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566A -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566A
KR20180021566A KR1020160106294A KR20160106294A KR20180021566A KR 20180021566 A KR20180021566 A KR 20180021566A KR 1020160106294 A KR1020160106294 A KR 1020160106294A KR 20160106294 A KR20160106294 A KR 20160106294A KR 20180021566 A KR20180021566 A KR 20180021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nonwoven fabric
drainage
sand inflow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홍
Original Assignee
윤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홍 filed Critical 윤여홍
Priority to KR1020160106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1566A/ko
Publication of KR2018002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Abstract

놀이터의 배수덮개 상에 모래유입방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빗물 또는 오수와 함께 놀이터의 모래 및 오폐물이 배수로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SAND INTRODUTION PREVENTING STRUCTURE OF TRENCH AND CONSTRUCTING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놀이터의 배수덮개 상에 모래유입방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빗물 또는 오수와 함께 놀이터의 모래 및 오폐물이 배수로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로는 놀이터의 가장자리, 운동장의 가장자리, 아파트의 가장자리 및 일반 도로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빗물 및 오수 등을 배출시킨다. 이러한 배수로에는 배수덮개가 덮어지고, 배수덮개에는 유입되는 빗물과 오수 등이 배수로 내로 유입되도록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다.
하지만, 상술한 배수로로 빗물과 오수가 배수공에 유입될 때, 각종 오폐물, 특히 놀이터에서는 모래가 함께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유입되는 오폐물 및 모래 등은 배수로를 따라 하천 등으로 방류되어 수질을 오염시켰다. 또한, 각종 오폐물 및 모래가 배출되지 않고 배수로의 바닥에 쌓이게 되면 각종 오폐물이 썩어서 심한 악취가 발생하고,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에는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가 되지 않아 빗물이 역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놀이터에 적층되어 있던 모래는 빗물과 함께 배수로 유입되고, 유실된 모래만큼 다시 모래를 채워넣어야 하기 때문에 예산 손실 및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배수덮개에 형성된 배수공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놀이터에서 어린아이들의 발이 빠지게 되어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놀이터의 배수덮개 상에 모래유입방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빗물 또는 오수와 함께 놀이터의 모래 및 오폐물이 배수로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놀이터에 적층되어 있던 모래가 배수로를 통해 유실되지 않게 구성되어, 예산 절감 및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놀이터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되, 상부가 개방되고 함체 형태로 마련되어 내측에 수로를 가지며, 상기 수로의 상단 양측으로 받침턱이 형성된 배수로와, 상기 받침턱에 양단이 안착되어 배수로의 상면을 마감하되, 상하 방향으로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덮개와, 상기 배수덮개의 상면에 설치되어 놀이터의 모래가 배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모래유입방지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모래유입방지부재는 상기 배수덮개의 상측에 설치되되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모래유입방지망과, 상기 모래유입방지망을 감싸게 설치되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놀이터의 배수로에서 배수덮개를 분리한 다음, 배수로의 수로 내의 모래와 이물질을 청소하는 배수로 청소단계; 상기 배수로의 상면에 배수덮개를 덮어 배수로를 밀폐시키는 배수로 밀폐단계; 상기 배수덮개의 상면에 배수로로 모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모래유입방지부재를 설치하는 모래유입방지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모래유입방지부재 설치단계는, 상기 배수덮개에 상면에 다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된 모래유입방지망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모래유입방지망을 부직포로 감싸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적용하면, 놀이터 배수구의 배수덮개 상에 설치된 모래유입방지망 및 부직포로 이루어진 모래유입방지부재를 통해, 빗물 또는 오수만이 배수로로 유입되고, 놀이터의 모래 및 이물질은 배수로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수구가 막히거나 놀이터의 모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은 놀이터에 적층되어 있던 모래가 배수로를 통해 유실되지 않게 구성되기 때문에 예산 절감 및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5 내지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의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로(100), 배수덮개(200), 모래유입방지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로(100)는 놀이터(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빗물 및 오수 등을 배출시키게 구성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함체 형태로 마련되어 내측에 수로(110)를 가지며, 상기 수로의 상단 양측으로 받침턱(1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배수로(110)는 놀이터에서 배수되는 빗물 및 오수가 유입되어 수로를 통해 하수관으로 배출시키게 구성된다.
