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523B1 -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523B1
KR101503523B1 KR20140073130A KR20140073130A KR101503523B1 KR 101503523 B1 KR101503523 B1 KR 101503523B1 KR 20140073130 A KR20140073130 A KR 20140073130A KR 20140073130 A KR20140073130 A KR 20140073130A KR 101503523 B1 KR101503523 B1 KR 101503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filtration
floating
collecting tank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3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호
이정훈
김미경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40073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5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가 가능한 녹지 구조체가 저류조 수위에 따라 부상과 하강을 반복하여 집중호우 시 저류조와 침투시설을 통한 유출저감 및 유출지연을 지속적으로 가능하게 하며, 녹지가 물에 잠기지 않아 식재의 과습 및 침수 문제를 해소하며, 특히 동절기 제설제 유입차단 등의 기능을 통해 지표면 유출 빗물 관리에 효과적인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에 빗물 집수조가 일체로 연통되어 구성되는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 수용되고, 상부에 식재를 구비하며 하부에 부유체를 통해 부유가능하게 구성되는 여과형녹지 수용수단;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 구비되어 빗물 및 염화칼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빗물/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 상기 저류조에 수용되고, 상부에 식재를 구비하며 부유가능하게 구성되는 여과형녹지 수용수단; 상기 저류조에서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을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높이가변 지지수단; 및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서 저류된 빗물을 제공받아 지반으로 침투시키는 빗물 침투 수단;을 포함하는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RAINWA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GREEN FLOATING TYPE}
본 발명은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표면에서 유출된 초기빗물을 녹지로 유입시켜 토양여과 처리를 통해 자연 여과하고, 특히 강우량이 증가하여 저류조가 만수위 되었을 경우는 녹지 구조체가 부유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으로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빗물 저류조와 연결된 침투시설을 통해 서서히 침투가 일어나면 다시 부상된 녹지 구조체가 원위치로 돌아오면서 식물의 과습 및 침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절기에는 녹지 구조체를 상향 고정하여 차도 등의 포장면에서 유출되는 제설제가 다량 포함된 지표 유출 빗물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자연환경을 보전하거나 개선하고 공해 및 재해를 방지하여 도시환경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심 내부에 녹지가 조성된다. 녹지는 그 기능에 따라 공해와 각종 사고, 자연재해 등의 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완충녹지, 도시경관 향상을 위한 경관녹지, 도시 안의 공원하천 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여가휴식 기능을 제공하는 연결녹지로 구분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녹지의 조성은 전용주거지역 등 대상지역의 특성에 따라 녹화면적률을 50~80%로 유지하며, 식재 종류에 따라 최소 토양 심도를 유지하고 경사 기울기 10~30°를 표준으로 최소 5° 이상의 지반을 조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급속한 도시화에 따라 빗물이 지반하부로 침투하지 못하는 불투수면이 많이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해 침투가능 공간 또한 줄어들고 있다. 그리고 택지개발사업 시에 인공지반에 녹지를 조성하여 배수계통으로 출수시키는 등 녹지의 자연 순환기능을 저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독일 등 선진국에서는 녹지 내 투수구덩이(Trough)와 침투도랑(Trough-Trench System)을 설치하고 있으나, 투수구덩이의 경우 토양의 투수계수가 낮은 지역에 설치되어 침투기능이 적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우배수 관로를 수반하고, 침투도랑의 경우 하부 침투 및 호우 시 트렌치를 통해 배수기능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오염물질의 처리, 물순환 개선을 위한 순환 이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초기 빗물은 고농도의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단시간에 여과 없이 수계로 유입되어 인근 수역의 심각한 오염을 초래한다. 특히, 도로의 초기 빗물에는 자동차 운행으로 인한 도로노면의 침식, 타이어의 마모, 엔진오일 및 윤활유 등의 누유에 의해 오염물질이 다량 포함되며, 빗물 관리 시설을 설치할 때 이를 고려하여 초기빗물 분리장치나 초기빗물 처리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종래 초기빗물 분리기술들은 분리 저장된 고농도 초기빗물에 대한 처리가 소홀한 경우가 대다수이며, 하수관거로 방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일부의 경우는 처리 없이 우수관거로 배출하는 경우도 있어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초기빗물 처리기술로서 지표면 유출수를 토양 여과하여 집수하거나 침투하기 위하여 녹지로 유도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는데, 강우량이 많을 경우 지표면 유출수가 녹지로 모두 유입되었을 때 녹지가 빗물에 잠겨 건식 식생들은 뿌리가 썩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동절기 시 도로의 기능유지를 위해 살포되는 제설제는 눈이 녹으면서 빗물과 함께 유출되어 빗물관리 시스템으로 유입되는데 기존의 물리적인 방법으로는 처리가 어려우며, 빗물 저류조로 제설제가 유입되었을 경우는 빗물 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을 사용할 수 없어 배수해야하는 큰 문제점이 발생한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5790호(2010. 06.07)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8164호(2005. 10. 