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549B1 -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 - Google Patents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5549B1
KR100635549B1 KR1020040074865A KR20040074865A KR100635549B1 KR 100635549 B1 KR100635549 B1 KR 100635549B1 KR 1020040074865 A KR1020040074865 A KR 1020040074865A KR 20040074865 A KR20040074865 A KR 20040074865A KR 100635549 B1 KR100635549 B1 KR 100635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ide opening
pavement
net
filter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962A (ko
Inventor
정운익
Original Assignee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4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5549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5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5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01Making filter elemen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adapted to be used with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E01C2201/202Horizontal drainage channels
    • E01C2201/207Horizontal drainage channels channels on the bott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구로 다량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하여 지하로 침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수도 및 지하수도의 고갈 현상을 막고 우수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물은 포장도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측구와, 측구의 상측에 위치되어 우수가 측구로 유입되도록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에 있어서, 측구는 바닥부에 개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측구의 개구멍에 관통되어 바닥부를 기준으로 하부로 돌출됨과 아울러 바닥부의 내측 상면에 걸쳐지도록 테두리를 따라 연장면이 형성되고, 표면에는 미세한 다공이 형성되어 측구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하여 지하로 침투시키는 망체;와, 망체를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정화화도록 망체내에 다량으로 충진되는 여과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망체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류되는 우수가 깊은 지하까지 침투될 수 있도록 상기 망체 하부에 긴 기둥형의 망체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긴 기둥형의 망체 내부에도 동일한 여과재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구, 포장도로, 우수, 망체, 여과재, 지하수

Description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 { Rainwater infilration structures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조물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조물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구조물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포장도로 20;측구
22;바닥부 22a;개구먼
24;벽체부 24a;단턱부
30;덮개판 50,60,70;우수받이,상하측 우수받이
52,62,72;망체 53,63;걸림요부
54,64,74;여과재
본 발명은 포장도로와 인도, 절도 비탈면 등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측구에 설치되어 우수를 배수하는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측구로 다량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하여 지하로 침투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수도 및 지하수도의 고갈 현상을 막고 우수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를 포함한 도로 위의 표면수는 원활한 배수를 가장자리로 유도하여 길가에 구축된 콘크리트제 측구와 우수관로에 유입되게 함으로써 하천으로 방류한다.
이러한 종래의 측구는 지표면에 떨어지는 우수를 집수하여 하수로와 배수처리장을 통해 하천으로 배출되게 유도하는 배수시설로서,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현장 타설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체를 구축하거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또는 경질 플라스틱으로 된 PC블록 제품을 현장에서 연결하여 설치한 후, 상기 측구 상단에 형성된 단턱부에 덮개판을 얹어 측구를 구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축으로 인한 배수 방법은 포장면적이 넓은 도시지역에서 우수가 지하로 침투되지 못한 채 거의 전량이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지하수가 점점 고갈되어져 도시의 사막화 현상이 우려되고 있다.
