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3633B1 -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 Google Patents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3633B1
KR102233633B1 KR1020180096355A KR20180096355A KR102233633B1 KR 102233633 B1 KR102233633 B1 KR 102233633B1 KR 1020180096355 A KR1020180096355 A KR 1020180096355A KR 20180096355 A KR20180096355 A KR 20180096355A KR 102233633 B1 KR102233633 B1 KR 102233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box
soil
storage spac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543A (ko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이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훈 filed Critical 이성훈
Priority to KR102018009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36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3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3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8Raised beds; Planting beds; Edging elements for beds, lawn or the like, e.g. t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2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supply for industr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025/003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with an impermeable layer in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와 보도의 경계석 부근의 땅속에 매립 설치되어 도로와 보도에서 흘러들어오는 빗물을 이용하여 식물을 식재함과 동시에 빗물을 저류공간으로 유입시켜 일시적으로 저류시킨 후 지반토양으로 침투시킴으로써 집중호우에 따른 침수를 예방하고 도시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배치되는 제1박스부와, 상기 제1박스부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박스부로 구성되는 박스부; 및 상기 제1박스부의 상단부에 경첩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며, 상면에는 식재공간에 식재된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을 제외한 나머지 상면에는 내리는 비와 보도의 지표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을 식재공간과 저류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제1 및 제2유입공이 복수 개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박스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격벽이 구비되어 식재가 가능하도록 토양이 수용되는 식재공간과, 빗물이 수용되어 일시적으로 저류되는 저류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격벽에는 덮개부에 형성된 개구홀과 유입공을 통해서 식재공간으로 과하게 유입되는 빗물을 저류공간으로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배출공이 복수 개 형성되고, 후면 및 좌우 측면에는 식재공간으로 유입되는 빗물과 저류공간에 일정기간 저류된 빗물을 배출시켜 지반토양에 물을 침투시키는 침투공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하단부 테두리에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박스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후면 및 좌우측면에는 상기 제1박스부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배출시켜 지반토양에 물을 침투시키는 침투공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상단부 테두리에는 제1결합홈에 끼움 삽입되는 결합돌부가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단부 테두리에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박스부 또는 상기 제2박스부의 하부에는 지표면 아래 토양에 매립하여 안착시키는 경우 개방된 하부를 통해 내부로 입자가 굵은 잡석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형을 바르게 잡을 수 있도록 잡석유입방지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Rainwater infiltration device for flower beds}
본 발명은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와 보도의 경계석 부근의 지반토양에 매립 설치되어 내리는 비와 보도에서 흘러들어오는 빗물을 저류공간으로 유입시켜 일정기간 저류시킨 후 보도 아래 토양과 주변 가로수 및 화단으로 물이 공급되게 하여 가뭄과 답압으로 인한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함은 물론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를 예방하고 도시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지역은 지표면의 대부분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뒤덮여서 빗물의 침투가 어렵다. 따라서 강우시 빗물이 지표면 아래의 토양으로 침투되지 못하고 우수관거나 하수관거를 통하여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거나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폭우, 집중호우로 인하여 빗물의 양이 우수관거나 하수관거의 설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빗물의 역류, 표면침하 등이 발생하고 장시간 또는 일시에 많은 양의 빗물이 하천으로 유입되면 하천의 범람 등과 같은 재해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요즘 보도 블럭에 답압(踏壓)으로 인해 빗물이나 물이 보도 블럭 아래의 토양으로 침투되지 않아 토양이 숨을 쉬지 못하고 죽어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주변 가로수와 화단의 식물들이 시들어 죽어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땅속에 유공관을 매립시킨 후 물을 공급하므로 토양에 물을 침투시켜야 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 즉, 보행자가 통행하는 보도의 가장자리에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 및 보도를 보행하는 보행자들의 쾌적한 운전 및 보행을 위하여 도로변의 경관을 좋게 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화단이 조성되어지고 있다.
