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538B1 -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 - Google Patents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538B1
KR102313538B1 KR1020210038094A KR20210038094A KR102313538B1 KR 102313538 B1 KR102313538 B1 KR 102313538B1 KR 1020210038094 A KR1020210038094 A KR 1020210038094A KR 20210038094 A KR20210038094 A KR 20210038094A KR 102313538 B1 KR102313538 B1 KR 102313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rain hole
drain
soi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대
Original Assignee
김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대 filed Critical 김상대
Priority to KR102021003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화분의 배수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화분내에 고분자 거름망을 사용하지 않고도 화분내의 흙의 유실을 방지하며, 배수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테두리벽 및 바닥면으로 구성되는 화분 본체; 및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2~20mm의 폭 및 10~150mm의 길이를 가지는 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Flowerpot with improved drainage function}
본 발명은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의 배수기능을 개선하는 것으로 화분내에 고분자 거름망을 사용하지 않고도 화분내의 흙의 유실을 방지하며, 배수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내 인테리어와 웰빙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환경 친화적이면서 미적인 감각을 살릴 수 있는 인테리어 수단으로서 각종 관상용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화분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화분은 주로 아파트 베란다나 거실과 같은 실내공간에 설치되거나 기차역, 버스터미널의 대합실과 같이 실외에서 많은 사람이 모이는 곳에 설치되어 자연 친화적인 환경을 구현할 수 있으며 공기 정화 등의 또 다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화분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함체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다수개의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공간에 일정량의 토양을 충전한 후 토양에 식물을 심고, 식물의 생장을 위하여 물을 공급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종래의 화분에 공급된 물은 식물 및 토양에 일부 저장되고, 저장되지 못한 물은 화분의 저면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토양을 거치면서 토양의 일부가 물에 포함된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화분의 하단에 별도의 받침대를 구비하여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이 바닥으로 흐르는 것을 막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분은, 별도의 받침대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저장되지 못하고 배출되는 물의 양이 많은 경우 받침대에서 흘러 넘친 물이 바닥을 더럽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받침대를 지속적으로 청결히 닦아주어야 하는 불편함 등이 있었다.
또한, 화분에 공급된 물의 양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어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관리하지 않게 되면, 공급된 물의 양이 너무 많거나 적어서 식물이 죽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한 번 공급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배수구가 없는 화분이나, 화분에서 배출된 물을 일정기간동안 모아서 배출할 수 있는 화분받침대들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물의 배출방법은 배출구를 통하여 화분내에 존재하는 토양의 유실을 가져올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대부분의 화분의 경우 이러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부에 고분자물질로 제작되는 거름망을 설치하는 것으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고분자 거름망의 경우 화분의 폐기시 환경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사용시 노후화로 인하여 미세플라스틱이 발생할 수 있어 이로한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화분이 필요한 실정이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5126호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547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분의 배수구조를 개선하는 것으로 고분자 거름망을 사용하지 않고도 토양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분의 배수구조를 개선하는 것으로 기존의 화분에 비하여 더욱 빠른 배수가 가능한 배수기능이 향상된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분의 배수구 방향에서도 공기가 유입되는 것으로 화분내에 식제되는 식물이 잔류된 물에 의하여 썩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두리벽 및 바닥면으로 구성되는 화분 본체; 및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2~20mm의 폭 및 10~150mm의 길이를 가지는 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며, 양측에 형성되는 원형의 확장부; 및 상기 원형의 확장부를 연결하는 주 배수구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구의 상부에는, 상기 배수구의 상부로 연장되는 