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815A -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생체지방 - Google Patents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생체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815A
KR20130046815A KR1020110111415A KR20110111415A KR20130046815A KR 20130046815 A KR20130046815 A KR 20130046815A KR 1020110111415 A KR1020110111415 A KR 1020110111415A KR 20110111415 A KR20110111415 A KR 20110111415A KR 20130046815 A KR20130046815 A KR 20130046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fat
fat
medical
impurity removal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9944B1 (ko
Inventor
양현진
이희영
Original Assignee
메디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칸(주) filed Critical 메디칸(주)
Priority to KR1020110111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9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8Lip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불순물 제거기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생체지방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불순물 제거기구로서,
내부에 생체지방이 저장되며 일측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일측에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며 생체지방이 이동하는 제1이동통로를 가지는 제1결합부; 상기 제1결합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제1이동통로와 연통되며 생체지방이 이동하는 제2이동통로를 가지되, 내측면와 외측면을 관통하는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이동통로를 지나는 생체지방 중 상기 기공보다 작은 크기의 물질만 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기공보다 크기가 큰 물질은 제2이동통로 내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제2이동통로와 연통되며 생체지방이 이동하는 제3이동통로를 가지되, 외부의 기구물이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불순물 제거기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생체지방{apparatus for removing impurity in the biofat and method for removing impurity in the biofat and biofat}
본 발명은 인간 또는 동물로부터 체취된 생체지방에서 불필요한 불순물을 용이하게 제거함은 물론, 제거과정에서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불순물 제거기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생체지방에 대한 것이다.
생체지방은 인간, 말 등 채취과정이 절제가 아닌 음압 카뉼라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원하는 지방세포가 일부 파괴되고 출혈이 발생하며 이미 주입된 약물이나 물 등이 불순물로서 함께 채취된다. 이를 정제하기 위해 체취된 생체지방을 세척 및/또는 원심분리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생체지방을 세척 및 원심분리하는 경우에는 이미 체취된 지방을 별도의 용기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세균오염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심분리 및 세척공정을 위한 장치는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지방세포를 얻어내는데 비교적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생체지방으로부터 원하는 지방세포만을 분리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0553669호에서는, 주사기 형태의 용기 내부에 위치하며 샤프트 없이 구성되는 지방 흡입 이식용의 주사기의 피스턴 구조에 있어서, 샤프트가 없는 피스턴 본체와, 상기 피스턴 본체의 외표면에 결합되어 용기의 실린더 내벽과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과, 피스턴 본체의 전후방으로 연결되는 프리오일 배출구와, 상기한 배출구의 개폐 수단과, 프리오일 배출경로상에 지방은 거르고 프리오일을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 크기의 필터가 형성되는 구조의 지방 흡입 이식용 주사기의 피스턴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피스톤 본체 내에 있는 생체지방으로부터 지방조직을 제거하기 위하여 내부에 배치된 필터를 포함하는 피스톤을 가압하여 생체지방을 눌러짜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어 이 과정에서 지방세포가 일부 파괴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055366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방조직의 분리과정에서 세균 오염이 증가될 염려가 적으면서 분리를 위한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분리과정에서 지방세포가 파괴될 염려가 적은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불순물 제거기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생체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로서,
내부에 생체지방이 저장되며 일측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일측에 배치되되 내부에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제1이동통로를 가지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제1이동통로와 연통되며 생체지방이 이동하는 제2이동통로를 가지되, 내측면와 외측면을 관통하는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이동통로를 지나는 생체지방 중 상기 기공보다 작은 크기의 물질만 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기공보다 크기가 큰 물질은 제2이동통로 내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로서,
내부에 생체지방이 저장되며 일측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일측에 배치되되 내부에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제1이동통로를 가지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제1이동통로와 연통되며 생체지방이 이동하는 제2이동통로를 가지되, 내측면와 외측면을 관통하는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2이동통로를 지나는 생체지방 중 상기 간극보다 작은 크기의 물질만 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간극보다 크기가 큰 물질은 제2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시키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에서,
상기 기공의 크기는 3㎛ ~ 500 ㎛ 일 수 있다.