도로변에 화단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보도의 가장자리에 상당히 넓은 공간을 확보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비교적 도로의 폭이 좁은 도심이나 상가 밀집지역 또는 주택단지 등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에서는 도로의 폭을 넓게 하여 도로변에 화단을 조성하기란 사실상 어려움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비교적 폭이 좁은 도로변에도 다양한 종류의 꽃이나 나무를 식재할 수 있도록 대형 화분을 도로변에 비치하여 도로변의 환경을 아름답게 조성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변에 비치된 화분에 식재를 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마다 사람이 직접 물을 주면서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관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단순히 도로변이나 보도에 화분을 올려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보행에 불편을 주고 특히 야간보행시 부딪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화분에 식재된 화훼에 공급된 물이 무방비로 배수되어 도로변 주위가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57678호가 등록된 바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58468호가 등록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목적은 도로와 보도의 경계석 부근의 지반토양에 매립 설치되어 내리는 비와 보도에서 흘러들어오는 빗물을 저류공간으로 유입시켜 일정기간 저류시킨 후 보도 아래 토양과 주변 가로수 및 화단으로 물이 공급되게 하여 가뭄과 답압으로 인한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함은 물론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를 예방하고 도시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배치되는 제1박스부와, 상기 제1박스부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박스부로 구성되는 박스부; 및 상기 제1박스부의 상단부에 경첩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며, 상면에는 식재공간에 식재된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을 제외한 나머지 상면에는 내리는 비와 보도의 지표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을 식재공간과 저류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제1 및 제2유입공이 복수 개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박스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격벽이 구비되어 식재가 가능하도록 토양이 수용되는 식재공간과, 빗물이 수용되어 일시적으로 저류되는 저류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격벽에는 덮개부에 형성된 개구홀과 유입공을 통해서 식재공간으로 과하게 유입되는 빗물을 저류공간으로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배출공이 복수 개 형성되고, 후면 및 좌우 측면에는 식재공간으로 유입되는 빗물과 저류공간에 일정기간 저류된 빗물을 배출시켜 지반토양에 물을 침투시키는 침투공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하단부 테두리에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박스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후면 및 좌우측면에는 상기 제1박스부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배출시켜 지반토양에 물을 침투시키는 침투공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상단부 테두리에는 제1결합홈에 끼움 삽입되는 결합돌부가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단부 테두리에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박스부 또는 상기 제2박스부의 하부에는 지표면 아래 토양에 매립하여 안착시키는 경우 개방된 하부를 통해 내부로 입자가 굵은 잡석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형을 바르게 잡을 수 있도록 잡석유입방지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부 내에 저류공간을 구비시킴으로써, 도로와 보도의 경계석 부근의 지반토양에 매립 설치되어 내리는 비와 보도에서 흘러들어오는 빗물을 저류공간으로 유입시켜 일정기간 저류시킨 후 보도 아래 토양과 주변 가로수 및 화단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뭄과 답압으로 인한 물 부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박스부 내에 식재공간을 구비시킴은 물론 덮개부의 상단면을 보도의 높이와 일치시킴으로써, 구간의 다양한 종류의 꽃과 같은 식물을 전시할 수 있어서 도로 경관의 아름다움과 가로수와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도시미관을 향상시켜 주며, 비와 관수로 인해 화단의 토사가 유출되어 보도와 도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보행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여 야간보행시 부딪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함은 물론 빗물투수가 자연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제1박스부와 제2박스부가 탈착 가능하게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박스부를 제공함으로써, 매립하고자 하는 지반토양의 깊이에 맞춰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시켜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덮개가 열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된 조립식으로 구성된 박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2박스부와 또 다른 제2박스부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태에서 덮개가 열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1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로와 보도의 경계석 부근의 지반토양에 매립 설치되어 내리는 비와 보도에서 흘러들어오는 빗물을 저류공간으로 유입시켜 일정기간 저류시킨 후 보도 아래 토양과 주변 가로수 및 화단으로 물이 공급되게 하여 가뭄과 답압으로 인한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함은 물론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를 예방하고 도시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10)는 크게 박스부(100) 및 덮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박스부(100)는 도로와 보도의 사이 경계석 라인을 따라 지표면 아래의 지반토양에 매립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박스부(100)는 전체적으로 사각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내부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박스부(100)의 내부공간에는 격벽(110)이 구비되어 꽃과 같은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토양이 가득 채워지는 식재공간(120)과, 빗물이 수용되어 일시적으로 저류되는 저류공간(130)으로 구획되어 구비된다.
또한, 전술한 격벽(110)에는 후술되는 덮개부(200)에 형성된 개구홀(210)과 유입공(220)을 통해서 식재공간(120)으로 과하게 유입되는 빗물을 저류공간(130)으로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배출공(111)이 복수 개 형성된다.
또한, 박스부(100)의 후면 및 좌우 측면에는 식재공간(120)으로 유입되는 빗물과 저류공간(130)에 일정기간 저류된 빗물을 배출시켜 지반토양에 물을 침투시키는 침투공(140)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한편, 박스부(100)은 물에 젖어도 썩지 않으며 강도가 높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나무소재인 방부목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재질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박스부(100)의 개방된 하부에는 박스부(100)를 지반토양에 매립하여 안착시키는 경우 박스부(100) 내에 입자가 굵은 잡석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형을 바르게 잡을 수 있도록 잡석유입방지망(150)이 구비된다.