원기둥형의 통기부; 상기 통기부 다수개가 상측에 연결되며, 하단부는 상기 배수구보다 크게 제작되어 상기 배수구를 덮을 수 있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측면 하단에 형성되는 배수공; 및 상기 배수구의 상단 테두리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역류 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부은;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며, 금속 또는 고분자로 제작되어 상기 통기부의 구조를 형성하는 외통; 및 상기 외통의 내부에 형성되며, 다공성을 가지는 고분자 필름으로 제작되는 내통을 포함하며; 상기 내통은 불소수지를 연신하여 0.05~1㎛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기공이 형성된 고분자 필름이며, 상기 테두리 벽은, 내면이 토양과 접촉하고, 상단부가 외벽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바닥면을 형성하는 내벽; 상기 내벽과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내벽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본체 지지부를 형성하는 외벽; 상기 내벽의 상부에 형성되는 넘침방지 구멍;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흡습성 고분자; 상기 내벽의 중단부에 형성되는 다공부; 및 상기 내벽의 하단과 상기 외벽의 하단을 연결하여 상기 흡습성 고분자 충진공간을 형성하는 충진부 바닥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 하단부에는 상기 배수구 및 충진부 바닥으로 통하여 유출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는 2~20개가 일측이 상기 바닥면의 중심부 방향으로 위치하며, 타측이 상기 바닥면의 외주면 방향으로 위치하는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분의 배수구조를 개선하는 것으로 화분 내부의 토양을 유실시키지 않으면서도 원활한 배수가 가능한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분의 테두리벽 내부 공간에 흡습성 고분자를 장입함에 따라 과다 주입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흡습성 고분자가 흡수한 물을 장기간에 걸져 공급할 수 있으므로 화분의 수분양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구를 통하여 화분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으로 과도한 수분으로 인한 뿌리 썩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물의 생장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배수기능이 개성된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의 바닥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의 단면 및 배수구단면의 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의 바닥면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원형의 바닥면에 방사상의 배수구가 형성된 화분, (b)는 원형의 바닥면에 방사상의 배수구와 해수홀이 형성된 화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의 바닥면을 나타낸 것으로 (a)는 사각형의 바닥면에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배수구가 형성된 화분, (b)는 직사각형의 바닥면에 상이한 방향을 가지는 2종의 배수구가 형성된 모습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기부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을 나타낸 사진이며, 도 2는 바닥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테두리벽 및 바닥면으로 구성되는 화분 본체; 및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2~20mm의 폭 및 10~150mm의 길이를 가지는 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테두리 벽(110)은 상기 화분 본체(100)의 벽면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의 단면을 가질수도 있다. 이 테두리 벽(110)의 내부에는 식물 및 상기 식물을 기를 수 있는 토양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 벽(110)은 상부의 단면적이 하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상부의 단면적이 하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제작되거나, 중앙부의 단면적이 가장 큰 항아리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특히 상부의 단면적이 하부의 단면적보다 크게 제작되는 경우 상기 화분내에 위치하는 토양을 제거할 때 상하부를 뒤집기만 하더라도 상기 식물과 토양을 상기 화분에서 분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분갈이”라고 불리는 화분 교환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화분의 최상단부가 가장 넓게 제작되므로, 물의 공급이 쉽고 외부로 유출이 적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테두리 벽(110)은 내벽(111)과 외벽(112)의 이중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중공간구조로 인하여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외벽(112)만이 손상될 수 있어 내벽(110)의 안쪽에 위치하는 식물 및 토양이 보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종의 단열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외부의 기온변화가 있더라도 상기 토양의 온도변화가 최소화되어 식물을 일정한 온도에서 성장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테두리 벽(110)은 내면이 토양과 접촉하고, 상단부가 외벽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바닥면을 형성하는 내벽; 상기 내통과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내벽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본체 지지부를 형성하는 외벽; 상기 내벽의 상부에 형성되는 넘침방지 구멍;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흡습성 고분자; 상기 내벽의 중단부에 형성되는 다공부; 및 상기 내벽의 하단과 상기 외벽의 하단을 연결하여 상기 흡습성 고분자 충진공간을 