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474B1 - 화분용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화분용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474B1
KR101295474B1 KR1020130010235A KR20130010235A KR101295474B1 KR 101295474 B1 KR101295474 B1 KR 101295474B1 KR 1020130010235 A KR1020130010235 A KR 1020130010235A KR 20130010235 A KR20130010235 A KR 20130010235A KR 101295474 B1 KR101295474 B1 KR 101295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rainage
water
block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세민
김이슬
정다인
Original Assignee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0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블록과, 그레이팅과, 개폐기구를 포함하는 화분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수블록은 물이 유입하는 상 개구부와 하수로에 연통하는 하 개구부를 구비한다. 그레이팅은 화분이 안착되는 한편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 개구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구역으로 나누어지고, 각 구역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 띠판에 의해 물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수 블록 내로 유입한다. 개폐기구는 배수블록 내에 유입된 물의 양에 따라 하 개구부를 개폐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 등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화분의 하측에 구비되어 건조한 날에도 화분에 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배수구에서 비산되는 냄새를 차단하며 여러 방향에서 유입되는 물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분용 배수장치{Drain apparatus for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등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화분의 하측에 구비되어 화분에 습기를 공급하며 배수구에서 비산되는 냄새를 차단하며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양측에는 도로와 보행자 도로 사이를 흐르는 오수와 우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되고, 배수구에는 상측이 개구되며 하수로와 연통된 배수홀을 가지는 배수블록이 설치되는 한편 배수블록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스틸재의 그레이팅이 설치된다. 배수블록의 상단부에는 안착턱이 형성되어 그레이팅이 안착턱에 안착됨으로써 배수블록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배수구에 설치된 배수블록과 그레이팅은 오수와 우수를 배수하는 기능만을 감안하였을 뿐 도로의 조형미를 전혀 고려하지 않았고, 특히 스틸재로 이루어진 그레이팅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시각적인 미감이 좋지 못하였다.
이러한 도로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배수시설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국등록특허 제10-0582023호 에서는 도로변의 배수시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도로용 배수시설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82023호에 개시된 도로용 배수시설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1)와 인도(2)를 구획하는 경계석(3)을 따라 경계석(3)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며 내부가 하수로(4)와 연통된 상측 개구형 배수블록(10)과, 배수블록(10)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 그레이팅(11)과, 내부에 공기 등이 채워진 박스형이면서 도로측과 그레이팅측이 개방된 배수홀(도시안됨)을 가지며 배수블록(10)에 유입되는 오수와 우수에 부유하는 부유블록(20)과, 부유블록(2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식생토(31)가 채워진 상태에서 초목 또는 화훼(F)가 식재된 화분(3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로용 배수시설에서 화분(30)에 식재된 화훼(F)에 의해 그레이팅(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도로변이 자연환경으로 조성됨에 따라 그레이팅(11) 및 경계석(3)에 의한 삭막함을 느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자연미를 느낄 수 있게 된다. 오수 및 우수의 양이 적을 때에는 도로 노면을 따라 흐르는 오수와 우수가 부유블록(20)의 배수홀(도시안됨)을 경유하여 그레이팅(11)의 배수공을 통과함으로써 배수블록(10)에 유입되고, 오수 및 우수의 양이 많을 때에는 도로(1)에 오수 및 우수가 차게 됨에 따라 오수 및 우수의 양이 많아져 부유블록(20)이 부유하게 되어 부유블록(20)이 그레이팅(11)의 배수공을 막지 않으므로 도로(1)의 오수와 우수가 막힘없이 배수블록(10)으로 배수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도로용 배수시설에서는 건조한 날에는 화분(30)에 습기가 공급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하수로의 냄새가 그레이팅(11) 및 부유블록(20)을 통해 외부로 비산되므로 주택가 등의 도로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하며, 여러 방향에서 도로의 물이 배수구에 유입되는 경우에는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한 날에도 화분에 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배수구에서 비산되는 냄새를 차단하며 여러 방향에서 유입되는 물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는, 물이 유입하는 상 개구부와 하수로에 연통하는 하 개구부를 구비하는 배수블록과, 화분이 안착되는 한편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과, 배수블록 내에 유입된 물의 양에 따라 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를 포함하고; 그레이팅은 다수의 구역으로 나누어지고 각 구역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 띠판에 의해 물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수 블록 내로 유입한다.
그레이팅은 구획대에 의해 4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지고, 각 구역의 가이드 띠판은 인접하는 구역의 가이드 띠판과 90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각 구역의 가이드 띠판은 보강대에 의해 연결되어 보강될 수 있다.