0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지표면에서 유출된 초기빗물을 녹지로 유입시켜 토양여과 처리를 통해 자연 여과하고, 특히 강우량이 증가하여 저류조가 만수위 되었을 경우는 녹지 구조체가 부유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으로의 유입을 최소화 하고, 빗물 저류조와 연결된 침투시설을 통해 서서히 침투가 일어나면 다시 부상된 녹지 구조체가 원위치로 돌아오면서 식물의 과습 및 침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동절기에는 녹지 구조체를 상향 고정하여 차도 등의 포장면에서 유출되는 염화칼슘이 다량 포함된 지표 유출 빗물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도로나 보도에 접하는 녹지대에 형성되고, 상부에 빗물 집수조가 일체로 연통되어 구성되는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 수용되고, 상부에 식재를 구비하며 부유가능하게 구성되는 여과형녹지 수용수단;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서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을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높이가변 지지수단; 및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서 저류된 빗물을 제공받아 지반으로 침투시키는 빗물 침투 수단;을 포함하는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부유를 보조하도록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내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녹지 수용부재 부유체; 및 상기 빗물 집수조에 인접하는 도로나 보도로부터 빗물을 집수하고 상기 빗물 집수조와 연통되는 연통로가 형성된 도로측 빗물 집수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은 적어도 하면부에 다수의 빗물 침투공이 형성된 수용 부재; 상기 수용 부재에 충전되는 경량토양 여재층; 및 상기 경량토양 여재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식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식재 및 경량토양 여재층 중 적어도 하나는 교체가능하게 복수의 여재 카트리지에 수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높이가변 지지수단은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의 내벽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높이 조절홈 또는 높이 조절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수직 지지 부재; 상기 수직 지지 부재의 높이 조절홈 또는 높이 조절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 지지 부재; 및 상기 수평 지지 부재의 안정적인 지지를 보조하기 위한 지지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빗물 침투 수단은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와 연통로를 통해 연통되어 지반 내에 설치되며 복수의 빗물 침투공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로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부유를 보조하도록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내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녹지 수용부재 부유체; 및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 인접하는 도로나 보도에 빗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수조와 연통되게 형성된 도로측 빗물 집수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도로측 빗물 집수조에는 부직포나 쇄석망을 포함하는 여과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만수위 시 부상 높이에 따라 빗물을 차단하거나 부상 고정하여 동절기 염화칼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빗물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빗물/이물질유입 방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빗물/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은 상기 여과형 녹지 수용수단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연결되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에 회동축을 축으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 집수 저류되는 빗물에 의해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부상 시,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부상 정도를 조절하거나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단은 일단이 상기 빗물 집수조의 바닥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에 고정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빗물 집수조의 상부 벽에 형성되는 스토퍼 돌기와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도로나 보도에 접하는 녹지대로 유입되는 빗물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로나 보도에 접하는 녹지대에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를 마련하고; 경량토양 여재층의 상부에 식재가 구비되며, 적어도 하면에 빗물 침투공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 부유 가능하게 구성되는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의 일측 지반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침투 시설을 마련하고; 상기 도로나 보도의 지표면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을 거쳐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로 집수 저류시키고; 유입되는 빗물에 의해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 내에서 부상하는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부상 높이를 제한하는 것을 포함하는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이용한 지표 유출 빗물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 집수되는 빗물의 저류량에 의해 부상되는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부상 높이를 조절하는 부상 높이 조절 단계 및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부상 높이를 제한하는 부상 높이 제한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지표면에서 유출되는 초기빗물을 부상형 녹지로 유입시켜 토양 여과를 통해 자연 여과시키며, 빗물 집수를 가능하게 하며, 자연 여과를 통한 저류수의 수질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녹지면이 저류조 수위에 따라 부상과 하강을 반복하며 집중호우 시 저류조와 침투시설을 통한 유출저감 및 유출지연을 지속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녹지가 물에 잠기지 않아 건식 식생의 식재가 가능하며 무강우 시에는 빗물로 수분 공급이 이루어져 건식 식색용 식재를 위한 별도의 관수가 필요 없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동절기 도로 제설을 위해 뿌려진 염화칼슘의 유입을 억제하여 염화칼슘에 의한 조의 수질 악화를 방지하고, 설비의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빗물 저류, 유출 저감 증진, 수질개선 등 다양한 효과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이 적용된 전체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을 구성하는 높이가변 지지 