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5665A -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5665A
KR20190135665A KR1020180060943A KR20180060943A KR20190135665A KR 20190135665 A KR20190135665 A KR 20190135665A KR 1020180060943 A KR1020180060943 A KR 1020180060943A KR 20180060943 A KR20180060943 A KR 20180060943A KR 20190135665 A KR20190135665 A KR 20190135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insertion groove
base box
pillar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0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5395B1 (ko
Inventor
주영길
Original Assignee
주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길 filed Critical 주영길
Priority to KR1020180060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39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5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5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며, 상측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삽입홈이 형성된 기초박스; 상기 삽입홈에 끼워져 체결되는 기둥; 및 상기 삽입홈에 체결되어 삽입홈이 폐쇄되도록 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둥 또는 보호커버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이 삽입홈에 체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기초박스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터파기단계; 상기 확보한 공간에 기초박스를 매설하는 기초박스 시공단계; 상기 기초박스에 형성된 삽입홈에 기둥을 체결하는 기둥 체결단계; 및 상기 기초박스에 형성된 삽입홈에 보호커버를 체결하여 상기 삽입홈이 폐쇄되도록 하는 보호커버 체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둥 체결단계를 통해 기초박스에 기둥을 체결하거나 또는 보호커버 체결단계를 통해 기초박스에 보호커버를 체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DEMOLITION AND RE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철거 및 재설치가 가능한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농지나 스키장 등 정해진 기간 동안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장소에 설치되되, 사용되지 않는 유휴기간 동안 태양광 발전설비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지에 대한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키장이나 농지 등은 1년을 기준으로 사용 기간이 제한적으로 정하여져 있다.
일 예로, 스키장의 경우, 영하의 온도와 눈이 오는 기후 및 특정 깊이의 눈덩이로 뒤덮이는 추운 겨울 동안만 이용이 가능하며, 다른 예로, 농지의 경우, 주로 재배가 이루어지는 따뜻한 계절에만 이용이 가능하다.
즉 스키장은 주로 겨울철에만 운영되어 봄, 여름 및 가을 동안은 사용되지 않는 지역으로 구분되며, 농지의 경우, 주로 따뜻한 기후에서 이용이 가능하여 겨울 동안은 사용되지 않는 지역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특정기간 동안만 사용되는 지역에 철거 및 재설치 가능한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사용되지 않는 유휴기간 동안에도 대지에 대한 낭비를 최소화하고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5548호(2016.07.2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농지나 스키장 등 정해진 기간 동안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장소에 설치되되, 사용되지 않는 유휴기간 동안 태양광 발전설비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지에 대한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태양광 발전설비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설비를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태양광 발전설비를 지지하는 기둥의 철거 후, 상기 기둥이 체결되었던 기초박스에 보호커버로 대체하여 설치함으로써, 기초박스에 형성된 삽입홈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삽입홈을 폐쇄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은 지중에 매설되며, 상측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삽입홈이 형성된 기초박스; 삽입홈에 끼워져 체결되는 기둥; 및 삽입홈에 체결되어 삽입홈이 폐쇄되도록 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기둥 또는 보호커버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이 삽입홈에 체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기초박스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터파기단계; 확보한 공간에 기초박스를 매설하는 기초박스 시공단계; 기초박스에 형성된 삽입홈에 기둥을 체결하는 기둥 체결단계; 및 기초박스에 형성된 삽입홈에 보호커버를 체결하여 삽입홈이 폐쇄되도록 하는 보호커버 체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기둥 체결단계를 통해 기초박스에 기둥을 체결하거나 또는 보호커버 체결단계를 통해 기초박스에 보호커버를 체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의 설치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농지나 스키장 등 정해진 기간 동안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장소에 설치되되, 사용되지 않는 유휴기간 동안 태양광 발전설비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지에 대한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태양광 발전설비가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태양광 발전설비를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태양광 발전설비를 지지하는 기둥의 철거 후, 상기 기둥이 체결되었던 기초박스에 보호커버로 대체하여 설치함으로써, 기초박스에 형성된 삽입홈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삽입홈을 폐쇄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에서 기초박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에서 기초박스에 기둥이 체결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에서 기초박스에 보호커버가 체결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에서 보호커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보호커버에 배수홈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에서 보호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보호커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보호커버가 동작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의 설치 방법에서 다수 개의 기둥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이 지하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기초박스에 기둥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이 지하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기초박스에 보호커버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은 농지나 스키장 등 정해진 기간 동안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장소에 설치되되, 사용되지 않는 유휴기간 동안 태양광 발전설비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지에 대한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태양광 발전설비는 프레임(410)과 체결부재(420)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400) 전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후술되는 기둥(200)의 상단에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에서 기초박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에서 