상기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에서,
상기 필터부는, 금속 소결 필터, 플라스틱 필터 또는 직물 필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에서,
상기 필터부는, 튜브형상일 수 있다.
상기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에서,
상기 간극은 3㎛ ~ 500 ㎛ 일 수 있다.
상기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에서,
상기 간극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릿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에서,
상기 필터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제2이동통로와 연통되며 생체지방이 이동하는 제3이동통로를 가지되, 외부의 기구물이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외부의 기구물은, 주사바늘 또는 생체지방이 담길 수 있는 주사기일 수 있다.
상기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에서,
상기 필터부를 외부와 차단하여, 생체지방 중 일부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커버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에서,
상기 필터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생체지방 중 일부 물질이 상기 필터부로부터 배출되는 경우에 그 배출된 물질을 보관할 수 있으며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창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에서,
상기 제2이동통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1이동통로의 단면적보다 작아서 생체지방이 제1이동통로에서 제2이동통로를 지날 때 생체지방에 양압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에서,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필터부가 체결되는 체결연결부와, 외부의 기구물이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루어락부를 하되, 상기 체결연결부와 루어락부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를 이용하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a) 생체지방을 채취하여 용기로 모으는 단계;
(b) 용기 내의 생체지방을 유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c) 유출구를 통하여 이동된 생체지방이 제2이동통로는 지나는 과정에서, 생체지방 내에서 기공보다 작은 물질이 필터부의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에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를 이용하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a) 생체지방을 채취하여 용기로 모으는 단계;
(b) 용기 내의 생체지방을 유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c) 유출구를 통하여 이동된 생체지방이 제2이동통로는 지나는 과정에서, 생체지방 내에서 간극보다 작은 물질이 필터부의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의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이동통로를 거쳐 제2이동통로를 지나는 생체지방에는 양압이 걸릴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생체지방.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에서,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해 사용되며 내부에 생체지방이 저장되며 일측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용기와 결합되는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로서,
상기 용기의 일측에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제1이동통로를 가지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제1이동통로와 연통되며 생체지방이 이동하는 제2이동통로를 가지되, 내측면와 외측면을 관통하는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이동통로를 지나는 생체지방 중 상기 기공보다 작은 크기의 물질만 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기공보다 크기가 큰 물질은 제2이동통로 내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순물 제거기구에 의하면, 빈번한 조작 및 옮겨담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외부노출에 의한 세균 오염을 증가를 방지하고, 일상적인 용기나 카뉼라, 바늘 불순물 제거기구 등 지방이 이동되는 경로를 막지 않으면서도 필터 구간을 접촉하도록 하여 이동시 형성되는 양압에 의해 불순물 제거기구를 통한 이동과정에서 외부로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비용과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부와 통하는 미세기공, 필터 등이 있는 부분을 지방이 접하여 지나가도록 하여 지방조직이나 지방세포는 그 필터를 통하여 빠져나가지 않고 불순물만 외부로 빠져나가게 함으로서 불순물을 생체지방으로 제거함으로서, 외부로부터 세균 등이 유입될 염려가 감소되고 구조가 간단하여 비용도 전체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순물 제거기구의 분리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의 불순물 제거기구를 이용하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순물 제거기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순물 제거기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순물 제거기구의 일부품인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순물 제거를 위한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순물 제거를 위한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불순물 제거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1)는, 용기(10), 제1결합부(20), 필터부(30) 및 제2결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용기(10)는, 내부에 생체지방(F)이 저장되며 일측에 유출구(11)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통상적인 주사기의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에는 피스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테이퍼형상의 단면형태를 가지는 유출구(11)가 형성되어 있게 된다. 용기(10)에 대해서는 종래기술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결합부(20)는, 필터부(30)와 용기(1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용기(10)의 일측에 결합되되 내부에는 유출구(11)와 연통되는 제1이동통로(23)가 형성된다. 상기 제1이동통로(23)는 유출구(11)를 통하여 배출된 생체지방(F)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제1이동통로(23)를 통하여 이동하는 생체지방(F)은 제2이동통로(33)를 향하여 흐를 수 있다.