배수블록의 상단에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그레이팅은 슬라이딩 홈에 끼워져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슬라이딩 홈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그레이팅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의 슬라이딩 홈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케 결합된다.
개폐기구는 물의 양에 따라 요동하는 개폐판에 의해 개폐된다.
개폐판은 하 개구부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하나의 개폐판으로 이루어져 하 개구부의 타측이 개방되거나, 하 개구부의 양측변에 힌지결합된 두 개의 개폐판으로 이루어져 하 개구부의 중간이 개방되거나, 하 개구부의 중간을 따라 가르지는 힌지봉에 힌지결합된 두 개의 개폐판으로 이루어져 하 개구부의 양측이 개방될 수 있다.
개폐판의 힌지결합부에는 물이 배수된 후 개폐판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이 결합된다.
개폐기구는 물의 양에 따라 부유하는 부유구에 의해 개폐될 수도 있다.
부유구는 배수블록의 중간에 위치하며, 적은 양의 물에 의해서도 부유구가 용이하게 부유하도록 배수블록은 가장자리에서 중간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 배수블록은 가장자리에서 중간을 향하여 하측으로 다단으로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블록의 경사진 내면에는 배수블록의 중간으로 이물질이 흘러 내리지 않도록 그물망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블록의 중간에는 부유구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유구는 배수블록의 중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견인구에 의해 배수블록의 경사면에 매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에 의하면, 도로 등의 배수구에 설치되는 화분의 하측에 구비되어 건조한 날에도 화분에 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배수구에서 비산되는 냄새를 차단하며 여러 방향에서 유입되는 물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도로용 배수시설을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배수블록과 개폐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그레이팅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은 도 8의 배수블록과 개폐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배수블록과 개폐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그레이팅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100)는 배수블록(110)과, 그레이팅(120)과, 개폐기구(130)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를 포함하여 이하의 실시예 설명에서는 도로 등의 지면(G)에 형성된 배수구에 설치된 화분용 배수장치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화분용 배수장치(100)는 그레이팅(120) 상면이 지면(G)과 동일한 레벨로 배수구 내에 설치되며, 그레이팅(120)의 상면에는 화분(F)이 안착된다. 화분(F)은 자연식물이 심어진 화분이나 인조식물이 장식된 화분이 될 수 있다.
배수블록(110)은 물이 유입하는 상 개구부와 하수로에 연통하는 하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 개구부에는 그레이팅(120)이 설치되고 하 개구부에는 개폐기구(130)가 설치되는 사각 통형태의 프레임으로 되어 있다.
배수블록(110)의 상단에는 세로방향으로 양측에 상 플랜지(111)가 형성되고, 상 플랜지(111)의 상면에 슬라이딩 홈(112)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홈(112)에는 그레이팅(120)이 끼워져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 플랜지(111)와 슬라이딩 홈(112)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사방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 플랜지(111)와 슬라이딩 홈(112)이 사방으로 형성된 구조에서는 그레이팅(120)을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이 슬라이딩 홈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조립하기가 용이하며 결합 방향의 선택 폭이 넓어진다. 상 플랜지(111)는 배수블록(110)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슬라이딩 홈(112)은 경사지게 파인 걸림 띠홈 형태이다.
배수블록(110)의 하단에는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에서 내측으로 돌출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하 플랜지(113)가 형성되고,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하 플랜지(113)의 단부에는 개폐기구(130)의 후술하는 힌지봉을 수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부(114)가 형성된다.
그레이팅(120)은 다수의 구역으로 나누어지고 각 구역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 띠판에 의해 물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수블록(110) 내로 유입하게 하는 덮개이며, 상면에는 화분(F)이 직접 안착되는 한편 배수블록(11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한다.
제1실시예에서 그레이팅(120)은 사각의 프레임(121) 내부에 십자형 구획대(122)가 4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각 구역에는 경사진 가이드 띠판(123)이 다수 열로 배열되어 배수블록(110)의 내부가 보이지 않게 형성된 구조로서, 인접하는 구역의 가이드 띠판(123)은 서로 90도 방향(4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어, 경사진 가이드 띠판(123)에 의해 물이 사방에서 배수블록(110) 내로 유입하게 되어 있다. 각 구역의 가이드 띠판(123)은 봉 또는 띠판 등의 보강대에 의해 인접하는 가이드 띠판(123)이 연결되어 보강될 수 있다. 프레임(121)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슬라이딩 홈(112)에 끼워져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슬라이딩 돌출부(121a)가 형성되어 있다.