기초박스에 기둥이 체결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에서 기초박스에 보호커버가 체결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에서 보호커버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보호커버에 배수홈이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은 농지나 스키장 등 정해진 기간 동안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 농지나 스키장 등으로 사용되는 기간 동안 용이하게 철거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되지 않는 유휴기간 동안 태양광 발전설비가 임시적으로 재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기초박스(100), 기둥(200), 보호커버(300) 및 태양광 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초박스(10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중에 매설되며, 상측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삽입홈(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기초박스(100)는 선택적으로 후술되는 기둥(200)이 도 3에서와 같이 체결되거나 또는 보호커버(300)가 도 4에서와 같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둥(200)을 통해 태양광 모듈(400)을 설치하여 태양광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보호커버로 상기 삽입홈(110)을 폐쇄하여 비사용 기간 동안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기초박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블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목재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기초박스(100)는 태양광 모듈(400)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기둥(200) 각각이 지중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다수 개 매설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기초박스(100)에 형성된 삽입홈(110) 내주면에는 암나사산(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후술되는 기둥(200) 또는 보호커버(300)가 상기 삽입홈(110)에 체결되는 과정은 나사산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둥(200) 또는 보호커버(300) 일부분을 삽입홈(110)에 삽입한 후 회전시키는 과정만으로 견고하게 설치 또는 철거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기초박스(10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로, 세로, 폭의 길이가 약 1 : 1 : 1로 이루어진 정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세로, 폭의 길이가 각각 1m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삽입홈(110)은 정육면체 형태의 기초박스(100) 상단 중간 부분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삽입홈(110)의 직경은 약 75φ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둥(200)은 기초박스(100)의 삽입홈(110)에 끼워져 체결되는 것으로, 기초박스(100) 상단으로 노출되어 태양광 모듈(400)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태양광 모듈(400)이 지면으로부터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둥(20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단에는 태양광 모듈(400)이 결합되고, 하단은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삽입돌기(210)가 형성된다.
이때, 삽입돌기(210)의 외주면은 삽입홈(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111)에 대응되도록 수나사산(2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홈(110)에 삽입돌기(210) 삽입 후, 상기 기둥(200)을 회전시키는 과정만으로도 기초박스(100)에 기둥(200)이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삽입돌기(210)의 직경 d1은 기둥(200)의 직경 d2 보다 작게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홈(110)이 형성되는 깊이 l1은 삽입돌기(210)의 길이 l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삽입돌기(210)가 삽입홈(110)에 체결되면, 삽입돌기(210)의 직경 d1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기둥(200)의 직경 d2에 의해 기둥(200)의 하단면이 기초박스(100) 상단면에 접촉되어 걸림됨으로써, 기둥(200)이 기초박스(100) 상단면에 안전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삽입홈(110)에 삽입돌기(210)가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되, 삽입홈(110)이 형성되는 깊이 l1은 삽입돌기(210)의 길이 l2 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 삽입돌기(210)의 하단과 삽입홈(110)의 바닥면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공간은 기초박스(100)에 선택적으로 기둥(200) 또는 보호커버(300)가 철거 또는 재설치 되는 과정에서 삽입홈(110)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유입된 이물질 등에 의해 삽입홈(110)에 기둥(200) 또는 보호커버(300) 일부분이 삽입되지 않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기둥(200)은 상단에 태양광 모듈(400)이 설치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40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단에는 별도의 고정브라켓(2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브라켓(220)은 태양광 모듈(400)에 구비되는 프레임(410)과 체결부재(420)를 통해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정브라켓(220)은 기둥(200)의 상단에 넓은 판 형태의 태양광 모듈(400)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넓은 판 형태의 태양광 모듈(4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프레임(410)은 태양광 모듈(400)이 상단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배면측에 구비되고, 경도가 있으며, 태양광 모듈(40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stainless)나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프레임(410)은 태양광 모듈(4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다수 개 구비되는 태양광 모듈(4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정크선박스, 케이블, 접지홀, 마운팅 슬롯, 배수 구멍 등 상기 태양광 모듈(400)이 원활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구성들이 상기 프레임(410)을 통해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모듈(400)이 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프레임(41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ㄷ' 형태로 이루어지며, 태양광 모듈(400)의 측면 테두리 일부분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뒷면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태양광 모듈(400)과 태양과의 작용 면적을 최대화하여 태양광 발전 효율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420)는 기둥(200)과 태양광 모듈(400)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볼트와 너트에 의한 결합을 통해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기초박스(100)는 설계조건에 따라, 다수 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수 개의 기초박스(100) 각각에 기둥(200)이 체결되어 설치되면, 각각의 기둥(200)에 태양광 모듈(400)이 결합됨으로써, 넓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태양광 모듈(400)을 보다 견고하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나아가, 다수 개 구비되는 기둥(200)의 