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123B1 - 가로수 보호 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로수 보호 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123B1
KR102292123B1 KR1020210020567A KR20210020567A KR102292123B1 KR 102292123 B1 KR102292123 B1 KR 102292123B1 KR 1020210020567 A KR1020210020567 A KR 1020210020567A KR 20210020567 A KR20210020567 A KR 20210020567A KR 102292123 B1 KR102292123 B1 KR 102292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rainwater
freshwater
protection frame
rain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덕
주선화
Original Assignee
박용덕
주선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덕, 주선화 filed Critical 박용덕
Priority to KR1020210020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담수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내부의 일 지점에 형성되되 상부에서부터 바닥면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내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와 관통되는 배출로가 형성된 유로형성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유로형성부의 상측은 차폐하며, 상기 빗물저장부의 상측에는 빗물이 유입되도록 복수의 유입홀이 형성된 커버; 및 일 단은 상기 빗물저장부에 위치되고, 타 단은 상기 배출로의 하단까지 삽입되는 배출섬유;를 포함하여, 가로수의 둘레에 설치되어, 우수를 저장하여 가로수로 우수를 공급할 수 있는 가로수 보호 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로수 보호 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시스템{PROTECTION BLOCK FOR STREET TREE AND PROTEC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로의 가수로 둘레에 설치되어, 가로수를 보호하는 동시에 가로수로 우수를 공급할 수 있는 가로수 보호 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양측면 또는 일측면에는 가로수가 설치되거나 혹은 도로의 중앙에 중앙 화단을 통해 가로수를 식재하여 친환경을 유지하고 특히 도로상에서 발생되는 매연의 정화를 위해 많은 가로수가 식목된다.
이러한, 가로수는 주택가나 아스팔트로 포장된 도로변에 심어져서 도로변의 경치를 아름답게 하고 도로를 오가는 차량의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상쾌감을 준다. 또한, 아스팔트나 시멘트 등으로 포장된 광장에 심어져서 도시의 풍광을 미려하게 하고 도시민에게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준다. 이때, 지면에 접하는 가로수 줄기 주변은 나지의 상태로 외부에 노출시킴으로써, 가로수 뿌리쪽으로 공기나 빗물이 스며들게하여 가로수의 생육을 돕는다. 그러나 가뭄시기에 물이 제대로 공급되지 못해 생육에 저하를 초래하며, 생육에 필요한 영양소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뿌리의 생육이 나빠져 전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옮겨심기를 하여 발육상태가 고르지 못한 가로수의 경우 뿌리의 지반 지지력이 나빠져 태풍이나 기타의 외력에 의해 쉽게 전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70550호(2008.11.19)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하고, 별도의 에너지원 없이 빗물을 저장한 후 일정기간동안 가로수로 물 공급이 가능한 가로수 보호 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빗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빗물은 5일 내지 10일 동안 가로수로 물이 꾸준히 공급되도록 하여, 가뭄 기간이나, 무더위 기간 동안에도 가로수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가로수 보호 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수의 둘레에 설치되어, 우수를 저장하여 가로수로 우수를 공급할 수 있는 가로수 보호 틀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는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담수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각 상기 담수부 내부에 설치되어, 각 담수부 내부의 상기 빗물저장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되, 분할된 복수의 상기 빗물저장부를 연통하기 위해 하부에는 홈 형상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격벽과, 상기 하우징의 하나 이상의 지점에 형성되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내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외부와 관통되는 배출로가 형성된 유로형성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유로형성부가 형성된 부분의 상측은 차폐하며, 상기 빗물저장부의 상측에는 빗물이 유입되도록 복수의 유입홀이 형성된 커버; 일 단은 상기 배출로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빗물저장부에 위치되고, 타 단은 상기 배출로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배출섬유;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또 다른 가로수 보호 틀과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기 설정된 길이 A로 형성되는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의 일 측 단부에서 상기 제1 측벽과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 측벽; 기 설정된 길이 A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제1 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3 측벽; 상기 제3 측벽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벽과 수평을 이루고 상기 제3 측벽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제3 측벽의 일 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4 측벽;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3 측벽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벽;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제4 측벽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벽; 상기 제1 측벽, 상기 제2 측벽, 상기 제3 측벽, 상기 제4 측벽, 상기 제1 연결벽 및 상기 제2 연결벽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면을 이루는 바닥부; 및 상기 제1 측벽, 상기 제2 측벽, 상기 제3 측벽, 상기 제4 측벽, 상기 제1 연결벽, 상기 제2 연결벽 및 상기 바닥부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을 복수의 담수부로 분리하는 분리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과 수평을 이루며 상기 제1 측벽과 마주보도록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2 측벽;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의 일 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벽;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의 타 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벽; 상기 제1 측벽, 상기 제2 측벽, 상기 제1 연결벽 및 상기 제2 연결벽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면을 이루는 바닥부; 및 상기 제1 측벽, 상기 제2 측벽, 상기 제1 연결벽, 상기 제2 연결벽 및 상기 바닥부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복수의 담수부로 분리하는 분리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은 기 설정된 길이 A로 형성되고, 상기 분리 프레임은 기 설정된 길이 A의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기 설정된 길이 A의 1/2크기로 형성되는 동일한 크기 담수부 2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은 기 설정된 길이 A의 3/4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분리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의 1/3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기 설정된 길이 A의 1/2크기로 형성되는 담수부 하나와, 기 설정된 길이 A의 1/4크기로 형성되는 담수부 하나를 포함하여 서로 크기가 다른 2개의 담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이물질이 상기 