이러한 제1결합부(20)는, 유출부가 억지끼움되어 결합될 수 있는 제1체결부과, 상기 제1체결부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되 내측에 소정이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필터부(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체결부(22)를 포함한다. 이때, 제1체결부의 형상은 유출구(11)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이동통로(23)는 제1체결부의 단부로부터 제2체결부(22)의 단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부(30)는, 제1결합부(20)에 의하여 용기(10)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제1이동통로(23)와 연통되는 제2이동통로(33)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제2이동통로(33)는 제1이동통로(23)를 통하여 배출된 생체지방(F)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필터부(3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측면과 내측면의 사이에는 그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기공은 제2이동통로(33)를 지나는 생체지방(F) 중에서 상기 기공의 크기보다 작은 물질은 통과시키고 상기 기공보다 크기가 큰 물질은 통과시키지 않음으로서 불필요한 불순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때, 기공의 크기는 3㎛ ~ 500㎛ 일 수 있다. 기공의 크기가 3㎛보다 작은 경우에는 혈소판까지 생체지방(F) 내에 남아있을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500㎛ 보다 큰 경우에는 필요한 지방조직까지 필터를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예컨데, 상기 범위에 있는 기공들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혈액, 물, 유지지질 등의 불순물에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어 생체지방(F) 내에 순수한 지방세포만이 남겨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부(30)는,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라면 무엇이나 가능함은 물론이나, 구체적으로는 금속 소결 필터, 플라스틱 필터 또는 직물 필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필터부(30)를 통하여 외부의 기구물이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다소 강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방세포가 매끄럽게 제2이동통로(33)를 통하여 이동해야 최대한 매끄러운 내표면을 가지는 구조가 바람직하므로 소결 필터가 좋다.
또한, 상기 제2이동통로(33)의 직경은 상기 제1이동통로(23)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2이동통로(33)를 지나는 생체지방(F)에 양압이 작용하면 생체지방(F) 내에 불순물들이 필터부(30)의 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불순물 제거기구는 이동통로를 막지 않고 이동통로를 따라 생체지방(F)이 자연스럽게 흐르게 한 상태에서 일부 불순물만이 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때문에 다소간의 양압이 필요하다. 한편, 획득이 필요한 지방세포는 필터부(30)의 제2이동통로를 따라서 매끄럽게 제2이동통로를 향하여 흐르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부(30)의 양단측에는, 제1결합부(20) 및 제2결합부(40)에 체결되기 위한 제3체결부(31) 및 제4체결부(32)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필터부(30)의 일단측에는 제1결합부(20)에 결합되기 위하여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부(30)에 일체연결되어 있는 제3체결부(31)가 마련된다.
또한, 필터부(30)의 타단측에는 제2결합부(40)에 결합되기 위하여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필터부(30)에 일체연결되어 있는 제4체결부(32)가 마련된다.
상기 제2결합부(40)는, 상기 필터부(30)에 연결되고, 내부에 제2이동통로(33)와 연통되는 제3이동통로(43)를 가진다. 이때, 상기 제3이동통로(43)는 생체지방(F)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결합부(40)는, 상기 필터부(30)에 체결되는 체결연결부(41) 및 외부의 기구물이 결합될 수 있는 루어락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연결부(41)는, 일측에 상기 필터부(30)의 제4체결부(32)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부의 기구물이 접촉할 수 있도록 원뿔대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루어락부(42)는 상기 체결연결부(41)에 일측에 결합되며 타측에는 내주면에 외부의 기구물이 나사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도 1 에서 도면번호 50은 생체지방의 수집하기 위한 바늘부재이며, 도 3에서 도면번호 60은 본 실시예의 불순물 제거기구와 함께 사용되어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주사부재로서, 이들은 모두 외부의 기구물을 형성한다.
