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633B1 - 방수막 하부 수증기 배출용 고무시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방수막 하부 수증기 배출용 고무시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633B1
KR102050633B1 KR1020170099337A KR20170099337A KR102050633B1 KR 102050633 B1 KR102050633 B1 KR 102050633B1 KR 1020170099337 A KR1020170099337 A KR 1020170099337A KR 20170099337 A KR20170099337 A KR 20170099337A KR 102050633 B1 KR102050633 B1 KR 102050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heet
rubber
gas
rubb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5689A (ko
Inventor
허영호
Original Assignee
허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호 filed Critical 허영호
Priority to KR102017009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6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15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시트를 당겨 늘린 다음 바늘로 1개 또는 다수개의 구멍을 뚫어서 형성함으로써 고무시트의 한 쪽에 있는 기체 또는 액체의 압력이나 중량이 반대쪽보다 크게 되면 큰 쪽에서 작은 쪽으로 고무시트가 늘어나면서 구멍이 커지게 되어 구멍으로 기체나 액체가 통과하여 흐르게 되고, 고무시트의 양쪽 압력이나 중량이 비슷하거나 같게 되면 늘어났던 고무시트가 움츠려들면서 구멍이 작아지거나 닫히면서 기체나 액체의 흐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또는 중력를 받아 늘어나거나 움츠리면서 개폐 동작하는 고무 개폐구멍 시트에 관한 것으로,
유체(기체, 액체)가 시트의 한쪽에서 압력, 중력을 가하게 되면 시트가 늘어나면서 구멍이 자연히 열려 유체가 배출되고, 유체가 배출되면 자연히 움츠려 줄어들면서 구멍이 닫히도록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방수막 하부 수증기 배출용 고무시트 시공방법{A rubber sheet construction method for draining water vapor under waterproof film}
본 발명은 수증기 또는 가스의 압력에 따라 늘어나는 탄성 고무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지붕 또는 옥상에 코팅된 수지 방수막의 일정부분을 도려내는 단계;

1개 또는 다수개의 구멍(111)을 뚫어서 형성된 것으로 고무시트를 상기 도려된 부분을 덮어서 고무시트의 가장자리를 방수막에 융착 또는 접착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되, 고무시타 내부에 수증기 또는 가스가 모이면 고무 개폐구멍 시트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면서 늘어나 부풀어오르면서 구멍이 커져 수증기 또는 가스가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고, 방출이 끝나게 되면 고무 개폐구멍 시트가 움츠려 줄어들면서 구멍이 막히게 되어 구멍을 통하여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막 하부 수증기 배출용 고무시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옥상 등에 형성된 방수층은 습기와 열기로 인하여 그 하부에 수증기 등 기체가 발생하여 시간이 지나면서 방수층 군데군데 기체로 들떠서 올라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위로 들떠 오른 부분은 사람이나 물건 등과 부딪치면서 손상되어 그 부분으로 물이 들어가 누수의 원인이 되곤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은 탈기구를 설치하곤 하나 장마, 태풍 등으로 강한 바람과 함께 물방울이 내부로 타고 들어가 방수층으로 스며들어 누수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위로 돌출된 돌출물이 옥상 여러 곳에 설치됨으로써 사람이나 물건과 부딪쳐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보기에도 좋지 않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방수층 탈기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하수구, 배수구는 아무리 뚜껑을 닫아둔다고 하더라도 틈새로 악취가 올라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건물 화장실 등 환풍기 덕트는 환풍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닫히도록 형성된 게이트가 설치되기도 하나 게이트 틈새로 이웃집 층의 고기 굽는 냄새, 담배 냄새 등이 역류해 들어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하수구, 배수구로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고, 화장실 등 환풍기 덕트로 역류해 들어오는 냄새 등을 차단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요망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기체, 액체)가 시트의 한쪽에서 압력, 중력을 가하게 되면 시트가 늘어나면서 구멍이 열려 유체가 배출되고, 유체가 다 배출되어 압력, 중력이 걸리지 않게 되면(시트 양쪽의 압력, 중력이 비슷하거나 같은 상태) 움츠려 줄어들면서 구멍이 닫히도록 형성된 고무 개폐구멍 시트를 개발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고무 개폐구멍 시트는 기계적인 작동을 부가하지 않아도 유체흐름에 자연히 늘어나고 움츠려 줄면서 구멍이 개폐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개폐동작을 위해 별도의 에너지나 장치가 부가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유체(기체, 액체)가 시트의 한쪽에서 압력, 중력을 가하게 되면 시트가 자연히 늘어나면서 구멍이 열려 유체가 배출되고, 유체가 배출되고 나면 줄어면서 구멍이 자연히 닫히도록 형성된 고무 개폐구멍 시트와 그 용도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증기 또는 가스의 압력에 따라 늘어나는 탄성 고무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지붕 또는 옥상에 코팅된 수지 방수막의 일정부분을 도려내는 단계;

