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8113A - 비중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비중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8113A
KR20130088113A KR1020130089820A KR20130089820A KR20130088113A KR 20130088113 A KR20130088113 A KR 20130088113A KR 1020130089820 A KR1020130089820 A KR 1020130089820A KR 20130089820 A KR20130089820 A KR 20130089820A KR 20130088113 A KR20130088113 A KR 20130088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gravity
syringe
fat
classification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영
양현진
Original Assignee
이희영
양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영, 양현진 filed Critical 이희영
Priority to KR1020130089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8113A/ko
Publication of KR20130088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1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45Filters incorporated in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5Filtering accessories, e.g. blood filters, filters for infusio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translationally moving filtering elements, e.g. pist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8Lip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0Separation devices for use in medical, pharmaceutical or laboratory applications, e.g. separating amalgam from dental treatment residu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중구분부재를 가지는 지방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로부터 추출되며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는 다수의 지방조직층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 지방을 비중별로 구분하기 위한 비중 구분용 주사기로서, 실린더 형태를 가지되 전단에는 지방 주입구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개구가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인체로부터 추출된 지방이 저장되는 주사기 본체; 상기 주사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1.0 보다 작은 소정의 비중을 가지는 비중구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비중별로 나누어지는 지방조직 내에서 상기 비중구분부재의 비중과 대응되는 비중을 가지는 지방조직층 내에 배치되어 지방조직을 비중별로 구분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중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Syringe for detecting gravity and separating method of fat}
본 발명은 비중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방을 다양한 비중별로 구분하여 분리할 수 있는 지방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방이식은 인체에서 연부조직의 피부를 대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히 안면 주름살 제거나 함몰 치료 등 미용목적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흡수로 인한 부피가 감소되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었다.
부피 흡수는 심한 경우 전체 이식량의 80~90%가 생존하지 못하고 괴사되어 흡수되므로 반드시 재수술을 요하게 되고, 흡수되는 과정에서 괴사된 조직이 감염원으로 작용하거나 그 분해 물질이 독성을 띠는 경우가 있어 심한 흉터 조직이 생성되거나 주변의 정상조직까지 파괴되었다.
자가지방 이식을 위해 흡입된 지방에서 반드시 제거되어야 할 성분으로는 적혈구와 깨진 지방세포로부터 유리된 프리오일등이 있는데, 적혈구의 경우 체내의 혈관을 벗어나면 분해되면서 트롬복산 A2를 생성하고 이는 이온화된 자유기로 작용해 정상조직을 파괴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지방세포를 파괴하므로 지방생착율을 크게 낮춘다.
프리오일의 경우에는 저장용기처럼 지방세포를 벗어나게 되면 분해되고 이온화되면서 산의 일종인 지방유리산이 되고 이는 자유기로 작용하여 정상조직과 정상 지방세포를 파괴하는 요소로 작용하므로 지방생착율을 낮추는 동시에 괴사된 물질을 증가시켜 다른 2차적인 염증과 세균의 배양확률을 증가시키는 배양 배지가 될 수 있다. 또한 프리오일은 지방세포의 벽과 세포 사이사이에 남아, 피막처럼 작용하여 이식된 지방세포 생존에 결정적으로 필요한 산소 공급을 방해하게 되어 지방세포가 괴사되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프리오일을 인체로부터 추출된 지방으로부터 제거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프리오일을 지방으로 제거하기 위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2005-0122102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피스턴(a)은 샤프트가 없는 피스턴 본체(10)와, 상기 피스턴 본체의 외표면에 결합되어 용기의 실린더 내벽과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20)과, 피스턴 본체의 전후방으로 연결되는 프리오일 배출구(30)와, 상기한 배출구의 개폐 수단(40)과, 프리오일 배출통로에 형성되는 필터(50)가 포함되는 구조이며, 상기 피스턴 본체의 후부에 별도로 무게추(60)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프리오일이 지방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어 지방이식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인체의 지방조직은 다수의 비중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게 되며 원심분리과정에서 지방조직이 다수의 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지방조직은 원심분리시 지방조직에 비하여 콜라겐성분이 많은 비교적 비중이 큰 층과, 지방조직과 콜라겐성분이 비슷한 비율의 중간정도의 비중을 가진 층과, 지방조직에 비해서 콜라겐 성분이 작은 비중이 작은 층 및 프리오일로 이루어진 가장 가벼운 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구조로서는 단순하게 지방으로부터 프리오일 만을 분리해낼 수 있을 뿐 지방조직을 비중에 따라 원하는 층을 구분해내는 것을 용이하지 않았다. 특히, 원심분리에 의하여 비중에 따라 구분되는 지방조직의 층은 눈으로는 각 층이 쉽게 구별되지 않아 쉽게 원하는 비중을 가진 지방조직층을 분리해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로부터 추출된 지방을 비중에 따라서 용이하게 구분해낼 수 있어 원하는 비중을 가진 지방조직층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비중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중 구분용 주사기는, 인체로부터 추출되며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는 다수의 지방조직층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 지방을 비중별로 구분하기 위한 비중 구분용 주사기로서,
실린더 형태를 가지되 전단에는 지방 주입구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개구가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인체로부터 추출된 지방이 저장되는 주사기 본체;
상기 주사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1.0 보다 작은 소정의 비중을 가지는 비중구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비중별로 나누어지는 지방조직 내에서 상기 비중구분부재의 비중과 대응되는 비중을 가지는 지방조직층 내에 배치되어 지방을 비중별로 구분가능하게 한다.
