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550B1 - 가로수 보호블록 - Google Patents

가로수 보호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550B1
KR100870550B1 KR1020080051124A KR20080051124A KR100870550B1 KR 100870550 B1 KR100870550 B1 KR 100870550B1 KR 1020080051124 A KR1020080051124 A KR 1020080051124A KR 20080051124 A KR20080051124 A KR 20080051124A KR 100870550 B1 KR100870550 B1 KR 100870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eight
support
aggregate
blast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재기
이상묵
Original Assignee
(주)자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움 filed Critical (주)자움
Priority to KR102008005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5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블록은 다수개의 지지부; 다수개의 제1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제1 프레임의 폭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면은 다른 제1 프레임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프레임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뿌리 올라옴 현상에 의해 보호블록이 외측으로 밀려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1 프레임간의 엇갈림 형식의 이음매로 인한 구성과 상기 제1 프레임의 내측면의 라운드 타입의 곡면이 뿌리 올라옴 현상 및 미관상의 돌출 문제점을 개선하게 한다.
가로수, 블록

Description

가로수 보호블록{Protection Block for Street tree}
본 발명은 가로수가 식수되는 주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가로수 보호 블럭에 관한 것이다.
도심속의 녹지는 멀리있는 산속의 나무보다 훨씬 큰 환경적 의미가 있다. 또한, 대기오염을 줄여 주고 방음벽 역할을 하며 그늘의 제공, 온도·습도조절기능 등 도시미화와 환경정화에 커다란 효과가 있다. 하지만 도시 대부분의 녹지 조성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대체 방안으로 가로수를 식수하는 것이다.
가로수는 도심의 보차도면의 주변에 일정간격으로 식수되어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조경적인 풍요로움을 제공하여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있으며 일부 도심환경의 대기 및 수질오염정화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가로수 주변부는 잡초발생 및 우수유입 시 토양유출 등에 의한 생육 및 조경환경 악화현상과 보행인의 통행에 의한 훼손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가로수는 그 하단의 둘레부분에 설치되는 가로수 보호판에 의해 보호되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는 가로수 보호판은 외관미로 인해 도로의 미관을 한층 아름답게 유지할 수 있다.
종래의 가로수 보호판은 크기 및 조립방식을 달리한 다양한 형태의 망사형 주물, 망사형 플라스틱, 콘크리트판이 대다수를 이루며 보호판 사이 공간에 발생되는 잡초에 의한 가로수 생육환경저해, 우수 시 토양유출에 의한 가로수 생육환경 파괴 및 가로수 주변부의 조경성 저하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투수 형 가로수 보호대는 직선적으로 분할된 면의 조립으로 형태적 특성상 뿌리가 올라오면 조립된 블록의 한 부분이 위로 솟아올라 미관상 가로수 보호대의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블록은 블록의 형태적 특성을 이용하여 가로수 보호블록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수목의 성장과정에서 생기는 뿌리 올라옴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보호블록간의 이격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블록은 다수개의 지지부; 다수개의 제1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제1 프레임의 폭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면은 다른 제1 프레임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블록은 다수개의 제2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며, 제1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제2 프레임의 폭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와 상기 제1 프레임을 서로 조립하여 하나의 가로수 보호블록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유동적으로 조립 및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보호블록이 조립 설치된 후 수목이 자라 개방홀을 넓혀줘야 할 경우, 상기 제2 프레임을 제거해 준다.
이때,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무기계 바인더 11-13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8-10 중량%, 쇄석골재(5-10 mm) 55-58 중량%, 폐콘크리트 재생골재 16-19 중량%, 질석 0.5-3 중량%를 포함하는 기반층 및 무기계 바인더 10-14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7-10 중량%, 쇄석골재(1-2.5 mm) 59-62 중량%, 음이온석 14-17 중량%을 포함하는 표면층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표면층은 실러코팅제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은 무기계 바인더 11-13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8-10 중량%, 쇄석골재(5-10 mm) 55-58 중량%, 폐콘크리트 재생골재 16-19 중량%, 질석 0.5-3 중량%을 포함하는 기반층 및 기능성 골재, 음이온석, 우레탄 바인더를 포함하는 표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면층은 8-9 kgf/cm2의 공기압력과 70-85°의 분사각도로 분사된 지름이 2.7-3.5 mm인 쇠구슬과 충돌되어 표면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가로수 보호블록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 프레임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뿌리 올 라옴 현상에 의해 보호블록이 외측으로 밀려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1 프레임간의 엇갈림 형식의 이음매로 인한 구성과 상기 제1 프레임의 내측면의 라운드 타입의 곡면이 뿌리 올라옴 현상 및 미관상의 돌출 문제점을 개선하게 한다.