빗물저장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벽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며,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블록; 및 상기 제2 연결벽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끼움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연결벽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삽입블록;을 포함하여, 서로 인접한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의 본체의 끼움홈에 다른 하나의 본체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본체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벽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며, 오목홈이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제2 연결벽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되, 상기 오목부가 폭만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오목홈에 끼워지는 볼록부;를 포함하여, 서로 인접한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의 본체에 형성된 오목부의 오목홈에 다른 하나의 본체에 형성된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본체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로수 보호 틀을 포함하여, 우수를 저장하여 가로수로 우수를 공급할 수 있는 가로수 보호 틀 시스템에 있어서,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동일한 크기의 담수부가 복수개 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제1 가로수 보호 틀과,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동일한 크기의 담수부 2개가 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제2 가로수 보호 틀과,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1개의 담수부와, 상기 1개의 담수부보다 작은 1/2 크기로 형성되는 담수부로 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제3 가로수 보호 틀을 포함하여, 상기 가로수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상기 제1 가로수 보호 틀과, 상기 제2 가로수 보호 틀과 상기 제3 가로수 보호 틀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설치가 용이하고, 별도의 에너지원 없이 빗물을 저장한 후 일정기간동안 가로수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빗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빗물은 5일 내지 10일 동안 가로수로 물이 꾸준히 공급되도록 하여, 가뭄 기간이나, 무더위 기간 동안에도 가로수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 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 틀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섬유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따른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2의 A-A'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 틀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 틀을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틀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섬유 조절부가 설치된 가로수 보호 틀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통로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틀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에 따른 본체의 바닥부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 틀이 가로수 주변에 설치된 가로수 보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도 15에 따른 가로수 보호 틀이 결합된 가로수 보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 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 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섬유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따른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A-A'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 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 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 틀(1)은 본체(10)에 저장된 빗물을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배출섬유(40)를 통해 지반으로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로수 보호 틀(1)이 가로수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우수를 저장하여 가로수로 우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본체(10)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한번에 많은 양이 가로수로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배출섬유(40)를 통해 조금씩 일정량이 배출되기 때문에, 가로수 보호 틀(1)에 저장된 빗물은 일정기간(예를 들어, 10일에서 20일 사이)동안 꾸준히 배출될 수 있다.
가로수 보호 틀(1)은 본체(10), 커버(20), 필터(30), 배출섬유(40) 및 연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빗물이 저장될 수 있다. 본체(10)의 개방된 상부에는 필터(30)와 커버(20)가 배치되고, 본체(10) 내부에는 빗물이 저장되며 배출섬유(40)가 위치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는 지면 아래 매립 설치되며, 커버(20)가 지면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다른 “ㅡ”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하우징(11), 격벽(13), 빗물저장부(14), 유로형성부(15) 및 정렬홈(16)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은 본체(10)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은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부(14)가 형성되는 복수의 담수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담수부(100) 각각에 격벽(13)이 배치되고,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부(14)와 빗물이 배출될 수 있는 유로형성부(15)와 정렬홈(1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이 “L”자 형상 또는 “ㅡ”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본체(10)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각 형상을 이루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격벽(13)은 복수의 담수부(100) 각각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각 담수부(100) 내부에 형성되는 빗물저장부(14)를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수부(100) 각각의 내부에는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격벽(13)이 각각의 담수부(100) 내부에 설치되어, 빗물저장부(14)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예로, 담수부(100) 내부의 빗물저장부(14)를 분할하기 위해, 격벽(13)은 하우징(11)의 측벽에서부터 제1 방향과 제2 방향 또는 제3 방향과 제4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격벽(13)이 형성되는 경우, 하우징(11)의 측벽에서부터 하나의 지점에서 만나거나, 유로형성부(15)까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벽(13)은 각 담수부(100) 내부의 하우징(100)의 각 측벽에서부터 각 담수부(100) 내부의 중점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격벽(13)은 십자가 형태로 형성되어, 각 담수부(100)마다 4개의 빗물저장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격벽(13)은 관통구(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통구(131)는 격벽(13)의 하부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빗물저장부(14)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관통구(131)는 분할된 복수의 빗물저장부(14)를 연통하기 위해 격벽(13)의 하부에 형성되는 홈 일 수 있다.