상기 배수덮개(200)는 상기 받침턱(120)에 양단이 안착되어 배수로(100)의 상면을 마감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덮개(200)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수공(210)이 형성되어 배수공(210)을 통해 놀이터에서 배수되는 빗물 및 오수가 배수로 내부로 유입되게 구성된다.
상기 모래유입방지부재(300)는 상기 배수덮개(200)의 상면에 설치되어 놀이터(1)의 모래(S)가 배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모래유입방지부재(300)는 배수덮개(200)의 상면에 설치되어 놀이터에서 배수되는 빗물과 오수만을 배수로(100)로 유입시키고, 놀이터(1)의 모래 및 오폐물은 배수로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걸러주는 역활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래유입방지부재(300)는 모래유입방지망(310) 및 부직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모래유입방지망(310)은 상기 배수덮개(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유입공(311)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모래유입방지망은 망목선(312)이 "X"자형으로 배치되게 구성되어 내부에 다수개의 유입공(311)이 형성되는 메쉬망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모래유입방지망(310)은 배수덮개(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수덮개(200)의 지지를 받으면서, 유입공(311)을 통해 빗물과 오수만이 배수로(100) 내부로 유입되게 통과시키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부직포(320)는 상기 모래유입방지망(310)을 감싸게 설치된다. 즉, 상기 부직포(320)는 내부에 미세공이 형성되어 1차적으로 놀이터에서 배수되는 빗물과 오수만 유입시키고, 놀이터의 모래 및 오폐물은 유입되지 않게 걸러주는 역활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부직포(320)는 모래유입방지부재(300)에 쿠션을 제공하여 놀이터에서 노는 아이들이 배수덮개(200)에 부딪혀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도 수행한다.
나아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320)는 양단부가 상기 모래유입방지망(310)의 하측으로 접어져 상기 배수덮개(200)와 모래유입방지망(310) 사이에 배치되는 겹침부(32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직포(320)는 겹침부(321)가 배수덮개(200)와 모래유입방지망(310) 사이에 배치되어 부직포(320)의 양단부가 고정되기 때문에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겹침부(321)가 모래유입방지망(310)의 양단부를 감싸게 구성되기 때문에, 모래유입방지망(310)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32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 고무판(33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무판(330)의 가장자리 상면에서 투입되어 상기 부직포(300), 모래유입방지망(310) 및 부직포의 겹침부(321)를 통과한 후 배수덮개(200)에 결합되는 고정앙카(A)를 통해, 부직포(320) 및 모래유입방지망(310)이 배수덮개(200) 상에 고정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320) 상면에 설치되는 고무판(330)을 통해, 놀이터에서 노는 아이들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부직포 및 모래유입방지망이 배수덮개 상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놀이터 배수구의 배수덮개 상에 모래유입방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빗물 또는 오수와 함께 놀이터의 모래 및 오폐물이 배수로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수구가 막히거나 놀이터의 모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의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의 시공방법은 배수로 청소단계, 배수로 밀폐단계 및 모래유입방지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먼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놀이터의 배수로(100)에서 배수덮개(200)를 분리한 다음, 배수로(100)의 수로(100) 내의 모래와 이물질을 청소하는 배수로 청소단계를 실시한다. 이때, 배수로(100)와 인접한 놀이터(1)의 모래(S)는 배수로(100)로 유입되지 않도록 놀이터의 중앙측으로 미리 이동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로(100)의 상면에 배수덮개(200)를 덮어 배수로(100)를 밀폐시키는 배수로 밀폐단계를 실시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배수로 청소단계를 실시한 다음, 배수로(100)의 상부를 밀폐시켜줌으로써, 기존 설치된 배수로(100)의 구조 및 형태의 변형 없이 후술하는 모래유입방지부재(300)만을 배수덮개(200)에 설치하여 놀이터(1)의 모래(S)가 배수로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덮개(200)의 상면에 배수로(100)로 모래(S)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모래유입방지부재(300)를 설치하는 모래유입방지부재 설치단계를 실시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모래유입방지부재 설치단계는, 상기 배수덮개(200)의 상측에 다수개의 유입공(311)이 형성된 모래유입방지망(31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래유입방지망(310)은 상기 배수덮개(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유입공(311)이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으로, 망목선(312)이 "X"자형으로 배치되게 구성되어 내부에 다수개의 유입공(311)이 형성되는 메쉬망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모래유입방지망(310)은 배수덮개(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배수덮개(200)의 지지를 받으면서, 유입공(311)을 통해 빗물과 오수만이 배수로 내부로 유입되게 통과시키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래유입방지망(310)을 부직포(320)로 감싸 설치하는 단계를 실시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의 시공방법이 완료된다. 