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965B1 - 지방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지방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965B1
KR101554965B1 KR1020150101141A KR20150101141A KR101554965B1 KR 101554965 B1 KR101554965 B1 KR 101554965B1 KR 1020150101141 A KR1020150101141 A KR 1020150101141A KR 20150101141 A KR20150101141 A KR 20150101141A KR 101554965 B1 KR101554965 B1 KR 101554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
moisture
storage container
fil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환
Original Assignee
정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세환 filed Critical 정세환
Priority to KR1020150101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4Cell isolation or sor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지방 분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지방 분리 장치는, 지방이 보관되는 지방 보관 용기와, 지방 보관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커버가 구비된 용기 본체; 지방 보관 용기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커버를 통해 주입되는 지방에서 수분을 필터링(filtering) 하는 수분 필터부; 및 수분 필터부에 결합 되어 수분 필터부에서 필터링 된 수분이 커버 방향으로 상승 되도록 가이드 하는 수분 배출 가이드관을 포함하고, 지방 보관 용기로 주입되는 지방의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은 필터링 되고, 필터링 된 지방과 수분은 커버가 지방 보관 용기에 결합 된 상태에서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커버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방 분리 장치{FAT SEPA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방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방과 함께 나온 불순물(수분, 섬유질, 섬유화조직 등) 을 지방과 분리하여 별도의 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최대한 불순물이 제거된 순수한 지방만을 효율적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지방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방확대, 얼굴 성형(코, 비순, 볼 등) 등과 같은 확대 성형 시술은 보형물 삽입술과 자가 지방 주입술이 있다. 보형물 삽입술은 크기의 조절이 쉬워 단번에 크게 가능하지만 이물질을 몸 안에 삽입하는 것이므로 임상적으로 안전하지 못하고 감촉이나 느낌이 좋지 않다.
반면에 자가 지방 주입술은 자신의 배나 다리 등 남는 지방을 흡입하여 다시 상대적으로 빈약한 가슴이나 힙, 얼굴 등으로 재주입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부분의 지방의 제거 및 빈약한 부분의 확대가 같이 이루어지므로 몸의 균형이 이루어지고, 자가지방을 직접 주입하는 것이므로 이물질에 대한 저항감도 없을뿐더러 감촉이나 느낌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자가 지방 주입술의 경우 지방생존율이 20~50%로 극히 낮아 원하는 만큼의 크기를 얻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원하는 크기만큼을 얻고자 할 때는 2~3번의 시술이 필요하여 시간과 비용이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지방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여러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임상실험의 결과 최대한 불순물이 제거된 순수 지방만을 걸러내어 주입함으로써 생존율을 높이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지방을 흡입하면 지방뿐만 아니라 혈액, 체액, 불순물 등이 같이 흡입되어 나오므로 순수 지방을 분리해 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지방의 분리 과정에서 지방이 저장되는 용기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공기 자체에 함유된 성분으로 인해 지방의 순도를 떨어트릴 수가 있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5-0043511호(유로미.에스.아) 2015. 04. 22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방과 함께 나온 불순물(수분,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 을 지방과 분리하여 별도의 경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최대한 불순물이 제거된 순수한 지방만을 효율적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지방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방이 보관되는 지방 보관 용기와, 상기 지방 보관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커버가 구비된 용기 본체; 상기 지방 보관 용기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를 통해 주입되는 지방에서 수분을 필터링(filtering) 하는 수분 필터부; 및 상기 수분 필터부에 결합 되어 상기 수분 필터부에서 필터링 된 수분이 상기 커버 방향으로 상승 되도록 가이드 하는 수분 배출 가이드관을 포함하고, 상기 지방 보관 용기로 주입되는 지방의 섬유질은 필터링 되고, 필터링 된 지방과 수분은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상기 커버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커버에 결합 되어 상기 지방 보관 용기의 내부로 지방을 주입시키는 지방 주입 노즐; 상기 커버에 결합 되어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이 필터링 된 지방을 상기 커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지방 배출관; 및 상기 커버에 결합 되어 상기 지방 보관 용기에 보관된 수분을 커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 필터부는, 상기 지방 보관 용기의 하측부에 배치되며, 수분이 통과되는 복수의 수분 통과홀이 마련된 수분 필터 받침대; 상기 수분 필터 받침대에 마련되어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이 제거된 지방에서 수분을 필터링 시키는 수분 필터; 및 상기 수분 필터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분 필터를 상기 수분 필터 받침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 필터 받침대의 상측부 외주면에는 돌출턱이 마련되어 상기 수분 필터 받침대는 상기 지방 보관 용기의 내벽에 걸림 지지 될 수 있다.
