용기본체(310)의 중앙으로 모아지는 형태의 유선형 벽면(311)이 형성될 수 있다. 유선형 벽면(311)은 용기본체(3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용기본체(310) 내로 유입되는 타액 등은 유선형 벽면(311)을 따라 부드럽게 유입될 수 있다.
유선형 벽면(311)이 모아지는 하단 중앙에는 개구(313)가 형성되어, 타액 등은 개구(313)를 통해 낙하되어 용기본체(310)의 바닥부터 채워질 수 있다. 이때, 금가루는 용기본체(310)의 바닥에 침전된다.
유선형 벽면(311)에는 다수의 관통 개구(312)가 형성된다. 용기본체(310)의 바닥부터 채워진 타액 등의 수위가 높아지면 타액 등은 관통 개구(312)를 통해 유선형 벽면(311) 위로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유선형 벽면(311)은 용기본체(310) 내로 유입되는 타액 등이 난류를 형성하지 않도록 하여 타액 중에 포함된 금가루가 타액 등과 함께 미량이라도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치과용 유니트 체어 160 : 본체
161 : 호스 180 : 거치대
200 :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210 : 용기본체
215 : 개구 마개 220 : 뚜껑
221 : 개구 230 : 제1 연결관
231 : 제1 보조관 232 : 제1 하부관
240 : 제2 연결관 241 : 제2 상부 보조관
242 : 제2 상부관 243 : 제2 하부 보조관
244 : 제2 하부관 250 : 호스
260 : 단부 노즐 261 : 제1 노즐본체
265 : 제2 노즐본체 266 : 수평 유로
267 : 수직 개구 270 : 삽입체
271 : 헤드부 272 : 몸체부
273 : 수평 개구 276 : 돌출 연장부
161 : 호스 180 : 거치대
200 :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210 : 용기본체
215 : 개구 마개 220 : 뚜껑
221 : 개구 230 : 제1 연결관
231 : 제1 보조관 232 : 제1 하부관
240 : 제2 연결관 241 : 제2 상부 보조관
242 : 제2 상부관 243 : 제2 하부 보조관
244 : 제2 하부관 250 : 호스
260 : 단부 노즐 261 : 제1 노즐본체
265 : 제2 노즐본체 266 : 수평 유로
267 : 수직 개구 270 : 삽입체
271 : 헤드부 272 : 몸체부
273 : 수평 개구 276 : 돌출 연장부
Claims (9)
- 치과 환자로부터 발생되는 금속을 수거하기 위한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를 덮는 뚜껑;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뚜껑의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는 제1 연결관;
상기 뚜껑을 관통하여 상기 뚜껑의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연결관과 이격된 제2 연결관;
상기 제1 연결관의 상부에 유체 연통되도록 연결된 호스;
상기 호스와 유체 연통되도록 연결된 단부 노즐;
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 노즐은,
상기 호스와 연결된 제1 노즐본체;
상기 제1 노즐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평 유로 및 상기 수평 유로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 개구를 갖는 제2 노즐본체;
상기 수직 개구에 삽입되고, 상기 수평 유로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수평 개구를 갖는 삽입체;
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체는 상기 삽입체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 연장부를 가져서, 상기 삽입체가 상기 수직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 연장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수평 유로와 상기 수평 개구의 연통 또는 불연통에 의해 상기 수평 유로의 개폐가 가능한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표면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덮는 탈착식의 개구 마개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체가 상기 수직 개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 연장부는 상기 제2 노즐본체와 접촉하고 상기 수평 유로가 완전히 폐쇄된 제1 위치와, 상기 제2 노즐본체와 접촉하고 상기 수평 유로가 완전히 개방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관의 하부 외측에 유체 연통되도록 끼워지는 제1 보조관;
상기 제1 보조관의 내측에 유체 연통되도록 끼워지고 단부가 굴곡된 제1 하부관;
상기 제2 연결관의 상부 외측에 유체 연통되도록 끼워지는 제2 상부 보조관;
상기 제2 상부 보조관의 내측에 유체 연통되도록 끼워지고 단부가 굴곡된 제2 상부관;
상기 제2 연결관의 하부 외측에 유체 연통되도록 끼워지는 제2 하부 보조관;
상기 제2 하부 보조관의 내측에 유체 연통되도록 끼워지고 단부가 굴곡된 제2 하부관;
을 더 포함하는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관, 상기 제2 상부관 또는 상기 제2 하부관에는 연성을 갖는 철심이 매립되어 관의 굴곡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내측에 상기 용기본체의 중앙으로 모아지는 형태의 유선형 벽면을 갖고,