형성하는 충진부 바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벽(111)은 상기 식물 및 토양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상기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벽(111)은 하단이 후술할 바닥면(120)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단은 외벽과 연결되어 상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때 상기 상단부는 곡선을 가지며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측면으로 돌출되어 손잡이를 형성하거나 테두리 상단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내벽(111)의 상부에는 넘침방지 구멍(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넘침방지 구멍(114)은 토양으로 물을 공급하는 경우 급격한 수위의 상승으로 인하여 상기 내벽(111)을 넘어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내벽(111)의 상부에 형성되어 물을 내벽(111)과 외벽(112)의 사이로 유도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물이 급격히 공급되더라도 상기 넘침방지 구멍(114)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으므로, 화분의 외부로 원하지 않는 물의 넘침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넘침방지 구멍(114)은 상기 내벽(111)의 상부 내주면을 따라 2~10개가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경 1~10mm의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넘침방지 구멍이 10개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상기 내벽(111)의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1mm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 물의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여 넘침방지 구명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고 10mm를 초과하는 경우 내벽(111)의 내구성이 떨어지거나 토양의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내벽(111)의 중단부에는 다공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부(113)는 상기 내벽(111)의 중단부의 내부 토양과 내벽(111)과 외벽(1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30)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토양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거나 매쉬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넘침방지 구멍(114)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이 상기 토양의 중단부로 공급되거나 후술할 흡습성 고분자(140)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토양으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내벽(111)의 중단에 형성된 다공부(113)는 상기 토양에 물을 공급하는 경우 넘침방지 구멍(114)으로 배출되는 물을 토양의 중단부로 공급하여 빠르게 수분의 보충이 가능하며, 물의 공급이 없더라도 상기 흡습성 고분자(140)에서 일정부분 수분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토양이 장기간 동안 일정한 수분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벽(112)은 상기 내벽(111)과 상단부가 연결되며, 하단부는 상기 화분(100)을 지지하는 지지부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화분의 외형을 구성하여 화분(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외벽(112)은 상기 내벽(111)과 일정 간격이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흡습성 고분자(140)가 충진될 수 있는 공간(130)을 형성할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상기 외벽(112)의 하단부에는 배수구 및 충진부 바닥으로 통하여 유출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벽(112)의 하단과 상기 외벽의 하단을 연결하여 상기 흡습성 고분자 충진공간을 형성하는 충진부 바닥(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외벽(112)과 내벽(111) 사이의 공간에는 충진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진부(130)는 후술할 흡습성 고분자(140)의 충진공간이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넘침방지 구멍(114)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의 배출과 재유입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넘침방지 구멍(114)에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충진부(130)에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충진부 바닥(150)의 경우 배수를 위하여 다공성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으므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는 상기 충진부 바닥(15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충진부(130)에는 후술할 흡습성 고분자(140)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내벽의 중단부에는 다공부(1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넘침방지 구멍(114)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은 상기 흡습성 고분자(140)에 흡수되며, 흡수되지 않는 여분의 물은 상기 다공부(113)를 통하여 토양의 중단부로 공급될수도 있다. 