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7103B1 -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7103B1
KR101767103B1 KR1020150095149A KR20150095149A KR101767103B1 KR 101767103 B1 KR101767103 B1 KR 101767103B1 KR 1020150095149 A KR1020150095149 A KR 1020150095149A KR 20150095149 A KR20150095149 A KR 20150095149A KR 101767103 B1 KR101767103 B1 KR 101767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foreign matter
coagulant
foreig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585A (ko
Inventor
김기종
김기운
박준희
Original Assignee
김기종
김기운
박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종, 김기운, 박준희 filed Critical 김기종
Priority to KR1020150095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10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M1/0023
    • A61M1/0049
    • A61M1/005
    • A61M1/0056

Landscapes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출물 및 부산물 액체로 구성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석션 케이싱; 상기 석션 케이싱에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이물질을 유입 및 배출시키는 유입 및 배출포트와, 상기 배출포트의 하측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적출물과 부산물 액체를 분리하는 이물질 분리부재가 구성된 석션커버; 상기 석션커버의 내부 중앙측에 구성되어 상기 부산물 액체를 겔(Gel) 상태로 상 변화시키는 응고제; 및 상기 응고제를 내측면 상단에 고정시켜 의료 수술이 완료된 이후에만 상기 부산물 액체와 상기 응고제가 서로 접하도록 하는 응고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An alien substance suction equipment for medical treatment}
본 발명은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셕션용기들을 병렬로 연결하고, 이 석션용기에 이물질 및 물과 같은 액체가 모두 가득 찰 때까지 응고제와 이물질 및 액체가 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술 또는 치료가 끝날때까지 석션 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구성하여 휴대 및 거치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흡입된 이물질 및 액체를 위생적으로 폐기할 수 있는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석션장치는 환자를 진료시 발생하는 체액(피고름, 가래, 타액), 절삭물, 세척수 등의 적출물을 석션펌프를 이용하여 환부로부터 흡입하여 수거용기로 수거하는 장치로서, 흡입압을 발생시키는 석션펌프와, 이 석션펌프와 배관 연결되는 것으로 환자의 환부에 진입하여 체액이나 이물질로 된 적출물을 흡입하는 흡입구를 형성하는 흡입부 그리고 이 흡입부와 관으로 연결되어 흡입한 적출물을 수거하는 수거용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의료용 석션장치는 수거용기 내에 수거되는 적출물의 수거량을 용이하게 식별하기 곤란하여 적출물이 흘러 넘치거나 또는 석션펌프 등의 장비로 유입되어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른 의료용 석션 장치에 의하면, 응고제가 용기 밑에 충진된 상태로 구비되어 물이나 피 등의 액체가 유입되면 바로 응고제와 반응하여 겔 타입으로 바뀌게 되는데, 이 경우 점성이 강한 겔 타입 용액이 호스를 통해 이동하면서 호스를 밀폐시켜 석션 장치의 흡입 압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06644호에서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는 펌프의 작동에 의한 흡입력으로 환자로부터 발생되는 각종 이물질을 수용용기로 흡입하여 수거토록 하는 이물질 흡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용기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관의 내부에 다수개의 스프링에 의해 탄력설치되어 수용용기의 중량에 따라 승강 작동되는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관의 저면에는 플레이트의 승강 작동에 의해 온.오프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수용용기의 중량에 의한 만수위에 따라 흡입펌프를 제어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는 단순히 수용용기내의 만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나 의료진이 알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여전히 수용용기 내에 수거된 적출물의 분리 및 배출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거용기에 수거된 적출물은 수시로 하수 처리하기 곤란함에 따라 배출용량에 도달할 때까지 보관하는데, 보관된 적출물에 의한 병원균 발생에 따른 2차감염의 위험을 높일 뿐만 아니라 공기오염과 악취를 발생시켜 진료환경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원인을 제공하였고, 아울러 적출물의 양이 소량인 경우에라도 수시로 하수 처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적출물 부패로 인해 진료실 내의 위생환경이 악화되어 진료실 내에 상주하는 의료진을 비롯하여 환자들에게 2차 감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석션장치는 대부분 진료실 내에 설치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짐에 따라 석션펌프 역시 진료실내에 구비되는데, 이때의 상기 석션펌프의 동작시 그 흡입압에 의해 적출물이 수거용기로 수거되고 이 과정에서 적출물에 포함된 악취나 병원균이 혼입된 공기가 그대로 진료실 내로 배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전술한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는, 그 구성이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에 있어서 비전문가가 사용하기에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2000-0006644 A