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을 구성하는 빗물/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을 구성하는 빗물/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에서 저류조가 만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에서 동절기의 빗물/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이 적용된 전체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을 구성하는 높이가변 지지 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나 보도에 접하는 녹지대에 형성되고, 상부에 빗물 집수조(110)가 일체로 구성되는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에 수용되고, 상부에 식재(210)를 구비하며 부유가능하게 구성되는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 내에서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을 지지하는 높이가변 지지수단(300); 및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에서 저류된 빗물을 제공받도록 연통되어 제공된 빗물을 지반으로 침투시키는 빗물 침투 수단(400)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는 소정 크기의 공간을 갖고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도록 관리맨홀(111)이 구비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획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은 적어도 하면부에 다수의 빗물 침투공이 형성된 수용 부재(220); 상기 수용 부재(220)에 충전되는 경량토양 여재층(230); 및 상기 경량토양 여재층(230)의 상부에 구비되는 식재(21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용 부재(220)는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의 상부 측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량토양 여재층(230)은 자연토나 인공토 또는 자연토와 인공토를 혼합한 혼합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공토로는 버미큘라이트, 펄라이트, 이탄, 제올라이트, 화산모래, 화산자갈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재(210) 및/또는 경량토양 여재층(230)은 수용 부재(220)에서 용이하게 분리하고 교체가능하게 여재 카트리지(240)에 수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가변 지지수단(3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의 내벽에 직립되어 구비되고, 길이방향(수직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높이 조절홈 또는 높이 조절구멍(311)이 형성된 복수의 수직 지지 부재(310); 및 상기 수직 지지 부재(310)의 높이 조절홈 또는 높이 조절구멍(311)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 지지 부재(3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높이가변 지지수단(300)은 상기 수평 지지 부재(320)의 안정적인 지지를 보조하기 위한 지지 보강 부재(330)를 더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지지 보강 부재(330)는 윗면이 상기 수평 지지 부재(320)에 접하고, 측면이 상기 수직 지지 부재(310)에 접하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보강 부재(330)는 상기 수평 지지 부재(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빗물 침투 수단(400)은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와 연통로(410)를 통해 연통되어 지반 내에 설치되며 복수의 빗물 침투공(411)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로형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녹지 부상형 빗물 집수 시스템은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의 부유를 보조하도록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의 내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녹지 수용부재 부유체(500), 및/또는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에 인접하는 도로나 보도에 빗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수조(100)와 연통되게 형성된 도로측 빗물 집수조(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로측 빗물 집수조(600)에는 조대 오염물질을 거를 수 있는 부직포나 쇄석망과 같은 여과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녹지 수용부재 부유체(500)는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을 부유가능하게 하는 재질(예를 들면, 스티로폼)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내부가 공기로 채워진 튜브 형태의 부유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만수위 시 외부(지면)에서 부상 높이에 따라 빗물을 차단하거나 부상 고정하여 동절기 염화칼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빗물 및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빗물/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700)을 더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을 구성하는 빗물/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을 도시한 펼쳐진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을 구성하는 빗물/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로서, (a)는 빗물/이물질 유입 방지를 위해 펼쳐진 상태이고, (b)는 통상 사용 상태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빗물/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700)은 여과형 녹지 수용수단(200)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연결되는 연결편(710), 및 상기 연결편(710)에 회동축(721)을 축으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편(720)을 포함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에 집수되는 빗물에 의해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이 부상할 때 부상 정도(즉, 부상 높이)를 조절하거나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스토퍼 수단은 일단이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의 바닥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에 고정(예를 들어, 바닥 외면)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 부재(예를 들어, 체인, 줄, 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결 체인의 길이는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의 부상 높이를 고려한 길이를 갖도록 한다.