또한, 자연적으로 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받을 수 없는 가뭄기나 건조기 에는 인위적으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상수도 또는 지하수가 이용되고 있는데, 전술한 물부족 현상으로 가중되고 있는 오늘날에는 수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원활한 수자원 공급에 큰 차질이 빗어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포장도로와 인도, 절도 비탈면 등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측구에 우수받이를 설치하여 측구로 다량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하고 지하로 침투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상수도 및 지하수도가 고갈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우수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은 포장도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측구와, 상기 측구의 상측에 위치되어 우수가 측구로 유입되도록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측구는 바닥부에 개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측구에 상기 개구멍에 관통되어 상기 바닥부를 기준으로 하부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바닥부의 내측 상면에 걸쳐지도록 테두리를 따라 연장면이 형성되고, 표면에는 미세한 다공이 형성되어 상기 측구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하여 지하로 침투시키는 망체;와, 상기 망체를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정화화도록 상기 망체내에 다량으로 충진되는 여과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망체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류되는 우수가 깊은 지하까지 침투될 수 있도록 상기 망체 하부에 긴 기둥형의 망체가 더 설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긴 기둥형의 망체 내부에도 동일한 여과재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조물의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이면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부호를 사용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침투형 구조물은 포장도로(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측구(20)와, 측구(20) 상면에 덮여지는 덮개판(30), 측구(20) 하부에 위치되어 지하에 매설되는 우수받이(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전술한 측구(20)는 U자형 단면 형상을 갖고 바닥부(22)와 양측 벽체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그 양측 벽체부(24)의 상단에는 단턱부(24a)가 형성되고 바닥부(22)는 소정 개구멍(22a)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판(30)은 통상 하강 또는 포장도로(10)를 따라 흐르는 우수가 측구(20)로 유입되도록 소정 관통홈(32)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우수받이(50)는 사방이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는 망체(52)와, 망체(52)내에 다량으로 충진되는 여과재(5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시된 망체(52)는 그 외형이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표면에 미세한 다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걸림요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시된 망체(52)의 외형은 일 실시예에 해당되는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단면이 U자 모양이나 사다리꼴 모양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우수침투형 구조물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받이(50)의 망체(52)가 측구(20)의 개구멍(22a)에 관통되어 걸림요부(53)에 의해 걸쳐짐으로써 측구(20)의 바닥부(22)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위치되고, 이러한 망체(52) 내부에는 여과재(54)가 충진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설치시, 망체(52)가 걸림요부(53)에 의해 측구(20)의 바닥부(22)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장착할 수도 있으나, 걸림요부(53)에 고정핀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거나 또는 접착수단에 의한 접착에 의해 고정시키는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망체(52)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54)는 통기성 및 배수성이 우수한 다공질의 세라믹 경량체로서, 고온에서 발포 성형된 입상의 다포유리와 난분해성 또는 기숙성된 유기물이 배합되고 적정한 입자 크기로 가공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적정한 입자 크기라 함은 망체(52)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한 다공 사이로 여과재(54)가 토출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서, 망체(52)의 다공에 의해 결정되기는 하나 통상 2~30mm 범위내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여과재(54)의 통기성 및 배수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전술한 입상의 다포유리는 100㎛이하의 입도를 갖는 유리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 탄소분말 또는 탄산나트륨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발도체를 0.5~2중량부 혼합하고, 산화철, 산화니켈, 산화크롬 또는 산화코발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착색제 0.2~2중량부를 혼합하여 열처리로에 투입한 다음, 6~8℃/분으로 승온하여 700~1,000℃의 온도에서 발포하고 냉각분쇄하여 제조된 것으로, 이의 혼합으로 구성되는 여과재(54)는 건조시 0.5㎏/㎤ 의 압력으로 충진하여 측정한 용적밀도가 0.35 g/㎤이고, 수분포화시 용적밀도는 1.13 g/㎤이며, 용적밀도를 측정한 코어(core)를 이용하여 물로 포화시켰을 때의 수분량으로 계산한 공극률 78.5%, 물로 포화된 것을 48시간 자연배수시켰을 때의 기상률 66.2%, 투수계수 0.26 ㎝/sec, 흡수율 32 중량비를 갖는 물리적인 특성이 있다.
이러한 여과재(54)는 소재 자체가 지니는 다공질을 통해 통기성 및 배수성이 뛰어나고, 다공질 입자에 부착 서식하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측구(20)로부터 침투해오는 우수를 정화할 수 있으며, 더욱이 수중의 산소량을 증가시키게 되어 정화 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포장도로(10)를 따라 흐르거나 또는 직접 하강하여 측구(20)로 유입되는 우수는 유속에 의해 측구(20)를 따라 흐르거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우수받이(50)로 유입되어 망체(52)에 의해 여과되고, 여과된 우수는 내부에 충진된 여과재(54)에 의해 정화된 후 하부로 방류된다. 이와 같이 방류되는 우수는 지하로 스며들면서 수분을 공급하게 되어 지하수의 물부족 현상을 방지할 수 있 으며, 또는 방류하는 우수를 우수저류조와 같은 저수조나 하천으로 유도함으로써 정화된 우수를 재활용할 수 있다.