삭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셕션용기들을 병렬로 연결하고, 이 석션용기에 이물질 및 물과 같은 액체가 모두 가득 찰 때까지 응고제와 이물질 및 액체가 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술 또는 치료가 끝날때까지 석션 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구성하여 휴대 및 거치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흡입된 이물질 및 액체를 위생적으로 폐기할 수 있는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출물 및 부산물 액체로 구성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석션 케이싱; 상기 석션 케이싱에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이물질을 유입 및 배출시키는 유입 및 배출포트와, 상기 배출포트의 하측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적출물과 부산물 액체를 분리하는 이물질 분리부재가 구성된 석션커버; 상기 석션커버의 내부 중앙측에 구성되어 상기 부산물 액체를 겔(Gel) 상태로 상 변화시키는 응고제; 및 상기 응고제를 내측면 상단에 고정시켜 의료 수술이 완료된 이후에만 상기 부산물 액체와 상기 응고제가 서로 접하도록 하는 응고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석션커버에는 상기 유입포트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물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필터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필터는 상기 석션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포트와 연결되는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포트를 개폐시키는 밀폐수단이 구성된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포트의 하부에는 상기 석션커버의 내주면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이물질 배출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 배출부는 상기 이물질 분리부재의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이물질 배출부와 이물질 분리부재 사이에 상기 이물질이 유입되는 소정의 공간 및 간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포트는 상기 유입포트의 하측 단부보다 일정 길이만큼 더 길게 상기 석션 케이싱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고제에는 상기 응고제를 저장하고, 상기 이물질과 접하는 경우에 저장된 응고제를 방출하여 상기 이물질의 상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응고제 커버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석션커버의 상기 배출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석션커버에는 상기 배출포트와 상기 흡입수단을 연결하는 진공포트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석션 케이싱에는 상기 이물질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 방지턱이 구성되고, 상기 석션커버에는 상기 누설 방지턱이 삽입되는 누설 방지홈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셕션용기들을 병렬로 연결하고, 이 석션용기에 이물질 및 물과 같은 액체가 모두 가득 찰 때까지 응고제와 이물질 및 액체가 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술 또는 치료가 끝날때까지 석션 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가 가능하여 안정적인 수술 및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구성하여 휴대 및 거치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흡입된 이물질 및 액체를 위생적으로 폐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의 석션 커버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의 석션커버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의 배출포트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의 석션 커버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의 배출포트를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는 의료 수술시 발생하는 체액(피고름, 가래, 타액), 절삭물과 같은 적출물과, 세척수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 중, 세척수와 같은 수분으로 이루어진 물이 응고제(280)와 접하면서 반고체 상태의 겔(Gel) 상태로 상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겔 상태로 구성된 이물질의 용이한 폐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의료 수술시 발생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석션 케이싱(110)과, 이 석션 케이싱(1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물질의 흡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며, 흡입된 이물질 중 물의 상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응고제(280)가 구비되는 석션커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에는 석션커버(200)와 연결되며, 석션 케이싱(110)에 수용된 체액, 절삭물 등과 같은 적출물만을 흡입 및 배출하는 흡입수단(140)이 더 구성된다.
석션 케이싱(110)은 상부가 개구된 함체의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얇은 비닐의 형태로 구성되어 흡입되는 이물질이 수용되는 수용홈(112)이 형성되고, 석션커버(200)가 개구된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도록 상단 내주면에는 석션커버(200)의 하단 외주면에 구성된 고정홈(202)과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석션 케이싱(110)의 상단부에는 고정홈(202)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20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고정돌기부가 형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석션 케이싱(110)의 상단에는 석션커버(200)의 하부에 삽입되어 수용된 이물질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 방지턱(114)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석션커버(200)에는 이 누설 방지턱(114)이 삽입되는 누설 방지홈(204)이 함몰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석션커버(200)는 석션 케이싱(1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단 외주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고정홈(202)이 구성되며, 이 고정홈(202)의 외측부에 형성되어 석션 케이싱(110)에 구성된 누설 방지턱(114)이 삽입되는 누설 방지홈(204)이 형성된다.
이때, 누설 방지홈(204)의 내주에는 소정의 실링수단이 더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석션커버(200)는 하단 외주면에 적출물이 저장되며, 저장된 적출물을 폐기하는 저장용기(206)가 구성된다.