즉, 상기 부직포(320)는 내부에 미세공이 형성되어 1차적으로 놀이터에서 배수되는 빗물과 오수만 유입시키고, 놀이터의 모래 및 오폐물은 유입되지 않게 걸러주는 역활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공공법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직포(320)는 양단부가 상기 모래유입방지망(310)의 하측으로 접어져 상기 배수덮개(200)와 모래유입방지망(310) 사이에 배치되는 겹침부(321)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직포(320)는 겹침부(321)가 배수덮개(200)와 모래유입방지망(310) 사이에 배치되어 부직포(320)의 양단부가 고정되기 때문에 부직포(320)가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게 된다. 또한, 상기 겹침부(321)가 모래유입방지망(310)의 양단부를 감싸게 구성되기 때문에, 모래유입방지망(310) 또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공공법은 상기 부직포(32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 고무판(33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무판(330)의 가장자리 상면에서 투입되어 상기 부직포(320) 및 모래유입방지망을 통과한 후 배수덮개(200)에 결합되는 고정앙카(A)를 통해, 부직포(300) 및 모래유입방지망(310)이 배수덮개(200) 상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부직포(300) 상면에 설치되는 고무판(330)을 통해, 놀이터에서 노는 아이들이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부직포(320) 및 모래유입방지망(310)이 배수덮개(200) 상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놀이터 배수구의 배수덮개 상에 설치된 모래유입방지망 및 부직포로 이루어진 모래유입방지부재를 통해, 빗물 또는 오수만이 배수로로 유입되고, 놀이터의 모래 및 이물질은 배수로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수구가 막히거나 놀이터의 모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배수로 200: 배수덮개
300: 모래유입방지부재 310: 모래유입방지망
320: 부직포 330: 고무판

Claims (4)

  1. 놀이터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되, 상부가 개방되고 함체 형태로 마련되어 내측에 수로를 가지며, 상기 수로의 상단 양측으로 받침턱이 형성된 배수로와,
    상기 받침턱에 양단이 안착되어 배수로의 상면을 마감하되, 상하 방향으로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덮개와,
    상기 배수덮개의 상면에 설치되어 놀이터의 모래가 배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모래유입방지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모래유입방지부재는 상기 배수덮개의 상측에 설치되되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모래유입방지망과, 상기 모래유입방지망을 감싸게 설치되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유입방지망은 망목선이 "X"자형으로 배치되게 구성되어 내부에 다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는 메쉬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직포는 양단부가 상기 모래유입방지망의 하측으로 접어져 상기 배수덮개와 모래유입방지망 사이에 배치되는 겹침부가 형성되며,
    상기 부직포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 고무판이 설치되되, 상기 고무판의 가장자리 상면에서 투입되어 상기 부직포, 모래유입방지망 및 부직포의 겹침부를 통과한 후 배수덮개에 결합되는 고정앙카를 통해, 부직포 및 모래유입방지망이 배수덮개 상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3. 놀이터의 배수로에서 배수덮개를 분리한 다음, 배수로의 수로 내의 모래와 이물질을 청소하는 배수로 청소단계;
    상기 배수로의 상면에 배수덮개를 덮어 배수로를 밀폐시키는 배수로 밀폐단계;
    상기 배수덮개의 상면에 배수로로 모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모래유입방지부재를 설치하는 모래유입방지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모래유입방지부재 설치단계는, 상기 배수덮개에 상면에 다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된 모래유입방지망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모래유입방지망을 부직포로 감싸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의 시공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유입방지망은 망목선이 "X"자형으로 배치되게 구성되어 내부에 다수개의 유입공이 형성되는 메쉬망으로 구성되며,
    상기 부직포는 양단부가 상기 모래유입방지망의 하측으로 접어져 상기 배수덮개와 모래유입방지망 사이에 배치되는 겹침부가 형성되며,
    상기 부직포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 고무판이 설치되되, 상기 고무판의 가장자리 상면에서 투입되어 상기 부직포, 모래유입방지망 및 부직포의 겹침부를 통과한 후 배수덮개에 결합되는 고정앙카를 통해, 부직포 및 모래유입방지망이 배수덮개 상에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의 시공방법.