상기 비중 구분용 주사기에서,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링, 튜브, 망사형 시트 또는 공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중 구분용 주사기에서,
상기 비중구분부재에 구멍이 형성된 경우, 상기 구멍을 폐쇄하는 막음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비중 구분용 주사기에서,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300~2000㎛의 구멍크기를 가지는 망사형 시트일 수 있다.
상기 비중 구분용 주사기에서,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무기포 플라스틱, 기포형 플라스틱, 풍선,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비중 구분용 주사기에서,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비중의 가변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비중 구분용 주사기에서,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서로 비중이 다른 것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비중 구분용 주사기에서,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다수개가 상기 개구와 상기 지방 주입구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은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중 구분용 주사기에서,
상기 주사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외표면에 결합되며 상기 주사기 본체의 내벽과 상기 제1본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1패킹과, 상기 제1본체의 전후방으로 연통되며 일정크기보다 작은 지방조직만을 배출하는 제1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제1배출부와, 상기 제1배출경로 상에 구비되어 지방조직 중 일정크기보다 작은 지방조직을 통과시키는 제1필터링수단을 포함하는 제1피스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비중구분부재와 지방주입구 사이, 상기 비중구분부재와 개구 사이 중 어느 한 곳 또는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중 구분용 주사기에서,
상기 제1피스톤에는 제1피스톤의 총 중량을 증가시키는 제1무게추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중 구분용 주사기에서,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상기 주사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제2본체와, 상기 제2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연통되며 지방조직을 배출하는 제2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제2배출부와, 상기 제2배출경로 상에 구비되어 일정크기 이상의 지방조직은 걸러내는 제2필터링수단을 포함하는 제2피스톤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비중 구분용 주사기를 이용한 지방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지방 주입구를 통하여 인체로부터 지방을 추출해내어 상기 지방을 상기 주사기 본체 내에 투입시키는 지방 투입단계;
상기 지방이 저장된 주사기 본체를 원심분리하여 지방을 비중별로 다수의 지방층으로 구분함과 동시에 상기 비중구분부재가 상기 비중구분부재의 비중에 대응되는 지방조직층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비중구분부재에 의하여 구분되어 확인되는 지방조직층을 지방주입구 또는 개구로부터 추출해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비중 구분용 주사기를 이용한 지방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지방 주입구를 통하여 인체로부터 지방을 추출해내어 상기 지방을 상기 주사기 본체 내에 투입시키는 지방 투입단계;
상기 지방이 저장된 주사기 본체를 원심분리하여 프리오일은 상기 제1피스톤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비중구분부재는 상기 제1피스톤과 지방 주입구 사이에서 상기 비중구분부재의 비중과 대응되는 곳에 위치되도록 하는 지방 구분단계;
비중별로 구분된 지방조직을 선별하여 상기 주사기 본체로부터 뽑아내는 지방 추출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지방 구분용 주사기는, 소정의 비중을 가지는 비중 구분 부재를 주사기 본체 내에 배치시켜 놓았기 때문에, 원심분리에 의하여 분리되는 지방을 비중에 따라서 쉽게 구분해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비중별로 쉽게 지방조직을 추출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주사기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주사기의 작동도.