여기서, 저장용기(206)는 내부가 투영되는 투명한 비닐재로 구성되고, 석션커버(200)와 소정의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탈착 가능하도록 석션커버(200)의 하단부 외주면에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석션커버(200)는 상부면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석션커버(200)를 관통하여 석션 케이싱(110)의 수용홈(112)과 연통되게 구성되어 의료용 석션기 등과 연결되어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유입포트(210) 및 흡입된 이물질 중 체액, 피고름, 절삭물 등과 같은 적출물을 배출시키는 배출포트(220)가 구성되고, 내부 중앙에는 흡입되는 이물질 중 물과 접하면서 물의 상태를 변화시켜 겔의 형태로 상 변화시키는 응고제(280)가 구비된다.
유입포트(210)에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의료용 석션기와 석션커버(200)를 연결하는 유입관(212)이 구성되며, 이 유입관(212)을 통해 흡입이 이루어지는 이물질들이 유입포트(210) 및 석션커버(200)를 통해 석션 케이싱(110)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유입관(212)과 석션 케이싱(110)의 수용홈(112)을 관통하는 유입홀(214)이 형성된다.
이와같은 유입포트(210)에는 그 하측 단부에 유입이 이루어진 이물질들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유입홀(214)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필터(310)가 더 구성된다.
역류 방지필터(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홀(214)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도록 석션커버(200)에 구성된 필터 고정부(230)에 결합되는 필터 하우징(310)이 구성되며, 필터 하우징(31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고, 유입홀(214)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수단(320)이 구성된다.
여기서, 개폐수단(320)에는 유입홀(214)의 개방된 단부를 밀폐시키는 밀폐수단(322)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필터 고정부(230)의 단부에는 이 밀폐수단(322)이 압축되면서 유입홀(214)의 단부에 삽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착부(232)가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밀폐수단(322)은 소정의 곡률을 이루는 만곡부의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배출포트(220)는 흡입수단(140)으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흡입력에 의해 석션 케이싱(110)에 저장된 이물질 중, 적출물만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흡입수단(140)과 연결 구성되는 배출관(222)이 구성되고, 배출포트(220)의 하부에는 석션커버(200)의 내주면에 연장 형성되며, 수용된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이물질 배출부(224)가 구성된다.
여기서, 이물질 배출부(224)는 배출포트(220)와 동축선상에 위치하며, 배출관(222)과 연결되어 흡입된 이물질의 용이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출홈(224a)이 더 형성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석션커버(200)에는 이물질 흡입부(22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이 이물질 배출부(224)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이물질 분리부재(240)가 구성된다.
이물질 분리부재(240)는 유입포트(210)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 중 적출물과 물을 분리하여 적출물만이 먼저 이물질 배출부(224)를 통해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물질 배출부(224)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어 소정의 공간(H)을 형성하고, 이 이물질 배출부(224)의 하측 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하향 연장되게 형성되어 일정 간격(L)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이물질 분리부재(2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배출부(224)와 이물질 분리부재(2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H) 및 간격(L) 사이로 이물질 중, 물의 상부에 위치하는 적출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되며, 유입된 적출물이 흡입수단(140)의 흡입력에 의해 먼저 흡입이 이루어짐에 따라 적출물과 물을 분리하여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물질 분리부재(240)는 하측 단부의 위치가 유입포트(210)의 하측 단부의 위치보다 더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석션 케이싱(110)에 일정량 저장되는 이물질들이 유입포트(210)와 접하기 전에 이물질 배출부(224)를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배출포트(220)에는 배출관(222)의 상단에 결합되어 흡입수단(140)으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흡입력에 의해 석션 케이싱(110)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며, 배출관(222)과 흡입수단(140)을 연결하는 진공포트(260)가 더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진공포트(260)는 배출관(222)과 연결되는 제1연결부(262)와, 이 제1연결부(262)와 진공 형성부(266)를 통해 연결되며, 흡입수단(140)에 구성된 흡입관이 연결되는 제2연결부(26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연결부(262)는 병렬 구조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이물질 흡입장치들이 연결 구성될 수 있도록 유입관(212)이 연결 구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석션커버(200)에는 응고제(280)를 고정시키며 유입되는 이물질과의 접촉을 방지하여 의료 수술 도중에 이물질과 응고제(280)가 서로 접하면서 이물질에 포함된 액체의 상 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응고제 고정부재(250)가 구성된다.