KR1020160106294A 2016-08-22 2016-08-22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021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94A KR20180021566A (ko) 2016-08-22 2016-08-22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294A KR20180021566A (ko) 2016-08-22 2016-08-22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566A true KR20180021566A (ko) 2018-03-05

Family

ID=6172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294A KR20180021566A (ko) 2016-08-22 2016-08-22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1566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5782A (en) * 1995-05-11 1998-03-10 Dandy Enterprises Limited Environmental filter
KR200181896Y1 (ko) * 1999-12-10 2000-05-15 홍종균 필터가 내장된 배수구 커버
US6717166B2 (en) * 2000-11-10 2004-04-06 Perceptron, Inc. Non-contact measurement device for accurately determining angular measurements in relation to plumb and level
US20110049027A1 (en) * 2009-08-26 2011-03-03 John Rueda Storm Drain Protector
US20120043266A1 (en) * 2006-06-13 2012-02-23 Moody Gary L Grate cover apparatus
KR20150135671A (ko) * 2014-05-23 2015-12-03 주식회사 진화건설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5782A (en) * 1995-05-11 1998-03-10 Dandy Enterprises Limited Environmental filter
KR200181896Y1 (ko) * 1999-12-10 2000-05-15 홍종균 필터가 내장된 배수구 커버
US6717166B2 (en) * 2000-11-10 2004-04-06 Perceptron, Inc. Non-contact measurement device for accurately determining angular measurements in relation to plumb and level
US20120043266A1 (en) * 2006-06-13 2012-02-23 Moody Gary L Grate cover apparatus
US8216453B2 (en) * 2006-06-13 2012-07-10 Moody Gary L Grate cover apparatus
US20110049027A1 (en) * 2009-08-26 2011-03-03 John Rueda Storm Drain Protector
KR20150135671A (ko) * 2014-05-23 2015-12-03 주식회사 진화건설 교량용 친환경 우수 유도 배수관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464B1 (ko) 빗물받이 집수정용 덮개 장치
EP0952263B1 (de) Einheit bestehend aus einem Kanalschacht eines Abwasserkanals und einer Vorrichtung zur Vermeidung des Austritts übelriechender Gase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KR20150095472A (ko) 여재를 포함한 회전식 카트리지 빗물받이
JP7470819B2 (ja) 下水溝用悪臭遮断装置
KR101524577B1 (ko) 맨홀의 악취 차단장치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20170049471A (ko) 도로 배수구용 거름판
KR101626502B1 (ko)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KR20080113514A (ko) 악취방지용 빗물받이 구조물
KR20110010631U (ko) 하수구용 이물질 거름 장치
KR20180021566A (ko) 놀이터 배수로의 모래 유입방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37956B1 (ko) 수질 개선을 위한 조립식 맨홀
KR200318205Y1 (ko) 도로 집수정
KR200228281Y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101027931B1 (ko) 집수구용 그레이팅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101181401B1 (ko) 도로 또는 교량 배수로의 집수구 그래이팅
KR200290545Y1 (ko) 악취방출 및 오물제거, 병충해방지, 역류처리 등 다기능하수구 뚜껑
KR100951061B1 (ko) 도심 시가지 도로 측구 배수 우수 받이
JP6001754B1 (ja) 側溝用雨水排水装置
KR20110076365A (ko) 집수구의 배수트랩
JP3718813B2 (ja) 浸透水排水装置用排水口
KR102158955B1 (ko) 오물차단막이 구비된 집수장치
KR200351729Y1 (ko) 교량 빗물받이 내부의 오물제거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