상기 지지부와 제1 프레임은 끼워맞추어 지는 형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나사 등의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도 손쉽게 설치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제2 프레임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뿌리 올라옴 현상에 의해 제1 프레임이 지지부의 외측으로 밀려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2 프레임간의 엇갈림 형식의 이음매로 인한 구성과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측면의 라운드 타입의 곡면이 뿌리 올라옴 현상 및 미관상의 돌출 문제점을 개선하게 한다.
상기 제2 프레임은 유동적으로 조립 및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보호블록이 조립 설치된 후 수목이 자라 개방홀을 넓혀줘야 할 경우, 상기 제2 프레임을 제거해 줌으로써, 수목의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보호블록을 새로 설치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다시 말해 하나의 가로수 보호블록만으로 수목의 생장상태에 따라 그때그때 프레임만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가변적으로 개방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재된 수목의 생장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목 보호덮개의 사용수명을 그만큼 연장시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 내부에 끼워맞추어 지는 형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나사 등의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도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의 상면 모서리에 형성되는 경사부는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과 제1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 프레임이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가로수 보호블록의 조립시에 각 프레임간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가로수 보호블록은 휨강도와 투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지하수 고갈방지 및 홍수방지기능이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형성할 때 사용된 무기계 바인더, 고로슬래그 미분말에 의하여 pH가 낮고 중금속용출이 되지 않아 인체에 이롭다. 또한, 보습성이 우수하여 열섬제어 효과를 갖는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표면층 표면을 쇠구슬로 충돌시킴으로써 돋움효과를 갖으며, 인장강도와 피로수명을 향상시켜 보호블록의 파손과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표면조도가 높게 형성되어 보호블록을 지나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표면층을 실러코팅하여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표면층에 음이온석, 기능성골재(폐우드칩, 우레탄 고무칩, 폐유리골재, 유색골재)를 사용함으로써, 보호블록은 음이온을 방출하며, 보호블록의 표면온도 상승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탄성을 증가시킨다. 더불어, 보호블록은 광택량을 높임으로써 통행시 빛 반사를 가능하게 해주어 통행성을 개선하며, 골재 색상을 그대로 표현하여 조경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블록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블록의 설치 순서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블록은 다수개의 지지부(10); 다수개의 제1 프레임(2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20)은 상기 지지부(10)와 지지부(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10)와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부(10)의 외측으 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제1 프레임(20)의 폭은 내측면(23)에서 외측면(21)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10)와 지지부(10)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제1 프레임(20)의 일측면은 다른 제1 프레임(20)의 내측면(23)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블록은 다수개의 제2 프레임(30)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프레임(30)은 상기 제1 프레임(20)의 내측면(23)과 상기 제2 프레임(30)의 내측면(33) 사이에 설치되며, 제1 프레임(20)의 내측면(23)과 상기 제2 프레임(30)의 내측면(33)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프레임(20)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제2 프레임(30)의 폭은 내측면(33)에서 외측면(31)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제1 프레임(20)과 제2 프레임(30)은 단일층 또는 이중층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단일층은 무기계 바인더(CSA), 고로슬래그, 골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중층은 무기계 바인더(CSA), 고로슬래그, 골재 및 우레탄 바인더, 골재를 이용한 기반층 및 구성이 다른 6가지 종류의 표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블록은 지지부(10), 제1 프레임(20), 제2 프레임(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10)는 외측면(11), 내측면(13), 좌측면(12), 우측면(14)으로 이루어지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10)와 지지부(10) 사이에는 후술할 제1 프레임(20)이 설치된다.
상기 우측면(14)의 형상과 상기 내측면(13)의 형상에 의해, 상기 지지부(10)와 지지부(10) 사이의 간격이 상기 지지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내측면(13)은 상기 내측면(13)과 대향하는 외측면(11) 보다 짧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우측면(14)은 외측면(11)에서 내측면(13)을 향해 기울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면(13)은 상기 내측면(13)과 대향하는 외측면(11)을 향해 볼록하게 이루어진다.