높이를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태양광 모듈(400)을 지지하는 기둥(200)의 높이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태양광 모듈(400)이 지면으로부터 설치되는 각도를 경사지도록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태양광 모듈(400)을 지지하기 위한 4개의 기초박스(100)가 구비되고, 4개의 기초박스(100) 중 정면측에 구비된 2개의 기초박스(100) 각각에는 짧은 길이의 기둥(200)이 체결되어 설치되고, 배면측에 구비된 나머지 2개의 기초박스(100) 각각에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기둥(200)이 체결되어 설치됨으로써, 4개의 기둥(200)에 연결되어 결합된 태양광 모듈(400)은 정면측은 낮고 배면측은 높게 형성됨에 따라, 정면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지면으로부터 태양광 모듈(400)의 경사진 형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태양광과의 발전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태양광 모듈(10)이 수평으로 설치되었을 때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보호커버(300)는 기초박스(100)의 삽입홈(110)에 끼워져 체결되는 것으로, 삽입홈(110)을 폐쇄하여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호커버(30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초박스(100)에 체결된 기둥(200) 철거 시 체결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체결돌기(310), 회전안내홈(320) 및 경사면(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결돌기(310)는 보호커버(300) 하측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기둥(200)의 삽입돌기(210)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주면은 삽입홈(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111)에 대응되도록 나사산(3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홈(110)에 체결돌기(310) 삽입 후, 보호커버(300)를 회전시키는 과정만으로도 기초박스(100)에 보호커버(300)가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안내홈(320)은 보호커버(300) 상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져 보호커버(30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회전안내홈(3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는 길고, 폭은 좁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회전안내홈(320)에 별도의 회전체 일부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회전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적은 힘으로도 보호커버(300)를 회전시켜 철거하거나 재설치 되도록 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보호커버(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안내홈(320)과 연통된 배수홈(3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수홈(321)은 보호커버(300)의 상측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진 회전안내홈(320)과 연통되도록 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보호커버(3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빗물과 같은 유체가 유입되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 등이 유입되어도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경사면(330)은 보호커버(300)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사면(330)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 형태로 이루어져 자전거나 차량 등과 같은 장비 및 일반차량 이동 또는 보행자 이동 시 보호커버(300)를 밝고 지나가는 경우, 상기 경사면(330)에 의해 원활하게 올라타고, 내려갈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상호간에 간섭을 최소화하여 마모 등에 따른 수명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경사면(330)의 상측면에는 안전표시부(3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전표시부(331)는 경사면(330)의 색과 다른 색을 띠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페인트 등과 같이 색을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경사면(330)과 다른 색으로 안전표시부(331)를 형성함으로써, 보호커버(300)가 보다 용이하게 육안 상 식별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안전표시부(331)는 경사면(330)에 부분적으로 노란색을 띠도록 페인트칠 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란색을 띤 안전표시부(331)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안전표시부(331)는 경사면(330)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별이 용이한 색을 띠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전표시부(331)는 야광물질 또는 형광물질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야간이나 또는 낮에도 빛을 흡수하고 보다 환하게 비춤으로써, 보호커버(300)를 육안 상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에서 보호커버의 다른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에서 보호커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보호커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보호커버가 동작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은 기초박스(100), 기둥(200), 보호커버(300) 및 태양광 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보호커버(300)는 안착홈(340), 가이드부(350), 회동홀(360) 및 회전손잡이(3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300)는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회전안내홈(320)의 구성을 대체하여 안착홈(340), 가이드부(350), 회동홀(360) 및 회전손잡이(370)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보호커버(300)를 철거하거나 재설치 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안착홈(340)은 경사면(330)이 형성된 보호커버(300)의 상단 중간 부분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안착홈(34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원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안착홈(340)은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와 같이, 원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후술되는 가이드부(350)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그 단면이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부(350)는 보호커버(300)의 중간 부분에 형성된 안착홈(340)의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안착홈(340)의 측면과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부(350)는 안착홈(340)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 형태로 이루어져 안착홈(340)의 측면과 이격되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안착홈(340)은 측면과 가이드부(35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링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동홀(360)은 안착홈(340)과 가이드부(350) 각각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회전손잡이(370)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회전손잡이(370)는 회동홀(360)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안착홈(340)과 가이드부(350)에 의해 형성되는 링 형태의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회동홀(360)에 설치된다.