덮개부(200)는 전술한 박스부(100)의 개방된 상단부에 경첩(300)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는 것으로, 이와 같은 덮개부(200)의 상면에는 식재공간(120)에 식재된 식물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가로 길이방향으로 개구홀(210)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따라서 개구홀(210)은 식재공간(120)에서 식재되는 꽃과 같은 식물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내리는 비와 보도의 지표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이 유입되도록 하여 식재공간(120)에서 식재되는 꽃과 같은 식물에 수분을 공급해준다.
또한, 개구홀(210)의 주의에는 내리는 비와 보도의 지표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을 식재공간(120)으로 유입시키는 제1유입공(220)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저류공간(130)의 상부에 위치되는 덮개부(200)의 상면에는 내리는 비와 보도의 지표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을 저류공간(130)으로 유입시키는 제2유입공(230)이 복수 개 형성된다.
한편, 덮개부(200)는 전술한 박스부(100)와 동일하게 물에 젖어도 썩지 않으며 강도가 높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나무소재인 방부목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재질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덮개부(200)는 박스부(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단부가 지표면 위에 노출되게 구비되어 내리는 비와 보도에서 흘러들어오는 빗물을 유입시켜 박스부(100) 내에 구비된 식재공간(120) 및 저류공간(130)으로 공급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100)는 도로와 보도의 경계석 부근의 지반토양에 매립 설치되어 내리는 비와 보도에서 흘러들어오는 빗물을 식재공간(120)으로 유입시켜 식물을 식재함과 동시에 저류공간(130)으로 유입시켜 일정기간 저류시킨 후 보도 아래 토양과 주변 가로수 및 화단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뭄과 답압으로 인한 물 부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박스부(100) 내에 식재공간(120)을 구비시킴은 물론 덮개부(200)의 상단면을 보도의 높이와 일치시킴으로써, 구간의 다양한 종류의 꽃과 같은 식물을 전시할 수 있어서 도로 경관의 아름다움과 가로수와 조화를 이루도록 하여 도시미관을 향상시켜 주며, 비와 관수로 인해 화단의 토사가 유출되어 보도와 도로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보행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여 야간보행시 부딪혀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며, 빗물 투수가 자연친화적인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100)는 전체적으로 사각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형이나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된 조립식으로 구성된 박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2박스부와 또 다른 제2박스부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1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전술한 일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처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박스부(100)가 복수 개로 분할되어 조립식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조립식으로 구성된 박스부(100)는 최상부에 위치되어 경첩(300)에 의해 덮개부(200)가 장착되는 제1박스부(100-1)와, 이 제1박스부(100-1)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박스부(10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박스부(100-1)는 하단부 테두리에는 가로 길이방향을 따라 제1결합홈(100-11)이 형성된다.
또한, 제2박스부(100-2)의 상단부 테두리에는 제1박스부(100-1)의 제1결합홈(100-11)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부(100-21)가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하단부 테두리에는 또 다른 제2박스부(100-2`)의 상단부 테두리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부(100-21`)가 끼움 결합되도록 제2결합홈(100-22)이 형성된다.
즉, 박스부(100)를 매립하고자 하는 지반토양의 깊이가 낮은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박스부(100-1)에서 제2박스부(100-2)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제1박스부(100-1)만을 매립하여 사용한다. 한편, 제1박스부(100-1)만을 사용할 경우에 제1박스부(100-1)의 개방된 하부에 잡석유입방지망(150)을 설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스부(100)를 매립하고자 하는 지반토양의 깊이가 깊은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박스부(100-1)와 어느 하나의 제2박스부(100-2)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1박스부(100-1)에 결합된 제2박스부(100-2)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결합홈(100-22)에 또 다른 제2박스부(100-2`)에 형성된 결합돌부(100-21`)를 끼움 결합시켜 박스부(100)의 높이를 조절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토양에 매립시켜 사용한다. 한편, 제1박스부(100-1)에 제2박스부(100-2)를 조립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제2박스부(100-2)의 개방된 하부에 잡석유입방지망(150)을 설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스부(100)는 매립하고자 하는 지반토양의 깊이에 맞춰 제1박스부(100-1)의 하단부에 복수 개의 제2박스부(100-2)를 조립 및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박스부(100)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0 :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100 : 박스부
110 : 격벽 111 : 배출공
120 : 식재공간
130 : 저류공간
140 : 침투공
150 : 잡석유입방지망
100-1 : 제1박스부
100-11 : 제1결합홈
100-2 : 제2박스부
100-21 : 결합돌부 100-22 : 제2결합홈
200 : 덮개부
210 : 개구홀
220 : 제1유입공
230 : 제2유입공

Claims (3)

  1. 상부에 배치되는 제1박스부와, 상기 제1박스부의 하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박스부로 구성되는 박스부; 및