빗물저장부(14)는 빗물이 저장되는 공간이다. 빗물저장부(14)는 각 담수부(100)에서 격벽(13)에 의해 4개의 공간 또는 2개의 공간으로 분할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15)는 본체(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15)는 본체(10) 내부의 일 지점에 형성되되, 상부에서부터 바닥면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유로형성부(15)는 각 담수부(100)의 중점에 위치되어 각 격벽(13)과 연결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15) 내부에는 상단에서부터 바닥면 외부까지 관통되는 배출로(151)가 형성되며, 배출로(151)에는 배출섬유(40)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로(151)는 유로형성부(15)의 내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바닥부(117)를 관통하여 바닥부(117) 외측까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정렬홈(16)은 유로형성부(15)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홈으로써, 배출로(151)에 삽입되는 배출섬유(4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배출섬유(40)의 일 단은 빗물저장부(14)에 위치되고 타 단은 배출로(151) 하단까지 삽입된다. 이 때, 배출로(151)에서 빗물저장부(14)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배출섬유(40)가 정렬홈(16)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커버(20)는 본체(10)의 상측에 체결될 수 있다. 커버(20)에는 빗물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유입홀(2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20)는 본체(10)의 상단에 체결되어 본체(10)의 개방된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20)의 유로형성부(15)의 상측에 위치되는 영역에는 유입홀(21)이 형성되지 않아, 유로형성부(15)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커버(20)의 빗물저장부(14)의 상측에 위치되는 영역에는 복수의 유입홀(21)이 형성되어 빗물이 빗물저장부(14)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터(30)는 본체(10)와 커버(20) 사이에 배치되어 이물질이 빗물저장부(14)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필터(30)는 하우징(11)의 상단과 격벽(13) 상단의 높이차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서 격벽(13)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벽(13) 상면에 필터(30)가 안착된 후 커버(20)가 본체(10)의 상부에 체결될 수 있다.
배출섬유(40)는 물이 흡수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배출섬유(40)는 부직포일 수 있다. 배출섬유(40)는 유로형성부(15) 내부의 배출로(151)에서부터 빗물저장부(14)까지 이어지며 배치될 수 있다.
도 4a와 도 4b는 배출섬유(40)를 나타낸 도면이나, 도 4a는 두께가 얇게 형성된 배출섬유(40)이고, 도 4b는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배출섬유(40)이다. 배출하고자 하는 양에 따라 두께가 다른 배출섬유(40)를 사용할 수 있다. 지반으로 배출되는 양을 증가시키고 싶은 경우 도 4b의 상대적으로 두꺼운 배출섬유(40)를 사용하고, 지반으로 배출되는 양을 감소시키고 싶은 경우 도 4a의 상대적으로 얇은 배출섬유(4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섬유(40)의 일 단은 빗물저장부(14)에 위치되고, 타 단은 배출로(151)의 하단 또는 하단 외부까지 삽입될 수 있다. 즉, 타 단이 배출로(151)를 통해 외부까지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섬유(40)는 일 단이 빗물저장부(14)에 삽입되는 길이보다 타 단이 배출로(151)에 삽입되는 길이가 더 길게 삽입되어,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빗물저장부(14)의 빗물이 배출섬유(40)의 일 단을 통해 스며들어, 배출섬유(40)의 타 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연결부(50)는 본체(10)에 설치되어, 또 다른 가로수 보호 틀(1)과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50)는 끼움블록(51) 및 삽입블록(52)을 포함할 수 있다.