위에서 상기 우측면(14)과 상기 내측면(13)의 형상의 일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지지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하기 위해 상기 우측면(14)과 상기 내측면(13)의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 질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부(10)는 블록을 지지하는 구성 외에도 가로수의 버팀대 역할을 하는 블록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가로수에 버팀목이 필요한 경우, 버팀목이 형성된 블록커버를 상기 지지부(10)자리에 설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블록커버는 가로수의 버팀대 역할을 하는 동시에 가로수 보호블록의 지지부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1 프레임(20)은 메인 프레임으로 상기 지지부(10)와 지지부(10) 사이 에 설치되어 수목이 위치할 수 있는 개방홀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프레임(20)은 외측면(21), 내측면(23), 좌측면(27), 그리고 우측면(25)으로 이루어지는 사각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면(23)에 의해 수목이 위치할 수 있는 상기 개방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프레임(20)의 폭은 내측면(23)에서 외측면(21)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내측면(23)은 상기 내측면(23)과 대향하는 외측면(21)을 향해 볼록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좌측면(27)의 형상은 상기 좌측면(27)과 대향하는 우측면(25)을 향해 오목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측면(23)은 상기 내측면(23)과 대향하는 외측면(21)보다 길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우측면(25)은 내측면(23)에서 외측면(21)을 향해 기울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프레임(20)이 상기 지지부(10)와 지지부(10)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좌측면(27)은 상기 지지부(10)의 내측면(13)과 다른 제1 프레임(20)의 내측면(23)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우측면(25)은 상기 지지부(10)의 우측면(14)과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10)와 상기 제1 프레임(20)을 서로 조립하여 하나의 가로수 보호블록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10)와 지지부(10) 사이에 설치된 제1 프레임(20)은 내측면(23)에서 외측면(21)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뿌리 올라옴 현상에 의해 제1 프레임(20)이 지지부(10) 외측으로 밀려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1 프레임(20)간의 엇갈림 형식의 이음매로 인한 구성과 상기 내측면(23)의 라운드 타입의 곡면이 뿌리 올라옴 현상 및 미관상의 돌출 문제점을 개선하게 한다.
상기 지지부(10)와 제1 프레임(20)은 끼워맞추어 지는 형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나사 등의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도 손쉽게 설치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프레임(30)은 외측면(31), 내측면(33), 좌측면(35) 그리고 우측면(37)으로 이루어지는 사각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면(33)에 의해 수목이 위치할 수 있는 개방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2 프레임(30)의 폭은 내측면(33)에서 외측면(31)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내측면(33)은 상기 내측면(33)과 대향하는 외측면(31)을 향해 볼록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면(35)의 형상은 상기 좌측면(35)과 대향하는 우측면(37)을 향해 오목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우측면(37)의 형상은 상기 우측면(37)과 대향하는 좌측면(35)을 향해 오목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내측면(33)은 상기 내측면(33)과 대향하는 외측면(31)보다 길게 이루어진다.
상기 외측면(31)은 상기 제1 프레임(20)의 내측면(2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프레임(20)의 내측면(23)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좌측면(35)은 상기 제1 프레임(20)의 내측면(23)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우측면(37)은 다른 제2 프레임(30)의 내측면(33)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2 프레임의 좌우측면(35, 37)이 인접하게 설치되는 상기 제1 프레임(20)의 내측면(23)과 상기 제2 프레임(30)의 내측면(33)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프레임(20)의 외측(즉, 보호블록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상기 제1 프레임(20) 내부에 설치된 제2 프레임(30)은 내측면(33)에서 외측면(31)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이 때문에 상기 제2프레임(30)이, 상기 제1 프레임(20)의 내측면(23)과 상기 제2 프레임(30)의 내측면(33)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뿌리 올라옴 현상에 의해 제1 프레임(20) 외측으로 밀려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2 프레임(30)간의 엇갈림 형식의 이음매로 인한 구성과 상기 내측면(33)의 라운드 타입의 곡면이 뿌리 올라옴 현상 및 미관상의 돌출 문제점을 개선하게 한다.