이때, 우수의 유속에 의해 각종 이물질 또는 모래가 우수와 함께 유입될 수 있는데, 이물질은 상부에 위치되는 덮개판(30)이나 망체(52)에 의해 걸려 여과되고, 모래는 그 입자가 비교적 미세하기 때문에 여과되지 못하고 망체(52)내로 유입되기는 하지만 외부로 방류되려 하는 우수의 유속에 의해 다시 망체(52)의 표면다공으로부터 토출되기 때문에 표면다공이 형성되는 망체(52)를 이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조물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구조물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수침투형 구조물은 포장도로(10)의 상부로부터 침투되는 우수가 심층 지하로 스며들 수 있도록 측구(20)의 하부에 하측으로 길게 늘어지는 기둥형의 우수받이가 부가로 설치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포장도로(10)의 가장자리에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되어 있는 측구(20)와, 측구(20)의 상면에 덮여지는 덮개판(30), 측구(20)의 하부에 위치되는 상측 및 하측 우수받이(60,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측구(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단면 형상을 갖고 바닥부(22)와 양측 벽체부(24)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그 양측 벽체부(24)의 상단에 단턱부(24a)가 형성되고 바닥부(22)에는 소정 개구멍(22a)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덮개판(30)은 통상 하강 또는 포장도로(10)을 따라 흐르는 우수가 측구(20)로 유입되도록 소정 관통홈(32)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측 및 하측 우수받이(60,70)는 사방이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는 망체(62,72) 및 망체(62,72)내에 다량으로 충진되는 여과재(64,7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시된 상측 우수받이(60)의 망체(62)는 외형이 박스 형태로 이루어져 표면에 미세한 다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단 양측에는 테두리를 따라 걸림요부(63)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하측 우수받이(70)의 망체(72)는 외형이 기둥형으로 미세한 다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및 외측 우수받이(60,70)의 망체(62,72)에 충진되는 여과재(64,74)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기성 및 배수성이 우수하고 유입되는 우수를 정화하는 다공질의 세라믹 경량체로서 이에 대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우수침투형 구조물은 상측 우수받이(60)의 망체(62)가 측구(20)의 개구멍(22a)에 관통됨과 아울러 걸림요부(63)에 의해 걸쳐져 있어 상면이 개구멍(22a)을 통해 외부로 드러나 있고 하면은 바닥부(22)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돌출된 상측 우수받이(60)의 하면에 기둥형의 하측 우수받이(70)가 일렬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매달린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측 우수받이(60)는 걸림요부(63)에 고정핀을 이용하거나 또는 접착수단에 의한 접착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하측 우수받이(70)는 고정실이나 끈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우수침투형 구조물은 포장도로(10)를 따라 흐르거나 또는 하강되어 측구(20)로 유입되는 우수가 유속에 의해 측구(20)를 따라 흐르는 동시에 측구(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측 우수받이(60)로 침투되어 망체(62)에 의해 여과된다. 여과된 우수는 충진된 여과재(64)에 의해 1차 정화된 후 외부로 방류됨과 아울러 일부는 하측 우수받이(70)로 유입되는데, 외부로 방류되는 우수는 지하로 서서히 침투하게 되어 지하내 수분을 공급하고, 하측 우수받이(70)로 유입되는 우수는 긴 기둥 모양으로 충진되어 있는 여과재(74)를 통과하면서 2차 정화되어 지하 외부로 방류된다.
이와 같이 하측 우수받이(7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류되는 우수는 지하의 깊은 곳까지 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심층 지하까지 수분을 공급하게 되고, 이를 우수저류조와 같은 저수조나 하천으로 유도함으로써 우수를 재활용할 수 있다.