상기 수분 필터 받침대에는 상기 수분 배출 가이드관이 관통되는 가이드관 관통홀이 마련되어 관통된 상기 수분 배출 가이드관의 외벽을 지지하는 가이드관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분 배출 가이드관의 하단부에는 걸림 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수분 필터 받침대를 상기 지방 보관 용기의 내부로 투입 시 상기 수분 필터 받침대를 걸림 지지하고, 상기 수분 필터 받침대가 상기 지방 보관 용기의 내부에 안착 시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지방 보관 용기의 바닥부로 하강 될 수 있다.
상기 수분 배출 가이드관은 상기 수분 필터부에 용접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 돌기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수분 배출 가이드관에는 복수의 수분 배출 절개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분 배출 가이드관의 상측부에는 가이드관홀이 마련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지방 보관 용기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지방에 함유된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을 필터링 하는 섬유질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방 보관 용기로 주입되어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이 필터링 된 지방과 수분을 커버가 지방 보관 용기에 결합 된 상태에서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커버를 통과하여 배출하므로 공기의 접촉을 최소로 하면서 최대한 불순물이 제거된 순수한 지방만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수분은 수분 배출 가이드관을 통해 상승 되므로 수분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버와 지방 분리 노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분 필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분 받침대에 수분 배출 가이드관이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수분 받침대에 수분 배출 가이드관이 결합 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버와 지방 분리 노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수분 필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수분 받침대에 수분 배출 가이드관이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수분 받침대에 수분 배출 가이드관이 결합 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방 분리 장치(1)는, 지방이 보관되는 용기 본체(100)와, 보관 본체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커버(120)를 통해 주입되는 지방에서 수분을 필터링(filtering) 하는 수분 필터부(200)와, 수분 필터부(200)에 결합 되어 수분 필터부(200)에서 필터링 된 수분이 커버(120) 방향으로 상승 되도록 가이드 하는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을 구비한다.
용기 본체(100)는, 전동식 의료용 흡인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고, 전동식 의료용 흡인기에서 공급받은 지방에서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을 필터링 하고,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이 제거된 수분과 지방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이 제거된 수분과 지방이 공기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동식 의료용 흡인기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용기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마련되며 상단부가 개방된 지방 보관 용기(110)와, 지방 보관 용기(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지방 보관 용기(110)를 주변과 차단하는 커버(120)와, 커버(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지방 보관 용기(110)의 내부로 지방을 주입시키는 지방 주입 노즐(130)과, 커버(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섬유질과 수분, 섬유화 조직 등이 제거된 순수한 지방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지방 배출관(140)과, 커버(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 배출관(150)과, 커버(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지방 주입 노즐(130)로 유입되는 지방에서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을 제거하는 섬유질 필터(160)와, 지방 보관 용기(110)의 하부를 받치는 받침대(17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00)의 지방 보관 용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의 직경이 가장 크고 하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지방 보관 용기(110)를 하단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마련하면 그 내벽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 필터 받침대(210)의 돌출턱(211)을 걸림 지지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0)의 커버(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방 보관 용기(110)의 상단부에 결합 되어 지방 보관 용기(110)를 밀폐한다.