즉 상기 넘침방지 구멍(114)을 통과한 물은 1차적으로 상기 흡습성 고분자(130)에 흡수되며, 2차적으로는 상기 다공부(113)를 통하여 상기 토양의 중단부로 공급되고, 흡수 및 공급되지 못한 여분의 물은 상기 충진부 바닥(15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충진부(130)에는 흡습성 고분자(140)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흡습성 고분자는 물을 흡수하여 부피가 커지는 흡수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고분자 흡수체는 수분과 접촉하는 경우 자기 부피의 10~100배에 해당하는 수분을 흡수하는 고분자 분말을 이용한 흡수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흡수체는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구형으로 가공한 흡수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분자 흡수체(140)가 건조되더라도 일정한 크기의 구형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내통에 형성된 다공부(113) 또는 충진부 바닥(150)을 통하여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흡습성 고분자(140)는 상기 넘침방지 구멍(114)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넘침방지 구멍(114)을 통하여 유입되는 물은 상기 흡습성 고분자(140)와 접촉하여 흡수될 수 있으므로 소량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 상기 흡습성 고분자(140)에 대부분이 흡수될 수 있다. 또한 다량의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상기 흡습성 고분자(140)에 1차적으로 흡수될 수 있으며, 상기 흡수성 고분자를 통과하며 유속이 느려지게 되므로 상기 흡습성 고분자에 흡수되지 않은 물은 상기 내벽의 다공부(113)를 통하여 토양의 중단부로 재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흡수 또는 재유입으로 처리되지 않는 물은 상기 충진부 바닥(15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습성 고분자(140)에 의하여 흡수된 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서히 외부로 발출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충진부(130)에는 상기 내벽의 다공부(1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토양의 중단부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벽(111)의 하단부는 바닥면(12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은 상기 화분의 바닥을 형성하여 식물 및 토양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다수개의 배수구(200)가 설치되어 여분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200)는 상기 바닥면(120)에 형성되어 상기 토양을 통과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물을 키울 때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식물이 식재된 토양이 완전히 젖을 정도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렇게 공급된 물을 중력에 의하여 토양의 하부로 모이게 되며, 이렇게 모인 물을 배출시키지 않게되면 식물의 뿌리가 썩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구(20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화분에 설치되는 배수구의 경우 화분의 바닥면에 원형으로 배수구를 형성한 다음, 이 배수구를 통하여 토양이 유실되지 않도록 고분자 망을 상기 바닥면에 설치하였다. 일반적으로 깔망이라고 불리는 이 고분자 망의 경우 상기 토양이 배수구를 통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통기성이 나쁘며, 플라스틱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깔망으로 인하여 상기 바닥면과 상기 토양사이에 공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바닥면의 상부에 물이 고이게 되어 식물의 성장에 나쁜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은 원형의 배수구 대신 가늘고 긴 형태의 배수구를 형성하여 토양의 유실을 막으면서도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이를 위하여 상기 배수구는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며, 양측에 형성되는 원형의 확장부; 및 상기 원형의 확장부를 연결하는 주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수구(200)는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더욱 크게 제작될 수 있다(도 3 참조). 즉 본 발명의 배수구의 단면은 상부의 폭이 작은 사다리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배수구는 좁은 통과면적을 가지게되어 화분내의 토양의 배출을 막을 수 있으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배수구 하부의 넓은 면적으로 공급되어 많은 양의 통기가 이루어 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늘리게 되어 식물 뿌리로 원활한 산소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토양에 존재하는 여분의 수분이 빠르게 증발되도록 할 수 있어 물고임으로 인한 뿌리 썩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가 상기와 같이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크게 제작되는 경우 상기 배수구의 상부는 90도 보다 작은 예각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예각을 가지는 구조의 경우 모서리 부분이 충격에 약할 뿐만 아니라 성형 또는 소성시 모서리 부에 갈라짐이 발생하거나 깨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도 3의 확대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부를 라운딩 처리하여 이러한 갈라짐이나 깨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라운딩 처리는 상기 화분 내에 고이는 물의 표면장력을 낮춰주어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화분 전체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러한 배수구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화분의 하단에는 일정 높이로 골재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골재는 직경 0.5~3cm을 가지는 암석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골재를 0.5~5cm의 두께로 상기 화분 바닥에 형성하여 물빠짐을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배수구를 