도 6 내지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사기의 비중구분부재의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방 구분용 주사기는 인체로부터 추출되며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는 다수의 지방조직층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 지방조직을 비중별로 구분하기 위한 비중 구분용 주사기로서, 주사기 본체(200) 및 비중구분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주사기 본체(200)는, 실린더 형태를 가지되 전단에는 지방 주입구(220)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개구(23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주사기 본체(200) 내에는 인체로부터 추출된 지방을 저장할 수 있으며 또한 그 내부에는 비중구분부재(400)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사기 본체(200)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형태를 가지는 몸체(210)와, 몸체(210)의 전단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2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 외주면에 주사바늘 유닛이 결합될 수 있는 지방 주입구(220) 및 상기 몸체(210)의 후단에는 개구(230)가 형성되되 단부로부터 절곡된 플랜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중구분부재(400)는, 주사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비중이 물보다 작은 비중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비중구분부재는, 비중별로 나누어지는 지방조직 내에서 상기 비중구분부재의 비중과 대응되는 비중을 가지는 지방조직층 내에 배치되어 지방조직을 비중별로 구분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비중구분부재(400)는 비중이 1.0보다 작은 비중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비중구분부재(400)는, 링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튜브, 망사형 시트 또는 공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비중구분부재(400)가 망사형 시트인 경우에는 그 구멍은 300~2000㎛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중구분부재(400) 망사형 시트인 경우에는 지방의 크기선별과 비중구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비중구분부재(400)는, 무기포 플라스틱, 기포형 플라스틱, 풍선, 금속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거나,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방 구분용 주사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지방 투입 단계>
지방 주입구(220)를 통하여 인체로부터 지방을 추출해내어 상기 지방을 상기 주사기 본체(200) 내에 투입시킨다.
<지방분리단계>
상기 지방이 저장된 주사기 본체(210)를 원심분리하여 지방을 비중별로 다수의 지방조직층으로 구분함과 동시에 상기 비중구분부재(400)가 상기 비중구분부재(400)의 비중에 대응되는 지방조직층에 위치하도록 한다.
<지방추출단계>
비중구분부재(400)에 의하여 구분되어 확인되는 지방조직층을 지방주입구(220) 또는 개구(230)로부터 추출해낸다. 이러한 비중구분부재(400)는 한 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도록 다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원하는 비중을 가진 지방조직층을 용이하게 추출해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방 구분용 주사기에 의하면, 비중구분부재(400)에 의하여 원하는 비중을 가진 지방조직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쉽게 추출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중 구분용 주사기는 프리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제1피스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피스톤(300)은 개구(230)와 비중구분부재(400)의 사이에 배치되며, 추출된 지방 중에서 프리오일만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즉, 프리오일은 제1피스톤(300)의 후단측으로 배출하고 프리오일이외의 지방은 제1피스톤(300)의 전방에 배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1피스톤(300)은, 제1본체(310), 제1패킹(320), 제1배출부(330), 제1필터링수단(340) 및 제1무게추(3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310)는, 전체적으로 원통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외주면에는 제1패킹(320)이 삽입될 수 있는 제1홈부(3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본체(310)의 중앙에는 제1본체(310)의 전후방으로 연통하는 제1배출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본체(310)의 전단에는 제1필터링수단(340)을 상기 제1본체(3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캡부재(360)가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1암나사산(3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본체(310)의 후단에는 제1무게추(350)가 끼워져 삽입될 수 있는 제1안착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안착부(313)는 상기 제1배출부(330)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배출부(330)와 동축선상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상기 제1패킹(320)은 상기 제1본체(310)의 외표면에 결합되며 상기 주사기 본체(200)의 내벽과 상기 제1본체(31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적인 패킹으로 사용되는 소재라면 무엇이나 사용가능하며 고무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패킹(320)은 한 쌍이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본체(31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배출부(330)는 상기 제1본체(310)의 전후방으로 연통되며 프리오일만을 배출하는 제1배출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제1배출부(330)는 제1본체(3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배출부(330)에는 상기 제1필터링수단(340)을 통과한 프리오일이 상기 제1본체(310)를 통과하여 제1본체(310)의 후단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필터링수단(340)은, 상기 제1배출경로 상에 구비되어 지방 중 프리오일만을 통과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1필터링수단(340)은 프리오일만을 걸러내는 수단이라면 무엇이나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크기의 구멍을 가지는 망사형 필터일 수 있다.