1개 또는 다수개의 구멍(111)을 뚫어서 형성된 것으로 고무시트를 상기 도려된 부분을 덮어서 고무시트의 가장자리를 방수막에 융착 또는 접착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되, 고무시타 내부에 수증기 또는 가스가 모이면 고무 개폐구멍 시트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면서 늘어나 부풀어오르면서 구멍이 커져 수증기 또는 가스가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고, 방출이 끝나게 되면 고무 개폐구멍 시트가 움츠려 줄어들면서 구멍이 막히게 되어 구멍을 통하여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막 하부 수증기 배출용 고무시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무 개폐구멍 시트로서, 지붕, 옥상에 코팅된 수지 방수막 하부에 발생하는 수증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방수막의 일정부분을 도려내고 도려낸 방수막 부분을 덮어서 형성한 것으로, 수증기, 가스가 모이면 고무 개폐구멍 시트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면서 늘어나 구멍이 커져 수증기, 가스가 방출되며, 방출이 끝나면 고무 개폐구멍 시트가 움츠려들면서 원위치로 돌아가면서 구멍이 막혀 외부에서 물이 방수층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막 내부 기체 배출용 고무 개폐구멍 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무 개폐구멍 시트로서, 배수구, 하수구 구멍을 덮어서 설치하는 것으로, 내려가는 물이 존재할 경우 물의 무게에 의해 고무 개폐구멍 시트가 아래로 늘어나면서 구멍이 커져 물이 흘러 내려가게 되고, 물이 다 흘러 내려가면 고무 개폐구멍 시트가 움츠려 줄어들면서 구멍을 막아 배수구, 하수구에서 올라오는 가스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개폐구멍 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무 개폐구멍 시트로서, 환풍기 닥트에 설치하는 것으로, 환풍기가 돌아가서 고무 개폐구멍 시트의 양쪽에 압력이 발생하면 압력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고무 개폐구멍 시트가 늘어나면서 구멍이 커져 기체가 구멍을 통과하여 흐르게 되고, 환풍기가 정지되어 압력차이가 비슷해지거나 같게 되면 고무 개폐구멍 시트가 움츠려 줄어들면서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개폐구멍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무시트는 다양한 인조고무, 천연고무 중에서 적용분야에 적합한 탄성과 물성을 가진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고무란 고분자물질로서 힘을 받아 늘어나고 움츠리고 하는 탄성을 가진 물질을 뜻한다.
고무 개폐구멍 시트는 고무시트를 당겨 늘린 다음 바늘 등으로 찔러 작은 구멍을 1개 또는 다수 개 형성한 것으로, 당긴 고무시트를 놓게 되면 고무시트는 움츠려 원상태로 돌아오면서 구멍은 폐쇄되어 구멍으로 공기, 수증기와 같은 기체나 물과 같은 액체가 통과하지 못한 상태가 된다.
고무 개폐구멍 시트의 적용분야에 대한 몇 가지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건물의 옥상은 비바람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방수수지를 코팅한 방수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방수층은 고무와 같은 성질이면서 공기, 물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나 방수층 하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가스 등에 의해 군데군데 공기주머니가 생기면서 들뜨게 되며 이로 인해 그 부분의 방수층이 유동하면서 파손되어 누수의 원인이 되곤 하였다.
이러한 방수층 하부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방출하기 위하여 군데군데 에어벤트를 설치하곤 하나 에어벤트는 상부로 돌출되는 기체가 방출되는 파이프를 설치하고 파이프 상부를 캡으로 덮어서 형성된 것으로 비바람이 치면 작은 물방울이 바람을 타고 캡과 파이프 사이로 올라가 파이프 속으로 들어가 누수가 발생하였으며, 또한 에어벤트는 돌출물이어서 사람이나 물건과 부딪쳐서 손상될 가능성이 많았으며, 보기에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의 고무 개폐구멍 시트는 방수층에서 기체발생 가능성이 높은 곳을 선택하여 일정한 크기로 방수시트를 도려내고 그 도려낸 부분을 덮어서 형성하는 것으로 도려낸 부분의 가장자리부분과 그 위에 겹치는 본 발명의 고무 개폐구멍 시트의 가장자리는 융착 또는 접착된다.