이때, 우수의 유속에 의해 우수와 함께 각종 이물질이나 모래가 유입될 수 있는데, 이물질은 상부에 위치되는 덮개판(30)이나 망체(62)에 의해 걸려 여과되고, 모래는 그 입자가 비교적 미세하기 때문에 여과되지 못하고 망체(62,72)내로 유입되기는 하지만 우수의 유속에 의해 다시 망체(62,72)의 표면다공으로부터 토출되므로 우수의 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도로와 인도, 절도 비탈면 등과 같은 노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측구의 하부에 우수받이를 설치하여 우수가 지하로 침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구로부터 우수의 범람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수도 및 지하수도의 고갈 현상을 방지하고, 이를 조경이나 하천 등에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물망 구조로 이루어지는 우수받이에 의해 우수와 같이 유입되는 각종 이물질 또는 모래 등을 효과적으로 여과하여 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그물망 내부에 충진되는 여과재에 의해 우수를 정화함으로써 우수의 재활용 범위를 광범위하게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포장도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측구와, 상기 측구의 상측에 위치되어 우수가 측구로 유입되도록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측구는 바닥부에 개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측구에
    상기 개구멍에 관통되어 상기 바닥부를 기준으로 하부로 돌출됨과 아울러 상기 바닥부의 내측 상면에 걸쳐지도록 테두리를 따라 연장면이 형성되고, 표면에는 미세한 다공이 형성되어 상기 측구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여과하여 지하로 침투시키는 망체;와,
    상기 망체를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우수를 정화화도록 상기 망체내에 다량으로 충진되는 여과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류되는 우수가 깊은 지하까지 침투될 수 있도록 상기 망체 하부에 긴 기둥형의 망체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긴 기둥형의 망체 내부에 상기 동일한 여과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는 100㎛이하의 입도를 갖는 유리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 탄소분말 또는 탄산나트륨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발도체를 0.5~2중량부 혼합하고, 산화철, 산화니켈, 산화크롬 또는 산화코발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착색제 0.2~2중량부를 혼합하여 열처리로에 투입한 다음, 6~8℃/분으로 승온하여 700~1,000℃의 온도에서 발포하고 냉각분쇄하여 제조된 입상의 다포 유리와, 난분해성 또는 기숙성된 유기물을 포함하여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
KR1020040074865A 2004-09-18 2004-09-18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 KR100635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865A KR100635549B1 (ko) 2004-09-18 2004-09-18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865A KR100635549B1 (ko) 2004-09-18 2004-09-18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962A KR20060025962A (ko) 2006-03-22
KR100635549B1 true KR100635549B1 (ko) 2006-10-18

Family

ID=37131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865A KR100635549B1 (ko) 2004-09-18 2004-09-18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5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753A (ko) 2017-11-10 2019-05-20 황주연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909B1 (ko) * 2009-10-26 2010-04-30 미라클워터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593907B1 (ko) 2014-05-23 2016-02-29 주식회사 진화건설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CN105019373A (zh) * 2015-04-03 2015-11-04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道路隔离方法及所采用的匚型道牙
CN105178134B (zh) * 2015-08-21 2017-05-03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道路绿色改造方法
CN105544344B (zh) * 2015-12-10 2018-08-03 天津泰达盐碱地绿化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增强城市缓坡透水路面渗水性能的方法
KR20180043980A (ko) * 2016-10-21 2018-05-02 최기재 도로의 빗물투수와 비점오염원 저감를 위한 로드트랜치 시설
CN106368099B (zh) * 2016-10-28 2019-04-16 西南科技大学 一种防止地下透水蓄水池的周围土体失稳的地下结构
CN109736409B (zh) * 2019-01-03 2020-09-15 温州益德建设有限公司 一种地埋式市政广场雨水收集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753A (ko) 2017-11-10 2019-05-20 황주연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962A (ko)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1369C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paving that help improving global warming
KR10129471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362254B1 (ko) 비점오염 처리능이 강화된 가로수목 식재박스
CN107326774A (zh) 多功能蓄水排水及涵养草坪的城市生态路面
CN204728165U (zh) 生态透水路面
KR101051778B1 (ko) 우수저장 블록, 집수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우수처리 시스템
CN204849520U (zh) 道路排水系统
KR101822899B1 (ko) 지하수 확보 기능이 향상된 측구 겸용 친환경 집수정 및 그것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친환경 도로 구조물
KR100635549B1 (ko) 포장도로 측구의 우수침투형 구조물
KR101008421B1 (ko) 독립된 배수관 및 배수구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제어용 배수시설
JP2006118265A (ja) 雨水排水システムにおける浸透管、浸透管付き取水桝及び排水システム
JP2009127359A (ja) 側溝の排水構造
KR101067024B1 (ko) 빗물침투장치
CN110924255A (zh) 园林透水路面结构
KR101894740B1 (ko) 투수식 맨홀
KR101593907B1 (ko)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KR100714315B1 (ko) 화단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CN207469021U (zh) 一种道路排水滤水结构系统
KR101374622B1 (ko) 침하방지 기능을 구비한 가로수목 식재 박스
JPH0786247B2 (ja) 複合機能型側溝
CN212865490U (zh) 一种应用于市政道路的生态滞留带
KR100531519B1 (ko) 보도블록 설치용 빗물정화 배출장치
KR101389479B1 (ko) 식생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빗물 침투·저류 시설구조
KR20090129319A (ko) 비노출 배수로의 기층구조 및 유공관을 포함하는 비노출 배수로의 시공방법
KR20100000569A (ko) 친환경 다공패널 그레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