상기 제1무게추(350)는, 금속재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1본체(310)의 후방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무게추(350)는 제1피스톤(300)의 총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1본체(310)의 제1안착부(313)에 안착될 수 있다. 제1무게추(350)는 상기 제1피스톤(300)에 결합되었을 때 원심분리시 상기 제1피스톤(300)의 원심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360, 370, 380, 390는 각각 제1캡부재(360), 나사홈(370), 기밀부재(380) 및 개폐나사(390)를 지칭한다.
상기 제1캡부재(360)는 상기 제1본체(310)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중앙에는 제1통공(361)이 형성되고 양 가장자리에는 제1암나사산(312)과 나사결합될 수 있는 제1캡나사부(36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캡부재(360)는 제1본체(310)에 제1필터링수단(340)이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나사홈(370)은, 개폐나사(39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제1본체(310)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기밀부재(380)는 개폐나사(390)에 의하여 제1배출부(330)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밀부재(380)는 제1배출부(330)의 단부에 접촉될 수 있어서 상기 제1배출부(330)를 열고 닫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개폐나사(390)는 상기 나사홈(370)에 나사결합되며 기밀부재(380)를 제1배출부(330) 측에 밀착 또는 밀착해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1피스톤이 비중구분부재의 후방에 배치된 경우의 지방분리는 다음과 같다.
<지방 투입 단계>
지방 주입구(220)를 통하여 인체로부터 지방을 추출해내어 상기 지방을 상기 주사기 본체(200) 내에 투입시킨다. 이를 위하여 주사기 본체(200) 내에 비중구분부재(400)와 제1피스톤(300)을 미리 삽입해 둔 상태에서 상기 제1피스톤(300)에 형성된 개폐나사(390)를 나사결합하여 상기 기밀부재(380)가 제1배출부(330)를 닫도록 한다. 이후에, 상기 제1피스톤(300)을 개구(230)방향으로 빼내면서 인체로부터 지방을 흡입하게 된다.
<지방 분리단계>
주사기 본체(200) 내에 지방이 투입되어 있으면 상기 지방 주입구(220)를 소정의 마개에 의하여 막고, 상기 개폐나사(390)를 풀어서 기밀부재(380)가 제1배출구를 개방시키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주사기 본체(200)를 원심분리기에 넣고 원심분리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원심분리를 실시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스톤(300)의 후방으로는 프리오일이 배치되고, 상기 제1피스톤(300)의 전방에는 프리오일 이외의 지방조직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비중구분부재(400)는 상기 제1피스톤(300)과 상기 지방 주입구(220) 사이에서 상기 비중구분부재(400)의 비중과 일치되는 곳에 위치된다.
한편, 제1피스톤(300)에 제1무게추(350)를 부가하면 원심분리동안 제1피스톤(300)을 전진시켜 지방을 압박하여 프리오일을 지방으로부터 더 많이 분리시킬 수 있다.
<지방 추출단계>
지방이 원하는 형태로 분리되면, 지방 주입구(220) 측의 마개를 오픈하고 상기 지방 주입구(220)를 통하여 주사바늘을 집어넣어서 원하는 비중을 가진 지방조직을 추출해낸다. 예를 들어 지방 주입구(220)에 주사바늘을 집어넣은 후에 비중구분부재(400)에 의하여 구분되는 지방조직층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원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지방조직을 분리해내는 것이다.