상기 유선형 벽면에는 다수의 관통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선형 벽면이 모아지는 하단 중앙에는 개구가 형성된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4457A KR101171729B1 (ko) | 2012-05-22 | 2012-05-22 |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4457A KR101171729B1 (ko) | 2012-05-22 | 2012-05-22 |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3895A Division KR20130130596A (ko) | 2012-07-06 | 2012-07-06 |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71729B1 true KR101171729B1 (ko) | 2012-08-06 |
Family
ID=46887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4457A KR101171729B1 (ko) | 2012-05-22 | 2012-05-22 |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172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3051A (ko) | 2018-03-27 | 2019-10-08 | (주)아시아덴탈 | 치과용 호스 커버 장치 |
KR20200131140A (ko) | 2019-05-13 | 2020-11-23 | 주식회사 에이치디아이 | 의료기구용 호스 커버 장치 |
KR20230171130A (ko) | 2022-06-13 | 2023-12-20 | 웰빙고 주식회사 | 낱알형 누룽지 제조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3569A (ja) * | 1996-07-18 | 1998-02-10 | Morita Mfg Co Ltd | 医療用診療装置 |
US5855478A (en) | 1997-10-30 | 1999-01-05 | Van; Bryan B. | Method for preventing back flow in a dental saliva ejector |
KR200451538Y1 (ko) | 2010-07-27 | 2010-12-21 | 박용규 | 치과용 귀금속 회수 및 폐기물 처리장치 |
-
2012
- 2012-05-22 KR KR1020120054457A patent/KR1011717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33569A (ja) * | 1996-07-18 | 1998-02-10 | Morita Mfg Co Ltd | 医療用診療装置 |
US5855478A (en) | 1997-10-30 | 1999-01-05 | Van; Bryan B. | Method for preventing back flow in a dental saliva ejector |
KR200451538Y1 (ko) | 2010-07-27 | 2010-12-21 | 박용규 | 치과용 귀금속 회수 및 폐기물 처리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3051A (ko) | 2018-03-27 | 2019-10-08 | (주)아시아덴탈 | 치과용 호스 커버 장치 |
KR20200131140A (ko) | 2019-05-13 | 2020-11-23 | 주식회사 에이치디아이 | 의료기구용 호스 커버 장치 |
KR20230171130A (ko) | 2022-06-13 | 2023-12-20 | 웰빙고 주식회사 | 낱알형 누룽지 제조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13486B2 (ja) | 根管瀉出装置 | |
CA2869836C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ndodontic treatment | |
US4385891A (en) | Dental apparatus for preventing loss of precious metal particles | |
US20080138761A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ing tooth root canals | |
ES2656291T3 (es) | Dispositivo de vaciado, conjunto, y método para vaciar bolsas de succión | |
KR101171729B1 (ko) |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 |
CN104841033B (zh) | 设有分流道的均匀给药负压吸盘 | |
CN105078604B (zh) | 一种口腔护理装置 | |
KR101304618B1 (ko) | 치과용 금속수거용기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 |
JP5553424B1 (ja) | 歯科治療排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金属回収方法 | |
KR101279451B1 (ko) | 의료용 석션장치 | |
CN104815361B (zh) | 设有缓冲池和快拆管的均匀给药负压吸盘 | |
KR20130130596A (ko) | 치과용 금속 수거 용기,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 |
KR101197841B1 (ko) | 치과용 석션 핸드피스, 치과용 유니트 체어 및 치과 환자로부터 금속을 수거하는 방법 | |
KR20200068184A (ko) | 의료용 석션장치 | |
CN111067642A (zh) | 一种根管治疗用牙髓抽取装置 | |
KR200451538Y1 (ko) | 치과용 귀금속 회수 및 폐기물 처리장치 | |
KR100971490B1 (ko) | 치과병원에서 발생하는 금가루 수거장치 | |
KR101300050B1 (ko) | 치과 의료기 흡입장치용 여과기 | |
US20050239016A1 (en) | Apparatus for filtering dental solid waste | |
CN211409496U (zh) | 一种口腔科拔牙辅助器 | |
KR101554965B1 (ko) | 지방 분리 장치 | |
CN218792335U (zh) | 标本收集装置 | |
KR101499034B1 (ko) | 사이클론 필터링을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 | |
KR102516532B1 (ko) | 타구대 어셈블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