다른 예로, 상기 스토퍼 수단은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의 상부 벽에 형성되는 스토퍼 돌기, 및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의 스토퍼 돌기와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의 걸림 돌기는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의 부상 높이를 고려하여 구비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의 동작을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에서 저류조가 만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에서 동절기의 빗물/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아래 설명에서는 녹지 수용부재 부유체(500)를 포함한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강우 초기 도로나 보도의 지표면으로부터 흘러들어오는 빗물은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의 상부로 유도되고,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으로 유입된 초기 빗물은 식재(210) 및 경량토양 여재층(230)을 통해 여과 처리된다. 여과 처리된 빗물은 수용 부재(220)에 형성된 빗물 침투공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에 집수 저류된다.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을 통해 지속적으로 빗물이 유입되어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에 빗물이 유입되면, 녹지 수용부재 부유체(400)를 갖는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은 부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이 일정 이상 부상되면, 빗물은 도로 측에 형성된 도로측 빗물 집수조(600)에 집수된 빗물도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보(100)로 유입되어 도 6와 같이 만수 상태로 된다. 이때,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은 스토퍼 수단에 의해 그의 부상 높이가 일정 높이로 제한된다.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에 저류된 빗물은 양질의 빗물이며, 용수 공급 수단 등을 통해 녹지 관리를 위한 조경용수 또는 살수용수 등으로 활용될 수 있고, 일측의 지반 침투 수단(400)으로 제공되어 지반으로 침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강우의 종료 이후,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에 저류된 빗물은 다시 빗물 침투공을 통해 식재 공급수로서 활용된다.
한편, 동절기 등 강수가 많지 않을 경우, 동절기 도로의 제설을 위해 뿌려진 염화칼슘 등의 이물질이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700)의 회동편(720)을 회동시켜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100)와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공간)를 막아 염화캄슐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여과형녹지 수용수단(200)의 높이는 높이가변 지지 수단(30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관리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관리 방법은, 도로나 보도에 접하는 녹지대로 유입되는 빗물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도로나 보도에 접하는 녹지대에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를 마련하고(S100); 경량토양 여재층의 상부에 식재가 구비되며, 적어도 하면에 빗물 침투공이 천공 형성되며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 부유 가능하게 구성되는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을 마련하고(S200);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의 일측 지반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침투 시설을 마련하고(S300); 상기 도로나 보도의 지표면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을 거쳐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로 집수 저류되도록 하는(S400) 것을 포함하고, 유입되는 빗물에 의해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 내에서 부상하는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부상 높이를 제한하는 것(S500)를 포함한다.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 집수 저류되는 빗물의 저류량에 의해 부상되는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부상 높이를 조절하는 것(S6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각 단계에서 포함되는 관련 구성요소들은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들과 유사 또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관리 방법은, 강우 초기 도로나 보도의 지표면으로부터 흘러들어오는 빗물을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으로 안내하고,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으로 유입된 초기 빗물은 식재 및 경량토양 여재층을 통해 여과 처리된다. 여과 처리된 빗물은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적어도 하면에 형성된 빗물 침투공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 집수 저류된다.