이에, 회전손잡이(370)는 보호커버(300)가 기초박스(100)에 체결되어 설치된 경우, 또는 보관 시, 안착홈(340)의 바닥면으로 회동되어, 보호커버(300) 상단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장비 및 일반차량의 이동 또는 보행자 이동 시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반대로, 기초박스(100)에 보호커버(300)를 체결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철거하는 과정에서 회전손잡이(370)를 회동시키면, 상기 회전손잡이(370)는 보호커버(300) 상단으로 노출된 상태가 되며, 회전손잡이(370)의 노출된 부분을 파지하고 보호커버(300)를 회전시킴으로써, 기초박스(100)로부터 용이하게 철거하거나 재설치할 수 있다.
이때, 회전손잡이(370)는 링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는 안착홈(340)에 대응되도록 곡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안착홈(340)에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손잡이(37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기초박스(100)에 보호커버(300)를 설치하거나 또는 철거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회전손잡이(370)를 각각 파지한 채 보호커버(300)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당기면, 보다 적은 힘으로도 보호커버(300)가 회전되도록 하여 설치 및 철거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은 농지나 스키장 등 정해진 기간 동안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장소에 기초박스(100)를 설치하고, 상기 기초박스(100)에 보호커버(300)를 체결하여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농지나 스키장 등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되지 않는 유휴기간 동안은 보호커버(300)를 철거하고, 기초박스(100)에 기둥(200)을 체결한 뒤 태양광 모듈(400)을 설치함으로써, 태양광 발전설비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대지에 대한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기초박스(100)에 기둥(200)이나 보호커버(300)의 철거 또는 재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취급 및 운용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9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의 설치 방법에서 다수 개의 기둥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의 설치 방법은 터파기단계(S10), 기초박스 시공단계(S20), 기둥 체결단계(S30) 및 보호커버 체결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둥 체결단계(S30)를 통해 기초박스(100)에 기둥(200)을 체결하거나 또는 보호커버 체결단계(S40)를 통해 기초박스(100)에 보호커버(300)를 체결하는 단계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파기단계(S10)는 지중에 기초박스(100)를 매설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터파기단계(S10)는 기초박스(100)가 매설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터파기한 후, 기초박스(100)가 설치되면, 터파기 메움 및 다짐 등의 작업을 실시하여 기초박스(100)가 견고하게 매설되도록 할 수 있다.
기초박스 시공단계(S20)는 터파기단계(S10)에서 확보한 공간에 기초박스(100)를 매설하는 단계이다.
이때, 매설되는 기초박스(100)의 상단은 지면의 높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이물질 등이 기초박스(100)의 삽입홈(1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상기 기초박스(100)가 노출되도록 하여 매설된 위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터파기단계(S10) 및 기초박스 시공단계(S20)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넓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태양광 모듈(400)을 지지하기 위해 지중에 다수 개의 기초박스(100)를 매설하고, 각각의 기초박스(100)에 기둥(200)을 체결하여 설치함으로써, 태양광 모듈(400)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기둥 체결단계(S30)는 기초박스(100)에 형성된 삽입홈(110)에 선택적으로 기둥(200)을 체결하는 단계이다.