방수시트의 도려낸 구멍으로 그 부근에서 발생한 수증기 등 기체가 모이게 되며 압력이 증가하면서 본 발명의 고무 개폐구멍 시트는 위로 부풀어 오르게 되며 이때 고무 개폐구멍 시트에 형성된 닫혀있던 구멍이 열리면서 구멍을 통하여 기체가 외부로 방출되게 되며, 기체가 방출되면 고무 개폐구멍 시트는 제자리로 움츠러들면서 평평한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방수막 내부 기체 배출용 고무 개폐구멍 시트는 상부로 돌출되지 않고 평평한 상태로 형성되어 부딪칠 염려도 없고 보기에도 좋으며, 비바람이 불어도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종래기술의 에어벤트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또한 특히 여름이면 하수구, 배수구에서 올라오는 악취로 고통을 받고 있으며 뚜껑을 설치하더라고 뚜껑 사이로 방출되는 악취를 막을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의 고무 개폐구멍 시트를 하수구, 배수구의 입구를 덮어서 설치하게 되면, 물이 고무 개폐구멍 시트의 위에 고이게 되면 물의 무게로 인하여 시트는 아래로 쳐져 늘어나면서 개폐구멍이 열리고 물이 구멍을 통하여 흘러내리게 되며, 물이 다 빠지면 시트는 다시 움츠려들면서 구멍이 닫히게 되어 하수구, 배수구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화장실 등의 환풍기 덕트를 따라 화장실로 내려오는 가스, 악취 등으로 고통을 받곤 하며, 뚜껑을 설치하더라고 뚜껑 사이로 방출되는 가스, 악취 등이 방출되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고무 개폐구멍 시트를 덕트에 설치하게 되면, 환풍기가 돌아가 바람이 덕트로 들어가게 도면 그 압력으로 시트가 바람의 방향으로 늘어나면서 개폐구멍이 열리고 바람이 구멍을 통하여 덕트로 들어가게 되며, 환풍기를 끄면 시트가 움츠려 줄어들면서 구멍이 닫히게 되어 덕트로 통해 들어오던 가스, 악취 등이 차단되게 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은 압력, 중력이 발생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여 탄성에 의한 개폐시트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무 개폐구멍 시트는 반드시 고무시트를 당겨서 늘린 상태에서 바늘로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평소에 움츠려 줄어든 상태의 고무시트에서 구멍이 닫힌 상태가 되어 유체가 통과할 수 없으나 기체, 액체의 압력, 중력을 받게 되면 자연히 늘어나면서 구멍이 열려서 열린 구멍을 통하여 유체가 통과시키고, 유체가 다 통과하고 나면 자연히 시트가 줄어들면서 구멍이 폐쇄되어 닫힌 구멍으로 유체가 통화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건물 옥상 등에 형성한 방수층 군데군데 설치함으로써 방수층 하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등 기체가 모이면 늘어나 구멍이 열리면서 기체를 배출하고 기체가 모두 배출되면 다시 움츠려 줄어들어 닫히면서 방수가 되도록 형성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 외에도 하수구, 배수구, 환풍기 덕트 등 유체의 압력이나 중력이 걸리는 곳에 설치하여 한쪽에서 압력이나 중력이 걸리면 늘어나면서 유체를 통과시키고 다 통과하고 나면 다시 원 위치되어 구멍이 닫혀서 악취 등이 하구수, 배구수, 덕트 등으로 역류하여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종래기술의 일 응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본 발명의 개폐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 본 발명의 일 응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로서 옥상 방수층에 설치한 탈기구를 보여 주는 것으로 방수층 하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등 기체가 화살표 방향으로 배출되나, 태풍 등 비바람이 불게 되면 강한 바람이 뚜껑 아래의 배기구를 통하여 물방울을 안쪽으로 나르는 역할을 하게 되어 방수층 내부에 물이 고이고 그 물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옥상은 사람들이 자주 드나들고 도 1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탈기구는 높이가 있어 지나가는 사람이나 물건에 부딪쳐 파손되는 경우가 허다하고 보기에도 좋지 않았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무 개폐구멍 시트의 구멍 형성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소정의 고무시트를 상당한 힘에 의해 늘린 다음 늘어난 부분(111)에 바늘(150)을 사용하여 작은 구멍을 내며, 당긴 것을 놓게 되면 다시 고무시트는 원 위치되면서 구멍을 폐쇄도록 형성된 것이며, 이와 같은 고무시트의 구멍 형성과정은 본 발명의 고무 개폐구멍 시트에서 개폐구멍의 특징을 나타내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기재요령으로서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는 고무시트에 형성되는 구멍의 형성방법으로 구멍의 특징을 기재한 것이다.
도 3은 방수층 표면에 설치한 본 발명의 고무 개폐구멍 시트 응용예를 도시한 것으로 군데군데 수증기 등이 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곳에 다수 설치하게 되며 위로 돌출되는 것이 없이 자세히 살피지 않으면 알 수 없을 정도로 방수층과 거의 같은 표면을 형성하게 된다.
방수층의 설치할 부분을 도려내고 그 위에 고무 개폐구멍 시트를 덮어서 포개지는 가장자리를 융착 또는 접착하여 설치한다.
방수층 하부에서 발생한 수증기 등은 본 발명의 고무 개폐구멍 시트의 공간으로 몰려들어 모이게 되며 기체가 모이면 고무 개폐구멍 시트는 위로 볼록하게 늘어나면서 구멍이 열리게 되며 열린 구멍을 통하여 기체가 배출되게 된다.
기체가 배출되고 나면 고무 개폐구멍 시트는 움츠려들면서 다시 평평한 원위치 상태로 돌아가고 구멍은 폐쇄되어 방수기능을 하게 되며 비가와도 구멍으로 물이 스며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기술을 활용하여 실시하는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이다.
110:고무 개폐구멍 시트 111:늘어난 부분 117:구멍 150:바늘