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을 통해 지속적으로 빗물이 유입되어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 빗물이 일정 이상 집수되면, 부유가능한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은 부상하게 되며, 여기에서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은 그의 부상 높이가 조절 및/또는 제한되어 저류되는 저류량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이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도로 측에 형성된 도로측 빗물 집수조에 빗물을 집수하고 여과 처리하여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로 제공하며(S700),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 저류된 양질의 빗물을 조경 용수나 살수 용수로 활용하는 것(S8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우의 종료 이후, 집수조 일체형 빗물 집수조에 저류된 빗물은 다시 빗물 침투공을 통해 식재 공급수로서 활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에 따르면, 도로나 보도의 지표면에서 유출되는 초기빗물에는 부유물질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는데, 부상형 녹지의 토양여과를 통해서 여과시킴으로 빗물저류조의 수질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녹지면이 저류조 수위에 따라 부상과 하강을 반복하며 집중호우 시 저류조와 침투시설을 통한 유출저감 및 유출지연을 지속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녹지가 물에 잠기지 않아 건식 식생의 식재도 가능하고 동절기 도로 제설을 위해 뿌려진 염화칼슘의 유입을 억제하여 염화칼슘에 의한 조의 수질 악화를 방지하고, 설비의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빗물 저류, 유출 저감 증진, 수질개선 등 다양한 효과의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
110: 빗물 집수조
111: 관리맨홀
200: 여과형녹지 수용수단
210: 식재
220: 수용 부재
230: 경량토양 여재층
300: 빗물가변 지지수단
310: 수직 지지 부재
311: 높이 조절홈(또는 높이 조절구멍)
320: 수평 지지 부재
330: 지지 보강 부재
400: 빗물 침투 수단
410: 연통로
411: 빗물 침투공
500: 녹지 수용부재 부유체
600: 도로측 빗물 집수조
700: 빗물/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
710: 연결편
720: 회동편
721: 회동축
S100: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 마련 단계
S200: 여과형녹지 수용수단 마련 단계
S300: 침투시설 마련 단계
S400: 집수/저류 단계
S500: 부상 제한 단계
S600: 부상높이 조절 단계
S700: 도로측 여과처리 빗물 공급 단계
S800: 저류수 활용 단계

Claims (13)

  1. 도로나 보도에 접하는 녹지대에 형성되고, 상부에 빗물 집수조가 일체로 연통되어 구성되는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 수용되고, 상부에 식재를 구비하며 부유가능하게 구성되는 여과형녹지 수용수단;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서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을 높이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높이가변 지지수단; 및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서 저류된 빗물을 제공받아 지반으로 침투시키는 빗물 침투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높이가변 지지수단은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의 내벽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의 높이 조절홈 또는 높이 조절구멍이 형성된 복수의 수직 지지 부재; 상기 수직 지지 부재의 높이 조절홈 또는 높이 조절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 지지 부재; 및 상기 수평 지지 부재의 안정적인 지지를 보조하기 위한 지지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부유를 보조하도록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내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는 녹지 수용부재 부유체; 및
    상기 빗물 집수조에 인접하는 도로나 보도로부터 빗물을 집수하고 상기 빗물 집수조와 연통되는 연통로가 형성된 도로측 빗물 집수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은 적어도 하면부에 다수의 빗물 침투공이 형성된 수용 부재; 상기 수용 부재에 충전되는 경량토양 여재층; 및 상기 경량토양 여재층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기 식재;를 포함하며,
    상기 식재 및 경량토양 여재층 중 적어도 하나는 교체가능하게 복수의 여재 카트리지에 수용되어 구성되는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침투 수단은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와 연통로를 통해 연통되어 지반 내에 설치되며 복수의 빗물 침투공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로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녹지 부상형 초기빗물 집수 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의 만수위 시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부상 높이에 따라 빗물을 차단하거나 부상 높이를 고정시켜 외부로부터 빗물 및 염화칼슘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빗물/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은
    상기 여과형 녹지 수용수단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평행하게 연결되는 연결편, 및 상기 연결편에 회동축을 축으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편을 포함하는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 일체형 빗물 저류조에 집수 저류되는 빗물에 의해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부상 시,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부상 정도를 조절하거나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 수단을 더 포함하는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단은