한편, 프리오일은 제1피스톤(300)의 개폐나사(390)를 조인후에 상기 프리오일을 개구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방 구분용 주사기는 상기 제1피스톤(300)이 지방 주입구(220)와 비중구분부재(400)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때 제1피스톤에는 기밀부재(380) 및 개폐나사(390)들이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피스톤(300)이 비중구분부재(400)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미리 크기가 큰 지방조직을 제1피스톤(300)에 의하여 걸러내어 인체에 주입하기에 부적절한 크기를 가지는 지방조직을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 구분용 주사기는, 상기 제1피스톤(300)이 지방 주입구(220)와 비중구분부재(400)의 사이 및 상기 개구(230)와 비중구분부재(4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방 구분용 주사기는 다음과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비중구분부재(400)가 단일 또는 복수의 구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중의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진 구성(400',400'')이 서로 착탈가능하게 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비중을 원하는 정도로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중구분부재(400')에 구멍이 형성된 경우 그 구멍을 폐쇄하는 막음수단(40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막음수단이 체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비중구분부재가 피스톤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 비중구분부재의 가장자리에 패킹(미도시)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비중구분부재(400)를 제1피스톤(300)의 전방에 배치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다수의 비중구분부재(400)가 제1피스톤(300)의 전방에 배치하되 이때 각각의 비중구분부재(400)는 그 비중을 서로 달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원하는 비중의 범위를 가지는 지방을 동시에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비중구분부재(400)는 제1피스톤(300)과 유사하게 필터링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중구분부재(400)를 제2피스톤(41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비중구분부재(400)는, 상기 주사기 본체(200)의 내부에 삽입되며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제2본체(411)와, 상기 제2본체(411)의 전후방으로 연통되며 소정크기의 작은 지방조직만을 배출하는 제2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제2배출부(413)와, 상기 제2배출경로 상에 구비되어 지방 중 프리오일만을 통과시키는 제2필터링수단(414)을 포함하는 제2피스톤(4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필터링수단(414)은 상기 제2본체(411)와 나사결합되는 제2캡부재(416)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비중구분부재(400)는 비중의 구분과 동시에 지방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비중구분부재(400)에는 다른 비중을 가진 비중구분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링수단(414)은 망사형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필터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 및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0...주사기 200...주사기 본체
210...주사기 몸체 220...지방 주입구
230...개구 300...제1피스톤
310...제1본체 311...제1홈부
312...제1암나사산 313...제1안착부
320...제1패킹 330...제1배출부
340...제1필터링수단 350...제1무게추
360...제1캡부재 361...제1통공
362...제1캡나사부 370...나사홈
380...기밀부재 390...개폐나사
400...비중구분부재 410...제2피스톤
411...제2본체
413...제2배출부 414...제2필터링수단
415...제2무게추 416...제2캡부재

Claims (14)

  1. 생체로부터 추출되며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는 다수의 조직층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 체액을 비중별로 구분하기 위한 비중 구분용 주사기로서,
    실린더 형태를 가지되 전단에는 주입구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개구가 형성되되 내부에 상기 생체로부터 추출된 체액이 저장되는 주사기 본체;
    상기 주사기 본체 내에 배치되고, 1.0 보다 작은 소정의 비중을 가지는 비중구분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비중별로 나누어지는 조직 내에서 상기 비중구분부재의 비중과 대응되는 비중을 가지는 조직층 내에 배치되어 조직을 비중별로 구분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구분용 주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링, 튜브, 망사형 시트 또는 공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구분부재를 가지는 비중 구분용 주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구분부재에 구멍이 형성된 경우, 상기 구멍을 폐쇄하는 막음수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구분용 주사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300~2000㎛의 구멍크기를 가지는 망사형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구분용 주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무기포 플라스틱, 기포형 플라스틱, 풍선,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구분용 주사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비중의 가변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구분용 주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서로 비중이 다른 것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구분용 주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다수개가 상기 개구와 상기 지방 주입구 사이에 배치되며, 각각은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구분용 주사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제1본체와, 상기 제1본체의 외표면에 결합되며 상기 주사기 본체의 내벽과 상기 제1본체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제1패킹과, 상기 제1본체의 전후방으로 연통되며 체액을 배출하는 제1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제1배출부와, 상기 제1배출경로 상에 구비되어 체액 중 일정크기보다 작은 조직을 통과시키는 제1필터링수단을 포함하는 제1피스톤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구분용 주사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은 상기 비중구분부재와 주입구 사이, 상기 비중구분부재와 개구 사이 중 어느 한 곳 또는 모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구분용 주사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에는 제1피스톤의 총 중량을 증가시키는 제1무게추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구분용 주사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중구분부재는,
    상기 주사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전후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한 제2본체와, 상기 제2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연통되며 지방조직을 배출하는 제2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제2배출부와, 상기 제2배출경로 상에 구비되어 일정크기 이상의 조직은 걸러내는 제2필터링수단을 포함하는 제2피스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중 구분용 주사기.