상기 바늘부재(50)는, 바늘과, 상기 바늘과 결합되며 외주면에 루어락부(42)에 나사결합되는 몸체부(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주사부재(60)는, 생체지방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주사몸체와, 상기 주사몸체와 루어락부(42)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연결체결부(62)를 포함한다. 상기 주사몸체에는 상기 제2결합부(40)로부터 배출된 생체지방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별도의 피스톤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체결부(62)는, 제3이동통로(43)와 연통되는 제4이동통로(63)를 내부에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순물 제거기구는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부재(50)가 체결된 불순물 제거기구를 인간 또는 동물 등 피부 내에 찔러넣어 생체지방을 채취한다. 채취과정에서는 생체지방 내에 지방조직 외에도 혈액, 물, 유리지질 등의 불순물도 포함되어 있게 된다. 이후에, 바늘부재(50)를 제거한 후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물을 결합한다. 즉, 주사몸체와 연결체결부(62)를 이용하여 제2결합부(40)에 연결한다. 이후에는, 용기(10)를 통하여 생체지방이 이동하게 한다. 즉, 용기(10) 내에 소정의 피스톤을 작동함으로서 생체지방이 유출구(11)를 통하여 제1이동통로(23), 제2이동통로(33), 제3이동통로(43), 제4이동통로(63)를 거쳐서 주사몸체 내로 유입되게 한다. 이때 좁은 통로를 지나는 생체지방에는 양압이 걸리게 되는데, 걸리는 양압으로 인하여 생체지방 내에서 물, 지방, 혈액 등 기공보다 크기가 작은 물질은 다수의 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외에 기공보다 큰 지방세포는 제2이동통로(33)를 매끄럽게 지나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용기(10)로부터 모든 생체지방이 주사몸체로 이동한 후에는, 상기 주사몸체의 내부에 있는 피스톤 등을 이용하여 상기 생체지방을 다시 용기(10) 내에 이동하게 하는데, 이 과정서도 양압이 작용하면서 상기 필터부(30)를 통과하는 생체지방에서 소정의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수회 반복하게 되는 경우에는 생체지방 내에 존재하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불순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불순물 제거기구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먼저,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필터부(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30)의 외주면을 외부로 차단할 수 있는 커버(70)가 추가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커버(70)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서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70)가 상기 필터부(30)의 외주면을 덮어서 필터부(30)를 외부와 차단하고 커버(70)가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필터부(30)가 외부로 개방되어 상기 기공을 통하여 작은 크기의 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70)를 닫는 경우는 생체지방 내에서 지방조직의 분리가 완료된 후에 더 이상 지방조직을 분리해낼 필요가 없거나 또는 분리과정에서 보관 또는 이동을 하는 경우에 추가적인 물질이 불순물 제거기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필터부(30)로부터 배출되는 물질이 그대로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30) 주변에 배출되는 이물질을 모으기 위한 보관용 투명창(80)이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투명창(80)은 필터부(30)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생체지방 중 일부 물질이 필터부(30)로부터 배출되는 경우 그 배출된 물질을 보관하는 것으로서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창(80)이 배치되며 필터부(30)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어느정도의 양이 배출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필터부(30)로서 다수의 기공이 마련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터부(30')로서 일정 크기이상은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간극이 다수 형성된 구조도 가능하다. 예컨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30')에서 망사형태의 원통대신에 다수의 슬릿(31')이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슬릿을 통하여 내부의 일정크기 이하의 물질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도 6 및 7에 개시된 필터부(3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일정 간극보다 큰 크기의 물질은 제2이동통로 내에 유지되고 간극보다 작은 크기의 물질만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간극은 3㎛ ~ 5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때 필터부(30')의 간극은 의도적으로 형성되는 것 이외에 용기와의 결합과정에서 발생되는 자연스러운 부품간의 틈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불순물 제거기구를 이용하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생체지방을 채취하여 용기로 모으는 단계(S100); (b) 용기 내의 생체지방을 유출구 측으로 밀어내는 단계(S200); 및 (c) 생체지방이 제1이동통로를 거쳐 제2이동통로는 지나는 과정에서, 생체지방 내에서 기공보다 작은 물질이 필터부(30)의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이동통로를 거쳐 제2이동통로를 지나는 생체지방에는 양압이 걸릴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는, (a) 생체지방을 채취하여 용기로 모으는 단계(S100'); (b) 용기 내의 생체지방을 유출구 측으로 밀어내는 단계(S200'); 및 (c) 생체지방이 제1이동통로를 거쳐 제2이동통로는 지나는 과정에서, 생체지방 내에서 간극보다 작은 물질이 필터부(30)의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본 발명에서 제1결합부, 제2결합부가 필터부와 착탈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조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체결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제1결합부는 