상기 제2 프레임(30)은 유동적으로 조립 및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보호블록이 조립 설치된 후 수목이 자라 개방홀을 넓혀줘야 할 경우, 상기 제2 프레임(30)을 제거해 준다.
상기 지지부(10), 제1 프레임(20), 제2 프레임(30)의 상면 모서리에는 경사부(40)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40)는 지지부(10)와 지지부(10) 사이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20)과 제1 프레임(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 프레임(30)이 상기 경사부(40)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가로수 보호블록의 조립시에 각 프레임(20, 30)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가로수 보호블록을 형성하는 제1 프레임(20)과 제2 프레임(30)은 연속된 공극을 다수 포함하여 물과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하는 다공질의 블록이다. 또한, 제1 프레임(20)과 제2 프레임(30)은 단일층 또는 이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기반층과 표면층으로 형성된 이중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표면층은 기반층 상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기반층(Base layer)은 비시멘트계인 무기계 바인더(Calcium Sulfur Aluminate, CSA) 11-13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8-10 중량%, 쇄석골재(5-10 mm) 55-58 중량%, 폐콘크리트 재생골재 16-19 중량%, 질석 0.5-3 중량%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며, 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감수제 0.1-1 중량부, 물 3-4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보수성, 투수성, 보습성을 증대시키며, pH 및 중금속 용출을 저감시킨다. 이러한 CSA의 함량이 11 중량%미만일 경우에는 휨강도 등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함량이 13 중량%초과일 경우에는 투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함량이 8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휨강도 등의 강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함량이 10 중량% 초과일 경우에도 휨강도 등의 강도가 저 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질석의 함량이 0.5 중량%미만일 경우에는 우수한 보수성, 투수성, 보습성을 가질 수 없으며, 함량이 3 중량%초과일 경우에는 휨강도 등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표면층은 표면층을 이루는 조성물질인 결합재(CSA와 고로슬래그 미분말로 이루어지는 물질 또는 습기형 우레탄 바인더) 및 기능성 골재(우레탄 고무칩, 폐우드칩, 폐유리골재, 유색골재)에 따라 6가지의 표면층을 형성할 수 있다.
6가지의 표면층 중에서 첫째는 소프트 타입의 습기형 우레탄 바인더 5-8 중량%, 우레탄 고무칩(1.0-2.5mm) 63-66 중량%, 음이온석(1.0-2.5mm) 26-29 중량% 로 이루어짐으로써, 항균기능을 가지며 탄성력의 증가시킴으로 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우레탄 고무칩의 사용량을 조절하여 우수한 투수성을 가질 수 있다.
둘째는 소프트 타입의 습기형 우레탄 바인더 10-12 중량%, 폐우드칩(1.0-2.5mm) 36-39 중량%, 음이온석(1.0-2.5mm) 49-52 중량%로 이루어짐으로써, 목재칩 자체의 질감으로 인하여 표면층 표면의 조경성을 개선하고 목재칩의 다공질구조로 인하여 보습성을 증대시키며 음이온에 의하여 항균기능을 갖는다.
셋째는 하드타입의 습기형 우레탄 바인더 3-6 중량%, 폐유리골재(1.0-2.5mm) 73-76 중량%, 음이온석(1.0-2.5mm) 20-24 중량%로 이루어짐으로써, 항균기능을 가지며 유리자체의 색상으로 인하여 조경성을 개선한다.
넷째는 하드타입의 습기형 우레탄 바인더 4-7 중량%, 유색골재(1.0-2.5mm) 76-79 중량%, 음이온석(1.0-2.5mm) 16-20 중량%로 이루어짐으로써, 항균성을 가지며 투명성을 가진 바인더에 의하여 유색골재의 고유색상을 표면에 그대로 표현하여 조경성을 개선한다.
다섯째는 무기계 바인더(CSA) 10-14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7-10 중량%, 쇄석골재(1.0-2.5mm) 59-62 중량%, 음이온석(1.0-2.5mm) 14-18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며, 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색소로서 무기안료 0.5-2 중량부, 감수제 0.1-1 중량부, 물 4-6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이렇게 형성된 표면층 상면에 에어스프레이를 이용하여 실러코팅제(sealer coating)를 20-35 ㎛두께로 코팅한다. 따라서 백화발생량이 저감되어 조경성이 개선되고 표면층이 보호되며, 항균기능을 가진다.