본 실시 예에서 커버(120)의 중앙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방주입노즐홀(121)이 마련되고, 지방주입노즐의 양측에는 지방배출관홀(122)과 수분배출관홀(123)이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커버링(124)의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링(124)이 마련되어 커버링(124)과 지방 보관 용기(110)의 사이로 공기가 유출입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0)의 지방 주입 노즐(130)은, 도 3에 도시된 커버(120)의 지방주입노즐홀(121)에 분리 가능하게 끼움 맞춤 방식으로 결합 되어 필터링 될 지방을 지방 보관 용기(110)로 주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지방주입노즐홀(121)은 지방배출관홀(122)과 수분배출관홀(123)보다 직경이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지방 추출량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섬유질 필터(160)에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 불순물이 쌓이면 지방주입노즐(130)을 지방주입노즐홀(121)로부터 분리해서 핀셋 등을 사용하여 지방주입노즐홀(121)을 통해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의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 예에서 지방 주입 노즐(130)의 외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링(131)이 마련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0)의 지방 배출관(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0)의 지방배출관홀(122)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맞춤 방식으로 결합 되어 필터링 된 최대한 불순물이 제거된 순수한 지방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지방 배출관(140)의 상단부에는 의료용 루어락 주사기가 결합될 수 있고, 의료용 루어락 주사기를 이용해 수분 필터(220) 위에 있는 지방을 최대한 공기의 접촉을 줄여서 추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지방 배출관(140)의 외주면에도 링 형태의 실링 부재가 마련될 수 있고, 링 형태의 실링 부재는 수분 배출관(150)의 외주면에도 마련될 수 있다.
용기 본체(100)의 수분 배출관(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20)의 수분배출관홀(123)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맞춤 방식으로 결합 되어 지방에서 필터링 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지방의 분리 과정 중에 사용되는 수분 배출관(150,150a)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수분 배출관(150)의 길이는 도 7에 도시된 수분 배출관(150a)의 길이 보다 짧다. 도 3에 사용된 수분 배출관(150)은 지방 분리 작업의 시작시에 사용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수분 배출관(150a)은 지방 분리 작업의 종료시에 사용될 수 있다.
지방 분리 작업의 시작시에는 수분과 지방이 많이 주입되므로 도 3과 같이 수분 배출관(150)의 길이가 짧아도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을 통해 수분이 상승 되어 문제가 없다.
하지만 지방 분리 작업의 종료시에는 수분이 적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 배출관(150a)의 하단부를 수분 필터 받침대(210)의 최저면부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시켜야 수분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이 제거된 지방에서 수분을 분리하여 순수한 지방과 별도로 배출하므로 지방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수분과 지방의 분리가 지방 보관 용기(110)에 커버(120)가 결합 된 상태에서 대부분 이루어지므로 필터링 된 지방과 공기의 접촉을 막아 공기에 함유된 세균의 침투를 막을 수 있다.
용기 본체(100)의 섬유질 필터(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방 주입 노즐(130)의 하측에 배치되어 커버(120)에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 되며, 지방 주입 노즐(130)을 통해 유입되는 지방에 함유된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섬유질 필터(16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슬릿(161)이 복수로 마련되고, 본 실시 예에서 필터 슬릿(161)은 섬유질 필터(16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수분 필터부(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방 보관 용기(110)의 하측부에 배치되어 섬유질 필터(160)에서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이 제거된 지방에 함유된 수분을 필터링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섬유질 필터(160)에서 떨어지는 지방은 수분을 포함하고 있고, 수분이 포함된 지방을 다시 신체 부위로 주입하면 지방 생존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지방의 순도가 떨어진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지방에 함유된 수분을 분리하여 배출한다.
본 실시 예에서 수분 필터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마련되는 돌출턱(211)에 의해 지방 보관 용기(110)의 하측부에 걸림 지지 되며 복수의 수분 통과홀(212)이 마련된 수분 필터 받침대(210)와, 수분 필터 받침대(210)에 마련되어 섬유질이 제거된 지방은 통과시키지 않고 수분만 지방 보관 용기(110)의 바닥부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수분 필터(220)와, 수분 필터(220)의 상면부에 배치되며 수분 필터(220)를 가압하여 수분 필터 받침대(210)에 고정시키는 고정링(230)을 포함한다.
수분 필터부(200)의 수분 필터 받침대(2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관 관통홀(213a)을 갖는 가이드관 지지부(213)가 마련되며, 가이드관 지지부(213)는 가이드관 관통홀(213a)을 통해 삽입된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의 외벽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수분 필터 받침대(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의 걸림 돌기(320)에 지지므로 수분 필터부(200)를 지방 보관 용기(110)의 내부로 투입 시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을 잡고 안정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방 보관 용기(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수분 필터부(200)에서 필터링 된 수분을 커버(120) 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상승시켜 수분의 배출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의 하단부는 지방 보관 용기(110)의 바닥부에 접하도록 마련되고, 그 하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분 배출 절개홀(310)이 마련된다.