Claims (4)

  1. 수증기 또는 가스의 압력에 따라 늘어나는 탄성 고무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지붕 또는 옥상에 코팅된 수지 방수막의 일정부분을 도려내는 단계;

    1개 또는 다수개의 구멍(111)을 뚫어서 형성된 것으로 고무시트를 상기 도려된 부분을 덮어서 고무시트의 가장자리를 방수막에 융착 또는 접착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되, 고무시타 내부에 수증기 또는 가스가 모이면 고무 개폐구멍 시트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면서 늘어나 부풀어오르면서 구멍이 커지며, 구멍을 통하여 수증기 또는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며, 방출이 끝나게 되면서 고무 개폐구멍 시트는 움츠려 줄어들면서 구멍이 막히게 형성되어 구멍을 통하여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막 하부 수증기 배출용 고무시트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99337A 2017-08-06 2017-08-06 방수막 하부 수증기 배출용 고무시트 시공방법 KR102050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337A KR102050633B1 (ko) 2017-08-06 2017-08-06 방수막 하부 수증기 배출용 고무시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337A KR102050633B1 (ko) 2017-08-06 2017-08-06 방수막 하부 수증기 배출용 고무시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689A KR20190015689A (ko) 2019-02-14
KR102050633B1 true KR102050633B1 (ko) 2019-11-29

Family

ID=6536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337A KR102050633B1 (ko) 2017-08-06 2017-08-06 방수막 하부 수증기 배출용 고무시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6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950Y1 (ko) * 2001-11-27 2002-02-25 이승준 악취방지용 배수구
KR200447850Y1 (ko) * 2009-05-08 2010-02-24 이진기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482B1 (ko) * 2009-10-07 2012-02-29 오두영 모세관 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바닥재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950Y1 (ko) * 2001-11-27 2002-02-25 이승준 악취방지용 배수구
KR200447850Y1 (ko) * 2009-05-08 2010-02-24 이진기 배수가 용이한 냄새방지용 배수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689A (ko)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7756B1 (ja) 床下浸水防止構造
JP5235339B2 (ja) 換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家屋の換気構造
KR100935102B1 (ko)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CN101084362A (zh) 使用空气渗透阻挡下摆的遮雨方法
KR102050633B1 (ko) 방수막 하부 수증기 배출용 고무시트 시공방법
KR101182645B1 (ko) 하수구용 악취차단 및 역류유도장치
JP6534605B2 (ja) 土台水切り
CN201273003Y (zh) 防臭地漏
CN207714856U (zh) 一种停车库汽车防水淹装置
CN207878868U (zh) 一种自力式高度可调型的防水风井
CN202227463U (zh) 改进的地漏
CN203716416U (zh) 横排式双层排水落水装置
CN207919720U (zh) 一种浮力密封式防臭地漏
CN207862989U (zh) 一种防雨水渗入的污水井盖
CN206888021U (zh) 一种排水防臭井盖
KR102556058B1 (ko) 빗물받이 악취차단 장치
CN212534469U (zh) 一种污水膜结构
KR102615380B1 (ko) 부력을 이용한 침수방지용 물막이 장치
TWI719676B (zh) 防蚊蟲臭味兼具防淹水逆湧之排水口結構
CN214462160U (zh) 具有防漏水结构的采光井
CN102121739B (zh) 一种具有启闭功能的厂房通风装置
KR200388665Y1 (ko) 배수구
KR101356622B1 (ko) 악취저감 가림막 구조
KR200482436Y1 (ko) 배기 가스용 배기 장치
CN112031116A (zh) 一种合流排水立管的雨污分流改造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