필터부를 용기와 결합하도록 하는 부분이라면 탈부착 가능여부와 관련 없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고, 제2결합부도 외부의 기구물과 결합을 위한 것이라면 탈부착 가능여부와 관련없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공극 또는 간극을 밀폐하기 위한 구성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무밴드, 오링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밀폐가능구조를 구성하는 것인 아니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부가 주사용기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체로 제1결합부가 유출구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용기를 제외한 제1결합부와 필터부만으로도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주사기를 예로 들어 다양한 설명을 실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포빅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기타 내부에 생체지방을 보관하면서 유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생체지방을 유출구로 배출가능한 구성이라며 무엇이나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범위라면 청구범위가 확대해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불순물 제거기구 10...용기
11...유출구 20...제1결합부
21...제1체결부 22...제2체결부
23...제1이동통로 30...필터부
31... 제3체결부 32...제4체결부
33...제2이동통로 40...제2결합부
41...체결연결부 42...루어락부
43...제3이동통로 50...바늘부재
51...바늘 52...몸체부
60...주사부재 61...주사몸체
62... 연결체결부 63...제4이동통로
70...커버 80...투명창

Claims (17)

  1.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로서,
    내부에 생체지방이 저장되며 일측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일측에 배치되되 내부에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제1이동통로를 가지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제1이동통로와 연통되며 생체지방이 이동하는 제2이동통로를 가지되, 내측면와 외측면을 관통하는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이동통로를 지나는 생체지방 중 상기 기공보다 작은 크기의 물질만 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기공보다 크기가 큰 물질은 제2이동통로 내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2.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로서,
    내부에 생체지방이 저장되며 일측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일측에 배치되되 내부에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제1이동통로를 가지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제1이동통로와 연통되며 생체지방이 이동하는 제2이동통로를 가지되, 내측면와 외측면을 관통하는 간극이 형성되며 상기 제2이동통로를 지나는 생체지방 중 상기 간극보다 작은 크기의 물질만 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간극보다 크기가 큰 물질은 제2이동통로를 통하여 이동시키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공의 크기는 3㎛ ~ 5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금속 소결 필터, 플라스틱 필터 또는 직물 필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튜브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3㎛ ~ 5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슬릿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제2이동통로와 연통되며 생체지방이 이동하는 제3이동통로를 가지되, 외부의 기구물이 결합될 수 있는 제2결합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외부의 기구물은, 주사바늘 또는 생체지방이 담길 수 있는 주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를 외부와 차단하여, 생체지방 중 일부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커버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생체지방 중 일부 물질이 상기 필터부로부터 배출되는 경우에 그 배출된 물질을 보관할 수 있으며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창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통로의 단면적은 상기 제1이동통로의 단면적보다 작아서 생체지방이 제1이동통로에서 제2이동통로를 지날 때 생체지방에 양압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에는, 상기 필터부가 체결되는 체결연결부와, 외부의 기구물이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루어락부를 하되, 상기 체결연결부와 루어락부는 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13. 제1항에 의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를 이용하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a) 생체지방을 채취하여 용기로 모으는 단계;
    (b) 용기 내의 생체지방을 유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c) 유출구를 통하여 이동된 생체지방이 제2이동통로는 지나는 과정에서, 생체지방 내에서 기공보다 작은 물질이 필터부의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14. 제2항에 의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를 이용하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a) 생체지방을 채취하여 용기로 모으는 단계;
    (b) 용기 내의 생체지방을 유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c) 유출구를 통하여 이동된 생체지방이 제2이동통로는 지나는 과정에서, 생체지방 내에서 간극보다 작은 물질이 필터부의 밖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1이동통로를 거쳐 제2이동통로를 지나는 생체지방에는 양압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의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생체지방.