통한 토사의 유출믈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골재가 0.5cm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골재가 상기 배수구로 유실될 가능성이 있으며, 3cm을 초과하는 크기를 가지는 경우 상기 골재의 공극부로 상기 토사가 하강하여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재가 0.5cm두께 미만으로 적층되는 경우 상기 골재의 공극으로 토양이 유출될 가능성이 있으며, 5cm을 초과하여 적층되는 경우 골재의 양이 많아져 토양의 두께가 얇아질 수 있으므로 식물의 생장이 방해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는 단순히 직선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직선형의 주 배수구(210)의 양측에 원형의 확장부(220)가 형성된 아령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형성되는 배수구의 경우 원형으로 제작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배수구의 경우 직선형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직선형의 배수구의 경우 화분에 많이 쓰이는 토기 또는 도자기에 형성하게 되면 양단부위에 갈라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건조 또는 소성 과정에서 직선형 배수구의 경우 양단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갈라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양단부의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주 배수구(210)의 양측에는 원형의 확장부(22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원형의 확장부(220)는 상기 주 배수구(210)보다 폭이 큰 원형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양단부에 가해지는 수축 및 하중에 의한 응력의 집중을 해소하여 양단부에 갈라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양단부의 경우 상기 주 배수구조보다 직경이 크게 제작되므로, 이 양단부를 통하여 더욱 많은 공기가 유일될 수 있어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200)는 하나의 직선형 배수구를 가질 수도 있지만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배열되거나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배수구(2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서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배수구가 원형의 바닥면에 수평을 이루도록 배열되거나(도 2 참조)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배수구가 원형의 바닥면에 방사형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도 4의 (a)). 또한 상기 바닥면이 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상기 배수구를 수평으로 배열할 수 있으며(도 5의 (a)), 직사각형의 바닥면을 가지는 경우 좌측과 우측의 배수구를 상이하게 형성하여(도 5의 (b)) 각 식물에 따른 배수구조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배수구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면에는 배수홀(2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홀(230)은 상기 배수구사이의 거리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단면의 형상은 상기 배수구와 동일하게 사다리꼴을 가지고 있으며, 다만 그 형상이 상기 확장부(220)와 유사한 원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수홀의 경우 상기 배수구의 거리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 예로서 상기 배수구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경우 중심부와 외곽부의 배수구 사이의 거리가 상이하여 각 지점에따른 배수량 및 통기량이 차이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배수홀(230)을 상기 방사상으로 형성된 배수구의 외곽 지점에 배치하게 되면 상기 배수구 사이의 거리를 줄여주는 역할을 하여 각 지점의 배수량 및 통기량이 일정해질 수 있다(도 4의 (b)). 이밖에도 상기 배수홀은 배수구를 설치하기 어려운 화분의 돌출부나 모서리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수구의 역할을 보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화분의 경우 상가와 같이 직선형의 배수구가 아닌 배수홀 만으로 구성되는 배수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직선형 배수구의 경우 길이가 긴 골재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배수구를 막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상기 배수홀만으로 상기 배수구조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4의 (c)).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배수홀의 상부는 상기 배수구와 동일하게 모서리부의 라운딩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배수홀 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배수홀의 상부에 후술할 통기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직선형의 배수구와는 달리 하나의 배수홀 위에 하나의 통기부이 연결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구는 2~20mm의 폭 및 10~150mm의 길이를 가지는 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가 2mm미만의 폭을 가지거나 10mm미만의 길이를 가지는 경우 상기 배구수를 통한 배수 및 통기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며, 20mm를 초과하는 폭을 가지거나 150mm를 초과하는 길이를 가지는 경우 배수구로 토사가 유출되거나 바닥면의 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수구의 상부에는 배수구를 통한 통기를 원활하게 하는 통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 수단은 상기 배수구이 상부로 연장되는 원기둥형의 통기부; 상기 통기부 다수개가 상측에 연결되며, 하단부는 상기 배수구보다 크게 제작되어 상기 배수구를 