이때, 다수 개의 기초박스(100) 중 일부분의 기초박스(100)에 체결되는 기둥(200)의 높이와 나머지 일부분의 기초박스(100)에 체결되는 기둥(200)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이루어짐으로써, 다수 개의 기둥(200) 상단에 결합되는 태양광 모듈(400)의 경사진 형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호커버 체결단계(S40)는 기초박스(100)에 형성된 삽입홈(110)에 선택적으로 보호커버(300)를 체결하여 상기 삽입홈(110)이 폐쇄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보호커버 체결단계(S40)는 농지나 스키장 등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정해진 기간 동안 기초박스(100)에 보호커버(300)가 체결되어 폐쇄함으로써, 농지나 스키장 등의 특정 장소에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농지에서는 농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스키장에서는 스키를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특정한 장소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의 설치 방법은 농지나 스키장 등 정해진 기간 동안 임시적으로 사용되는 장소에 설치되되, 선택적으로 기둥 체결단계(S30)를 통해 기초박스(100)에 기둥(200)을 체결하거나 또는 보호커버 체결단계(S40)를 통해 기초박스(100)에 보호커버(300)를 체결함으로써, 사용되지 않는 유휴기간 동안 태양광 발전설비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대지에 대한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도 1 내지 도 11을 통해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이 지면에 노출되도록 구성된 예를 도시 및 명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이 지하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이 지하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기초박스에 보호커버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은 기초박스(100)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면으로부터 기초박스(100)의 상단까지 약 400 ~ 600mm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기초박스(100)가 지하에 매설되어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기초박스(100)에 기둥(200) 또는 보호커버(300)가 체결되어 설치되는 경우, 기초박스(100)의 상단까지 약 400 ~ 600mm의 깊이만큼 터파기를 실시한 후, 상기 기초박스(100)에 기둥(200) 또는 보호커버(300)를 선택적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농지나 스키장에 기초박스(100)가 설치되는 경우, 지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농지나 스키장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연의 기능과 기초박스(100)가 상호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박스(100)가 지하에 매설되어 설치되면, 지상으로는 스키장에서의 스키 이용이 가능하고, 농지에서의 트렉터와 같은 장비의 운영이 가능하며, 다양한 농작물의 생육이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면으로부터 지하에 매설되는 기초박스(100) 상단 사이의 간격이 약 400 ~ 600mm 이루어지는 것은, 지상에 심어지는 콩 등의 작물 뿌리가 600mm 깊이만큼 자라지 않는 점을 이용하기 위함이다.
즉 기초박스(100)는 지하에 매설되어 설치되되, 지면으로부터 기초박스(100) 상단까지 간격이 약 400 ~ 600mm로 이루어짐으로써, 농지나 스키장으로 사용되지 않는 기간 동안 터파기 실시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된 기초박스(100)에 기둥(200)을 체결하여 태양광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반대로, 농지나 스키장으로 사용되는 기간 동안 터파기 실시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된 기초박스(100)에 보호커버(300)를 체결하여 보호함으로써, 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농지나 스키장 본연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00 : 기초박스
110 : 삽입홈 111 : 암나사산
200 : 기둥
210 : 삽입돌기 211 : 수나사산
220 : 고정브라켓
300 : 보호커버
310 : 체결돌기 311 : 나사산
320 : 회전안내홈 321 : 배수홈
330 : 경사면 331 : 안전표시부
340 : 안착홈 350 : 가이드부
360 : 회동홀 370 : 회전손잡이
400 : 태양광 모듈
410 : 프레임 420 : 체결부재

Claims (10)

  1. 지중에 매설되며, 상측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삽입홈(110)이 형성된 기초박스(100);
    상기 삽입홈(110)에 끼워져 체결되는 기둥(200); 및
    상기 삽입홈(110)에 체결되어 삽입홈(110)이 폐쇄되도록 하는 보호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둥(200) 또는 보호커버(300) 중 선택된 하나의 구성이 삽입홈(11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200)은
    하측에 연장된 형태의 삽입돌기(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삽입돌기(2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산(211)과 삽입홈(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111)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110) 및 삽입돌기(210)는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돌기(210)의 직경 d1은 기둥(200)의 직경 d2 보다 작게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홈(110)이 형성되는 깊이 l1은 삽입돌기(210)의 길이 l2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300)는
    하측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삽입홈(11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산(111)에 체결되는 나사산(311)이 형성된 체결돌기(310);
    상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회전안내홈(320); 및
    상기 보호커버(300)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그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 형태의 경사면(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홈(320)은
    상기 회전안내홈(320)과 연통되도록 보호커버(300)의 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배수홈(3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300)는