응고제 고정부재(250)는 석션커버(200)의 내부 중앙측 상단에 구성되며, 응고제(280)가 석션커버(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연결부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선단부에는 응고제(280)가 안착되는 지지 플레이트(252)가 일체로 구성된다.
지지 플레이트(252)는 원형, 또는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며, 저장된 액체의 상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 액체가 유입되어 응고제(280)와 접하도록 하는 관통홀(254)이 형성된다.
이러한 응고제 고정부재(250)는 지지 플레이트(252)의 외측면을 따라 90°간격으로 다수 구성되어 지지 플레이트(252)와 석션커버(200)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응고제 고정부재(250)는 의료 수술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이물질과 응고제(280)가 서로 접하는 것을 방지하고, 의료 수술이 완료된 이후에만 본 발명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를 뒤집어 응고제(280)와 이물질이 서로 접하면서 이물질에 포함된 액체가 반 고체 상태의 상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구성된 응고제(280)는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뿐만 아니라,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분말 형태의 응고제(280)를 결집시켜 저장하고, 액체와 닿으면 녹으면서 저장된 응고제(280)를 방출하는 응고제 커버부재(270)가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응고제 커버부재(2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말 형태의 응고제(280)가 석션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그물망이 구성된 상부 케이싱(272)과, 응고제(280)가 저장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하부 케이싱(274)으로 구성되며, 하부 케이싱(274)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시켜 응고제(280)의 누설을 방지하는 한편, 물에 닿으면 녹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시트(27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커버시트(276)는 통상의 폴리비닐 중합체를 주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석션커버(200)는 병렬로 연결된 석션 케이싱(110)의 내부에 이물질들이 모두 가득 찰 때까지 응고제(280)와 부산물 액체와 같은 이물질이 서로 접하지 않게 되므로, 수술 또는 치료가 끝날때까지 이물질에 포함된 적출물 등만 흡입이 이루어지게 되어 석션 압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본 발명의 이물질 흡입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 복수 구성되며, 병렬을 이루도록 배치가 이루어져 흡입펌프와 같은 흡입수단(140)에 의해 적출물 및 세척수 등의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병렬 구조로 이루어진 제1 내지 제3이물질 흡입장치 중, 1차 흡입이 이루어지는 제1이물질 흡입장치의 내부로 이물질(적출물 및 물)의 수용되면서 저장되고, 저장된 이물질 중, 적출물만이 흡입수단(140)의 흡입력에 의해 제2이물질 흡입장치와 제3이물질 흡입장치로 이송되어 적출물의 폐기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후 석션 케이싱(110)에 잔여하는 물은 응고제(280)와 접하면서 반 고체 상태의 겔의 상태로 상 변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폐기시 이 물에 의한 2차 감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보다 쉽게 폐기 처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에는 병렬 구조로 이루어진 석션 케이싱(110)을 고정시키는 고정커버(120)와, 이 고정커버(120)와 연결되어 병렬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석션 케이싱(110)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32)가 더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에는 석션 케이싱(110) 및 석션커버(200)를 각각 개별적으로 통상의 의료기구 거치대 등에 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고리와 같은 거치수단(130)이 더 구성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는 복수의 셕션용기들을 병렬로 연결하고, 이 석션용기에 이물질 및 물과 같은 액체가 모두 가득 찰 때까지 응고제와 이물질 및 액체가 접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술 또는 치료가 끝날때까지 석션 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간단한 구성으로 구성하여 휴대 및 거치가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한편, 흡입된 이물질 및 액체를 위생적으로 폐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석션 케이싱 112: 수용홈
200: 석션커버 202: 체결부
204: 누설 방지홈 210: 유입포트
220: 배출포트 230: 필터 고정부
240: 이물질 분리부재 250: 응고제 고정부재
260: 진공포트 270: 응고제 커버부재
280: 응고제 310: 역류 방지필터
320: 개폐수단

Claims (10)

  1. 적출물 및 부산물 액체로 구성된 이물질이 저장되는 석션 케이싱;
    상기 석션 케이싱에 결합되며, 상부에 상기 이물질을 유입 및 배출시키는 유입 및 배출포트와, 상기 배출포트의 하측 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적출물과 부산물 액체를 분리하는 이물질 분리부재와, 상기 배출포트의 하부에는 상기 석션 케이싱의 내주면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이물질 분리부재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이물질 배출부가 구성된 석션커버;
    상기 석션커버의 내부 중앙측에 구성되어 상기 부산물 액체를 겔(Gel) 상태로 상 변화시키는 응고제; 및