덮을 수 있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측면 하단에 형성되는 배수공; 및 상기 배수구의 상단 테두리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역류 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기부은;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며, 금속 또는 고분자로 제작되어 상기 통기부의 구조를 형성하는 외통; 및 상기 외통의 내부에 형성되며, 다공성을 가지는 고분자 필름으로 제작되는 내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통(310)은 상기 통기부의 구조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고분자 또는 금속으로 제작되어 상기 통기부의 구조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통기부이 상기 화분의 토양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토양에 의한 압력을 버틸 수 있도록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통(310)의 경우 후술할 내통을 통과한 공기가 토양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홀(3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통의 내부에는 내통(320)이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내통(320)은 상기 외통(310)을 통과하는 물이 상기 통기부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통기부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토양의 방향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내통(320)은 불소수지를 연신하여 0.05~1㎛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기공이 형성된 고분자 필름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물 분자의 경우 1㎛를 초과하는 크기를 가지며, 공기 분자 및 수증기의 경우 0.05㎛미만읠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크기를 가지는 미세기공이 형성된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통기공은 물을 배출시키지 않으면서도 배수구(20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토양의 전체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배수구(2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제작되며, 상기 통기부이 다수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수관(200)은 직선형으로 제작되므로 상기 연결부(330) 역시 직선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기부은 상기 연결부의 상부에 일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토양을 통과한 물이 상기 배수구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측면 하단에 배수공(33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양을 통과하여 토양의 하단으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연결부 하단에 설치되는 배수공(331)을 통하여 배수구(200)로 배출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배수구(200)를 통하여 상기 통기부으로 공급되어 토양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의 상단 테두리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역류 방지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류 방지부(340)는 과다공급되는 물이 상기 넘침방지 구멍(114)을 통하여 배출될 때 상기 배수구(20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배수구(200)의 상단 테두리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배수구의 상단으로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도 7 참조). 이러한 역류방지부(340)로 인하여 상기 토양에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역류방지부(340) 상단을 넘어 배출될 수 있지만, 상기 배수구(200)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은 배수구 높이와 역류방지부(340)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까지 역류해야 하므로 역류되는 물이 상기 토양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 방지부(340)는 상기 배수공(331)을 통하여 유입되는 토양이 상기 배수구로 유출되는 것을 막아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둥시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화분 본체
110 : 테두리 벽
111 : 내벽
112 : 외벽
113 : 다공부
114 : 넘침방지부
120 : 바닥부
130 : 충진부
140 : 흡습성 고분자
150 : 충진부 바닥
200 : 배수구
210 : 주 배수구
220 : 확장부
230 : 배수홀
310 : 외통
311 : 다수개의 홀
320 : 내통
330 : 연결부
331 : 배수공
340 : 넘침 방지부

Claims (2)

  1. 테두리벽 및 바닥면으로 구성되는 화분 본체; 및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구;
    를 포함하는 화분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2~20mm의 폭 및 10~150mm의 길이를 가지는 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이며,
    상기 배수구는,
    상부의 폭보다 하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며,
    양측에 형성되는 원형의 확장부; 및
    상기 원형의 확장부를 연결하는 주 배수구;
    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구의 상부에는,
    상기 배수구의 상부로 연장되는 원기둥형의 통기부;
    상기 통기부 다수개가 상측에 연결되며, 하단부는 상기 배수구보다 크게 제작되어 상기 배수구를 덮을 수 있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측면 하단에 형성되는 배수공; 및