끼움블록(51)은 제1 연결벽(115)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며, 홈 형태의 끼움홈(511)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블록(52)은 제2 연결벽(116)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며, 끼움홈(511)에 삽입 가능하도록 제2 연결벽(116)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21)가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가로수 보호 틀(1)의 끼움홈(511)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하나의 가로수 보호 틀(1)의 돌출부(521)가 삽입됨으로써, 인접한 두 개의 가로수 보호 틀이 체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L”자 형태로 형성되는 가로수 보호 틀(1)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L”자 형태로 형성되는 가로수 보호 틀(1)은 본체(10)와 커버(20)가 “L”자 형태로 형성되며, 필터(30) 또한 본체(10) 내부에 “L”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L”자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10)는 하우징(11)이 “L”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은 제1 측벽(111), 제2 측벽(112), 제3 측벽(113), 제4 측벽(114), 제1 연결벽(115), 제2 연결벽(116), 바닥부(117) 및 분리프레임(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11)은 기 설정된 길이 A로 형성되어, 제1 방향과 제2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벽(112)은 제1 측벽(111)의 소정 길이와 대응되는 기 설정된 길이 A로 형성되며, 제1 측벽(111)의 일 측 단부에서 제1 측벽(111)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측벽(111)의 제2 방향 측의 단부에서 제2 측벽(112)이 제1 측벽(111)과 수직을 이루도록 제3 방향과 제4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3 측벽(113)은 기 설정된 길이 A보다 1/2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제1 측벽(111)과 수평을 이루도록 제1 측벽(111)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4 측벽(114)은 제3 측벽(113)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인 기 설정된 길이 A의 1/2로 형성되며, 제2 측벽(112)과 수평을 이루고 제3 측벽(113)과 수직을 이루도록 제3 측벽(113)의 일 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벽(115)은 제1 측벽(111)과 제3 측벽(113)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벽(116)은 제2 측벽(112)과 제4 측벽(114)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바닥부(117)는 제1 측벽(111), 제2 측벽(112), 제3 측벽(113), 제4 측벽(114), 제1 연결벽(115) 및 제2 연결벽(116)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면을 이룰 수 있다. 이렇게, 제1 측벽(111), 제2 측벽(112), 제3 측벽(113), 제4 측벽(114), 제1 연결벽(115), 제2 연결벽(116) 및 바닥부(117)에 의해 하우징(11)의 전체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은 전체적인 형상의 단면이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 프레임(117)은 제1 측벽(111), 제2 측벽(112), 제3 측벽(113), 제4 측벽(114), 제1 연결벽(115), 제2 연결벽(116) 및 바닥부(117)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 프레임(118)은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담수부(100)로 분리할 수 있다.
일 예로, 분리 프레임(118)이 제1 측벽(111)의 중점에서부터 제3 측벽(113)과 제4 측벽(114)의 접점까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제2 측벽(112)의 중점에서부터 제3 측벽(113)과 제4 측벽(114)의 접점까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분리 프레임(118)은 하우징(11)의 내부 높이에 대응되도록 하우징(11)의 바닥부(117)에서부터 하우징(11)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2개의 분리 프레임(118)이 "L"자 형태의 하우징(11)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담수부(100)는 제1 담수부(100a), 제2 담수부(100b) 및 제3 담수부(100c)로 분리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본체(10)는 3개의 담수부(100a, 100b, 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담수부(100a), 제2 담수부(100b) 및 제3 담수부(100c) 각각의 내부에 격벽(13)이 십자가 형태로 배치되고, 빗물저장부(14)가 4개로 분할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15)는 담수부(100a, 100b, 100c) 각각의 빗물저장부(14)의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각 담수부(100a, 100b, 100c)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유로형성부(15)는 각 담수부(100a, 100b, 100c) 내부의 격벽(13)의 중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담수부(100)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많은 양의 빗물이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빗물 배출량을 높일 수 있도록 유로형성부(15)는 하우징(11)의 측벽(111, 112, 113, 114)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측벽(113)과 제4 측벽(114)이 만나는 지점에 유로형성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 내부의 중점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격벽(13)은 십자가 형태로 배치되어 4개의 빗물저장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격벽(13)은 관통구(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통구(131)는 격벽(13)의 하부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빗물저장부(14)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ㅡ”자 형태로 형성되는 가로수 보호 틀(1)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의 가로수 보호 틀(1)은 도 8의 가로수 보호 틀(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ㅡ”자 형태로 형성되는 가로수 보호 틀(1)은 본체(10)와 커버(20)가 “ㅡ”자 형태로 형성되며, 필터(30) 또한 본체(10) 내부에 “ㅡ”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ㅡ”자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10)는 하우징(11)이 “ㅡ”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은 제1 측벽(111), 제2 측벽(112), 제1 연결벽(115), 제2 연결벽(116), 바닥부(117) 및 분리프레임(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11)은 소정 길이로 형성되어, 제1 방향과 제2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측벽(112)은 제1 측벽(111)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제1 측벽(111)과 수평을 이루며 제1 측벽(111)과 마주보도록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벽(115)은 제1 측벽(111)과 제2 측벽(112)의 일 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벽(116)은 제1 측벽(111)과 제2 측벽(112)의 타 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바닥부(117)는 제1 측벽(111), 제2 측벽(112), 제1 연결벽(115) 및 제2 연결벽(116)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면을 이룰 수 있다. 이렇게, 제1 측벽(111), 제2 측벽(112), 제1 연결벽(115), 제2 연결벽(116) 및 바닥부(117)에 의해 하우징(11)의 전체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은 전체적인 형상의 단면이 "ㅡ"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 프레임(117)은 제1 측벽(111), 제2 측벽(112), 제1 연결벽(115), 제2 연결벽(116) 및 바닥부(117)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리 프레임(118)은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담수부(100)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제1 측벽(111)과 제2 측벽(112)은 기 설정된 길이 A로 형성되고, 분리 프레임(118)은 기 설정된 길이 A의 1/2 지점에서 하우징(11) 내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 프레임(118)을 기준으로, 하우징(11) 내부에는 동일한 크기의 제1 담수부(100a)와 제2 담수부(100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동일한 크기의 2개의 담수부(100a, 100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담수부(100a) 및 제2 담수부(100b) 각각의 내부에 격벽(13)이 십자가 형태로 배치되고, 빗물저장부(14)가 4개로 분할될 수 있다.