십자형 구획대(122)는 대체로 삼각 단면형의 구획대로서, 그 상면(A)은 수평면을 이루어 화분(F)에 접하고, 그 일측면(B)은 수직면을 이루어 하나의 구역의 가이드 띠판(123)의 측면에 접하고, 그 타측면(C)은 경사면을 이루어 인접하는 구역의 가이드 띠판(123)의 경사면과 마주본다. 따라서, 십자형 구획대(122)는 가이드 띠판(123)과의 사이에서 빗물이나 이물질이 고이지 않는다. 또한 십자형 구획대(122)의 상면은 십자의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쳐져 넓은 띠면을 형성하여 가이드 띠판(123)의 길이(L)가 길게 형성된다.
개폐기구(130)는 배수블록(110) 내에 유입된 물의 양에 따라 배수블록(110)의 하 개구부를 개폐하는 기구로서, 물의 양에 따라 요동하는 개폐판(131)에 의해 개폐된다. 개폐판(131)은 하 개구부의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는 두 개의 개폐판으로 이루어져 하 개구부의 중간이 개방되는 구조이다. 개폐판(131)은 배수블록(110)의 안내부(114)에 끼워진 힌지봉(132)에 의해 힌지결합되고, 개폐판(131)의 힌지결합부에는 힌지봉(132)에 끼워진 복원스프링(133)이 구비된다. 복원스프링(133)은 물이 배수된 후 개폐판(131)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복원스프링(133)은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100)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이팅(120)의 상측에는 화분(F)이 설치되어 배수구의 미관을 장식하게 되고, 화분(F)을 통해 흐르는 물은 그레이팅(120)의 경사진 가이드 띠판(123) 사이의 틈을 통해 배수블록(110) 내에 유입하게 된다.
배수블록(110) 내에 유입된 물은 일정 수위가 될 때까지 배수되지 않고 고여 있으므로, 하수로(도시안됨)에서 올라오는 악취 등을 막는 한편 화분(F)의 하측에서 습기를 공급하여 화분(F)의 식물 성장을 도운다. 배수블록(110)의 내부에 물(W)이 일정 수위 이상으로 차면, 물의 무게에 의해 개폐판(131)이 힌지봉(132)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 열리고, 물이 하수로(도시안됨)를 향하여 배수된다. 일정량의 물이 빠지면 물의 무게가 줄어지므로 복원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판(131)이 닫히게 되므로 배수블록(110) 내에는 항상 일정 수위의 물이 차 있게 된다.
화분(F)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그레이팅(120)의 경사진 가이드 띠판(123)에 의해 배수블록(110)의 내부가 보이지 않게 되므로 도로 미관을 높인다. 그리고, 그레이팅(120)은 다수의 구역으로 나누어지고 각 구역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 띠판(123)에 의해 물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수 블록(110) 내로 유입하므로, 여러 방향에서 도로의 물이 배수구에 유입되는 경우에도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그레이팅(120)은 배수 블록(110)의 슬라이딩 홈에 끼워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그레이팅(120)의 이탈이 방지되며 조립 및 수리하기가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200)는 물이 유입하는 상 개구부와 하수로에 연통하는 하 개구부를 구비하는 배수블록(210)과, 화분(F)이 안착되는 한편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220)과, 배수블록(210) 내에 유입된 물의 양에 따라 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기구(230)를 포함한다.
개폐기구(230)는 물의 양에 따라 요동하는 개폐판(231)에 의해 개폐된다. 개폐판(231)은 하 개구부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하나의 개폐판으로 이루어져 하 개구부의 타측이 개방되는 구조이다.
배수블록(210)과, 그레이팅(220)과, 개폐기구(230)의 나머지 구성과 그 작용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300)는 물이 유입하는 상 개구부와 하수로에 연통하는 하 개구부를 구비하는 배수블록(310)과, 화분(F)이 안착되는 한편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320)과, 배수블록(310) 내에 유입된 물의 양에 따라 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기구(330)를 포함한다.
개폐기구(330)는 물의 양에 따라 요동하는 개폐판(331)에 의해 개폐된다. 개폐판(331)은 하 개구부의 중간을 따라 가르지는 힌지봉(332)에 힌지결합된 두 개의 개폐판으로 이루어져 하 개구부의 양측이 개방되는 구조이다.