따라서 수분 필터(220)를 통해 필터링 된 수분은 복수의 수분 배출 절개홀(310)을 통해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의 내부로 삽입되며, 그 내부로 삽입된 수분은 수분 필터(220)의 상면부에 쌓이는 지방의 하중에 의해 커버(120) 방향으로 상승 된다. 즉 수분 필터(220)를 통과한 수분만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의 내부에서 커버(120) 방향으로 상승 된다.
구체적으로 지방 분리 작업 중에 섬유질 필터(160)에서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이 제거되어 떨어지는 지방에 함유된 수분은 수분 필터(220)를 통과할 수 있지만 지방은 수분 필터(220)를 통과하지 못해 수분 필터(220)의 상면부에 계속해서 쌓이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계속되면 수분 필터(220)를 통과하는 수분은 점점 많아지고, 수분 필터(220)의 상면부에는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이 제거된 지방이 쌓여 있으므로 수분 필터(220)의 상면부로 수분은 쉽게 올라올 수 없다.
따라서 수분 필터(220)를 통과한 수분은 계속해서 공급되는 수분과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이 제거된 지방에 의해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으로 유입되어 커버(120) 방향으로 상승 된다. 그 결과 지방 분리 작업의 종료시(도 7 참조)를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 배출관(150)의 길이를 짧게 하더라도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의 하단부 외벽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걸림 돌기(320)가 마련되고, 이 복수의 걸림 돌기(3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 필터 받침대(210)의 저면부에 걸림 지지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수분 필터부(200)를 지방 보관 용기(110)에 투입 시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이 수분 필터부(200)를 걸림 지지하므로 길이가 긴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을 잡고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수분 필터부(200)를 지방 보관 용기(110)의 바닥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의 상측부에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관홀(330)이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지방 보관 용기(110)의 내부는 음압 상태로 유지되므로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에 복수의 가이드관홀(330)을 마련하지 않으면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 내부에 음압이 커지게 되어 수분이 지속적으로 수분 배출관(140)으로 배출되어 섬유질 필터(160)를 통과한 지방과 수분이 충분히 분리되기 전 지방이 수분 필터(220)를 막아 본 실시 예의 작동이 멈출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수분 배출 가이드관(300)은 수분 필터부(200)의 수분 필터 받침대(210)에 용접 결합 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지방 보관 용기로 주입되어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이 필터링 된 지방과 수분을 커버가 지방 보관 용기에 결합 된 상태에서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커버를 통과하여 배출하므로 공기의 접촉을 최소로 하면서 최대한 불순물이 제거된 순수한 지방만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수분은 수분 배출 가이드관을 통해 상승 되므로 수분을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지방 분리 장치
100 : 용기 본체 110 : 지방 보관 용기
120 : 커버 121 : 지방주입노즐홀
122 : 지방배출관홀 123 : 수분배출관홀
124 : 커버링 130 : 지방 주입 노즐
131 : 오링 140 : 지방 배출관
150,150a : 수분 배출관 160 : 섬유질 필터
161 : 필터 슬릿 170 : 받침대
200 : 수분 필터부 210 : 수분 필터 받침대
211 : 돌출턱 212 : 수분 통과홀
213 : 가이드관 지지부 213a : 가이드관 관통홀
220 : 수분 필터 230 : 고정링
300 : 수분 배출 가이드관 310 : 수분 배출 절개홀
320 : 걸림 돌기 330 : 가이드관홀

Claims (8)

  1. 지방이 보관되는 지방 보관 용기와, 상기 지방 보관 용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는 커버가 구비된 용기 본체;
    상기 지방 보관 용기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를 통해 주입되는 지방에서 수분을 필터링(filtering) 하는 수분 필터부; 및
    상기 수분 필터부에 결합 되어 상기 수분 필터부에서 필터링 된 수분이 상기 커버 방향으로 상승 되도록 가이드 하는 수분 배출 가이드관을 포함하고,
    상기 지방 보관 용기로 주입되는 지방의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은 필터링 되고, 필터링 된 지방과 수분은 상기 커버가 상기 지방 보관 용기에 결합 된 상태에서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상기 커버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커버에 결합 되어 상기 지방 보관 용기의 내부로 지방을 주입시키는 지방 주입 노즐;
    상기 커버에 결합 되어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이 필터링 된 지방을 상기 커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지방 배출관; 및
    상기 커버에 결합 되어 상기 지방 보관 용기에 보관된 수분을 커버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지방 분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분 필터부는,
    상기 지방 보관 용기의 하측부에 배치되며, 수분이 통과되는 복수의 수분 통과홀이 마련된 수분 필터 받침대;