유로형성부(15)는 담수부(100a, 100b) 각각의 빗물저장부(14)의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각 담수부(100a, 100b)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유로형성부(15)는 각 담수부(100a, 100b) 내부의 격벽(13)의 중점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을 참조하면,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2)은 기 설정된 길이 A의 3/4 길이로 형성되고, 분리 프레임(118)은 제1 측벽(111)과 제2 측벽(112)의 1/3 지점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 프레임(118)을 기준으로, 하우징(11) 내부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제1 담수부(100a)와 제2 담수부(10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담수부(100a)는 기 설정된 길이 A의 1/2 크기의 폭으로 형성되고, 제2 담수부(100b)는 기 설정된 길이 A의 1/4 크기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담수부(100a) 내부에 격벽(13)이 십자가 형태로 배치되고, 빗물저장부(14)가 4개로 분할될 수 있다. 제2 담수부(100b) 내부에는 1개의 격벽(13)이 분리프레임(118)에서 제2 연결벽(116)까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제2 담수부(100b) 내부에는 빗물저장부(14)가 2개로 분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가로수 보호 틀(1)의 배수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지면 하부에 본체(10)가 매립되고, 도로 또는 보도와 평면을 이루도록 커버(20)가 위치될 수 있다. 가로수 보호 틀(1)은 가로수 주변에서 매립 설치될 수 있다.
비가 오면, 각 담수부(100)의 빗물저장부(14)에 빗물이 저장되고, 빗물저장부(14)에 빗물이 수용되는 양이 배출섬유(40)의 일 단이 잠길 때까지 수용되면, 사이판의 원리에 따라 배출섬유(40)를 통해 빗물이 배출로(151)를 통해 지반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많은 양의 우수가 배출구와 같은 구성을 통해 한번에 지반으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배출섬유(40)를 통해 일정 속도로 지반으로 배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일정기간에 걸쳐 배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빗물을 저장하는 본체(10)에는 복수의 담수부(100)가 형성되고, 각 담수부(100) 내부의 빗물저장부(14)는 격벽(13)에 의해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된다. 격벽(13)에 의해 빗물저장부(14)가 분할 형성됨에 따라, 분할된 빗물저장부(14) 중 어느 하나의 칸에 삽입되어 있는 배출섬유(40)의 일 단으로 빗물이 스며들어 배출되는 빗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담수부(100a)에 형성된 유로형성부(15)의 배출로(151)에 삽입되어 있는 배출섬유(40)는 상 단의 일정 길이가 분할된 4개 칸의 빗물저장부(14) 중 1개의 칸의 빗물저장부(14)에 위치된다. 즉, 배출섬유(40)의 상 단은 빗물저장부(14) 중 1개의 칸에 위치되고, 하 단은 배출로(151)를 통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빗물저장부(14)에 위치된 배출섬유(40)의 상 단을 통해, 배출섬유(40)가 삽입되어 있는 1개의 칸의 빗물저장부(14)의 빗물은 배출섬유(40)의 상 단으로 스며들어, 배출섬유(40)의 상 단보다 하부에 위치된 하 단까지 스며들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1개의 칸의 빗물저장부(14)의 빗물이 배출섬유(40)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1개의 칸의 빗물저장부(14)의 빗물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다른 빗물저장부(14)의 빗물이 관통부(131)를 통해 배출섬유(40)의 상단이 위치된 1개의 칸의 빗물저장부(14)로 유입되어 전체적으로 본체(10) 내의 빗물의 수위가 맞춰지게 된다. 이처럼, 배출섬유(40)가 배출해야 하는 빗물저장부(14)의 공간을 복수개로 분할되고, 분할된 어느 한 칸의 빗물저장부(14)의 수위에 맞춰서 빗물이 배출섬유(40)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빗물저장부(14)의 공간이 분할되지 않고 하나로 형성된 본체 구조에 비해서 빗물의 배출 속도가 감소되도록 조절된다.