  13. 제1항의 비중 구분용 주사기를 이용한 지방 분리 방법으로서,
    생체로부터 추출된 체액을 상기 주사기 본체 내에 투입시키는 체액 투입단계;
    상기 체액이 저장된 주사기 본체를 원심분리하여 조직을 비중별로 다수의 조직층으로 구분함과 동시에 상기 비중구분부재가 상기 비중구분부재의 비중에 대응되는 조직층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 및
    비중구분부재에 의하여 구분되어 확인되는 조직층을 지방주입구 또는 개구로부터 추출해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리 방법.
  14. 제9항의 비중 구분용 주사기를 이용한 지방 분리 방법으로서,
    생체로부터 추출된 체액을 상기 주사기 본체 내에 투입시키는 지방 투입단계;
    상기 체액이 저장된 주사기 본체를 원심분리하여 상기 제1필터링수단을 통과하는 조직은 상기 제1피스톤의 후방측에 위치시키고, 비중구분부재는 상기 제1피스톤과 주입구 사이에서 상기 비중구분부재의 비중과 대응되는 곳에 위치되도록 하는 체액 구분단계; 및
    비중별로 구분된 조직을 선별하여 상기 주사기 본체로부터 뽑아내는 체액 추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 분리 방법.
KR1020130089820A 2013-07-29 2013-07-29 비중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 KR20130088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820A KR20130088113A (ko) 2013-07-29 2013-07-29 비중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820A KR20130088113A (ko) 2013-07-29 2013-07-29 비중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991A Division KR101350867B1 (ko) 2011-01-18 2011-01-18 비중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113A true KR20130088113A (ko) 2013-08-07

Family

ID=49214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820A KR20130088113A (ko) 2013-07-29 2013-07-29 비중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81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149A (ko) * 2014-04-17 2015-10-27 메디칸(주) 비중구분 및 추출용 주사기
KR102446918B1 (ko) * 2021-08-26 2022-09-26 (주)비에스엘레스트 원심분리용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WO2023085708A1 (ko) * 2021-11-09 2023-05-19 이준석 원심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149A (ko) * 2014-04-17 2015-10-27 메디칸(주) 비중구분 및 추출용 주사기
KR102446918B1 (ko) * 2021-08-26 2022-09-26 (주)비에스엘레스트 원심분리용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WO2023027423A1 (ko) * 2021-08-26 2023-03-02 (주)비에스엘레스트 원심분리용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WO2023085708A1 (ko) * 2021-11-09 2023-05-19 이준석 원심 피스톤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669B1 (ko) 지방 흡입 이식용 주사기의 피스턴
US10369500B2 (en) Fat processing system
EP2413989B1 (en) All-in-one means of separating blood components
US20140205514A1 (en) Blood separating vessel for extracting autologous platelets,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autologous platelets
JP5824160B2 (ja) 成分分離器
KR100628364B1 (ko) 지방 흡입 이식용 주사기의 피스턴
KR101350867B1 (ko) 비중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
KR101982766B1 (ko) 지방줄기세포 분리장치
KR20130088113A (ko) 비중 구분용 주사기 및 지방 분리 방법
KR101333789B1 (ko)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KR101150529B1 (ko) 지방 분리용 주사기 및 그 주사기를 이용한 지방 분리 방법
EP3912654A1 (en) Body fluid component separating device
JP2022155555A (ja) 幹細胞を含む体液抽出用バイオキット
KR20150085336A (ko) 혈소판 농축 혈장 추출용 혈액분리장치
US20120142514A1 (en) Syringe for specific gravity distinction and fat tissue components separating method therewith
US20220133962A1 (en) Body fluid component separating device
JP2017164020A (ja) ピストン、脂肪細胞採取用器具、及び脂肪細胞の採取方法
KR200477597Y1 (ko) 원심분리용 주사기
KR102270380B1 (ko) 비중구분 및 추출용 주사기
KR101869944B1 (ko) 생체지방 내 불순물 제거를 위한 의료용 불순물 제거기구, 생체지방 내 불순물을 제거하는 방법 및 생체지방
KR101440754B1 (ko) 세포 농축형 분리기 및 분리 방법
CN113440927B (zh) 乳糜化脂肪水溶性成分提取装置与方法
RU2746589C1 (ru) Набор для получения prp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обратного введения оставшихся компонентов после отделения prp из крови
WO2024158911A1 (en) Separation syringe and processing methods for separation of biological fluids into fractions
KR101333788B1 (ko) 원심 분리 용기 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