    상기 제1박스부의 상단부에 경첩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어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며, 상면에는 식재공간에 식재된 식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홀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홀을 제외한 나머지 상면에는 내리는 비와 보도의 지표면을 따라 흐르는 빗물을 식재공간과 저류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제1 및 제2유입공이 복수 개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박스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격벽이 구비되어 식재가 가능하도록 토양이 수용되는 식재공간과, 빗물이 수용되어 일시적으로 저류되는 저류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격벽에는 덮개부에 형성된 개구홀과 유입공을 통해서 식재공간으로 과하게 유입되는 빗물을 저류공간으로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배출공이 복수 개 형성되고, 후면 및 좌우 측면에는 식재공간으로 유입되는 빗물과 저류공간에 일정기간 저류된 빗물을 배출시켜 지반토양에 물을 침투시키는 침투공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며, 하단부 테두리에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박스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후면 및 좌우측면에는 상기 제1박스부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배출시켜 지반토양에 물을 침투시키는 침투공이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고, 상단부 테두리에는 제1결합홈에 끼움 삽입되는 결합돌부가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단부 테두리에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박스부 또는 상기 제2박스부의 하부에는 지표면 아래 토양에 매립하여 안착시키는 경우 개방된 하부를 통해 내부로 입자가 굵은 잡석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형을 바르게 잡을 수 있도록 잡석유입방지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96355A 2018-08-17 2018-08-17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KR102233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355A KR102233633B1 (ko) 2018-08-17 2018-08-17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355A KR102233633B1 (ko) 2018-08-17 2018-08-17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543A KR20200020543A (ko) 2020-02-26
KR102233633B1 true KR102233633B1 (ko) 2021-03-31

Family

ID=69637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355A KR102233633B1 (ko) 2018-08-17 2018-08-17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36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13537B (zh) * 2020-04-23 2020-08-04 浙江英洛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5g网络的干旱区生态修复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11990004A (zh) * 2020-08-04 2020-11-27 王辉 一种土壤干旱治理用集雨导渗预埋棒
KR102543474B1 (ko) 2021-01-14 2023-06-13 이성훈 띠녹지 화분
CN113854104B (zh) * 2021-09-02 2023-06-27 陕西云服务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互联网宣传展示用灌溉装置
CN115162791A (zh) * 2022-06-17 2022-10-1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景观池结构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776B1 (ko) * 2011-12-19 2014-04-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678B1 (ko) 2005-10-04 2006-03-10 (주)정도엔지니어링 친환경적인 조경식재용 보행자 도로 화단
KR100558468B1 (ko) 2005-12-09 2006-03-15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도로 조경용 화단
KR101362253B1 (ko) * 2011-12-19 2014-02-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로수목 식재 박스
KR101701372B1 (ko) * 2014-02-28 2017-02-0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깔때기형 빗물 활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776B1 (ko) * 2011-12-19 2014-04-0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측구집수조 일체형 가로수목 식재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543A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633B1 (ko)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KR100888887B1 (ko) 가로수용 급수 및 급양 장치 및 가로수 보호 조립체
KR101781334B1 (ko) L형 측구를 활용한 다기능 배수관
KR200436071Y1 (ko) 장애인 주차 표시용 조립식 저류 식생매트
KR100822057B1 (ko) 담수형 가로수 보호 덮개
KR20110139019A (ko) 평면부지의 직접배수방식 빗물처리 저류시설, 그 저류시설에 이용되는 직접배수방식 빗물처리 저류시설용 저류 블록 및 배수 블록
KR100868986B1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102076482B1 (ko)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KR102323550B1 (ko) 물 공급기능을 갖는 수목보호 조립체
KR100736388B1 (ko) 다기능 도로 경계석
KR102015523B1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KR100917382B1 (ko) 공간 잔디 블럭
JPH08205691A (ja) 植樹帯
KR100536411B1 (ko) 도로용 법면보호블록 설치구조
KR20120005351U (ko) 화분타입의 보차도 경계 펜스
US20210029901A1 (en) Plant System with Water Storage Chambers
KR101878286B1 (ko) 분할 조립형 pc 블록을 갖는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KR102318575B1 (ko) 저영향 개발 기법이 적용된 친환경 도시 보행로 시스템
KR200403858Y1 (ko) 수로덮개
KR20200120192A (ko) 고정력이 향상된 다기능 조립식 경계석 받침틀
KR101295474B1 (ko) 화분용 배수장치
KR100747155B1 (ko) 보행자 통로확보를 위한 공동주택용 옹벽 전면배수덮개
JP7359238B2 (ja) 外構構造
KR102568826B1 (ko) 도로변 식생 급수기능을 갖는 식재 펜스
JPH03128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