여섯째는 무기계 바인더(CSA) 10-14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7-10 중량%, 쇄석골재(1.0-2.5mm) 59-62 중량%, 음이온석(1.0-2.5mm) 14-18 중량%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며, 이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색소로서 무기안료 0.5-2 중량부, 감수제 0.1-1 중량부, 물 4-6 중량부로 이루어지며, 건식양생과정을 거친 표면층에 쇠구슬을 충돌시켜 표면처리한다. 이러한 표면처리는 쇼트피닝공법이라 하며, 쇼트피닝한 표면층에 실러코팅제(sealer coating)를 20-35 ㎛두께로 코팅함으로써 표면층을 보호한다. 가로수 보호블록은 쇼트피닝으로 인하여 인장강도와 피로수명이 연장되고, 높은 표면조도에 의하여 보호블록을 지나는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무늬를 따라 쇼트피닝하면 무늬의 선명도가 좋아지므로 조경성이 개선된다.
쇼트피닝으로 표면층을 처리 시 쇠구슬이 분사되는 속도, 분사각도, 쇠구슬의 크기, 쇠구슬의 모양 등에 따라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인장강도, 피로수 명, 표면조도 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쇠구슬을 분사시키는 공기압력은 8-9 kgf/cm2 이며, 쇠구슬을 분사하는 각도는 70-85°이고, 사용된 쇠구슬은 구형 형태의 지름이 2.7-3.5 mm인 것이다.
쇼트피닝은 첫째 내지 넷째 표면층에도 이용할 수 있다.
기반층 및 표면층에 사용되는 CSA는 석회, 석고, 보크사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소성화합물(Calcium Sulfur Aluminate)을 분쇄하여 제조한 것이다. CSA는 다공질 콘크리트 제조에 이용시 기존시멘트에 비해 강도가 떨어지는 점을 보안하여 고강도의 다공질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으며, 중금속 검출을 저감시킨다.
CSA는 석회, 석고, 보크사이트의 수화반응에 의하여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CaO-Al2O3-SO3)가 생성된다. 이때, CSA의 화학성분 중 CaO와 SO3가 고로슬래그 미분말의 자극제로 작용하면 수산화알루미늄과 에트린자이트(Ettringite, 3CaOAl2O3CaSO432H2O)가 생성된다. 여기서 32분자의 물분자를 구속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구속하는 것인데, 이렇게 고로슬래그 미분자를 구속함으로써 결합을 강화시켜 장기적으로 강도를 증대시킨다. 또한, 고로슬래그는 잠재수경성물질로서 CSA 내의 CaO에 의하여 생성된 수산화칼슘을 포함하는 알칼리 성분 하에서 물과 반응하여 경화되는 과정에서 수산화칼슘양이 저감되어 pH를 저감시킬 수 있다.
기반층 및 표면층 일부에 사용된 쇄석골재는 그 크기를 다르게 사용하는데, 기반층에는 5-10 mm의 크기를 사용하고, 표면층에는 1.0-2.5 mm의 크기를 사용한다. 이때, 쇄석골재의 비중은 2.5이고, 공극율은 40% 이상이다.
기반층 및 6가지 표면층 중 일부에 사용된 감수제는 나프탈렌계통의 물질이며, GSA와 고로슬래그 미분말로 이루어진 결합재를 습윤 및 분산작용을 일으켜 결합재 페이스트의 반죽질기(Flow)를 향상시키면서 단위수량을 감소시킨다. 감수제로 반죽질기와 단위수량을 조절하는 이유는 결합재의 강도 증진을 위해서이며, 결합재의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단위수량(물/결합재비)을 감소시키면서 일정한 반죽질기를 만족시켜야한다. 여기서, 반죽질기가 너무 질거나 마르면 보호블록 형성 시 공극이 막히거나 강도발현이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반죽질기(Paste Flow)는 150-220 mm를 유지해야 한다. 단위수량은 물과 결합재의 비율을 의미하는데, 단위수량이 높다는 것은 다량의 물과 결합재가 결합한다는 것으로 결합재가 물과 접하면 입자표면의 습윤 작용보다는 표면 에너지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서로 응집하려는 경향이 강하여 반죽질기가 나빠진다. 이때, 감수제가 결합재 표면에 부착되면 결합재의 입자 사이에 전기적 상호 반발력이 생겨 입자가 분산되므로 반죽질기가 증진된다.