따라서, 많은 양의 빗물이 한번에 지반으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배출섬유(40)를 통해서만 천천히 지반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일정기간에 걸쳐 배수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된 물을 일정기간동안 가로수 주변의 지반으로 빗물을 배출하기 때문에 가뭄 기간이나 무더운 여름에도 가로수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모터 등 추가적인 에너지원 없이 배출섬유(40)를 통해서 배출되는 배수양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L”형태의 가로수 보호 틀(1) 및 “ㅡ” 형태의 가로수 보호 틀(1)과 동일한 구조 및 형상이며, 연결부(50)만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도 9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설명한 “L”자 형태와 동일한 가로수 보호 틀(1)이고, 도 10은 도 7에서 설명한 “ㅡ”자 형태와 동일한 가로수 보호 틀(1)이고, 도 11은 도 8에서 설명한 “ㅡ”자 형태와 동일한 가로수 보호 틀(1)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과 차이가 있는 연결부(50)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연결부(50)는 오목부(53) 및 볼록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53)는 제1 연결벽(115)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며, 양 측에 오목홈(531)이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54)는 제2 연결벽(116)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며, 오목부(53)의 폭만큼 이격 배치되어, 인접한 오목홈(531)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서로 인접한 본체(10) 중 어느 하나의 본체(10)에 형성된 오목부(53)의 오목홈(531)에 다른 하나의 본체(10)에 형성된 볼록부(54)가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본체(10)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볼록부(54)가 오목부(53)에 끼워지기 위해서는 인접한 본체(10)가 상하 높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본체(10)에 오목부(53)가 형성된 제1 연결벽(115)과, 다른 하나의 본체(10)에 볼록부(54)가 형성된 제2 연결벽(116)이 서로 마주보도록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볼록부(54)가 이격된 오목부(53) 사이로 삽입되어, 오목부(53)와 볼록부(54)가 체결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섬유 조절부가 설치된 가로수 보호 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배출섬유 조절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섬유 조절부(60)는 배수를 원하지 않는 경우, 빗물저장부(14)에 위치된 배출섬유(40)의 상 단을 상승시켜 빗물저장부(14)에 저장된 빗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배출섬유 조절부(60)는 모터부(61), 실린더로드(62) 및 실린더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61)는 격벽(13) 또는 유로형성부(15)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부(61)는 실린더로드(62)에서 실린더부(63)가 삽입 또는 돌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실린더부(63)는 배출섬유(40)의 내측에 위치되어, 좌우 방향 또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실린더부(63)의 단부는 배출섬유(40)를 소정의 강도로 파지할 수도 있다. 즉, 실린더가 돌출됨에 따라 배출섬유(40)가 밀리도록 배치 및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린더부(63)는 실린더로드(62)에 삽입된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빗물저장부(14)에 저장된 빗물이 지반으로 배출되는 것을 중단하기 위해, 실린더부(63)가 실린더로드(62)에서 돌출될 수 있다. 실린더부(63)가 돌출되면서 배출섬유(40)의 일 단이 상승할 수 있다. 이처럼, 빗물저장부(14)에 위치된 배출섬유(40)의 일 단을 상승시켜 빗물저장부(14)에 저장된 빗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통로가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따른 본체의 바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체(10)는 배수통로(17), 차단판(18) 및 회전축(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의 내부에 센서부(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센서부는 하우징(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위를 체크할 수 있다. 센서부(60)에서 감지되는 빗물저장부(14)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 이상이 일정 시간 유지되는 경우, 지반으로 빗물 배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본체(10)에 추가로 형성된 배수통로(17)를 개방할 수 있다.
배수통로(17)는 하우징(11)의 바닥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배수통로(17)는 각 빗물저장부(14)의 바닥면에서 일정 직경으로 형성되는 홀일 수 있다.
차단판(18)은 배수통로(17)를 차단 및 차폐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차단판(18)은 바닥면의 상면에서 밀착배치되되, 회전축(19)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판(18)은 배수통로(17)보다 소정 길이 긴 직경으로 형성되어, 배수통로(17)의 상측에서 회전할 수 있다. 차단판(18)이 배수통로(17)의 상부에 위치되면 배수통로(17)가 차폐되고, 차단판(18)이 회전축(19)에 의해 축회전하면 배수통로(17)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19)의 구동은 모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센서부에서 기 설정된 수위 이상이 일정시간동안 유지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차단판(18)이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빗물저장부(14)의 상단까지 빗물이 채워져있는 상태가 하루 이상 또는 이틀 이상 지속될 경우, 폭우로 인해 도로에 물이 넘칠 수 있기 때문에, 배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차단판(18)이 회전하여 배수통로(17)를 개방할 수 있다. 빗물저장부(14)의 빗물이 지반으로 배출이 된 후, 다시 차단판(18)이 회전되어 배수통로(17)를 차폐하고, 배출섬유(40)를 통해서 빗물을 지반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 틀이 가로수 주변에 설치된 가로수 보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에 따른 가로수 보호 틀이 결합된 가로수 보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가로수 보호 시스템(1000)은 복수의 가로수 보호 틀(1)을 포함하여, 가로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 가로수 보호 틀(1a)과, 도 7에 개시된 제2 가로수 보호 틀(1b)과, 도 8에 개시된 제3 가로수 보호 틀(1c)이 가로수의 크기 및 가로수 둘레 형상에 따라 서로 체결되어 가로수 주변에 매립될 수 있다. 제1 가로수 보호 틀(1a)과 제2 가로수 보호 틀(1b)과 제3 가로수 보호 틀(1c)은 연결부(50)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가로수 보호 틀