    상기 배수구의 상단 테두리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역류 방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부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며, 금속 또는 고분자로 제작되어 상기 통기부의 구조를 형성하는 외통; 및
    상기 외통의 내부에 형성되며, 다공성을 가지는 고분자 필름으로 제작되는 내통;
    을 포함하며;
    상기 내통은 불소수지를 연신하여 0.05~1㎛의 크기를 가지는 미세기공이 형성된 고분자 필름이며,
    상기 테두리 벽은,
    내면이 토양과 접촉하고, 상단부가 외벽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바닥면을 형성하는 내벽;
    상기 내벽과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내벽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부가 본체 지지부를 형성하는 외벽;
    상기 내벽의 상부에 형성되는 넘침방지 구멍;
    상기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흡습성 고분자;
    상기 내벽의 중단부에 형성되는 다공부; 및
    상기 내벽의 하단과 상기 외벽의 하단을 연결하여 상기 흡습성 고분자 충진공간을 형성하는 충진부 바닥;
    을 포함하며,
    상기 외벽 하단부에는 상기 배수구 및 충진부 바닥으로 통하여 유출되는 물을 배출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는 2~20개가 일측이 상기 바닥면의 중심부 방향으로 위치하며, 타측이 상기 바닥면의 외주면 방향으로 위치하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
  2. 삭제
KR1020210038094A 2021-03-24 2021-03-24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 KR102313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094A KR102313538B1 (ko) 2021-03-24 2021-03-24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094A KR102313538B1 (ko) 2021-03-24 2021-03-24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3538B1 true KR102313538B1 (ko) 2021-10-14

Family

ID=78151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094A KR102313538B1 (ko) 2021-03-24 2021-03-24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3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930B1 (ko) * 2022-12-01 2023-05-09 김주훈 통풍과 물빠짐이 양호한 사각 화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8604A (ja) * 1995-02-22 1996-09-10 Kouho Seikouki:Kk 植木鉢
JP2002209444A (ja) * 2001-01-12 2002-07-30 Richell Corp 植木鉢及び鉢カバー
KR20080004674U (ko) * 2007-04-12 2008-10-16 박신현 난 재배용 화분
JP2011200216A (ja) * 2010-03-25 2011-10-13 Shishime Kuniharu 微細な排水穴を設けた鉢及びプランター
KR101295474B1 (ko) 2013-01-30 2013-08-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화분용 배수장치
KR102095126B1 (ko) 2018-09-21 2020-03-31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배수 물받이 설치기능을 갖는 딸기 수경재배를 위한 고설베드용 화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8604A (ja) * 1995-02-22 1996-09-10 Kouho Seikouki:Kk 植木鉢
JP2002209444A (ja) * 2001-01-12 2002-07-30 Richell Corp 植木鉢及び鉢カバー
KR20080004674U (ko) * 2007-04-12 2008-10-16 박신현 난 재배용 화분
JP2011200216A (ja) * 2010-03-25 2011-10-13 Shishime Kuniharu 微細な排水穴を設けた鉢及びプランター
KR101295474B1 (ko) 2013-01-30 2013-08-0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화분용 배수장치
KR102095126B1 (ko) 2018-09-21 2020-03-31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배수 물받이 설치기능을 갖는 딸기 수경재배를 위한 고설베드용 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930B1 (ko) * 2022-12-01 2023-05-09 김주훈 통풍과 물빠짐이 양호한 사각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930B1 (ko)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자동 온실시스템
US8291639B2 (en) Growing system for hydroponics and/or aeroponics
US9113606B2 (en) Growing system for hydroponics and/or aeroponics
US8510988B2 (en) Self-watering plant container with root pruning aeration apertures and exterior water level indicator
KR20090016300A (ko) 실내공기 정화용 화분조립체
CA2847125A1 (en) Flowerpot with water distribution device
KR102313538B1 (ko) 배수기능이 개선된 화분
CN108064597B (zh) 植物生长优化的种植系统
CN103250592B (zh) 一种连体双盆体的自动供水花盆
KR100377570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KR101174502B1 (ko) 자동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KR101383112B1 (ko) 부력장치가 구비된 화분
KR101669621B1 (ko) 화분용 급수장치
CN111011037A (zh) 一种控制水量盆栽花盆
KR20120109909A (ko) 식물벽을 이용한 공기정화 시스템
KR200445650Y1 (ko) 분리형 화분
JP2019506903A (ja) 通気植木鉢
KR200461692Y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CN206586040U (zh) 一种渗灌节水花盆
CN220255183U (zh) 自动维持良好生长条件的植栽容器
CN216795848U (zh) 空腔透气花盆
CN205511089U (zh) 一种透水透气保湿度栽植盆
CN220255187U (zh) 一种兰花种植盆
CN213548538U (zh) 一种家用塑料花盆
JP3158744U (ja) 花植え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