배수블록(310)과, 그레이팅(320)과, 개폐기구(330)의 나머지 구성과 그 작용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은 도 8의 배수블록과 개폐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400)는 물이 유입하는 상 개구부와 하수로에 연통하는 하 개구부를 구비하는 배수블록(410)과, 화분(F)이 안착되는 한편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420)과, 배수블록(410) 내에 유입된 물의 양에 따라 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기구(430)를 포함한다.
개폐기구(430)는 물의 양에 따라 부유하는 부유구(431)에 의해 개폐된다. 부유구(431)는 배수블록(410)의 내부 중간(중앙)에 위치하며, 적은 양의 물에 의해서도 부유구가 용이하게 부유하도록 배수블록(410)은 가장자리에서 중간을 향하여 다단(본 실시예에서는 3단)으로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
배수블록(410)의 경사진 내면(최상측단 내면)에는 배수블록(410)의 중간으로 이물질(G)이 흘러 내리지 않도록 그물망(415)이 구비되어 있다. 그물망(415)은 걸림대(416)에 걸쳐 있다. 걸림대(416)는 배수블록(410)의 내부 둘레를 따라 세워진 다수의 포스트나, 원형으로 구부려지며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띠판 형태가 될 수 있다. 배수블록(410)의 중간에는 부유구가 걸리는 걸림턱(4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레이팅(420)과, 배수블록(410)과 개폐기구(430)의 나머지 구성과 그 작용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5실시예에 의한 화분용 배수장치(500)는 물이 유입하는 상 개구부와 하수로에 연통하는 하 개구부를 구비하는 배수블록(510)과, 화분(F)이 안착되는 한편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520)과, 배수블록(510) 내에 유입된 물의 양에 따라 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기구(530)를 포함한다.
개폐기구(530)는 물의 양에 따라 부유하는 부유구(531)에 의해 개폐된다. 부유구(531)는 배수블록(510)의 내부 중간(중앙)에 위치하며, 적은 양의 물에 의해서도 부유구(531)가 용이하게 부유하도록 배수블록(510)은 가장자리에서 중간을 향하여 다단(본 실시예에서는 3단)으로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 부유구(531)는 배수블록(510)의 중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견인구(535)에 의해 배수블록(510)의 경사면에 매어져 있다. 견인구(535)는 끈 또는 망 등으로 이루어지며, 배수블록(510)의 경사면에는 견인구(535)가 걸리어 매어지도록 걸림고리 등이 구비된다.
배수블록(510)의 경사진 내면(최상측단 내면)에는 배수블록(510)의 중간으로 이물질(G)이 흘러 내리지 않도록 그물망(515)이 구비되어 있다. 그물망(515)은 걸림대(516)에 걸쳐 있다. 걸림대(516)는 배수블록(510)의 내부 둘레를 따라 세워진 다수의 포스트나, 원형으로 구부려지며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띠판 형태가 될 수 있다. 배수블록(510)의 중간에는 부유구가 걸리는 걸림턱(517)이 형성되어 있다.
그레이팅(520)과, 배수블록(510)과 개폐기구(530)의 나머지 구성과 그 작용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화분용 배수장치 110 : 배수블록
111 : 상 플랜지 112 : 슬라이딩 홈
113 : 하 플랜지 114 : 안내부
120 : 그레이팅 121 : 프레임
122 : 구획대 123 : 가이드 띠판
130 : 개폐기구 131, 231, 331 : 개폐판
132 : 힌지봉 133 : 복원스프링
415, 515 : 그물망 416, 516 : 걸림대
417, 517 : 걸림턱 431, 531 : 부유구
535 : 견인구 F : 화분
G : 지면 W : 물

Claims (16)

  1. 물이 유입하는 상 개구부와 하수로에 연통하는 하 개구부를 구비하는 배수블록과, 상면에 화분이 직접 안착되는 한편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 개구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과, 상기 배수블록 내에 유입된 물의 양에 따라 상기 하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그레이팅은 십자형 구획대에 의해 4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각 구역에는 경사진 가이드 띠판이 다수 열로 배열되어 상기 배수 블록의 내부가 보이지 않게 되는 한편 인접하는 구역의 경사진 가이드 띠판과 4개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경사진 가이드 띠판에 의해 물이 사방에서 상기 배수 블록 내로 유입되게 하며,
    상기 십자형 구획대는 그 상면(A)은 수평면을 이루어 상기 화분에 접하고, 그 일측면(B)은 수직면을 이루어 하나의 구역의 상기 가이드 띠판의 측면에 접하고, 그 타측면(C)은 경사면을 이루어 인접하는 구역의 상기 가이드 띠판의 경사면과 마주보는 삼각 단면형태로서, 상기 가이드 띠판 과의 사이에서 빗물이나 이물질이 고이지 않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십자형 구획대의 상면은 십자의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쳐져 넓은 띠면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띠판의 길이(L)가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구역의 가이드 띠판은 보강대에 의해 연결되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블록의 상단에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그레이팅은 상기 슬라이딩 홈에 끼워져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홈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그레이팅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의 슬라이딩 홈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는 물의 양에 따라 요동하는 