10: 본체 100: 담수공간
11: 하우징 111: 제1 측벽
112: 제2 측벽 113: 제3 측벽
114: 제4 측벽 115: 제1 연결벽
116: 제2 연결벽 117: 바닥부
118: 분리프레임 13: 격벽
131: 관통구 14: 빗물저장부
15: 유로형성부 151: 배출로
16: 정렬홈 17: 배수통로
18: 차단판 19: 회전축
20: 커버 21: 유입홀
30: 필터 40: 배출섬유
50: 연결부 51: 끼움블록
511: 끼움홈 52: 삽입블록
521: 돌출부 53: 오목부
54: 볼록부 60: 배출섬유 조절부
61: 모터부 62: 실린더로드
63: 실린더부

Claims (11)

  1. 가로수의 둘레에 설치되어, 우수를 저장하여 가로수로 우수를 공급할 수 있는 가로수 보호 틀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는 빗물이 저장되는 빗물저장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담수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각 상기 담수부 내부에 설치되어, 각 담수부 내부의 상기 빗물저장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되, 분할된 복수의 상기 빗물저장부를 연통하기 위해 하부에는 홈 형상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격벽과,
    상기 하우징의 하나 이상의 지점에 형성되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내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이 외부와 관통되는 배출로가 형성된 유로형성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체결되고, 상기 유로형성부가 형성된 부분의 상측은 차폐하며, 상기 빗물저장부의 상측에는 빗물이 유입되도록 복수의 유입홀이 형성된 커버;
    일 단은 상기 배출로의 상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빗물저장부에 위치되고, 타 단은 상기 배출로의 하단으로 돌출되는 배출섬유;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또 다른 가로수 보호 틀과 연결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각 상기 담수부에는,
    상기 격벽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상기 빗물저장부 중 어느 한 개의 칸의 상기 빗물저장부에 상기 배출섬유의 상단이 위치되고, 상기 배출로를 통해 상기 배출섬유의 하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되며,
    사이펀의 원리에 의해, 어느 한 개의 칸의 상기 빗물저장부의 빗물은 상기 배출섬유의 상단으로 스며들어 상기 배출섬유의 상단보다 하부에 위치된 하단으로 스며들며 외부로 배출되되,
    어느 한 개의 칸의 상기 빗물저장부에 저장된 빗물이 상기 배출섬유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어느 한 개의 칸의 상기 빗물저장부에 저장된 빗물은 감소하고, 어느 한 개의 칸 이외의 다른 나머지 칸의 상기 빗물저장부에 저장된 빗물은 상기 격벽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를 통해 상기 배출섬유의 상단이 위치된 어느 한 개의 칸의 빗물저장부로 유입되어, 각 상기 담수부 내부의 수위가 균일하게 되며,
    복수개로 분할된 복수의 빗물저장부 중 어느 한 개의 칸의 상기 빗물저장부의 수위에 맞춰 빗물이 상기 배출섬유를 통해서 배출되어, 빗물의 배출 속도가 감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기 설정된 길이 A로 형성되는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의 일 측 단부에서 상기 제1 측벽과 수직하게 연결되는 제2 측벽;
    기 설정된 길이 A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과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제1 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3 측벽;
    상기 제3 측벽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측벽과 수평을 이루고 상기 제3 측벽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제3 측벽의 일 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4 측벽;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3 측벽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벽;
    상기 제2 측벽과 상기 제4 측벽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벽;
    상기 제1 측벽, 상기 제2 측벽, 상기 제3 측벽, 상기 제4 측벽, 상기 제1 연결벽 및 상기 제2 연결벽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면을 이루는 바닥부; 및
    상기 제1 측벽, 상기 제2 측벽, 상기 제3 측벽, 상기 제4 측벽, 상기 제1 연결벽, 상기 제2 연결벽 및 상기 바닥부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을 복수의 담수부로 분리하는 분리 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제1 측벽;
    상기 제1 측벽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과 수평을 이루며 상기 제1 측벽과 마주보도록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제2 측벽;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의 일 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벽;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의 타 측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연결벽;
    상기 제1 측벽, 상기 제2 측벽, 상기 제1 연결벽 및 상기 제2 연결벽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면을 이루는 바닥부; 및
    상기 제1 측벽, 상기 제2 측벽, 상기 제1 연결벽, 상기 제2 연결벽 및 상기 바닥부가 이루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복수의 담수부로 분리하는 분리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은 기 설정된 길이 A로 형성되고,
    상기 분리 프레임은 기 설정된 길이 A의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기 설정된 길이 A의 1/2크기로 형성되는 동일한 크기 담수부 2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은 기 설정된 길이 A의 3/4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분리 프레임은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의 1/3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기 설정된 길이 A의 1/2크기로 형성되는 담수부 하나와, 기 설정된 길이 A의 1/4크기로 형성되는 담수부 하나를 포함하여 서로 크기가 다른 2개의 담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이물질이 상기 빗물저장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벽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며,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블록; 및
    상기 제2 연결벽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끼움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연결벽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삽입블록;을 포함하여,