  17.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해 사용되며 내부에 생체지방이 저장되며 일측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용기와 결합되는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로서,
    상기 용기의 일측에 결합되되 내부에 상기 유출구와 연통되는 제1이동통로를 가지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제1이동통로와 연통되며 생체지방이 이동하는 제2이동통로를 가지되, 내측면와 외측면을 관통하는 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이동통로를 지나는 생체지방 중 상기 기공보다 작은 크기의 물질만 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기공보다 크기가 큰 물질은 제2이동통로 내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KR1020110111415A 2011-10-28 2011-10-28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생체지방 KR101869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415A KR101869944B1 (ko) 2011-10-28 2011-10-28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생체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415A KR101869944B1 (ko) 2011-10-28 2011-10-28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생체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815A true KR20130046815A (ko) 2013-05-08
KR101869944B1 KR101869944B1 (ko) 2018-06-21

Family

ID=4865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415A KR101869944B1 (ko) 2011-10-28 2011-10-28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생체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9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6997A1 (ko) * 2013-10-18 2015-04-23 메디칸(주) 소립자 물질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0196A (en) * 1996-05-09 2000-02-01 Baxter International Inc. Devices for harvesting and homogenizing adipose tissue containing autologous endothelial cells
KR100553669B1 (ko) 2004-06-23 2006-02-24 메디칸(주) 지방 흡입 이식용 주사기의 피스턴
US7789872B2 (en) * 2005-03-23 2010-09-07 Shippert Ronald D Tissue transplant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10064719A (ko) * 2009-12-08 2011-06-15 도병록 지방 조직 이식용 주사기 및 이를 갖는 지방 조직 분배 장치
KR101554965B1 (ko) * 2015-07-16 2015-09-22 정세환 지방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0196A (en) * 1996-05-09 2000-02-01 Baxter International Inc. Devices for harvesting and homogenizing adipose tissue containing autologous endothelial cells
KR100553669B1 (ko) 2004-06-23 2006-02-24 메디칸(주) 지방 흡입 이식용 주사기의 피스턴
US7789872B2 (en) * 2005-03-23 2010-09-07 Shippert Ronald D Tissue transplanta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10064719A (ko) * 2009-12-08 2011-06-15 도병록 지방 조직 이식용 주사기 및 이를 갖는 지방 조직 분배 장치
KR101554965B1 (ko) * 2015-07-16 2015-09-22 정세환 지방 분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6997A1 (ko) * 2013-10-18 2015-04-23 메디칸(주) 소립자 물질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KR20150045376A (ko) * 2013-10-18 2015-04-28 메디칸(주) 소립자 물질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944B1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846B2 (en) Syringe piston using in fat transplantation
US20080053539A1 (en) Method of collecting medical waste in a collection device using a disposable manifold assembly having an outlet valve to reduce leakage
US20140205514A1 (en) Blood separating vessel for extracting autologous platelets,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utologous platelets
US5484572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medical test specimens
JP5824160B2 (ja) 成分分離器
KR101026599B1 (ko) 자가 혈소판 농축물질 분리용 용기
AU2013276103B2 (en) Novel tubing valve and uses thereof
KR100628364B1 (ko) 지방 흡입 이식용 주사기의 피스턴
US20190185814A1 (en) Device and methods for tissue processing
EP2932990A1 (en) Device for separating/housing blood components and method for preparing platelet-rich plasma
KR20130046815A (ko)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생체지방
KR101350867B1 (ko) 비중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
US11679198B2 (en)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fat harvesting
KR20130088113A (ko) 비중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
CN107249680A (zh) 用于无菌输送流体的装置
US202003609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entrifuging A Biologic
JP6286094B1 (ja) 細胞組織を含む流動体のための剪断装置
CN209342446U (zh) 医疗废液过滤取样装置
CN209809116U (zh) 一种用于固液分离的吸引器附件
US20220390333A1 (en) Adipose tissue particle processing, transfer and storage system
JP2017164020A (ja) ピストン、脂肪細胞採取用器具、及び脂肪細胞の採取方法
KR101296450B1 (ko) 골수 줄기세포 농축액 수집용구
CN113197600A (zh) 一种关节镜手术标本采集装置
ITGE20100028A1 (it) Dispositivo e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tessuto, in particolare tessuto adiposo, per trapianto ottenuto da materiale adiposo lobulare estratto tramite liposuzione
WO2015128860A1 (en) Vacuum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