개폐판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상기 하 개구부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하나의 개폐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 개구부의 타측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상기 하 개구부의 양측변에 힌지결합된 두 개의 개폐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 개구부의 중간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상기 하 개구부의 중간을 따라 가르지는 힌지봉에 힌지결합된 두 개의 개폐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 개구부의 양측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의 힌지결합부에는 물이 배수된 후 상기 개폐판을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는 물의 양에 따라 부유하는 부유구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부유구는 상기 배수블록의 중간에 위치하며, 적은 양의 물에 의해서도 상기 부유구가 용이하게 부유하도록 상기 배수블록은 가장자리에서 중간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배수블록은 가장자리에서 중간을 향하여 하측으로 다단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배수블록의 경사진 내면에는 상기 배수블록의 중간으로 이물질이 흘러 내리지 않도록 그물망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배수블록의 중간에는 상기 부유구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부유구는 상기 배수블록의 중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견인구에 의해 상기 배수블록의 경사면에 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배수장치.
KR1020130010235A 2013-01-30 2013-01-30 화분용 배수장치 KR101295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235A KR101295474B1 (ko) 2013-01-30 2013-01-30 화분용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235A KR101295474B1 (ko) 2013-01-30 2013-01-30 화분용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474B1 true KR101295474B1 (ko) 2013-08-09

Family

ID=4922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235A KR101295474B1 (ko) 2013-01-30 2013-01-30 화분용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4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538B1 (ko) 2021-03-24 2021-10-14 김상대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023B1 (ko) * 2006-02-15 2006-05-22 (주)다산컨설턴트 친환경적인 도로용 배수시설
KR20080006537U (ko) * 2007-06-21 2008-12-26 원용일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
KR200449090Y1 (ko) * 2007-12-12 2010-06-17 김동학 하수구의 악취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023B1 (ko) * 2006-02-15 2006-05-22 (주)다산컨설턴트 친환경적인 도로용 배수시설
KR20080006537U (ko) * 2007-06-21 2008-12-26 원용일 하수관로 악취 및 오수 역류 방지장치
KR200449090Y1 (ko) * 2007-12-12 2010-06-17 김동학 하수구의 악취 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538B1 (ko) 2021-03-24 2021-10-14 김상대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016B1 (ko) 저관리형 도시녹화 조경모듈
KR100576323B1 (ko) 도로의 배수측구겸용 우수처리시설물
KR20200020543A (ko)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KR101969827B1 (ko) 조경용 트렌치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06057B1 (ko)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KR100537175B1 (ko) 환경 친화적인 도로의 배수시설
KR101295474B1 (ko) 화분용 배수장치
KR20150055370A (ko) 가로수용 수목 보호판
KR101505984B1 (ko) 가로 녹지용 저류 관수장치
AU2011100491A4 (en) Root Barrier
KR102015523B1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CN202482987U (zh) 雨水边沟盖板
KR101282777B1 (ko)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KR101703642B1 (ko) 배수용 방초 덮개
KR20120005351U (ko) 화분타입의 보차도 경계 펜스
KR101361607B1 (ko) 하수관거의 자연친화적인 악취저감장치
KR101086096B1 (ko) 간이형 생태수로
KR102226600B1 (ko) 그레이팅 조립체와, 우수를 재이용하는 식생구조를 갖는 비점오염원 정수 처리시스템
KR100619528B1 (ko) 건축단지용 조립식화단
KR100582023B1 (ko) 친환경적인 도로용 배수시설
KR102292123B1 (ko) 가로수 보호 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시스템
KR101297778B1 (ko) 주거단지의 도로에 설치되는 텃밭조성용 홈통
KR20220054732A (ko) 가로수 보호 덮개 물받이의 토사 침투 및 집적(集積)방지구조
KR20140124552A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주목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