    일단이 상기 빗물 집수조의 바닥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에 고정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빗물 집수조의 상부 벽에 형성되는 스토퍼 돌기와 상기 여과형녹지 수용수단의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로 이루어지는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KR20140073130A 2014-06-16 2014-06-16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 KR101503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3130A KR101503523B1 (ko) 2014-06-16 2014-06-16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3130A KR101503523B1 (ko) 2014-06-16 2014-06-16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3523B1 true KR101503523B1 (ko) 2015-03-18

Family

ID=53027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3130A KR101503523B1 (ko) 2014-06-16 2014-06-16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52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6961A (zh) * 2018-09-14 2018-12-21 重庆文理学院 一种环保的可渗型雨水花园
CN109853712A (zh) * 2019-01-29 2019-06-07 广东隆建工程有限公司 一种道路排水结构
CN110485540A (zh) * 2019-08-07 2019-11-22 华北水利水电大学 雨洪资源化利用方法与系统
CN111894112A (zh) * 2020-08-11 2020-11-06 深圳市弘雅景观园林绿化有限公司 一种景观园林雨水收集及雨水再利用技术
KR20230057160A (ko) 2021-10-21 2023-04-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열저감요구도 대응형 옥상녹화 모듈
KR102603781B1 (ko) 2023-06-19 2023-11-17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과 이를 활용한 인공지반 녹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5192A (ja) * 2001-11-15 2003-05-20 Ain Kk Sogo Kenkyusho 水質浄化装置
KR200403834Y1 (ko) 2005-10-06 2005-12-14 (주)다산컨설턴트 친환경적인 도로용 배수시설
KR100791965B1 (ko) * 2006-11-09 2008-01-04 주식회사 아썸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수 처리장치
KR101273679B1 (ko) 2013-03-04 2013-06-12 주식회사 지이글로벌 초기빗물처리조를 포함한 친환경 하이브리드 빗물재이용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5192A (ja) * 2001-11-15 2003-05-20 Ain Kk Sogo Kenkyusho 水質浄化装置
KR200403834Y1 (ko) 2005-10-06 2005-12-14 (주)다산컨설턴트 친환경적인 도로용 배수시설
KR100791965B1 (ko) * 2006-11-09 2008-01-04 주식회사 아썸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수 처리장치
KR101273679B1 (ko) 2013-03-04 2013-06-12 주식회사 지이글로벌 초기빗물처리조를 포함한 친환경 하이브리드 빗물재이용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6961A (zh) * 2018-09-14 2018-12-21 重庆文理学院 一种环保的可渗型雨水花园
CN109853712A (zh) * 2019-01-29 2019-06-07 广东隆建工程有限公司 一种道路排水结构
CN109853712B (zh) * 2019-01-29 2020-09-01 广东隆建工程有限公司 一种道路排水结构
CN110485540A (zh) * 2019-08-07 2019-11-22 华北水利水电大学 雨洪资源化利用方法与系统
CN110485540B (zh) * 2019-08-07 2021-06-25 华北水利水电大学 雨洪资源化利用方法与系统
CN111894112A (zh) * 2020-08-11 2020-11-06 深圳市弘雅景观园林绿化有限公司 一种景观园林雨水收集及雨水再利用技术
CN111894112B (zh) * 2020-08-11 2021-09-14 深圳市弘雅景观园林绿化有限公司 一种景观园林雨水收集及雨水再利用技术
KR20230057160A (ko) 2021-10-21 2023-04-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열저감요구도 대응형 옥상녹화 모듈
KR102603781B1 (ko) 2023-06-19 2023-11-17 (주) 한국그린인프라연구소 빗물 재이용형 저면관수 모듈과 이를 활용한 인공지반 녹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523B1 (ko) 부상형 녹지 구조체를 갖는 지표 유출 빗물 집수 시스템 및 빗물 관리 방법
US5810510A (en) Underground drainage system
CN109356225A (zh) 一种多功能雨水生态利用系统
KR101105272B1 (ko) 녹지 생태축 연결 및 비점오염원 제거를 위한 도로용 소규모 인공습지
CN211285921U (zh) 一种海绵城市建设用雨水调蓄系统
JP2009235884A (ja) 道路用流出抑制排水工
KR101205223B1 (ko) 침투수 처리시스템
KR20150110193A (ko) 조경식재부를 구비한 침투식 빗물저류조
KR101259656B1 (ko) 도시녹화 배수시스템
US11629085B1 (en) Stormwater collection, treatment, and aquifer replenishment installations and methods
CN110629619A (zh) 一种海绵型绿地建设结构技术
Paus et al. Suggestions for designing and constructing bioretention cells for a nordic climate
KR101370481B1 (ko) 인공함양용 필터링 시스템 및 인공함양용 필터링 시스템 세척방법
KR101511768B1 (ko) 녹지 부상형 초기빗물 관리 시스템 및 초기빗물 관리 방법
KR100601908B1 (ko) 우수저류연못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친수시설활용방법과 그 장치
KR102194609B1 (ko) 우수 여과 및 우수 재활용 시설물
KR20080101132A (ko) 녹지대용 빗물 저류 화단
KR101792845B1 (ko) 식물재배화분을 이용한 lid 하천변 교량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
KR100714315B1 (ko) 화단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CN207828737U (zh) 一种绿化带
JP2802282B2 (ja) かん養型貯留施設
KR101207972B1 (ko) 인공함양을 위한 저류지 필터링 시스템
KR102377744B1 (ko) 저영향개발 침투도랑을 조합한 식물재배화분
KR102374923B1 (ko) Lid 기반 빗물 순환형 비점오염 저감 및 관수용 띠 녹지 보호판 모듈
Sabbion et al. Green and Blue Infrastructure–Vegetated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