    상기 수분 필터 받침대에 마련되어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이 제거된 지방에서 수분을 필터링 시키는 수분 필터; 및
    상기 수분 필터의 상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분 필터를 상기 수분 필터 받침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 필터 받침대의 상측부 외주면에는 돌출턱이 마련되어 상기 수분 필터 받침대는 상기 지방 보관 용기의 내벽에 걸림 지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분 필터 받침대에는 상기 수분 배출 가이드관이 관통되는 가이드관 관통홀이 마련되어 관통된 상기 수분 배출 가이드관의 외벽을 지지하는 가이드관 지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리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분 배출 가이드관의 하단부에는 걸림 돌기가 마련되어 상기 수분 필터 받침대를 상기 지방 보관 용기의 내부로 투입 시 상기 수분 필터 받침대를 걸림 지지하고, 상기 수분 필터 받침대가 상기 지방 보관 용기의 내부에 안착 시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지방 보관 용기의 바닥부로 하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분 배출 가이드관은 상기 수분 필터부에 용접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리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 돌기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수분 배출 가이드관에는 복수의 수분 배출 절개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리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분 배출 가이드관의 상측부에는 가이드관홀이 마련되고,
    상기 용기 본체는,
    상기 지방 보관 용기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받침대; 및
    상기 커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지방에 함유된 섬유질, 섬유화 조직 등을 필터링 하는 섬유질 필터를 더 포함하는 지방 분리 장치.
KR1020150101141A 2015-07-16 2015-07-16 지방 분리 장치 KR101554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141A KR101554965B1 (ko) 2015-07-16 2015-07-16 지방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141A KR101554965B1 (ko) 2015-07-16 2015-07-16 지방 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965B1 true KR101554965B1 (ko) 2015-09-22

Family

ID=5424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141A KR101554965B1 (ko) 2015-07-16 2015-07-16 지방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815A (ko) * 2011-10-28 2013-05-08 메디칸(주)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생체지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195Y1 (ko) 2003-06-09 2003-08-30 메디칸(주) 지방 채취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195Y1 (ko) 2003-06-09 2003-08-30 메디칸(주) 지방 채취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6815A (ko) * 2011-10-28 2013-05-08 메디칸(주)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생체지방
KR101869944B1 (ko) 2011-10-28 2018-06-21 메디칸 주식회사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생체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0874B1 (en) Tissue refining device
US100765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od recovery from absorbent surgical materials
US8366694B1 (en) Tissue refining device
US7819846B2 (en) Syringe piston using in fat transplantation
CN108348664B (zh) 脂肪过滤装置
US200702136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rrigation and tissue evacuation and collection
JP5824160B2 (ja) 成分分離器
KR20170104537A (ko) 심장용 펌프 장치의 구동 방법 및 심장용 펌프 장치용 용기
KR101554965B1 (ko) 지방 분리 장치
US11666694B2 (en) Device for separation of fluid biological material, a separating float and a kit
CN104841033B (zh) 设有分流道的均匀给药负压吸盘
CN104606733B (zh) 一种护理人员用伤口清洗装置
KR200431001Y1 (ko) 일회용 부항컵
CN201880112U (zh) 一种自动排气止液精密输液器
MXPA06012338A (es) Dispositivo para la extraccion de sangre, especialmente para recien nacidos e infantes o animales de pequeno tamano.
KR101534243B1 (ko) 2중형 지방흡입장치
KR101397930B1 (ko) 지방흡입 및 이식용 주사기
CN211381613U (zh) 一种胆结石微创手术取石装置
IT9021215A1 (it) Bottiglia per dialisi renale, in particolare per la pulitura e la disinfezione di emodializzatori
JP7317809B2 (ja) 血液濾過デバイス
KR200368192Y1 (ko) 지방이식세트
CN104958793A (zh) 一种胸腔闭式引流装置
US20120109110A1 (en) Suction catheter with retractable blade
CN211705414U (zh) 一种重症病人用临床引流装置
KR200439483Y1 (ko) 체지방 수집용 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