표면층에 사용되는 습기형 우레탄 바인더는 분자량이 수천이며, 양끝에 수산기를 갖는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를 원료로 하여 생성하는 합성고무이다. 이러한 우레탄 바인더는 이중결합을 함유하지 않으므로 내후성, 내산화성이고, 우레탄 결합을 하므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내충격성 등에 우수하다. 또한, 습기 형 우레탄 바인더는 인장력이 300-500 kg/cm2, 파단신장(Elongation)이 700%로서 천연고무보다 강하다. 또한, 습기형 우레탄 바인더는 1액형의 탄성우레탄 도료로서 수분이 포함된 기반층과 부착력이 뛰어나며, 신장율이 좋다.
표면층에 사용되는 음이온석은 음이온을 방출하여 공기정화, 탈취, 살균 기능을 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표면층의 각종 곰팡이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여 쾌적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음이온석은 석영(Quartz, 45.6 중량부), 사장석(Plagioclase, 25.8 중량부), 정장석(K-feldspar, 21.5 중량부), 녹니석(Chlorite, 6.2 중량부), 흑운모(Biotite, 0.9 중량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게르마늄을 1.32 mg/kg정도 함유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로수 보호블록은 수목의 생장상태에 따라 제2 프레임(30)을 설치하거나 제거하여 가변적으로 개방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수목의 성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수목의 성장에 따라 보호블록을 새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가로수 보호블록은 제1 프레임(20)과 제2 프레임(30)을 이루는 조성물질들에 의하여 휨강도, 투수성, 보습성, 인장강도, 피로수명, 표면조도가 우수하며, pH가 낮고 중금속이 용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가로수 보호블록은 휨강도, 투수성, 인장강도 등이 우수하며, 식재된 수목의 생장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가로수 보호블럭의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30)은 상기 제1 프레임(20) 내부에 끼워맞추어 지는 형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나사 등의 별도의 연결부재 없이도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로수 보호블록은 블록의 형태적 특성을 이용하여 가로수 보호블록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수목의 선장과정에서 생기는 뿌리 올라옴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보호블록간의 이격을 방지하는데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블록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수 보호블록의 설치 순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지지부 20: 제1 프레임
30: 제2 프레임 40: 경사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다수개의 지지부;
    다수개의 제1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제1 프레임의 폭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면은 다른 제1 프레임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제2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며,
    제1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제2 프레임의 폭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프레임은 무기계 바인더 11-13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8-10 중량%, 쇄석골재(5-10 mm) 55-58 중량%, 폐콘크리트 재생골재 16-19 중량%, 질석 0.5-3 중량%를 포함하는 기반층 및 무기계 바인더 10-14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7-10 중량%, 쇄석골재(1-2.5 mm) 59-62 중량%, 음이온석 14-17 중량%을 포함하는 표면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층은 실러코팅제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블록.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무기계 바인더 11-13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8-10 중량%, 쇄석골재(5-10 mm) 55-58 중량%, 폐콘크리트 재생골재 16-19 중량%, 질석 0.5-3 중량%를 포함하는 기반층 및 무기계 바인더 10-14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7-10 중량%, 쇄석골재(1-2.5 mm) 59-62 중량%, 음이온석 14-17 중량%을 포함하는 표면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층은 실러코팅제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블록.
  5. 다수개의 지지부;
    다수개의 제1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제1 프레임의 폭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와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제1 프레임의 일측면은 다른 제1 프레임의 내측면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제2 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측면 사이에 설치되며,
    제1 프레임의 내측면과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 프레임의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제2 프레임의 폭은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프레임은 무기계 바인더 11-13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8-10 중량%, 쇄석골재(5-10 mm) 55-58 중량%, 폐콘크리트 재생골재 16-19 중량%, 질석 0.5-3 중량%을 포함하는 기반층 및 기능성 골재, 음이온석, 우레탄 바인더를 포함하는 표면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블록.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무기계 바인더 11-13 중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8-10 중량%, 쇄석골재(5-10 mm) 55-58 중량%, 폐콘크리트 재생골재 16-19 중량%, 질석 0.5-3 중량%을 포함하는 기반층 및 기능성 골재, 음이온석, 우레탄 바인더를 포함하는 표면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블록.