    상기 석션커버의 내부 중앙측 상단에 구성되며, 상기 응고제가 상기 석션커버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해서 상기 응고제가 안착되고, 복수의 관통되는 관통홀을 가지는 지지 플레이트가 구성된 응고제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이물질 배출부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정상 작동 상태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이물질 배출부의 높이 차로 인해 상기 이물질이 유입 시에 안착된 상기 응고제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석션 케이싱의 상하부 위치를 뒤집으면 상기 이물질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안착된 상기 응고제와 접촉되면서 액체의 상변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커버에는 상기 유입포트의 하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이물질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 방지필터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 방지필터는 상기 석션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포트와 연결되는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입포트를 개폐시키는 밀폐수단이 구성된 개폐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부는 상기 이물질 분리부재의 내부에 구성되어 상기 이물질 배출부와 이물질 분리부재 사이에 상기 이물질이 유입되는 소정의 공간 및 간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포트는 상기 유입포트의 하측 단부보다 일정 길이만큼 더 길게 상기 석션 케이싱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제에는 상기 응고제를 저장하고, 상기 이물질과 접하는 경우에 저장된 응고제를 방출하여 상기 이물질의 상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응고제 커버부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커버의 상기 배출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의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소정의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커버에는 상기 배출포트와 상기 흡입수단을 연결하는 진공포트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케이싱에는 상기 이물질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설 방지턱이 구성되고,
    상기 석션커버에는 상기 누설 방지턱이 삽입되는 누설 방지홈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KR1020150095149A 2015-07-03 2015-07-03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KR101767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49A KR101767103B1 (ko) 2015-07-03 2015-07-03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49A KR101767103B1 (ko) 2015-07-03 2015-07-03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585A KR20170004585A (ko) 2017-01-11
KR101767103B1 true KR101767103B1 (ko) 2017-08-23

Family

ID=57833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149A KR101767103B1 (ko) 2015-07-03 2015-07-03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51U (ko) * 2018-09-03 2020-03-11 정인화 의료용 흡인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87Y1 (ko) * 2019-05-14 2019-08-26 김흥열 취급성이 향상된 의료 폐기물 수거 용기
KR102369572B1 (ko) * 2019-05-14 2022-03-03 (주)코아바이오텍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의료 폐기물 수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의료 폐기물 수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5847A1 (en) 2012-12-03 2014-06-05 Devilbiss Healthcare Llc Suction Canister Having A Replaceable Filter Cartrid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226B1 (ko) 1999-08-25 2002-01-05 성현기, 이성수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55847A1 (en) 2012-12-03 2014-06-05 Devilbiss Healthcare Llc Suction Canister Having A Replaceable Filter Cartrid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51U (ko) * 2018-09-03 2020-03-11 정인화 의료용 흡인 용기
KR200493159Y1 (ko) * 2018-09-03 2021-02-05 정인화 의료용 흡인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585A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9867B2 (en) Intra-operative blood recovery system
US10098990B2 (en) Drainage container device and suction bag unit
EP2925379B1 (en) Suction canister having a replaceable filter cartridge
KR101767103B1 (ko) 의료용 이물질 흡입장치
CN103037915A (zh) 一次性使用的吸乳器组件
JP3205300B2 (ja) 医療用吸引器
JP2009525088A (ja) 吸引システム
JP2009525086A (ja) 創傷の治癒を促進するための装置とポンプとシステム
JPH05293166A (ja) 体液を含む廃液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容器
JP3007285B2 (ja) 液状廃棄物の処理装置
EP3192536B1 (en) System for drainage of fluids or wound secretion
KR101279451B1 (ko) 의료용 석션장치
JP4640772B2 (ja) 自動排尿処理装置
KR101392731B1 (ko) 의료용 흡인용기
JP3151290U (ja) 密閉型負圧吸引装置
JP5901664B2 (ja) 多連型液状廃棄物処理装置
JP3217668B2 (ja) 往診用歯科治療ユニット
KR200489887Y1 (ko) 취급성이 향상된 의료 폐기물 수거 용기
JP2011183327A (ja) 液状廃棄物処理装置
CN111103172A (zh) 医疗废液过滤取样装置
JP4523688B2 (ja) キャニスターボトル
KR20180097847A (ko) 연속배출이 가능한 흡인장치
JP4532639B2 (ja) 多連型液状廃棄物処理装置
JP5945115B2 (ja) 歯科用気液分離容器
JP2001509060A (ja) 使い捨て歯科用排出トラ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