    서로 인접한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의 본체의 끼움홈에 다른 하나의 본체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본체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벽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며, 오목홈이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제2 연결벽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되, 상기 오목부가 폭만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오목홈에 끼워지는 볼록부;를 포함하여,
    서로 인접한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의 본체에 형성된 오목부의 오목홈에 다른 하나의 본체에 형성된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본체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벽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며,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블록; 및
    상기 제2 연결벽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끼움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연결벽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삽입블록;을 포함하여,
    서로 인접한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의 본체의 끼움홈에 다른 하나의 본체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본체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벽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며, 오목홈이 형성된 오목부; 및
    상기 제2 연결벽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되, 상기 오목부가 폭만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오목홈에 끼워지는 볼록부;를 포함하여,
    서로 인접한 상기 본체 중 어느 하나의 본체에 형성된 오목부의 오목홈에 다른 하나의 본체에 형성된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어, 서로 인접한 상기 본체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가로수 보호 틀을 포함하여, 우수를 저장하여 가로수로 우수를 공급할 수 있는 가로수 보호 틀 시스템에 있어서,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동일한 크기의 담수부가 복수개 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제1 가로수 보호 틀과,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동일한 크기의 담수부 2개가 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제2 가로수 보호 틀과,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1개의 담수부와, 상기 1개의 담수부보다 작은 1/2 크기로 형성되는 담수부로 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제3 가로수 보호 틀을 포함하여,
    상기 가로수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상기 제1 가로수 보호 틀과, 상기 제2 가로수 보호 틀과 상기 제3 가로수 보호 틀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 틀 시스템.
KR1020210020567A 2021-02-16 2021-02-16 가로수 보호 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시스템 KR102292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567A KR102292123B1 (ko) 2021-02-16 2021-02-16 가로수 보호 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567A KR102292123B1 (ko) 2021-02-16 2021-02-16 가로수 보호 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123B1 true KR102292123B1 (ko) 2021-08-20

Family

ID=77466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567A KR102292123B1 (ko) 2021-02-16 2021-02-16 가로수 보호 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1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588Y1 (ko) * 2004-05-18 2004-08-09 주식회사 토성 담수형 보도블록
KR100870550B1 (ko) 2008-05-30 2008-11-26 (주)자움 가로수 보호블록
KR20150055813A (ko) * 2013-11-14 2015-05-22 (주)서원산업 급수형 가로수 보호구
KR102148692B1 (ko) * 2017-11-08 2020-08-27 (주)마이즈텍 투수 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588Y1 (ko) * 2004-05-18 2004-08-09 주식회사 토성 담수형 보도블록
KR100870550B1 (ko) 2008-05-30 2008-11-26 (주)자움 가로수 보호블록
KR20150055813A (ko) * 2013-11-14 2015-05-22 (주)서원산업 급수형 가로수 보호구
KR102148692B1 (ko) * 2017-11-08 2020-08-27 (주)마이즈텍 투수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016B1 (ko) 저관리형 도시녹화 조경모듈
KR102233633B1 (ko)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KR101969827B1 (ko) 조경용 트렌치
KR101503523B1 (ko)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
KR101010730B1 (ko) 녹화용 식생패널
KR101259656B1 (ko) 도시녹화 배수시스템
KR102292123B1 (ko) 가로수 보호 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시스템
KR100868986B1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KR20070047266A (ko) 옹벽 또는 법면 녹화용 펜스
JP2001081709A (ja) 湿潤性舗装システム
KR102015523B1 (ko) 친환경 식생형 배수로 장치
KR102305348B1 (ko) 저영향개발(lid) 투수블록
KR102543474B1 (ko) 띠녹지 화분
KR20160100582A (ko) 매설형 조립식 가로수 보호대
KR20190121107A (ko) 다기능 친환경 식생 개비온
KR102072409B1 (ko) 나무여과상자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KR102076482B1 (ko)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KR200367577Y1 (ko) 조경용 화분
KR102417958B1 (ko) 저류블록이 구비된 플랜터
KR102219531B1 (ko) 우수저장 블록
KR20150144491A (ko) 주차장의 배수로 구조물
KR20110092103A (ko) 온수배관을 구비한 담수 보도블록
KR101295474B1 (ko) 화분용 배수장치
KR101389479B1 (ko) 식생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모듈형 빗물 침투·저류 시설구조
KR102447523B1 (ko) 수분 공급이 용이한 담쟁이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