  7. 제 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8-9 kgf/cm2 의 공기압력과 70-85°의 분사각도로 분사된 지름이 2.7-3.5 mm인 쇠구슬과 충돌되어 표면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 보호블록.
KR1020080051124A 2008-05-30 2008-05-30 가로수 보호블록 KR100870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124A KR100870550B1 (ko) 2008-05-30 2008-05-30 가로수 보호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124A KR100870550B1 (ko) 2008-05-30 2008-05-30 가로수 보호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550B1 true KR100870550B1 (ko) 2008-11-26

Family

ID=40284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124A KR100870550B1 (ko) 2008-05-30 2008-05-30 가로수 보호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5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716B1 (ko) 2009-11-18 2012-07-20 한경수 가로수 보호기구
KR101313540B1 (ko) 2013-02-19 2013-10-01 주식회사 코뉴 비소성 무기결합재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85380A (ko) * 2014-01-15 2015-07-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수목보호판
KR101874446B1 (ko) 2017-12-29 2018-07-04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가로수 보호판
KR102292123B1 (ko) 2021-02-16 2021-08-20 박용덕 가로수 보호 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6754U (ko) 1986-11-28 1988-06-06
KR100695627B1 (ko) 2005-09-12 2007-03-20 박인호 가로수 보호판용 가변형 받침대
KR200437304Y1 (ko) * 2006-12-28 2007-11-29 (주)자연과환경 투수성 조립식 가로수 보호 블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6754U (ko) 1986-11-28 1988-06-06
KR100695627B1 (ko) 2005-09-12 2007-03-20 박인호 가로수 보호판용 가변형 받침대
KR200437304Y1 (ko) * 2006-12-28 2007-11-29 (주)자연과환경 투수성 조립식 가로수 보호 블록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7716B1 (ko) 2009-11-18 2012-07-20 한경수 가로수 보호기구
KR101313540B1 (ko) 2013-02-19 2013-10-01 주식회사 코뉴 비소성 무기결합재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85380A (ko) * 2014-01-15 2015-07-2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수목보호판
KR101651863B1 (ko) * 2014-01-15 2016-08-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수목보호판
KR101874446B1 (ko) 2017-12-29 2018-07-04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가로수 보호판
KR102292123B1 (ko) 2021-02-16 2021-08-20 박용덕 가로수 보호 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수 보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550B1 (ko) 가로수 보호블록
CN108129071B (zh) 一种聚天门冬氨酸酯胶粘石透水路面材料
CN104982249B (zh) 一种用于马路中间绿化带的雨水花园
KR100920962B1 (ko) 투수성 포장재와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공법
KR100547608B1 (ko) 개선된 고성능 투수콘크리트
WO2019208890A1 (ko) 도로 포장용 결빙방지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방지 표면 처리 방법
CN108124645A (zh) 一种具有储水绿化功能的预制组合式防撞墙
KR101311748B1 (ko) 투수콘크리트용 혼합바인더와 이를 이용한 배수성 포장공법
CN204898458U (zh) 一种含Novachip超薄磨耗层抗滑降噪路面
DE102008004165B4 (de) Nachleuchtender Formstein
CN107869151B (zh) 一种分层式透水净水植生挡土墙及其构建方法
KR20160025268A (ko) 투보수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저류형 식생 주차 블록, 식생 주차 시스템 및 저류형 식생 주차 블록의 제조 방법
CN106894491A (zh) 一种海绵城市下凹式绿地
KR101902890B1 (ko) 사각 투수성 수로관
JPH03100202A (ja) 透水性擬似砂利道舗装
KR100871865B1 (ko) 경계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01428990A (zh) 一种新型透水砖
KR20130022632A (ko) 수목의 뿌리 돌출 방지를 위한 식재용 조성물
CN1169741C (zh) 环保型透水砖
KR20040032135A (ko) 황토 몰탈을 이용한 호안블럭 및 그 제조방법
KR101313540B1 (ko) 비소성 무기결합재를 이용한 가로수 보호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80887B1 (ko) 식재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2554219Y (zh) 环保型高耐磨防滑彩色路面砖
KR101035512B1 (ko) 천연광물 및 차열제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포장재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37304Y1 (ko) 투수성 조립식 가로수 보호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12