    상단에 중간 부분이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안착홈(340);
    상기 안착홈(340)에 바닥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안착홈(340)의 측면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가이드부(350);
    상기 안착홈(340)과 가이드부(350) 각각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회동홀(360); 및
    상기 회동홀(360)에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손잡이(3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200)은
    상단에 구비된 고정브라켓(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정브라켓(220)은
    태양광 모듈(400)의 프레임(410)과 체결부재(420)를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8. 청구항 1 내지 7 중 선택된 한 항에 기재된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의 설치 방법에 있어서,
    기초박스(100) 설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터파기단계(S10);
    상기 확보한 공간에 기초박스(100)를 매설하는 기초박스 시공단계(S20);
    상기 기초박스(100)에 형성된 삽입홈(110)에 기둥(200)을 체결하는 기둥 체결단계(S30); 및
    상기 기초박스(100)에 형성된 삽입홈(110)에 보호커버(300)를 체결하여 상기 삽입홈(110)이 폐쇄되도록 하는 보호커버 체결단계(S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기둥 체결단계(S30)를 통해 기초박스(100)에 기둥(200)을 체결하거나 또는 보호커버 체결단계(S40)보호커버 체결단계(S40)0)에 보호커버(300)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의 설치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파기단계(S10) 및 기초박스 시공단계(S20)는 복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의 설치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다수 개의 기초박스(100) 중 일부분의 기초박스(100)에 체결되는 기둥(200)의 높이와 나머지 일부분의 기초박스(100)에 체결되는 기둥(200)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이루어짐으로써, 다수 개의 기둥(200) 상단에 결합되는 태양광 모듈(400)의 경사진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의 설치 방법.
KR1020180060943A 2018-05-29 2018-05-29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2075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943A KR102075395B1 (ko) 2018-05-29 2018-05-29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0943A KR102075395B1 (ko) 2018-05-29 2018-05-29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5665A true KR20190135665A (ko) 2019-12-09
KR102075395B1 KR102075395B1 (ko) 2020-02-10

Family

ID=6883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0943A KR102075395B1 (ko) 2018-05-29 2018-05-29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412B1 (ko) * 2023-01-11 2024-01-29 주식회사 윈스커뮤니티 조립이 용이한 친환경 전시용 부스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1699A (ko) * 2012-03-06 2013-09-16 (주)부강통신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JP2015098725A (ja) * 2013-11-19 2015-05-28 株式会社サンレール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とその据付工法
KR101645548B1 (ko) 2016-03-02 2016-08-05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태양광 발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1699A (ko) * 2012-03-06 2013-09-16 (주)부강통신 착탈 이동타입 조명등주 및 통신지주 결합구조
JP2015098725A (ja) * 2013-11-19 2015-05-28 株式会社サンレール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とその据付工法
KR101645548B1 (ko) 2016-03-02 2016-08-05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태양광 발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412B1 (ko) * 2023-01-11 2024-01-29 주식회사 윈스커뮤니티 조립이 용이한 친환경 전시용 부스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395B1 (ko) 202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670B1 (ko) 플랜터에 빗물을 공급하는 파고라 및 이의 설치방법
KR102233633B1 (ko)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KR20200123700A (ko) 절개지의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고정앵커
KR102075395B1 (ko) 철거 및 재설치 가능 구조물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188652B1 (ko) 수목의 수분 공급 유닛 및 그 장치
KR101361196B1 (ko) 화분 난간
KR20060106100A (ko) 수목 뿌리 유도판
KR20160100582A (ko) 매설형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CN205179883U (zh) 一种用于高层建筑的植物墙
CN210328641U (zh) 一种园林绿化用栽培器
BE1001680A5 (fr) Plaque de protection d'arbre.
KR20080097595A (ko) 지붕 녹화용 식생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지붕 녹화 시스템
KR20040078090A (ko) 도로 옹벽의 조경시설 설치구조
KR20120023330A (ko) 농업용 지주의 침하방지구
CN210460174U (zh) 一种园林护栏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101129005B1 (ko) 벽면녹화장치
KR100616245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용 옹벽설치구조
KR200465745Y1 (ko) 도로조경수용 바람막이 고정구
KR100542617B1 (ko) 담장 벽면 및 사면 녹화용 조립식 콘크리트 식생옹벽과그의 시공방법
KR100519910B1 (ko) 건축단지의 비탈면 방호시설
CN218291994U (zh) 一种岩石边坡的生态防护结构
KR101132766B1 (ko) 뿌리 성장 유도 수목보호대
KR100747155B1 (ko) 보행자 통로확보를 위한 공동주택용 옹벽 전면배수덮개
CN217679169U (zh) 一种基于预制化结构的公路边坡环保防护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